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820B1 -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820B1
KR101977820B1 KR1020187007274A KR20187007274A KR101977820B1 KR 101977820 B1 KR101977820 B1 KR 101977820B1 KR 1020187007274 A KR1020187007274 A KR 1020187007274A KR 20187007274 A KR20187007274 A KR 20187007274A KR 101977820 B1 KR101977820 B1 KR 10197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ner cartridge
channel
to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170A (ko
Inventor
미쉘 뉘스트로 바유바이
살바도르 카푸리한 보난시아르
브라이언 스코트 카펜터
로버트 왓슨 매캘핀
도나토 오스트리아 마몰
카트리나 로시트 라크투안
Original Assignee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mechanical or optical identification means, e.g. protrusions, bar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리저보어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출구 포트는 하우징의 제1 측면 근처에 하우징의 전방부 상에서 아래로 향한다. 결합부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되고,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접근가능한 맞물림 표면을 가진다. 돌출부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되고,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돌출부는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맞물림 표면이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는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돌출부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돌출부는, 돌출부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0001] 1. 개시 내용의 분야
[0002]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0003] 2. 관련 기술의 설명
[0004] 전자 사진 프린팅 프로세스 동안, 전기적으로 대전된(charged) 회전 광전도성 드럼이 레이저 빔에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레이저 빔에 노출된 광전도성 드럼의 영역들은 광전도성 드럼 상에서 프린팅될 페이지의 정전기의 잠상(latent image)을 생성하도록 방출된다. 그 후, 토너 입자들은 광전도성 드럼 상의 잠상에 의해 정전기로 픽업되어, 드럼 상에 토닝된(toned) 이미지를 생성한다. 토닝된 이미지는 광전도성 드럼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전달 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프린트 매체(예를 들어, 종이)로 전달된다. 그 후, 토너는 프린트를 완료하기 위해 열과 압력을 사용하여 매체에 융착된다.
[0005]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의 토너 공급 장치는 전형적으로 프린팅을 위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토너를 계속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토너 카트리지들에 저장된다. 적합한 작동을 위해 토너 카트리지의 다양한 조건들을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6]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하우징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포지셔닝된 최상부, 저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소를 갖는다. 출구 포트(outlet port)는 리저보어(reservoir)와 유체연통하고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근처의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 상에 아래로 향한다. 결합부(linkage)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된다. 결합부는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접근가능한 맞물림 표면을 가진다. 돌출부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된다. 돌출부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돌출부는, 돌출부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한다. 돌출부는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맞물림 표면이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는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돌출부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돌출부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image forming device)에 설치될 때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서 센서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돌출부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할 때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의 아암 상에 접촉하고 상방으로 미는 것에 방해받지 않는다(unobstructed).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부는 제1 포지션을 향하여 편향된다. 실시예들은, 결합부가 하우징의 후방부를 향하여 편향되는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0007]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렬 가이드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한다.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정렬 가이드의 최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된다. 제1 포지션에서, 돌출부는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할 수 있고, 하우징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정렬 가이드와 일치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으로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어질 수 있다.
[0008] 실시예들은, 돌출부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가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이동하는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0009] 일부 실시예들은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포지션과 출구 포트를 차단해제하는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를 포함한다. 셔터는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맞물림 표면이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는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셔터는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한다.
[0010] 일부 실시예들에서, 채널은 제1 측면과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측면 사이에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진다.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된다. 오거는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한다. 오거는 출구 포트를 향해 채널에서의 토너를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채널의 저부 표면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된다.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의 채널과 일치하게 포지셔닝된다. 토너 운반 조립체는 채널로 토너를 운반하기 위해 리저보어에 포지셔닝된다. 토너 운반 조립체는 리저보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샤프트는 회전 축선을 포함한다.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축선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된다.
[0011]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는 하우징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포지셔닝된 최상부, 저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소를 갖는다. 출구 포트는 리저보어와 유체연통하고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근처의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 상에 아래로 향한다. 결합부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된다. 결합부는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구동 힘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접근가능한 맞물림 표면을 가진다. 결합부는, 맞물림 표면이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구동 힘을 수용할 때,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플래그(flag)는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포지셔닝된다. 플래그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플래그는, 플래그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한다. 플래그는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결합부의 전방 이동은 플래그가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플래그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서 센서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0012]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몇몇 양태들을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0013]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시스템의 블록 선도이다.
[0014]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사시도이다.
[0015]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사시도이다.
[0016]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후방 사시도이다.
[0017] 도 5는 그 내부에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리저보어를 도시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0018]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출구 포트를 도시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부분의 사시도이다.
[0019] 도 7a 및 도 7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폐쇄 포지션 및 개방 포지션 각각에 있는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 조립체의 사시도들이다.
[0020]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되는 셔터 조립체의 분해도들이다.
[0021]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생략된 엔드 캡(end cap)을 갖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2]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 및 돌출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 내로의 삽입 동안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3]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돌출부 및 돌출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완전히 설치될 때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4]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포지션의 돌출부 및 돌출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완전히 설치될 때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5]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포지션의 돌출부 및 돌출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완전히 설치될 때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6] 도 14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의 돌출부를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센서의 사시도이다.
[0027] 도 15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28] 도 16은 제1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 15에서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엔드 캡의 내부 측면의 전방 사시도이다.
[0029] 도 17은 제2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엔드 캡의 내부 측면의 전방 사시도이다.
[0030] 도 18은 제3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사시도이다.
[0031] 도 19는 제1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1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2] 도 20은 제2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3] 도 21은 제4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4] 도 22는 제1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21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의 사시도이다.
[0035] 도 23은 제2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의 사시도이다.
[0036] 도 24는 제5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엔드 캡의 내부 측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7] 도 25는 제1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 24에서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엔드 캡의 내부 측면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8] 도 26은 제6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 측 상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39] 도 27은 제1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경우의 도 26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40] 도 28은 제2 포지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경우의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41] 도 29는, 제2 결합부가 제1 결합부와 정렬을 벗어난 경우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42] 도 3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부와 정렬되게 제2 결합부를 미는 상승가능한 결합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29에 도시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43] 도 3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를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눌러 이동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도시하는, 엔드 캡이 생략된 경우의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 입면도이다.
