KR20080083499A -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499A
KR20080083499A KR1020070024148A KR20070024148A KR20080083499A KR 20080083499 A KR20080083499 A KR 20080083499A KR 1020070024148 A KR1020070024148 A KR 1020070024148A KR 20070024148 A KR20070024148 A KR 20070024148A KR 20080083499 A KR20080083499 A KR 2008008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titis
natural protein
silv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진
허태영
서국현
김현섭
박성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7002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499A/ko
Publication of KR2008008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26Trypsin (3.4.21.4) Chymotrypsin (3.4.2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73Cysteine endopeptidases (3.4.22), e.g. stem bromelain, papain, ficin, cathepsin 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meth]acrylate, polyacrylamid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lcohol or polystyrene sulfonic acid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0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microemulsion, nanoemulsion or mice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1Mammary glands, e.g. breasts, udder; Intramammary adminis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23Bacterial vaccine for bovine species, e.g. cat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천연단백질 분해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입경이 1 내지 15 nm인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여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신적인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항생제와는 달리 유방내 주입시 별도의 휴약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항생제 잔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친환경적인 낙농산업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천연단백질 분해제, 은 나노입자, 포유동물, 유방염

Description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Mastitis Comprising Natural Proteinase and Silver Nanoparticle Colloidal Solutions and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입경이 1 내지 15 nm인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여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방염은 병원체가 유선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발생되는 질병으로, 주요원인체로는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진균, 조류 등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세균에 의한 발생빈도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세균에 의해 유방내 염증을 유발하여 유즙내 이화학적, 화학적 및 세균학적 변화를 발생시킨다.
또한 여러 가지 염증성 인자가 원인이 되어 유방조직의 손상이나 비유 기능 의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유방염 감염율은 40%, 분방 감염율은 25%로 젖소의 질병 중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아 낙농산업에서 가장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질병이다.(Harmon RJ. J Dairy Sci 77:2103 2112, 1994).
유방염은 증상에 따라 임상형과 준임상형 유방염으로 분류하며, 임상형 유방염은 임상증상의 정도에 따라 아급성, 급성, 심급성과 만성 유방염으로 나눈다.
준임상형 유방염은 유방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유즙의 성상변화와 감염의 발증 정도가 미약하여 육안적으로 관찰하기 곤란한 유방염으로 농장의 사정에 따라 발생형태도 다양하다.
유방염 감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악티노마이세스 파이오젠스(Actinomyces pyogenes), 응집효소 음성 포도상구균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CN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애 (Streptococcus dys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우베리스(Streptococcus uberis), 코리네박테리움 파이오젠스 (Corynebacterium pyogene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이 있다.
유방 내 염증반응은 유두관 (teat canal)을 통해 세균이 유선에 들어와 증식하여 세균 독소, 효소와 세포 성분이 유선 상피세포의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관련 있는 염증세포에 의해 수많은 염증 매개체 생산을 자극함으로써 발생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염증 증상은 맥관투과성 항진, 혈관확장, 부종, 혈류량 증 가, 백혈구 변연화 및 유주, 유선 합성활동 감소, 동통과 열이다.
맥관투과성 증진으로 인하여 혈액 내 성분들이 유선 내로 이행하게 되어 우유 내 소혈청 알부민 (BSA)과 락토페린 (Lf) 등이 증가한다 (Guidry AJ, Ost M, Mather IH, Shainline WE and Weinland BT. Am J Vet Res, 44: 2262 2267, 1983).
종래의 유방염 치료제로는 항생제와 항생제 혼합 연고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설파제,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물질은 우유 잔류 및 내성균 유발로 인하여 인류건강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항균물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유방 내 정상적인 균총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농장에서 항생물질의 사용은 더욱더 엄격하게 금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항생제 및 화학 요법제를 유방염에 걸린 착유우에 투여할 할 경우 원유 및 젖소 내의 약물 잔류문제로 투여 후 반드시 별도의 휴약 기간을 설정할 것이 요구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착유한 우유를 납품할 수 없게 되어 농가의 손실을 유발한다.
