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25B1 -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25B1
KR101978425B1 KR1020180057806A KR20180057806A KR101978425B1 KR 101978425 B1 KR101978425 B1 KR 101978425B1 KR 1020180057806 A KR1020180057806 A KR 1020180057806A KR 20180057806 A KR20180057806 A KR 20180057806A KR 101978425 B1 KR101978425 B1 KR 10197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er assembly
insertion hole
connec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05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대상물(2)에 연결되고, 내부에 삽입홀(111)이 형성된 고정부(10); 및 제2 대상물(3)이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되는 커넥터부(2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0)는, 내부에 상기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 각도 상방으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2)의 하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FASTENER ASSEMBLY AND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 트림은 차량 도어의 실내측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실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트림을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일측에 패스너 브라켓이 연결되고, 패스너 브라켓에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되는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스너 조립구조는 도어 트림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패스너 브라켓과, 패스너 브라켓의 일측에 삽입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즉, 패스너 조립구조는 패스너 브라켓에 패스너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패스너 브라켓에 패스너가 삽입된 삽입력을 초과하는 힘이 패스너에 가해질 경우, 패스너가 패스너 브라켓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2592호(2014.07.2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호 결합력이 높은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부 충격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대상물과의 고정력이 높은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대상물(2)에 연결되고, 내부에 삽입홀(111)이 형성된 고정부(10); 및 제2 대상물(3)이 연결되고,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되는 커넥터부(2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0)는, 내부에 상기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 각도 상방으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2)의 하면에 흡착 가능한 흡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홀(h)에 삽입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걸림부(112); 및 상기 걸림부(112)와 수직을 이루며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홀(1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12)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21);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지지부(1122); 상기 지지부(1122)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부 돌출부(1123); 상기 내부 돌출부(1123)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1124); 및 상기 걸림부(11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1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3)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경사면(1131); 및 상기 상부 경사면(1131)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1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20)는,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되는 헤드부(210); 및 상기 헤드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대상물(3)이 연결되는 바디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210)는,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에서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 유도부(211); 상기 삽입 유도부(2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직경이 증가하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212); 상기 제1 삽입부(21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부(2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삽입부(213); 상기 제1 삽입부(212)와 상기 제2 삽입부(213)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삽입부(212)와 상기 제2 삽입부(213)의 직경 차에 의해 소정의 경사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122) 및 상기 상부 경사면(1131)과 접촉되는 고정턱(214); 및 상기 고정턱(21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210)는, 상기 연장부(215)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216); 상기 제1 리브(216)의 하측에서 상기 제1 리브(216)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리브(216)와 동일한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리브(217); 및 상기 제1 리브(216) 및 상기 제2 리브(217) 사이에서 외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1124)가 삽입되는 고정홈(2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20)는, 상기 제2 리브(2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디부 몸체(221);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플랜지(222); 상기 제1 플랜지(222)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랜지(223); 및 상기 제1 플랜지(222)와 상기 제2 플랜지(223) 사이에서 제2 대상물(3)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간(2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222)는,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평면부(2221); 상기 평면부(2221)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2222); 및 상기 제1 경사부(2222)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2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에 있어서, 고정부(10) 및 커넥터부(20)를 체결하는 단계(S100); 상기 커넥터부(20)의 체결공간(223)에 제2 대상물(3)을 연결하는 단계(S200); 상기 고정부(10)의 몸체부(110)를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걸림부(112)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상면과 접촉되는 단계(S300); 상기 커넥터부(2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10)의 돌기(1124)가 상기 커넥터부(20)의 제1 리브(215)와 제2 리브(216) 사이의 고정홈(217)에 삽입되는 단계(S400); 및 상기 고정부(10)의 흡착부(120)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하측면에 흡착되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 및 상기 커넥터부(20)를 체결하는 단계(S100)는, 상기 삽입홀(11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상기 헤드부(210)를 삽입하는 단계(S110); 삽입 유도부(211)가 하부 경사면(1132) 및 내부 돌출부(1123)를 따라 삽입되는 단계(S120); 제1 삽입부(212)가 상기 하부 경사면(1132) 및 상기 내부 돌출부(1112)를 외측으로 밀면서 삽입되는 단계(S130); 걸림부(112)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단계(S140); 고정턱(214)이 지지부(1122) 및 상부 경사면(113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단계(S150); 상기 걸림부(112)가 원상복귀되는 단계(S160); 및 제2 삽입부(213)가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단계(S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호 결합력이 높다.
