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415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415B1
KR101807415B1 KR1020160085652A KR20160085652A KR101807415B1 KR 101807415 B1 KR101807415 B1 KR 101807415B1 KR 1020160085652 A KR1020160085652 A KR 1020160085652A KR 20160085652 A KR20160085652 A KR 20160085652A KR 101807415 B1 KR101807415 B1 KR 10180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up
linear
cup hol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8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와 사이즈의 컵이나 용기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컵의 외주연을 눌러주는 폴더의 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고 작동이 원활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설치공(12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22)이 형성된 외측 하부에는 직선안내구멍(131)을 갖는 힌지가이드리브(130)가 형성되어 있는 로어하우징(120)과; 상기 수용홈(121)과 동일한 중심과 내경을 갖는 통과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호형 가이드홈(152)이 만곡지게 파여져 형성되어있는 어퍼하우징(150)과; 상기 어퍼하우징(150)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돌기(1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직선지지돌기(112)가 형성되어있는 컵가이드(110)와; 상기 컵가이드(110)를 탄력지지하도록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리브(130)는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가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개구부(133)가 상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3)가 형성되어있는 직선안내구멍(131)의 바닥면 중앙에는 직선지지돌기(112)의 저면에 접촉되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와 사이즈의 컵이나 용기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컵의 외주연을 눌러주는 폴더의 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고 작동이 원활하도록 개선한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부가되어 있는데, 그 중에 음료수가 담긴 컵 또는 캔 등과 같은 음료수용기를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안전하게 놓아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컵홀더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컵홀더는 컵을 넣을 수 있는 원형홈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 있고, 또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관통공이 형성된 패널을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패널을 인출하여 컵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컵홀더 중에 원형홈을 형성하여 컵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컵홀더는 내부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사이즈의 원통형 컵 또는 캔을 고정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료용기나 우유팩, 다양한 사이즈의 컵이 고정되지 않아 내부에서 흔들리게 되는 관계로 컵홀더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상 큰 불편함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형홈의 측면 여러 곳에 컵가이드를 출몰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컵홀더는 컵가이드의 취부와 출몰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홈을 컵홀더에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에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면서 출몰되도록 컵가이드가 설치되는 구성인 관계로, 컵홀더를 제작시 부품수가 증가하고 작업공정이 증가하며 조립성이 저하되어 제작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 - 0837086호(등록일자 2008년 06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용기가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컵가이드를 출몰가능하게 컵홀더에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컵가이드를 출몰시키는 구성을 단순화시켜 컵홀더를 제작시 부품수가 저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홀더에 음료용기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컵홀더에 인입되는 음료용기가 실리콘리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지지 되고 있는 컵가이드에 의해 견고히 지지 되도록 하고, 밑단이 넓은 형태인 호리병 형상의 음료용기를 컵홀더로부터 인출시에도 컵가이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는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설치공(12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22)이 형성된 외측 하부에는 직선안내구멍(131)을 갖는 힌지가이드리브(130)가 형성되어 있는 로어하우징(120)과;
상기 수용홈(121)과 동일한 중심과 내경을 갖는 통과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호형 가이드홈(152)이 만곡지게 파여져 형성되어있는 어퍼하우징(150)과;
상기 어퍼하우징(150)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돌기(1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직선지지돌기(112)가 형성되어있는 컵가이드(110)와;
상기 컵가이드(110)를 탄력지지하도록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리브(130)는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가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개구부(133)가 상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3)가 형성되어있는 직선안내구멍(131)의 바닥면 중앙에는 직선지지돌기(112)의 저면에 접촉되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실리콘링(140)이 인입되는 안착홈(113)을 가압돌출부(114)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컵가이드(110)의 후부에 형성시켜, 상기 실리콘링(140)에 의해 컵가이드(110)가 탄력지지되면서 수용홈(121)에 인입되는 음료용기를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컵가이드(110)가 실리콘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원상복귀되어 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직선지지돌기(112)의 하부에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인입되는 가이드홈(112a)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직선지지돌기(112)가 가이드홈(112a)에 인입되어있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직선안내구멍(131)을 따라 전후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삭제