[0044] 이후의 설명에서, 유사한 부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프로세스, 전기 및 기계적 변경들 등이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들은 단지 전형적으로 가능한 변형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일부들 및 피쳐들은 다른 실시들에 포함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일부들 및 피쳐들을 위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설명은 제한적인 뜻으로 취해지지 않고 본 개시의 범주는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다.
[0045] 이제 도면들 및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시스템(20)의 블록 선도 묘사가 도시된다. 이미징 시스템(20)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및 컴퓨터(24)를 포함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통신 링크(26)를 통해 컴퓨터(24)와 통신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통신 링크”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컴토넌트들 사이의 전자 통신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한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지칭한다.
[0046] 도 1에 도시되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제어기(28), 프린트 엔진(30), 레이저 스캔 유닛(laser scan unit, LSU)(31), 이미징 유닛(200), 토너 카트리지(100), 사용자 인터페이스(36), 매체 이송 시스템(38), 매체 입력 트레이(39) 및 스캐너 시스템(40)을 포함하는 다기능 기계(때때로, AIO(all-in-one)디바이스로 지칭됨)이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802.xx와 같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2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통합형 스캐너 시스템(40) 또는 독립형(standalone) 전자 사진 프린터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프린터/복사기일 수 있다.
[0047] 제어기(28)는 프로세서 유닛 및 연관된 전자 메모리(2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의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집적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SICs(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로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29)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NVRAM(non-volatile RAM)과 같은 임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모리(29)는 별도의 메모리(예컨대, RAM, ROM 및 / 또는 NVRAM), 하드 드라이브(hard drive), CD 또는 DVD 드라이브, 또는 제어기(28)와 함께 사용하기에 편리한 임의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형태일 수 있다. 제어기(28)는, 예를 들어, 조합된 프린터 및 스캐너 제어기일 수 있다.
[0048]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기(28)는 통신 링크(50)를 통해 프린트 엔진(30)과 통신한다. 제어기(28)는 통신 링크(51)를 통해 이미징 유닛(200) 및 그 위에 있는 프로세싱 회로소자(processing circuitry)(44)와 통신한다. 제어기(28)는 통신 링크(52)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 및 그 위에 있는 프로세싱 회로소자(45)와 통신한다. 제어기(28)는 통신 링크(53)를 통해 매체 이송 시스템(38)과 통신한다. 제어기(28)는 통신 링크(54)를 통해 스캐너 시스템(40)과 통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6)는 통신 링크(55)를 통해 제어기(28)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coupled). 프로세싱 회로소자(44, 45)는 인증 기능들, 안전 및 작동 상호 잠금들, 작동 파라미터들 및 이미지 유닛(200) 및 토너 카트리지(100)에 관한 사용 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28)는 프린트 및 스캔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린팅 동안 프린트 엔진(30) 및 스캐닝 동안 스캐너 시스템(40)을 작동시킨다.
[0049] 선택적인 컴퓨터(24)는 예를 들어, RAM, ROM 및/또는 NVRAM과 같은 전자 메모리(60),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62),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64)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일 수 있다. 컴퓨터(24)는 또한, 프로세서, I/O(input/output)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고, 하드 드라이브, CD-ROM 및/또는 DVD 유닛(미도시)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대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24)는 또한, 예를 들어,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 이외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와 통신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0050]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컴퓨터(24)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를 위한 이미징 드라이버(imaging driver)(66), 예컨대, 프린터/스캐너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그 메모리에 포함한다. 이미징 드라이버(66)는 통신 링크(26)를 통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제어기(28)와 통신한다. 이미징 드라이버(66)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와 컴퓨터(24)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이미징 드라이버(66)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해 포맷팅된 인쇄 데이터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프린트 엔진(3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징 드라이버(66)의 다른 양태는, 예를 들어, 스캐너 시스템(40)으로부터 스캔된 데이터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0051] 일부 상황들에서, 독립형 모드에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독립형 모드에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컴퓨터(24) 없이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독립형 모드에서 작동할 때, 프린팅 및/또는 스캐닝 기능성을 수용하도록, 이미징 드라이버(66) 또는 유사한 드라이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제어기(28)에 위치될 수 있다.
[0052] 프린트 엔진(30)은 레이저 스캔 유닛(LSU)(31), 토너 카트리지(100), 이미징 유닛(200) 및 퓨저(fuser)(37)를 포함하며, 이 모두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에 장착된다. 이미징 유닛(200)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토너 섬프(sump) 및 토너 디벨롭먼트(development) 시스템을 하우징하는 디벨로퍼(developer) 유닛(20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토너 디벨롭먼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단일 컴포넌트 디벨롭먼트 시스템으로 지칭되는 것을 활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토너 디벨롭먼트 시스템은 토너를 토너 섬프로부터 디벨로퍼 롤(roll)로 제공하는 토너 애더(adder) 롤을 포함한다. 닥터 블레이드는 디벨로퍼 롤의 표면 상에 토너의 계측된 균일한 층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너 디벨롭먼트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듀얼(dual) 컴포넌트 디벨롭먼트 시스템으로 지칭되는 것을 활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벨로퍼 유닛(202)의 토너 섬프 내의 토너는 자기 캐리어 비드들과 혼합된다. 토너 및 자성 캐리어 비드들이 토너 섬프에서 혼합됨에 따라, 토너를 캐리어 비드들로 끌어들이는 마찰 전기(triboelectric)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자성 캐리어 비드들은 중합 필름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벨로퍼 유닛(202)은 자기장들의 사용을 통해 그 위에 토너를 갖는 자기 캐리어 비드들을 자기 롤에 끌어당기는 자기 롤을 포함한다. 이미징 유닛(200)은 또한, 광전도성 드럼(photoconductive drum) 및 폐 토너 제거 시스템을 하우징하는 클리너 유닛(cleaner unit)(204)을 포함한다.