또한, 외부 충격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대상물과의 고정력이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고정부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걸림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고정부의 B-B'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가 고정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가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1)는 고정부(10) 및 커넥터부(20)를 포함한다. 패스너 조립체(1)는 제1 대상물(2)과 제2 대상물(3)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패스너 조립체(1)는 고정부(10) 내부로 커넥터부(20)가 삽입되어, 고정부(10)와 커텍터부(20)가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부(20)에 제2 대상물(3)이 연결되고, 제1 대상물(1)의 홀(h)에 고정부(10)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부(20)에 제2 대상물(3)이 연결되고, 그 후, 고정부(10)가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패스너 조립체(1)가 제1 대상물(2)과 제2 대상물(3)을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고정부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걸림부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고정부의 B-B'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10)는 몸체부(110) 및 흡착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하여, 제1 대상물(2)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 하는 도 1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110)는 삽입홀(111), 걸림부(112) 및 안착부(113)를 포함한다.
삽입홀(111)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1)은 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일 수 있다. 삽입홀(111)에는 후술할 커넥터부(20)의 헤드부(210)가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112)는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12)는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된 후,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몸체부(1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2)는 홀(h)의 크기(즉, 홀(h)의 직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112)의 하면이 제1 대상물(2)의 상면과 접촉되어,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112)는 몸체부(11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양 측이 제1 대상물(2)의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걸림부(11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12)는 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될 때, 걸림부(112)의 일 영역이 몸체부(110)로부터 이격되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12)의 상부는 몸체부(110)와 연결된 상태이고, 걸림부(112)의 하부 및 측부는 몸체부(1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다. 이에, 걸림부(112)는 몸체부(110)의 내측과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할 경우에는,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후,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한 후에는 걸림부(112)가 원상복귀 상태가 되어 다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112)는 걸림턱(1121), 내부 돌출부(1123), 지지부(1122), 돌기(1124) 및 하부 돌출부(112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121)은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121)은 원통형의 몸체부(11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일 예로, 걸림턱(1121)은 몸체부(110)의 중심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1121)은 몸체부(110)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점차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121)에 의해 제1 대상물(2)의 홀(h)에 걸릴 수 있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로부터 돌출된 걸림턱(1121)의 하면이 제1 대상물(2)의 상면과 맞닿으면서,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122)는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1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보다 더 돌출되어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22)는 커넥터부(20)의 헤드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123)는 지지부(1122)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돌출부(1123)는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삽입홀(1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내부 돌출부(1123)는 삽입홀(111)의 내측으로 균등하게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123)가 삽입홀(111)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삽입홀(111)에 커넥터부(20)의 헤드부(210)가 삽입 가능하도록, 양 측 내부 돌출부(1123) 사이의 직경이 적어도 헤드부(210)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내부 돌출부(1123)가 소정 깊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기(1124)는 내부 돌출부(1123)의 하부에서 삽입홀(11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24)는 탄성력 가지며 형성된다. 돌기(1124)는 후술할 제1 리브(216)와 제2 리브(217) 사이의 고정홈(218)에 삽입되어, 커넥터부(20)를 고정부(10)에 보다 더 고정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1125)는 걸림부(11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돌출부(1125)는 흡착부(1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상물(2)에 고정부(10)의 몸체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돌출부(1125)는 외부 충격에 의해 패스너 조립체(1)가 제1 대상물(2)의 홀(h) 내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걸림턱(1121)과 흡착부(120) 사이의 간격으로 패스너 조립체(1)가 외부 충격에 의해 좌우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대상물(2)의 홀(h)이 형성된 제1 대상물(2)의 내주면과 인접하도록 하부 돌출부(11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안착부(113)는 한 쌍의 걸림부(112)와 수직을 이루도록,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3)는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삽입홀(1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착부(113)는 상부 경사면(1131) 및 하부 경사면(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경사면(1131)은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삽입홀(111)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경사면(1131)에는 커넥터부(20)의 헤드부(210)가 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경사면(1131)은 헤드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 경사면(1132)은 상부 경사면(1131)의 단부에서 몸체부(110)의 내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소정 각도 상방으로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흡착부(120)는 상방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된 원판 형태일 수 있다. 흡착부(120)는 제1 대상물(2)의 하면에 흡착 가능하다. 일 예로,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된 상태의 패스너 조립체(1)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흡착부(120)가 제1 대상물(2)의 하면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너 조립체(1)가 제1 대상물(2)에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부(20)에는 제2 대상물(3)이 연결되고, 고정부(10)의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고정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20)는 헤드부(210) 및 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10)가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고정부(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대상물(2)이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210)는 삽입 유도부(211), 제1 삽입부(212), 제2 삽입부(213), 고정턱(214), 연장부(215), 제1 리브(216), 제2 리브(217) 및 고정홈(218)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유도부(211)는 헤드부(210)의 상부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삽입 유도부(211)는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부(210)의 상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된 삽입 유도부(2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10)가 삽입홀(111)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홀(111) 내부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112) 및 안착부(113)에 의해 헤드부(210)의 삽입이 방해될 수 있다.