유방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유방염으로 인한 폐사 및 조기 도태, 우유 폐기 처분, 수의사 진료비 및 약품비, 유생산량 감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방염 치료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 제10-2003-0084223호에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의 유방염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872,709호에는 감초의 뿌리와 기는 줄기로부터 추출되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가축의 유방염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10-2003-0061102호에는 0.1 내지 20 중량%의 키토산-키토올리고당, 0.1 내지 10 중량%의 브로멜라인 및 0.01 내지 10 중량%의 감초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원유 중의 체세포 감소 및 젖소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 공개 제10-2003-0016801호에는 항균 펩티드인 부포린 II를 포함하는 포유류의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주로 천연물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크게 개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유방염 치료에 한계가 있어, 염증증상이 완전히 제거되고, 안전하면서도 유방염의 치료 효과가 우수한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천연단백질 분해제인 트립신(trypsin), 알파-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판크레아스(pancreas),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페인(papain)은 생체친화적인 물질로서 염증이 발생된 부위에 염증제거를 위한 치료용 소염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방염이 발생된 가축의 염증제거 및 치료를 하기 위해 상기 제제를 복합적으로 사용된 전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특히 유방 내 주입으로 젖소 유방염 염증반응 제거 및 치료에 적용한 예는 국내외에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항균효과가 뛰어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한 젖소 유방염치료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천연 단백질분해제와의 상협작용으로 인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방염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 효율이 높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로서 생체친화적이며, 염증제거효능이 우수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상기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상협작용을 하며 항균효과가 뛰어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단백질 분해제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합성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천연단백질 분해제로는 트립신(trypsin), 알파-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판크레아스(pancreas),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페인(papain)이며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유방염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만성 또는 임상형 유방염 치료용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천연단백질 분해제로 이루어지는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 피롤리돈)-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1-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안정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ppm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클리콜 (Propylene glycol)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알카무루스 (Alkamulus)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카무루스는 유기용매와 혼합하기 쉬운 유화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과 함께 약한 정도의 방부효과가 있으면서, 조성물의 안정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생체내 전혀 독성이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당 업계에 알려진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공개 제WO 02/087749호에는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이 은염 또는 은 산화물 염과,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 피롤리돈)-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1-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안정제를 물 또는 비수계 용매에 용해시키고, 질소 퍼지한 후,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인 동물의 유방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분방 또는 유선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중의 유방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방염은 만성형 유방염, 준임상형 또는 임 상형 유방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유동물은 소, 염소 및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젖소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투여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방염에 이환된 동물의 분방 내 유두에 주사에 의하여 투여되는 것이다.
투여량은 분방 내의 유두를 통하여 주사되는 경우, 분방 당 1일 1 내지 2회, 1회 10ml (천연단백질 분해제 함량으로는 10mg 내지 50mg,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함량으로는 10ppm 내지 100ppm)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치료하고자 하는 포유동물의 종류, 나이, 및 증상 등에 따라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최소 발육억제농도 ( MIC )의 확인
최소 발육억제농도는 종래 알려진 방법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Xu Hong Xi and Lee Song F. Rhytother res, 18: 647 651, 2004).
먼저, 유방염에 이환된 젖소의 분방에서 분리된 유방염 원인균 및 표준 균주 에 대하여 액체 배지 희석법 (broth dilution method)에 따라 측정하였다.
MIC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상기한 과정에 의해 얻어진 정제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였다.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멸균 증류수에 희석하여 최종농도가 1,000ug/ml가 되도록 한 다음, 0.2㎛ 필터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뮬러 힌톤 배지 (Mueller hinton broth) (Difco, 미국)로 2배씩 다단계 희석을 11단계 (211배까지 희석)하고, 96웰 플레이트 (Corning, 미국)의 각 웰에 100㎕씩 분주하였다.