[0053] 토너 카트리지(100)는 이미징 유닛(200)의 디벨로퍼 유닛(202)과 정합 관계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서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출구 포트는, 디벨로퍼 유닛(202)에서 토너 섬프를 재공급하기 위해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디벨로퍼 유닛(202) 상의 입구 포트와 연통한다.
[0054] 전자 사진 프린팅 프로세스는 당 분야에서 주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본원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프린팅 작동 중에, 레이저 스캔 유닛(31)은 클리너 유닛(204)의 광전도성 드럼 상에 잠상(latent image)을 생성한다. 토너는, 토닝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디벨로퍼 유닛(202)에서의 토너 섬프로부터 디벨로퍼 롤(단일 컴포넌트 디벨롭먼트 시스템의 경우)에 의해 또는 자기 롤(듀얼 컴포넌트 디벨롭먼트 시스템의 경우)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상의 잠상으로 전달된다. 그 후, 토닝된(toned) 이미지는 프린팅을 위해 매체 입력 트레이(39)로부터 이미징 유닛(200)에 의해 수용된 매체 시트로 전달된다. 토너는 광전도성 드럼에 의해 또는 광전도성 드럼으로부터 토너를 수용하는 중간 전달 부재에 의해 매체 시트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토너 잔여물들(remnants)은 폐 토너 제거 시스템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으로부터 제거된다. 토너 이미지는 퓨저(37)에서 매체 시트에 접합되고, 그 후 출력 위치 또는 듀플렉서(duplexer), 스테이플러(stapler) 또는 홀 펀치(hole-punch)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무리 옵션들로 보내진다.
[0055]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 및 이미징 유닛(200)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다. 이미징 유닛(200)은 공통 프레임(206) 상에 장착된 디벨로퍼 유닛(202) 및 클리너 유닛(204)을 포함한다. 디벨로퍼 유닛(202)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토너를 수용하도록 포지셔닝된 토너 입구 포트(208)를 포함한다. 위에서 논의된 같이, 이미징 유닛(200) 및 토너 카트리지(100)는 각각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서 제거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미징 유닛(200)은 우선,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그 후, 토너 카트리지(100)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그리고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00)의 디벨로퍼 유닛(202)과 정합 관계로 프레임(206) 상에 삽입된다. 이러한 배열은 이미징 유닛(200)을 제거할 필요 없이 빈 토너 카트리지(100)를 교체할 때 토너 카트리지(100)가 용이하게 제거되고 다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미징 유닛(200)은 또한, 디벨로퍼 유닛(202), 클리너 유닛(204) 또는 프레임(206)과 연관된 컴포넌트들을 유지하고, 수리하거나 교체하거나, 매체 걸림을 제거하기 위해 원하는대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0056]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리저보어(104)(도 5)를 갖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최상부(106), 저부(107), 제1 및 제2 측면들(108, 109), 전방부(110) 및 후방부(111)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되는 동안, 하우징(102)의 전방부(110)가 앞서며, 후방부(111)가 뒤따른다(trail).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의 각각의 측면(108, 109)은 하우징(102)의 주요 본체(116)의 측벽들(114, 115)에, 예컨대, 패스너들 또는 스냅-피트(snap-fit) 맞물림에 의해 장착되는 엔드 캡(112, 113)을 포함한다. 리저보어(104)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포트(118)는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측면(108) 근처의 하우징(102)의 전방부(110) 상에 포지셔닝된다. 하우징(102)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평탄한 표면 상에 설정될 때,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그리고 지지 하우징(102)으로 삽입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저부(107) 상에 레그들(legs)(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2)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의 삽입 및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밖으로의 제거를 돕기 위해 하우징(102)의 최상부(106) 또는 후방부(111)에 제공될 수 있다.
[0057] 측면들(108, 109)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의 삽입을 돕기 위해 각각의 측면(108, 109)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정렬 가이드(1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들(124)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안내하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대응하는 가이드 슬롯들에서 이동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정렬 가이드(124)는 각각의 엔드 캡(112, 113)의 외부 측 상에 포지셔닝된다. 정렬 가이드들(12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전후(front-to-rear) 치수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각의 정렬 가이드(124)는 하우징(102)의 각각의 측면(108, 109) 상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윙(wing) 부재(124a)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각의 정렬 가이드(124)는 또한, 윙 부재(124a)의 저부 상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둥근 돌출부들(124b)을 포함한다. 둥근 돌출부들(124b)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됨에 따라 대응하는 가이드 표면의 최상부 상에 놓이는 정렬 가이드(124)의 저부 상에 접촉 면들을 형성한다. 그러나, 정렬 가이드(124)는 많은 다른 적합한 형상들 및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정렬 가이드(12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하우징(102)의 각각의 측면(108, 109)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렬 가이드(124)는 서로로부터 하우징(102)의 전후 치수를 따라 이격될 수 있는 둥근 돌출부들(124b)과 유사하게, 각각의 측면(108, 109)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둥근 페그들(pegs) 또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0058]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설치되는 것을 제어기(28)에 신호를 보내기 위해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측면(108)에 돌출부(170)를 포함한다.
[0059]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운반 조립체(126)는 각각 측벽들(114, 115)의 정렬된 개구들을 통해 연장하는 토너 운반 조립체(126)의 드라이브 샤프트(shaft)(128)의 제1 및 제2 단부들과 함께 토너 리저보어(104)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브 샤프트(128)는 회전 축선(129)을 포함한다. 부싱들(bushings)은, 드라이브 샤프트(128)가 측벽들(114, 115)을 통해 통과하는 드라이브 샤프트(128)의 각각의 단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 트레인(drive train)(130)은 드라이브 샤프트(128)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엔드 캡(113)과 측벽(115)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드라이브 트레인(130)은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에 토크를 제공하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드라이브 시스템과 맞물리는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의 전방 부분은,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서 드라이브 시스템에 맞물리는 하우징(102)의 최상부(106) 근처의 하우징(102)의 전방부(110)에서 노출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드라이브 트레인(130)은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128)를 회전시키기 위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기어들을 통해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128)의 일 단부 상에 드라이브 기어(134)를 포함한다.