이에, 삽입 유도부(211)는 헤드부(2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의 직경이 삽입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유도부(211)의 직경은 삽입홀(111) 내부의 한 쌍의 지지부(1122)가 이루는 직경 및 한 쌍의 고정부(113)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유도부(211)는 삽입홀(111)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부(212)는 삽입 유도부(211)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 삽입부(212)는 하방으로 직경이 증가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삽입부(212)의 상부는 삽입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1 삽입부(212)의 하부는 삽입홀(11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13)는 제1 삽입부(21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13)는 제1 삽입부(2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턱(214)은 제1 삽입부(212)와 제2 삽입부(213)를 연결하도록, 제1 삽입부(212)와 제2 삽입부(213)의 직경 차에 의해 소정의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10)가 삽입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214)은 삽입홀(111) 내측의 지지부(1122) 및 상부 경사면(1131)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턱(214)은 상부 경사면(1131)과 면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홀(111)에 헤드부(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턱(214)이 삽입홀(111)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122) 및 상부 경사면(1131)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제1 삽입부(212)는 삽입홀(111)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122) 및 상부 경사면(1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10)가 삽입홀(111)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215)는 고정턱(21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5)는 돌기(1124)가 유동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0)가 제1 대상물(2)의 홀(h)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12)가 내측으로 가압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될 경우, 걸림부(1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돌기(1124)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돌기(1124)는 연장부(215)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리브(216)는 연장부(215)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브(216)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217)는 제1 리브(216)의 하측에서 제1 리브(216)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리브(216)와 동일한 직경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217)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8)은 제1 리브(216) 및 제2 리브(217) 사이에서 외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8)에는 고정부(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1124)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리브(216)와 제2 리브(217)가 이격된 거리는 돌기(1124)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홈(218)에 삽입된 돌기(1124)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헤드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고정부(10)의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러한 바디부(220)에는 제2 대상물(3)이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220)는 바디부 몸체(221), 제1 플랜지(222), 제2 플랜지(223) 및 체결공간(22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 몸체(221)는 제2 리브(216)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 몸체(221)는 헤드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1 플랜지(222)는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플랜지(222)는 평면부(2221), 제1 경사부(2222) 및 제2 경사부(2223)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2221)는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경사부(2222)는 평면부(2221)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부(2223)는 제1 경사부(2222)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평면부(2221)와 제1 경사부(22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제2 대상물(3)이 흡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223)는 제1 플랜지(222)와 이격되어, 바디부 몸체(221)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간(224)은 제1 플랜지(222)와 제2 플랜지(223)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다. 체결 공간(224)에는 제2 대상물(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가 고정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커넥터부(20)가 고정부(10)의 삽입홀(111)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8b는 커넥터부(20)가 고정부(10)에 삽입되는 과정의 상태이고, 도 8c는 커넥터부(20)가 고정부(1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커넥터부(20)의 헤드부(210)가 고정부(10)의 삽입홀(111)에 삽입된다.