다음으로, 트립틱 소이 브로스 (tryptic soy broth)(Difco, 미국)에서 증균된 각 유방염 원인균을 MacFarland 0.5 탁도 (1.5x108 CFU/ml)로 맞춘 다음, 각 웰에 10㎕ 씩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 리더 (Tecan, 호주)로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최소억제농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의 최소억제농도
균주 최소억제농도(㎍/㎖)
야외균주a Staphylococcus aureus 15.6
Staphylococcus epidermis 7.8
Streptococcus uberis 7.8
Escherichia coli 15.6
Klebsiella pneumoniae 7.8
표준균주b Staphylococcus aureus 305 15.6
Staphylococcus epidermis ATCC 12228 7.8
Streptococcus uberis ATCC 27958 3.9
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 3.9
Escherichia coli O55 15.6
Bacillus subtilis ATCC 1024 1.9
<야외균주a : 축산연구소 분리 균주, 표준균주b: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제공>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의 최소억제농도는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Staphylococcus aureusEscherichia coli에서 높은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내었다.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는 대부분의 유방염 원인균에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투여에 의한 유방내 임상증상 변화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각각 젖소의 유방에 투여하고, 유방 내 임상증상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본 조성물의 투여시 임상증상을 보인 유방 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유방염 발생시 유방내 염증반응의 발현으로 유방의 경결, 부종과 우유내 농이 발생되며, 유방 내 임상증상의 감소는 유방염 진행상태 감소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젖소의 유방에 투여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다음과 같다.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및 투여 방법:
멸균 유리 용기에 정제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프로필렌글리콜 (분자량 76.10, DC Chemical Co. Korea)에 잘 혼합한 한 후, 멸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액체는 연한 노란색을 띄었으며, 얻어진 용액을 10 ml씩 1회용 주사기에 충진 및 포장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이하 실시예 3, 4 및 5에서 사용하였다.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투여 용액은 1일 2회 (총 6회) 착유 후에 유두를 통하여 투여하였다.
1회 투여량은 10 ml이었으며,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함량은 각각 50 mg, 20 ppm이었다.
투여 전과 투여 후 유방내 임상증상을 관찰하였고, 임상증상의 변화 수치는 유방부종수치평가(0, 부종관찰 안됨 1, 유방 일부분 부종관찰 2, 유방 전 부분 부종관찰), 유방경결수치평가(0, 경결관찰 안됨 1, 유방 일부분 경결관찰 2, 유방 전 부분 경결관찰), 우유내 농 발생유무 수치평가(0, 농 검출 안됨 1, 우유내 농 <0.5 덩어리/㎖; 2, 우유내 농 0.5~4 덩어리/㎖ 3, 우유내 농 ≥5 덩어리/㎖)로 구분하여 수치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유방내 투여시 임상증상변화 ( 처리분방 =125)
기간(일) 0 3 7
수치 0 1 2 3 0 1 2 3 0 1 2 3
유방부종 58 42 25 - 62 55 8 - 107 14 4 -
유방경결 69 39 17 - 74 41 10 - 98 24 3 -
우유내 발생유무 21 34 28 42 24 42 38 21 74 31 15 5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3일 투여 후 7일째 까지 임상증상변화를 관찰한 결과 유방의 부종 (수치 1이하, 73% 감소), 유방 경결 (수치 1이하, 52% 감소), 우유내 농 성분 검출 (수치 2이하, 72% 감소)이 현저하게 감소됨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유방내 유방염의 치료효과가 발휘되어 유방염에 기인된 유방내 임상증상의 감소 및 소실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치료효과 비교
본 실시예예서는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일회용 주사기에 10ml씩 담아 1일 2회, 3일 동안 유방 내로 투여하였다.
우유 중 체세포 (SCC)의 감소는 유방내 염증반응의 감소로 인한 우유내 혈액유래 물질과 염증인자 감소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일반적인 유방염 치료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우유 중의 체세포 수는 체세포 검사기 (Foss 300, Denmark)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체세포수(SCC)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체세포수치〔SCS=Log2(SCC/100,000)+3〕로 변환하였다.
표 3.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투여한 후의 체세포수치 ( SCS )의 변화 ( mean ± SD )
처리분방 체세포수치
투여전 투여 3일 후 투여 7일 수
125 9.2±0.89 7.2±1.01 6.2±0.5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투여 전에는 체세포 수가 모두 높은 수준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1일 2회 3일 동안 유방 내로 투여한 결과 투여 7일째에는 체세포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유방염의 치료지표인 체세포수의 감소에 의해 유방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우유내 총세균수 감소에 대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치료효과 확인
본 실시예예서는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유방연고를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우유내 총세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투여 전/후 우유 시료를 무균적으로 채취하고, 다음으로 뮬러 힌톤 아가 (Mueller hinton agar) (Difco, 미국)에 우유를 10배씩 다단계 희석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총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총세균수는 log CFU/㎖로 수치화 하여 표시하였다.