[0060] 제1 및 제2 단부들(136a, 136b) 및 나선형 스크류 플라이트(spiral screw flight)를 갖는 오거(auger)(136)는 측면(108)으로부터 측면(109)으로 하우징(102)의 전방부(110)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138)내에 포지셔닝된다. 채널(138)은 주요 본체(116)의 전방부(110)의 부분으로서 일체로 성형되거나, 주요 본체(116)의 전방부(110)에 부착되는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채널(138)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설치될 때 토너 카트리지(100)와 함께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다. 출구 포트(118)는, 중력이 출구 포트(118)를 통해 토너를 배출하는 것을 돕도록 채널(138)의 저부에 포지셔닝된다. 오거(136)의 제1 단부(136a)는 측벽(115)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그리고 드라이브 트레인(130)의 드라이브 기어(137)는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기어들을 통해 주 인터페이스 기어(132)에 연결된 제1 단부(136a) 상에 제공된다. 채널(138)은 개방 부분(138a)을 포함하고, 밀폐된 부분(138b)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부분(138a)은 토너 리저보어(104)에 대해 개방되고, 오거(136)의 제2 단부(136b)를 향해 측면(109)으로부터 연장한다. 채널(138)의 폐쇄된 부분(138b)는 측면(108)으로부터 연장하고, 오거(136)의 제2 단부(136b)를 밀폐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포트(118)는 채널(138)의 밀폐 부분(138b)의 저부에 포지셔닝된다.
[0061]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토너가 출구 포트(118)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를 배출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조절하는 셔터(140)를 포함한다. 셔터(140)는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셔터(140)는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폐쇄 포지션과 도 6,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셔터(140)는 그 내부에 오거(136)의 제2 단부(136b)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140a)를 포함한다. 오거(136)가 회전함에 따라, 토너는 채널(138)로부터 셔터(140)로 토너를 운반한다. 셔터(140)는 셔터(140)의 내부 채널에 의해 개방 단부(140a)에 연결된 반경 방향 개구(140b)를 포함한다. 반경 방향 개구(140b)는, 아래에서보다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토너가 출구 포트(118)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를 배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0062] 리테이닝 부재(14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벽(114) 상에 장착된다(도 6).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부재(142)는 하우징(102)에 부착된 별도의 컴포넌트이며; 그러나, 리테이닝 부재(142)는 또한, 하우징(102)의 부분으로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리테이닝 부재(142)는 셔터(140)의 폐쇄 단부(140c)를 수용하는 부싱(144)을 포함한다. 셔터(140)의 폐쇄 단부(140c)는 셔터(14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레버(146)에 연결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셔터(140)의 폐쇄 단부(140c)는 키(148)를 포함하며, 그리고 레버(146)는 대응하는 키홈(keyway)(149)을 포함한다. 키(148) 및 키홈(149)은, 레버(146)의 회전이 셔터(140)를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셔터(140)를 레버(146)에 커플링시킨다. 이러한 구성이 레버(146)가 키를 포함하며 그리고 셔터(140)의 폐쇄 단부(140c)가 대응하는 키홈을 포함하도록 리버싱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레버(146)는 키홈(149) 및 폐쇄 단부(140c)의 스레딩된 홀(151)을 통해 통과하는 패스너(150)를 통해 폐쇄 단부(140c)에 연결되며; 그러나, 레버(146) 및 셔터(140)는 함께 스냅 피팅됨으로써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수단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post)(152)는 레버(146)의 말단 단부 상에 제공된다.
[0063] 레버(146)가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140)는 채널(138)의 밀폐된 부분(138b)의 내부 표면에 대항하여 포지셔닝되는 반경 방향의 개구(140b)와 함께 폐쇄 포지션에 있다. 레버(146)가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제2 포지션으로 회전할 때, 셔터(140)는,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100)를 배출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반경 방향 개구(140b)가 출구 포트(118)와 정렬되는 개방 포지션으로 회전한다. 셔터(140)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토너는, 원하는대로, 토너 운반 조립체(126) 및 오거(136)를 회전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의 리저보어(104)로부터 이미징 유닛(200)으로 운반될 수 있다. 특히, 토너 운반 조립체(126)가 회전함에 따라, 패들들, 스크래퍼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토너 교반기들은 토너 저장소(104)로부터 채널(138)의 개방 부분(138a)으로 토너를 운반한다. 오거(136)가 회전함에 따라, 이는 개방 단부(140a)를 통해 채널(138)의 밀폐 부분(138b)에서 셔터(140)에 채널(138)에 수용된 토너를 운반한다. 토너는 셔터(140)의 내부 채널을 통해 그리고 반경 방향 개구(140b) 및 출구 포트(118) 밖으로 디벨로퍼 유닛(202)(도 2)의 대응하는 입구 포트(208) 내로 통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벨로퍼 유닛(202)의 입구 포트(208)는 잔류 토너를 포획하고, 출구 포트(118)와 입구 포트(208)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는 폼 시일(foam seal)(210)에 의해 둘러싸인다.
[0064] 도 9는 엔드 캡(112)이 생략된 경우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2)의 측면(108)을 도시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설치될 때, 셔터(140)를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레버(146)를 구동하는,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서 하우징(102)의 측면(108) 상에, 결합부(154)가 포지셔닝된다.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의 제1 단부(154a)로부터 제2 단부(154b)까지 연장하는 세장형 부재이다. 결합부(1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4) 옆에 있는 엔드 캡(112)의 후방 부분과 같이, 하우징(102)의 후방부(111) 상에 노출된 제1 단부(154a)에 버튼형 영역과 같은 맞물림 표면(155)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질(depressed) 때, 결합부(154)가 하우징(102)의 전방부(110)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셔터(140)를 이동시키기 위해, 결합부(154)는 제2 단부(154b)에서 셔터(14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부(154)는 제2 단부(154b)에서 셔터(14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레버(146)에 연결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결합부(154)의 제2 단부(154b)는 레버(146)로부터 연장하는 포스트(152)를 수용하는 채널(156)을 포함한다. 그러나, 결합부(154)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셔터(14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고, 원하는대로 다른 형태들 및 형상들을 취할 수 있다.