또한, 상기 로어하우징(120)에는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이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하우징(120)에 실리콘링(14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콘유동방지리브(160)가 복수개 형성되어있어, 상기 실리콘링(140)을 로어하우징(120)에 안정되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하우징(120)에 설치된 실리콘링에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하우징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의 직선안내구멍에 컵가이드의 직선지지돌기를 인입시켜주는 것에 의해 상기 컵가이드가 로어하우징의 설치홈에 안착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설치홈에 컵가이드를 안착시킨 후에는 어퍼하우징을 로어하우징에 결합시켜주는 것에 의해, 상기 컵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지지돌기가 원호형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이 어퍼하우징을 로어하우징에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로어하우징에 형성된 수용홈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실리콘링을 결합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로어하우징의 수용홈에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경우에는 컵가이드의 가압돌출부가 음료용기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탄력지지 되어지게 되고, 상기 수용홈으로 부터 음료용기를 인출시에는 컵가이드가 원래 설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서, 음료용기가 불필요하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컵가이드를 로어하우징의 설치홈에 작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컵가이드를 출몰시키는 구성이 단순화되어 컵홀더를 제작시 부품수가 저감되고 조립성을 향상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컵가이드의 직선지지돌기는 힌지가이드리브의 직선안내구멍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로 이동되고, 상기 컵가이드의 회전지지돌기는 어퍼하우징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지게 됨으로써, 컵홀더의 수용홈에 음료용기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인입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밑단이 넓은 형태인 호리병 형상의 음료용기를 컵홀더로 부터 인출시에도 컵가이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원활하게 인출되어 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컵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컵홀더의 로우하우징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로우하우징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에 컵가이드의 직선지지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컵가이드가 어퍼하우징과 로어하우징 사이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컵홀더용 로어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컵홀더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컵홀더의 로우하우징 요부를 보인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로우하우징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에 컵가이드의 직선지지돌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컵홀더의 컵가이드가 어퍼하우징과 로어하우징 사이에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컵홀더용 로어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홀더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설치공(12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22)이 형성된 외측 하부에는 직선안내구멍(131)을 갖는 힌지가이드리브(130)가 형성되어 있는 로어하우징(120)과; 상기 수용홈(121)과 동일한 중심과 내경을 갖는 통과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호형 가이드홈(152)이 만곡지게 파여져 형성되어있는 어퍼하우징(150)과; 상기 어퍼하우징(150)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상하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돌기(1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직선지지돌기(112)가 형성되어있는 컵가이드(110)와; 상기 컵가이드(110)를 탄력지지하도록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로어하우징(120)의 수용홈(121) 방향에 위치되는 가압돌출부(114)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컵가이드(110)의 후부에는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실링콘링(140)이 인입되는 안착홈(113)이 파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가이드리브(130)는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가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모따기되어 있는 개구부(133)가 상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3)가 형성되어있는 직선안내구멍(131)의 바닥면 중앙에는 직선지지돌기(112)의 저면이 접촉되는 힌지가이드리브(13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직선지지돌기(112)의 하부에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인입되는 가이드홈(112a)이 파여져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어하우징(120)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이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하우징(120)에 실리콘링(14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콘유동방지리브(160)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컵홀더(100)를 조립시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를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직선지지돌기(112)는 상부에서 하중을 가해주는 것에 의해 상광하협형상의 개구부(133)를 통해 원활하게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이드홈(112a)에 직선지지돌기(112)의 상부가 인입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컵가이드(110)의 가압돌출부(114)는 수용홈(121) 방향에 위치되도록 직선지지돌기(112)가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에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에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를 인입시킨 후에는 수용홈(121)의 중심과 통과공(151)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어퍼하우징(150)을 로어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로어하우징(120)과 어퍼하우징(150) 사이에 컵가이드(110)를 설치한 후에는 실링콘링(140)을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컵홀더(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실링콘링(140)은 실리콘유동방지리브(160)에 의해 안내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고정되게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것에 의해 컵가이드(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되어 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의 내부로 음료용기가 어퍼하우징(150)에 형성된 통과공(151)을 통과하면서 인입되면, 상기 통과공(151)을 통해 인입되는 음료용기의 외측면에 컵가이드(110)의 가압돌출부(114)가 접촉되어 지게 되고, 상기 가압돌출부(114)에 접촉되는 압력에 의해 회전지지돌기(111)가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안내되면서 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직선지지돌기(112)는 가이드홈(112a)에 삽입이 이루어진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후부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컵가이드(110)의 가압돌출부(114)는 실리콘유동방지리브(16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실링콘링(140)의 의해 탄력지지되는 것에 의해 계속해서 수용홈(121)에 인입되는 음료용기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용홈(121)의 내부로 인입이 이루어진 음료용기는 수용홈(12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실린콘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컵가이드(110)의 가압돌출부(114)가 컵의 외측면을 지속적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음료용기가 수용홈(121)으로 부터 유동되지 않으며 안정되게 보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121)으로 부터 음료용기를 인출시에는 실리콘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지지돌기(111)가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방부로 이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직선지지돌기(112)는 가이드홈(112a)에 삽입이 이루어진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원래 위치로 원상복귀되어지게 된다.