표 4.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우유내 총세균수 변화(mean±SD)
처리분방 총세균수( Log CFU/㎖)
투여 전 투여 3일 후 투여 7일 후
125 5.71±0.86 4.55±1.01 3.62±1.33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유에서 존재하는 총세균수의 수치를 조사한 결과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유방내 투여 후 총세균수의 변화가 투여 전 5.71±0.86 (P<0.05) 에서 투여 7일 후 3.62±1.33 CFU/㎖로 감소되었다.
이는 유방내 존재하는 세균들에 대한 탁월한 항균효과에 의해 우유내 총세균수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우유내 염증인자 추적에 의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치료효과 확인
본 실시예예서는 젖소의 유방 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유방연고를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유방염 발생 분방의 염증인자인 락토페린(lactoferrin)과 우 혈청알부민(BSA)은 혈액유래 물질로서 유방내 염증발생시 혈액내에서 우유내로 다량 이주하여 우유내 다량 존재함으로 유방내 염증발생정도의 지표인자로 활용 되고 있다.
또한 유방내 염증이 감소됨을 락토페린과 우혈청알부민(BSA)의 농도 측정으로 염증 감소로 인한 유방내 치료효과를 관찰 할 수 있다.
락토페린과 우혈청알부민(BSA)의 농도는 간이 킷트 (Bethyl laboratories, Inc.,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5.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유방연고 투여 후 우유내 염증 추적인자 변화 (mean±SD)
처리분방 농도
투여 전 투여 3일 후 투여 7일 후
125 락토페린 (㎍/㎖) 350.4±90.1 206.2±50.4 142.2±65.7
우혈청알부민 (㎎/㎖) 3.32±1.04 1.11±0.48 0.55±0.56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투여 후 유방내 염증인자의 현저한 감소가 조사되었으며, 우유내 혈액유래 물질의 감소와 염증 반응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6: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유방에 투여하고, 유량변화(milk yield)와 전신 혈액학적 수치변화(circulating Hematological counts)를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안전성 및 효능을 확인하였다.
우유내 이물질 투여시 유방내에서는 면역반응이 유발되어 유량 변화와 전신혈액학치의 변화가 발생되어 유방염이 더욱 심해지며 나아가서는 급성유방염에 기 인한 패혈증으로 폐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친화적이며 안정적인 물질로 알려진 조성물로만 구성된 본 조합물을 유방내 투여 후 유량과 혈액학치의 변화를 통해 본 조합물의 젖소 유방 및 전신에 대한 안정성 및 효능을 평가 하였다.
유량은 유량자동분석착유기(DeLaval. Sweden)를 이요하여 측정하였으며, 전신혈액학치 측정은 꼬리정맥에서 K3 EDTA 튜브 (5 ㎖, BD Vacutainer, USA)에서 혈액샘플을 채취하여 2시간이내에 HEMA-VET 850 (CDC Tech,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6.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용액의 유량에 미치는 변화 (mean±SD)
처리두수 유량(처리일, Kg)
0 1 2 3 5 7
50두 23.1±2.2 23.0±5.7 23.8±5.4 24.2±3.5 23.9±3.8 24.5±3.9
표 7.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전신혈액학치에 미치는 변화 (mean±SD)
처리두수 유방내 투여기간(일)
0 3 7
50두 WBC 8.98±1.05 9.61±0.63 9.26±2.39
NE 3.96±0.91 4.04±0.85 3.37±0.86
LY 4.64±0.95 4.04±1.02 4.49±0.82
MO 0.46±0.19 0.36±0.28 0.42±0.44
EO 0.13±0.14 0.32±0.35 0.11±0.17
BA 0.01±0.01 0.02±0.01 0.01±0.01
RBC 6.27±0.87 6.86±0.80 6.23±0.97
혈액학치(× 1,000 /㎕). WBC: 백혈구, NE: 호중구, LY: 림파구, MO: 단핵구, EO: 호산구, BA: 호염구, RBC: 적혈구 × 106 /㎕
표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투여 후 전신에 미치는 변화를 조사한 유량 (milk yield) 및 전신 혈액학적 수치변화 (circulating Hematological counts)는 투여 전/후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천연유방염치료연고제의 투여에 의한 부작용으로 전신변화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상의 실시예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방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방염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이용한 젖소 유방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항균효과와 천연단백질 분해제와의 상협작용으로 인한 유방내 염증반응의 경감과 유방염의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신적인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항생제와는 달리 유방내 주입시 별도의 휴약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항생제 잔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친환경적인 낙농산업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동물의 유방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동물의 유방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Claims (11)

  1. 천연단백질 분해제와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용액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단백질 분해제는
    트립신(trypsin),알파-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판크레아스(pancreas),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페인(pap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단백질 분해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조성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 피롤리돈)-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1-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안정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0 ppm 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은염 또는 은 산화물 염과,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 피롤리돈)-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1-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안정제를 물 또는 비수계 용매에 용해시키고, 질소 퍼지한 후,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클리콜 (Propylene glyc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알카무루스 (Alkamulu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10. 제 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에는 입경이 1 내지 15 nm 인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단백질 분해제 및 은나노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11.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제1항 내지 제10항의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분방 또는 유선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방법.