[0065] 결합부(154)는, 셔터(140)를 폐쇄하기 위해 연장 스프링(157)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편향 부재들에 맞물림 표면(155)이 노출된 하우징(102)의 후방(111)을 향하여, 즉 도 9에 도시된 포지션을 향하여 편향된다. 결합부(154)는,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지며 그리고 편향력이 극복될 때, 도 9의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된 전방 방향으로 병진운동가능하다.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레버(146)는 개방 셔터(140)를 회전시킨다. 결합부(154)는 단부 캡(112) 또는 측벽(114) 상의 대응하는 포스트(159)를 수용하는 세장형 슬롯(158)을 포함한다. 슬롯(158)과 포스트(159) 사이의 맞물림은 결합부(154)의 이동을 안내한다.
[0066]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된 후,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접근 도어의 내부 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또는 달리 접근 도어에 연결된) 플런저 또는 다른 돌출부는 맞물림 표면(155)을 가압하여, 결합부(154)에 대한 편향력을 극복하고, 결합부(154)를 전방부(11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켜, 레버(146)가 셔터(140)를 회전시키고 개방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 결합부(154) 상의 편향이 결합부(154)가 후방부(111)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셔터(140)가 회전하고 폐쇄하는 것을 유발시키도록, 이러한 순서가 리버싱된다(reversed).
[0067] 일부 실시예들에서, “Toner Cartridge having a Pivoting Exit Port Cover.” 제목의 미국 특허 번호 8,649,710에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바와 같이 출구 포트(118) 상에서 커버(162)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상승가능한 결합부(160)는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 포지셔닝된다. 커버(162)는, 커버(162)의 밀봉 면이 출구 포트(118) 내의 임의의 잔류 토너를 포획하기 위해 출구 포트(118)의 외부 부분에 대해 가압되는 폐쇄 포지션과 커버(162)가 출구 포트(118)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되고, 하우징(102)의 전방부(110)로부터 멀어지게 전방으로 향하는 커버(162)의 밀봉 면과 함께 출구 포트(118) 아래의 하우징(102)의 전방부(110)에 대해 포지셔닝되는 개방 포지션(도 6에 도시됨) 사이에서 선회가능하다. 결합부(160)는 회전 축선(161)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결합부(160)는 그 회전 축선(161)으로부터 하우징(102)의 전방부(110)를 향하는 측벽(114)을 따라 연장한다. 결합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4) 옆에 있는 엔드 캡(112)의 전방 부분과 같이, 하우징(102)의 전방부(110) 상에 노출된 맞물림 표면(16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됨에 따라, 맞물림 면(164)이 이미징 유닛(200) 상의 대응하는 맞물림 피쳐에 접촉할 때, 결합부(160)는 커버(162)를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커버(16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프팅 결합부(166)는 일 단부(166a)가 결합부(160)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166b)가 커버(162)에 연결된 회전 결합부(168)에 연결된다. 그러나, 결합부(160)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커버(16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0068] 결합부(160)는 커버(162)를 폐쇄하기 위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169)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편향 부재들에 의해 하방으로, 예컨대, 도 9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시계 방향으로 편향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될 때, 결합부(160)의 맞물림 표면(164)은 이미징 유닛(200)(도 2)의 프레임(206) 상의 핀(fin) 또는 다른 맞물림 피쳐(212)에 접촉한다. 맞물림 피쳐(212)와 맞물림 표면(164) 사이의 접촉은, 결합부(160)가 도 9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결합부(160)가 상방으로 선회함에 따라, 결합부(166)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결합부(168)가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키며, 이는 커버(162)가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결합부(160) 상의 편향이, 결합부(160)가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시계 방향으로 하방으로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켜, 결합부(166)가 하강시키는 것, 결합부(168)가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그리고 커버(162)가 폐쇄되게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키도록, 이러한 순서는 리버싱된다.
[0069] 돌출부(170)는 하우징(102)의 측면(108) 상에 포지셔닝되고, 결합부(154)의 전방 이동의 결과로서 돌출부(170)가 제1 포지션(도 9 내지 도 11)으로부터 제2 포지션(도 12 및 도 13)로 이동하도록, 결합부(15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170)는 레버(146)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이 레버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결합부(15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돌출부(170)는 그 제1 포지션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스프링(157)에 의해 결합부(154)에 적용된 편향은, 결국, 돌출부(170)를 그 제1 포지션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70)는 플래그(flag) 형태의 리브형 형상을 가지며; 그러나, 돌출부(17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0070]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돌출부(170)의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의 이동은 제어기(28)와 통신하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서의 센서(300)(파선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됨)의 상태를 변경시켜,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설치된 것을 제어기(28)에 신호로 보낸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정렬 가이드(124)를 수용하고 토너 카트리지(100)의 모션을 안내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각각의 측면(108, 109) 상에 가이드 슬롯(306)(파선들로 개략적으로 도시됨)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삽입됨에 따라, 저부 가이드들(307)과 정렬 가이드들(124)의 저부 표면들 사이의 접촉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직 포지션을 한정하도록, 정렬 가이드들(124)은 각각의 가이드 슬롯(306)의 저부 가이드(307)의 최상부 상에 탑승된다(ride). 가이드 슬롯(306)은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서 그 작동 포지션으로 추가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삽입됨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최상부 가이드(30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00)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의 돌출부(170)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포지셔닝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센서(300)는 수신기(303)를 향하여 광학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포지셔닝되는 광학 에미터(302)를 포함하는 광학 센서이다. 수신기(303)는 광학 에너지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에미터(302) 및 수신기(303)는 센서(300)의 광학 경로가 통과하는 갭(30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300)는 가이드 슬롯(306) 위에 포지션되며, 그리고 갭(304)은 최상부 가이드(308)의 개구(309)를 통해 가이드 슬롯(306)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0071] 도 10은, 결합부(154) 상의 편향의 결과로서 그 제1 포지션의 돌출부(170)를 갖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되는 동안의 중간 포지션의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170)는 측면(108)으로 옆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정렬 가이드(124)와 일치해서(in line with), 토너 카트리지(10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삽입하는 동안 돌출부(170)가 가이드 슬롯(306)에서 이동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170)는 돌출부(170)의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엔드 캡(112)의 슬롯(172)을 통해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엔드 캡(112)은 또한,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170)의 전방부에 포지셔닝된 쉴드(174)를 포함한다. 쉴드(174)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 될 때, 토너 카트리지(100)가 가이드 슬롯(306)과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돌출부(17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한다.