먼저, 삽입 유도부(211)가 삽입홀(111)로 인입된다. 삽입 유도부(211)의 직경은 삽입홀(111) 내부의 한 쌍의 걸림부(112) 및 한 쌍의 고정부(113)가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 유도부(211)의 인입이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212)가 걸림부(112)의 내부 돌출부(1123), 돌기(1124) 및 안착부(113)와 간섭되고, 이에, 제1 삽입부(212)가 걸림부(112)에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걸림부(112)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8c,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212)가 보다 더 삽입되어, 걸림부(112)의 지지부(1122) 및 안착부(113)의 상부 경사면(11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삽입홀(111)의 하부에는 제2 삽입부(213)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13)의 직경은 한 쌍의 걸림부(112)가 형성하는 삽입홀(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림부(112)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 걸림부(112)는 원상복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가 제1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대상물(2)의 홀(h)에 고정부(10)의 상부가 삽입되고 있는 상태이고, 도 12는 제1 대상물(2)의 홀(h)에 고정부(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112)가 삽입되는 상태이고, 도 13은 제1 대상물(2)의 홀(h)에 고정부(10)가 몸체부(110)가 삽입된 상태이고, 도 14는 고정부(10)의 돌기(1124)가 커넥터부(20)의 고정홈(218)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가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10)의 몸체부(110)가 제1 대상물(2)의 홀(h)로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상부는 제1 대상물(2)의 홀(h)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부는 원활하게 홀(h)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중심부에서부터 하부에 걸쳐 형성된 걸림부(112)가 홀(h)의 직경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2)는 하방으로 점차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홀(h)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112)가 홀(h)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12)와 제1 대상물(2)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변형이 가능한 걸림부(112)가 홀(h)이 형성된 제1 대상물(2)의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부(112)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 된다. 이때, 걸림부(112)의 돌기(1124)는 연장부(215) 내측으로 보다 더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가 홀(h)을 완전히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12)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던 제1 대상물(2)의 홀(h)을 통과함으로써,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었던 걸림부(112)는 다시 탄성 변형되어 원상복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홀(h)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걸림부(112)에 의해, 몸체부(110)가 홀(h)을 통해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걸림부(112)의 돌기(1124)는 제1 리브(21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일 수 있다.
이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0)를 고정부(10)의 삽입홀(111) 측으로 더 가압하게 되면, 커넥터부(20)가 소정 높이 상승된다. 이에, 커넥터부(20)의 제1 리브(216)와 제2 리브(217) 사이의 고정홈(217)으로 돌기(112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홈(217)에 돌기(1124)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는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은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를 체결하는 단계(S100)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고정부(10)와 커넥터부(20)를 체결하는 단계(S100)는, 삽입홀(11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헤드부(210)를 삽입한다(S110).
먼저, 삽입 유도부(211)가 하부 경사면(1122) 및 내부 돌출부(1112)를 타고 삽입된다(S120).
이후, 제1 삽입부(212)가 하부 경사면(1122) 및 내부 돌출부(1112)를 외측으로 밀면서 삽입된다(S130). 이와 동시에, 걸림부(112)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S140).
이후, 헤드부(210)가 보다 더 삽입되어, 고정턱(214)이 지지부(1113) 및 상부 경사면(1121)에 접촉되어 지지된다(S150). 이와 동시에,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의 걸림부(112)는 원상복귀 된다(S160).
제2 삽입부(213)가 삽입홀(111)에 삽입된 상태(S170)일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패스너 조립체
2: 제1 대상물
3: 제2 대상물
10: 고정부
110: 몸체부
120: 흡착부
20: 커넥터부
210: 헤드부
220: 바디부

Claims (11)

  1. 제1 대상물(2)과 제2 대상물(3)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삽입홀(111)이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흡착부(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 및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되는 커넥터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몸체부(110)와 연결되고, 측부와 하부는 상기 몸체부(110)와 절단되어 탄성을 가지는 걸림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홀(111)을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돌기(1124)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20)는,
    제1 삽입부(212)와 상기 제1 삽입부(212)와 연결되는 제2 삽입부(213);
    상기 제2 삽입부(213)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만곡하게 함몰 형성된 연장부(215); 및
    상기 연장부(215)의 하측에서 이격 형성되는 제1리브(216)와 제2 리브(217)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홈(218)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커넥터부(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홀(h)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112)가 상기 삽입홀(111)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돌기(1124)가 상기 연장부(215)의 만곡한 부분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몸체부(110)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이 완료되어 상기 걸림부(112)가 복원되면 상기 돌기(1124)가 상기 연장부(215)의 만곡한 부분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커넥터부(20)가 상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돌기(1124)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고정홈(218)에 삽입되고 상기 흡착부(120)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걸림부(112)와 수직을 이루며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홀(1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2)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21);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지지부(1122);