KR1020070024148A 2007-03-12 2007-03-12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3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48A KR20080083499A (ko) 2007-03-12 2007-03-12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148A KR20080083499A (ko) 2007-03-12 2007-03-12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99A true KR20080083499A (ko) 2008-09-18

Family

ID=400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148A KR20080083499A (ko) 2007-03-12 2007-03-12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4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2487A1 (en) * 2014-04-04 2015-10-08 Hong-Ming Lin Complex and use thereof
RU2598338C1 (ru) * 2015-08-03 2016-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ерозного мастита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RU2706124C1 (ru) * 2018-06-01 2019-1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убклинического мастита коров
RU2757329C1 (ru) * 2021-01-28 2021-10-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терапии катарального мастита коров комплексным препаратом, содержащим наночастицы серебра арговит и димекси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2487A1 (en) * 2014-04-04 2015-10-08 Hong-Ming Lin Complex and use thereof
CN104970050A (zh) * 2014-04-04 2015-10-14 林鸿明 一种蛋白酶-纳米银配合物及其应用
CN104970050B (zh) * 2014-04-04 2018-09-21 林鸿明 一种蛋白酶-纳米银配合物及其应用
RU2598338C1 (ru) * 2015-08-03 2016-09-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ерозного мастита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RU2706124C1 (ru) * 2018-06-01 2019-11-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убклинического мастита коров
RU2757329C1 (ru) * 2021-01-28 2021-10-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гробио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ФНЦА РАН) Способ терапии катарального мастита коров комплексным препаратом, содержащим наночастицы серебра арговит и димекси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Efficacy of nisin in treatment of clinical mastitis in lactating dairy cows
EP1845964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mprising a jasmonic acid compound as active agent
US7902148B2 (en) Use of an echinocandin antifungal agent in combination with a glycopeptide antibacterial agent
EP286681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reatment of mastitis
Oliver et al. Prevalence,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controlling mastitis in heifers during the periparturient period
KR20080083499A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Pyörälä et al. Clinical, bacteri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of bovine mastitis caused by aerobic and anaerobic pathogens
KR101156082B1 (ko) 젖소 유방염 치료용 조성물
CN103479574A (zh) 一种用于防治干奶期奶牛乳房炎的乳房注入剂及其制备方法
Feng et al. Effect of matrine on reducing damage to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in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alpha-hemolysin
Buldain et al. In vitro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Melaleuca armillaris essential oil and erythromyci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dairy cows
Cengiz et al. Effectiveness of dry cow therapy comprising antibiotic treatment, internal teat sealant, and α-tocopherol against new intramammary infections in cows
KR102203849B1 (ko) 동물용 복합 항생제 조성물
CN113908121B (zh) 一种氯硝柳胺注射液及其制备和应用
US9895387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KR101347236B1 (ko) 동물용 복합 항생제 조성물
HUT63335A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eases of mammals
US10905748B2 (en) Ovotransferrin treatment for the reproductive tract
KR20070059787A (ko) 은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하는 동물의 유방염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동물의유방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Ziv et al. Retention of Antibiotics in Dry‐Udder Secretions after the Infusion of Several “Dry Cow” Antibiotic Products
CN108186618B (zh) 柠檬醛及其衍生物在制备mrsa感染性疾病药物中的新用途
Oliver et al. Heifer mastiti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trol strategies
GB2589856A (en) Composition for use of reducing SCC and subsequent mastitis in dairy cows
CA2574741A1 (en)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stitis
KR20140127703A (ko) 동물에서의 눈물자국의 제거 및 생성 방지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