[0072] 도 11은, 결합부(154)가 눌려지지 않도록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된 경우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최종 작동 포지션에서 명료성을 위해 엔드 캡(112)이 생략된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그 결과, 돌출부(170)는 가이드 슬롯(306)의 제1 포지션에 있으며, 그리고 센서(300)의 광학 경로는 돌출부(170)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0073] 도 12 및 도 13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되고 결합부(154)가 접근 도어의 내부 측 상의 플런저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그 최종 작동 포지션의 (엔드 캡(112)이 도 12에서 생략되고 13에 도시됨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결합부(154)의 전방 이동은 돌출부(170)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그 제2 포지션까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70)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170)는 센서(3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며, 이에 의해 센서(300)의 상태를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부(154)의 전방 이동은 레버(146)가 도 12 및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돌출부(170)는 레버(146)의 회전에 의해 규정된 부분적인 원형 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170)의 최상 부분은 채널(138)의 저부보다 높고 드라이브 샤프트(128)의 회전 축선(129)보다 높게 포지셔닝된다. 돌출부(170)의 최상 부분은 또한, 돌출부(170)가 그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정렬 가이드(124)의 최상부 표면의 적어도 부분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그 제2 포지션에서, 돌출부(170)의 최상부 부분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대해 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채널(138)과 일치하며; 그러나, 돌출부(170) 및 센서(300)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결합부(154)의 전방 이동은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셔터(140)가 개방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 이 순서는 리버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70)를 제1 포지션으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된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레버(146)가 도 12 및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키며, 이는, 결국,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그리고 셔터(140)가 폐쇄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돌출부(170)가 그 제2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1 포지션으로 아래로의 이동은 중력이 돌출부(170)를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0074]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의 이동으로 인한 센서(300)의 변화하는 상태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완전히 설치되며 그리고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제어기(28)에 신호를 보낸다. 대조적으로, 센서(300)의 광학 경로가 차단해제될 때, 제어기(28)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완전히 설치되지 않았거나,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되어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가 프린트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을 판단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결합부(154)에 의해 구동되는 셔터(140)를 포함하는 경우,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의 돌출부(170)의 이동으로 인한 센서(300)의 변화 상태는 셔터(140)가 개방되고 리저보어(104)로부터 토너를 배출할 준비가 된 것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28)에 보낸다. 따라서, 결합부(154) 또는 레버(146)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되는 것에 응답하여 셔터(140)를 개방되지 못하게 하는 기계적 결함을 경험한다면, 제어기(28)는 셔터(140)가 폐쇄되고 토너를 리저보어(104)로부터 운반할 수 없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센서(300)가 돌출부(170)를 검출할 때, 출구 포트(118)가 입구 포트(208)로 토너를 운반하도록 적합하게 포지셔닝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돌출부(170)가 그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170)는 출구 포트(118)와 돌출부(170)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측면(109) 대신에 출구 포트(118)와 같은 하우징(102)의 동일한 측면(108) 상에 포지셔닝된다.
[0075] 결합부(154), 돌출부(170) 및 센서(300)의 구성들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센서(4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400)는 가이드 슬롯(306)의 최상부 가이드(308) 상에서 보기 어려우며(obscured), 즉 센서(400)는 최상부 가이드(308)에서 개구(309)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근가능하지 않다. 벨 크랭크(bell crank)(404)와 같은 중간 부재는,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돌출부(170)의 이동에 응답하여 센서(400)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포지셔닝된다. 벨 크랭크(404)는 도 14의 화살표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벨 크랭크(404)(도 14에 도시됨)의 그 제1 포지션과 벨 크랭크(404)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선회 축선(40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벨 크랭크(404)는 상부 가이드(308)의 개구(309)를 통해 돌출부(170)에 의해 아래로부터 접근가능한 아암(408) 및 벨 크랭크(404)가 선회할 때 센서(4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고 차단해제하는 플래그(410)를 포함한다. 도 14는 아암(408)이 하강되며 그리고 플래그(410)가 센서(400)의 광학 경로의 외측에 이격되는 경우의 제1 포지션의 벨 크랭크(404)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벨 크랭크(404)는 토션 스프링(412)과 같은 편향 부재에 의해 그 제1 포지션을 향해 편향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그 최종 작동 포지션에 있으며 그리고 돌출부(170)가 그 제 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170)가 아암(408)을 위로 밀어서, 아암(408) 상의 편향을 극복하고 그리고 플래그(410)가 센서(4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는 벨 크랭크(404)의 제2 포지션에 대해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벨 크랭크(404)가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되고 돌출부(170)가 제2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할 때, 플래그 (410)는 센서 (4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경우, 벨 크랭크(404) 상의 편향은,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벨 크랭크(404)의 제1 포지션으로 벨 크랭크(404)가 다시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벨 크랭크 (404)는,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돌출부(170)가 센서(400)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가 돌출부(1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센서(4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해제하고 그리고 돌출부(170)가 그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센서(400)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는 플래그(410)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원하는대로 리버싱될 수 있다 .
[0076] 다른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상의 돌출부는 그 제 1 포지션과 그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상하로 병진운동한다. 예를 들어, 도 15 내지 도 17은 그 제1 포지션과 그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상하로 병진운동하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570)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70)는 엔드 캡(112)의 수직 슬롯(572)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면(108)으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돌출부(5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570)는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정렬 가이드(124)와 일치하여 포지셔닝되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하는 동안, 돌출부(570)는 가이드 슬롯(306)에서 이동한다.