110 : 컵가이드
111 : 회전지지돌기
112 : 직선지지돌기
112a: 가이드홈
113 : 안착홈
114 : 가압돌출부
120 : 로어하우징
121 : 수용홈
122 : 설치공
130 : 힌지가이드리브
131 : 직선안내구멍
132 : 힌지가이드리브돌기
133 : 개구부
140 : 실리콘링
150 : 어퍼하우징
151 : 통과공
152 : 원호형 가이드홈
160 : 실리콘유동방지리브

Claims (5)

  1. 음료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설치공(12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22)이 형성된 외측 하부에는 직선안내구멍(131)을 갖는 힌지가이드리브(130)가 형성되어 있는 로어하우징(120)과;
    상기 수용홈(121)과 동일한 중심과 내경을 갖는 통과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호형 가이드홈(152)이 만곡지게 파여져 형성되어있는 어퍼하우징(150)과;
    상기 어퍼하우징(150)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152)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회전지지돌기(1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가이드리브(130)의 직선안내구멍(131)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직선지지돌기(112)가 형성되어있는 컵가이드(110)와;
    상기 컵가이드(110)를 탄력지지하도록 로어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리브(130)는 컵가이드(110)의 하부에 형성된 직선지지돌기(112)가 직선안내구멍(131)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개구부(133)가 상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3)가 형성되어있는 직선안내구멍(131)의 바닥면 중앙에는 직선지지돌기(112)의 저면에 접촉되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링(140)이 인입되는 안착홈(113)이 가압돌출부(114)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컵가이드(110)의 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지지돌기(112)의 하부에는 힌지가이드리브돌기(132)가 인입되는 가이드홈(112a)이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하우징(120)에는 수용홈(121)의 외측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실리콘링(140)이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로어하우징(120)에 실리콘링(14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콘유동방지리브(160)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160085652A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컵홀더 KR10180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52A KR101807415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52A KR101807415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415B1 true KR101807415B1 (ko) 2017-12-08

Family

ID=6091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52A KR101807415B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47A (ko) * 2018-06-11 2019-12-2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47A (ko) * 2018-06-11 2019-12-2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103599B1 (ko) * 2018-06-11 2020-04-2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61801A1 (en) Mounting structure for driver-seat airbag device
US10649492B2 (en) Mount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487974B2 (en) Switch device and vehicle door outer handle system
US8113477B2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11351915B2 (en) Steering wheel
US9783133B2 (en) Magnet fastener with resilient support including at least one projection
JP3873054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JP4596564B2 (ja) カップホルダ
KR101807415B1 (ko) 자동차용 컵홀더
CN112829657B (zh) 杯托总成
US7118156B2 (en) Sun visor for vehicle
JP201918236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2046036A (ja) 容器保持装置
KR100960135B1 (ko) 라이터 소켓 랜스를 위한 반경방향 이동 제한기
CN105518527B (zh) 镜头限位组件、相机的机身及相机
US20050224674A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JP2017516042A (ja) 保持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保持装置に配置するためのピン
WO2015064039A1 (ja) 容器ホルダ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6182345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JP5307666B2 (ja) 留め具
JP6025415B2 (ja) 支持部材および支持部材を備えるヒンジ装置
JP2016155435A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US20050189459A1 (en) Adjustable beverage holder
KR100376444B1 (ko) 컵 크기 조절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