    상기 지지부(1122)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부 돌출부(1123); 및
    상기 걸림부(11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1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3)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홀(111)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경사면(1131); 및
    상기 상부 경사면(1131)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측면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1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20)는,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되는 헤드부(210); 및
    상기 헤드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대상물(3)이 연결되는 바디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20)는,
    상기 제2 리브(2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디부 몸체(221);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플랜지(222);
    상기 제1 플랜지(222)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랜지(223); 및
    상기 제1 플랜지(222)와 상기 제2 플랜지(223) 사이에서 제2 대상물(3)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간(2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222)는,
    상기 바디부 몸체(221)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평면부(2221);
    상기 평면부(2221)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2222); 및
    상기 제1 경사부(2222)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2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
  10. 청구항 1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에 있어서,
    고정부(10) 및 커넥터부(20)를 체결하는 단계(S100);
    상기 고정부(10)의 몸체부(110)를 제1 대상물(2)의 홀(h)에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걸림부(112)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상면과 접촉되는 단계(S300);
    상기 커넥터부(2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10)의 돌기(1124)가 상기 커넥터부(20)의 제1 리브(216)와 제2 리브(217) 사이의 고정홈(218)에 삽입되는 단계(S400); 및
    상기 고정부(10)의 흡착부(120)가 상기 제1 대상물(2)의 하측면에 흡착되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11. 삭제
KR1020180057806A 2018-05-21 2018-05-21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KR101978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06A KR101978425B1 (ko) 2018-05-21 2018-05-21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06A KR101978425B1 (ko) 2018-05-21 2018-05-21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25B1 true KR101978425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06A KR101978425B1 (ko) 2018-05-21 2018-05-21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129U (ja) * 1991-12-06 1993-07-02 株式会社ニフコ 止め具
JPH0814231A (ja) * 1994-06-28 1996-01-16 Piolax Inc 止め具
JPH0868412A (ja) * 1994-08-26 1996-03-12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0095044A (ja) * 1998-06-10 2000-04-04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支持体、特に自動車のボディ部品と、プレ―トエレメントとの間の連結ユニット
JP2001221214A (ja) * 1999-12-03 2001-08-17 Piolax Inc 固定クリップ
JP2006207607A (ja) * 2005-01-25 2006-08-1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KR20140092592A (ko)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서연 패스너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129U (ja) * 1991-12-06 1993-07-02 株式会社ニフコ 止め具
JPH0814231A (ja) * 1994-06-28 1996-01-16 Piolax Inc 止め具
JPH0868412A (ja) * 1994-08-26 1996-03-12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0095044A (ja) * 1998-06-10 2000-04-04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支持体、特に自動車のボディ部品と、プレ―トエレメントとの間の連結ユニット
JP2001221214A (ja) * 1999-12-03 2001-08-17 Piolax Inc 固定クリップ
JP2006207607A (ja) * 2005-01-25 2006-08-1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KR20140092592A (ko)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서연 패스너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68B2 (en) Anti-rattle carrier for magnet fastener
KR10080884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US7889491B2 (en) Shockproofing module and assembly of the shockproofing module and an electronic device carrier case
US20150296982A1 (en) Mounting device for drawer system
KR101978425B1 (ko) 패스너 조립체 및 패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고정 방법
KR101694264B1 (ko) 패스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JPWO2017006491A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CN111216614A (zh) 车辆地毯和衬垫固定装置及其安装方法
JP6991826B2 (ja) グロメット
KR101820143B1 (ko) 배선장치
KR101964906B1 (ko) 클립을 이용한 내장재 결합 구조
JP5307666B2 (ja) 留め具
KR200483903Y1 (ko)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JP2019075234A (ja) グロメット
KR102249131B1 (ko) 패스너
JP4638387B2 (ja) 照明器具の壁面取付構造
KR100394950B1 (ko) 자동차의 트림 고정구조
JP5703681B2 (ja) 容器敷きパッド及びカップホルダ
KR101807415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WO2012001790A1 (ja) 車室内の容器の保持構造
JP331904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取付構造
KR101830435B1 (ko) 배선장치
JP2553734Y2 (ja) コード用差込プラ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