[0077] 도 16 및 도 17은 각각 제1 및 제2 포지션들의 돌출부(570)를 갖는 엔드 캡(112)의 내부 측면을 도시하고, 토너 카트리지(100)의 주요 본체(116)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570)는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 포지셔닝된 상응가능한 부재(574)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승가능한 부재(574)는, 상승가능한 부재(574)가 상하로 이동하지만, 상승가능한 부재(574)가 하우징(102)의 전후방 및 좌우 치수들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탭들(576)을 포지셔닝함으로써 엔드 캡(112)의 내부 측에 대해 리테이닝된다. 상승가능한 부재(574)는 상승가능한 부재(574)의 저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렛지(ledge)(578)를 포함한다. 레버(146)는 엔드 캡(112)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레버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80)를 포함한다. 결합부(154)는 그 최상부 상에 캠 표면(582)을 포함한다. 결합부(154)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편향된 포지션에 있을 때, 상승가능한 부재(574)의 렛지(578)는 돌출부(570)가 그 제1 의, 하강된 포지션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580)의 최상부에 놓인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이 눌리며, 그리고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플랜지(580)는 레버(146)와 함께 부분 원형 경로를 따라 상방으로 회전하며, 그리고 플랜지(580)는 렛지(578) 상에 상방의 힘을 가하여, 상승가능한 부재(574) 및 돌출부(570)가 돌출부(570)의 제1 포지션으로부터 돌출부(570)의 제2 포지션을 향하여 상방으로 병진운동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며, 그리고 플랜지(580)가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플랜지(580)는 렛지(578)를 지나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 지점에서 캠 표면(582)은 아래로부터 렛지(578)에 접촉한다. 캠 표면(582)은 렛지(578) 상에 상방의 힘을 계속 가하도록 각져서, 상승가능한 부재(574)는, 돌출부(570)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상방으로 계속 병진운동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 상의 힘이 제거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캠 표면(582)이 렛지(578)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승가능한 부재(574)가 하강하는 것을 유발시키며, 그리고 플랜지(580)는 렛지(578)와 접촉하여 하방으로 회전하여, 돌출부(5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상승가능한 부재(574)는 돌출부(570)의 제1 포지션을 향하여 하방으로 편향될 수 있거나, 상승가능한 부재(574)는 돌출부(570)를 제1 포지션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중력에 의존할 수 있다.
[0078] 도 18 내지 도 20은 그 제1 포지션과 그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상하로 병진운동하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670)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70)는 엔드 캡(112)의 수직 슬롯(672)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면(108)으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돌출부(6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670)는 도 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정렬 가이드(124)와 일치하여 포지셔닝되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로 삽입하는 동안, 돌출부(670)는 가이드 슬롯(306)에서 이동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670)는 정렬 가이드(124)의 브레이크(674)에서 하우징(102)의 전후의 치수를 따라 포지셔닝된다.
[0079] 도 19 및 도 20은 명확성을 위해 엔드 캡(112)이 생략되고 그리고 돌출부(670)가 그 제1 및 제2 포지션 각각에 있는 경우의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670)는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 포지셔닝된 상응가능한 부재(676)로부터 옆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승가능한 부재(676)는, 상승가능한 부재(676)가 상하로 이동하지만, 상승가능한 부재(676)가 하우징(102)의 전후방 치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탭들(677)을 포지셔닝함으로써 엔드 캡(112)의 내부 측에 대해 리테이닝된다. 벨 크랭크(678)는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 포지셔닝된다. 벨 크랭크(678)는 선회 축선(679)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벨 크랭크(678)는 결합부(154)에 연결된 제1 아암(680) 및 상승가능한 부재(676)에 연결된 제2 아암(682)을 포함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 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질 때, 결합부(154)의 전방 모션은, 벨 크랭크(678)가 선회 축선(679)을 중심으로 도 19 및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벨 크랭크(678)의 회전은 아암(682)이 상승가능한한 부재(676)를 위로 리프팅하는 것을 유발시켜, 돌출부(670)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병진운동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아암들(680, 682) 각각은 결합부(154)에서 세장형 슬롯(686)에 의해 수용되는 포스트(684) 및 결합부(154) 및 상승가능한 부재(676)가 병진운동함에 따라 아암들(680, 682)이 선회 축선(67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승가능한 부재(676)를 포함한다. 결합부(154) 및 상승가능한 부재(676) 각각이 포스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아암들(680, 682) 각각이 세장형 슬롯을 포함하도록 원하는대로 리버싱될 수 있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 상의 힘이 제거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벨 크랭크(678)가 선회 축선(679)을 중심으로 도 19 및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키며, 이는, 결국, 상승가능한 부재(676)가 하강하는 것을 유발시켜, 돌출부(6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0080] 다른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돌출부는, 돌출부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3은, 돌출부가 돌출부(770)의 제1 포지션으로부터 돌출부(770)의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및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770)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770)는 엔드 캡(112)의 내측에 밀어넣어서(tucked), 돌출부(770)는,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 내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동안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의 피쳐들에 접촉하지 않는다. 돌출부(7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770)는 엔드 캡(112)의 슬롯(772)을 통해 측면(108)으로부터 위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동한다(swing).
[0081] 도 22 및 도 23은, 돌출부(770)가 그 제1 포지션 및 그 제2 포지션 각각에 있고, 엔드 캡(112)이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 경우의 측벽(114)의 외부 측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770)는 엔드 캡(11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엔드 캡(112)과 측벽(114) 사이에 포지셔닝되는 테일(tail)(774)을 포함한다. 테일(774)은, 결합부(154)의 전방 맞물림 표면(778)으로부터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돌출부(770)를 회전시키도록 각지는 캠 표면(77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캠 표면(776)은 하우징(10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보는 바와 같이 수직 상방으로 및 안쪽 옆으로 각진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방 맞물림 표면(778)은 결합부(154)로부터 연장부(779)의 전방부에 포지셔닝된다. 결합부(154)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편향된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770)는, 캠 표면(776)이 결합부(154)의 전방 맞물림 표면(778)의 경로에서 있는 경우의 엔드 캡(112)의 내측에 밀어넣어지는 그 제1 포지션에 포지셔닝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지며 그리고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전방 맞물림 표면(778)은 캠 표면(776)에 접촉하게 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가 캠면(776)에 접촉하면서 전방 맞물림 표면(778)과 함께 전방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전방 맞물림 표면(778)의 전방 모션에 대한 캠 표면(776)의 각도는, 돌출부(770)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을 향해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 상의 힘이 제거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연장부(779) 및 전방 맞물림 표면(778)이 캠 표면(776)으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돌출부(7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돌출부(770)는, 예컨대, 스프링(780)에 의해 그 제1 포지션를 향해 편향될 수 있거나, 돌출부(770)는, 돌출부(770)를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중력에 의존할 수 있다.
[0082] 도 24 내지 도 25는, 돌출부가 돌출부(870)의 제1 포지션으로부터 돌출부(870)의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및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70)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돌출부(770)와 같이, 돌출부(870)가 그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870)는 엔드 캡(112)의 내측으로 밀어넣어진다. 돌출부(870)는, 그 돌출부(8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엔드 캡(112)의 슬롯(872)을 통해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동한다. 도 24 및 도 25는 그 제1 및 제2 포지션들 각각의 돌출부(870)를 갖는 엔드 캡(112)의 내부 측면을 도시하고, 주요 본체(116)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870)는 엔드 캡(11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엔드 캡(112)의 내부 측면 상에 포지셔닝되는 회전 배럴(barrel)(874)을 포함한다. 배럴(874)은 배럴(874)의 후방부로부터 배럴(874)의 전방부를 향해 이어지는 그 외부 표면 상에 윤곽 홈(876)을 포함한다. 결합부(154)는 엔드 캡(112)의 내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고 배럴(874)의 홈(876)에 포지셔닝되는 포스트(878)를 포함한다. 결합부(154)는 엔드 캡(112) 또는 측벽(114) 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포스트(882)를 수용하는 세장형 가이드 슬롯(880)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880)과 가이드 포스트(882) 사이의 맞물림은 결합부(154)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 슬롯(880)은,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부(154)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 경로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54)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편향된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870)는, 포스트(878)가 홈(876)의 후방 부분과 맞물리는 경우의 엔드 캡(112)의 내측에 밀어넣어지는 그 제1 포지션에 포지셔닝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지며 그리고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포스트(878)는 홈(876)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스트(878)에 의해 배럴(874) 상에 가해지는 힘의 결과로써 배럴(874)이 홈(876)의 윤곽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배럴(874)의 회전은, 결국, 돌출부(870)가 도 25에 도시되는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을 향해 측면(108)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 상의 힘이 제거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포스트(878)가 홈(876)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배럴(874) 및 돌출부(870)가 돌출부(870)의 제1 포지션으로 다시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0083]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300)의 에미터(302)와 수신기(303) 사이의 갭(304)은 측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며, 그리고 돌출부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돌출부는 측면(10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병진운동한다. 예를 들어, 도 26 내지 도 28은, 돌출부가 돌출부(970)의 제1 포지션으로부터 돌출부(970)의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10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병진운동하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970)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970)가 그 제 1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970)는 엔드 캡(112)의 내측에 밀어넣어진다. 돌출부(9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970)는 엔드 캡(112)의 슬롯(972)을 통해 측면(10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병진운동한다.
[0084] 도 27 및 도 28은, 돌출부(970)의 작동을 더 명백히 예시하기 위해, 돌출부(970)가 그 제1 및 제2 포지션들 각각에 있는 경우, 그리고 엔드 캡(112)의 외부 표면이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경우의, 측벽(114)의 외부 측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970)는 엔드 캡(112)의 내부 측에 장착되고, 예컨대, 압축 스프링(974)에 의해 측벽(114)을 향해 안쪽으로 편향된다. 결합부(154)는,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970)를 바깥쪽으로 옆으로 밀도록 포지셔닝되고 각지는 캠 표면(976)을 포함한다. 특히, 캠 표면(9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보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옆으로 각진다. 결합부(154)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편향된 포지션에 있을 때, 돌출부(970)는, 돌출부(970) 상의 편향의 결과로써, 엔드 캡(112)의 내측에 밀어넣어지는 그 제1 포지션에 포지셔닝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지며 그리고 결합부(15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캠 표면(976)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돌출부(970)의 내부 표면(978)에 접촉한다. 캠 표면(976)이 내부 표면(978)에 접촉하면서, 결합부(154)가 계속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캠 표면(976)의 각도는, 돌출부(970)가 도 2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측면(10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병진운동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물론, 내부 표면(978)은, 돌출부(9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키기 위해 캠 표면(976) 대신에 또는 그에 대응하여 캠 표면(976)과 각질 수 있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와 같이 맞물림 표면(155) 상의 힘이 제거될 때, 결합부(154)는 결합부(154)에 적용되는 편향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결합부(154)의 후방 이동은, 캠 표면(976)이 돌출부(970)의 내부 표면(978)으로부터 멀어지게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돌출부(970)가 그 제1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0085]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부(154)는 셔터(140)를 개방하고 돌출부(170)를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협력하는 제1 및 제2 결합부 부재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9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191)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도시한다. 엔드 캡(112)은 도 29 내지 도 31에서 명료성을 위해 생략된다. 제1 결합부(190)는 맞물림 표면(155)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결합부(191)는 일 단부가 레버(146)에 연결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170)는 도 9 내지 도 13에 대해 전술된 바와 구성되며; 그러나, 돌출부는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결합부(160)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설치되고 이미징 유닛(200)과 정합하지 않는 한, 셔터(140)가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160)가 맞물림 표면(164)과 맞물림 피쳐(212)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승될 때 제2 결합부(191)를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도록 이동시키는 인터로크(interlock)로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부(160)는, 결합부(160)가 상승할 때,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게 제2 결합부(191)를 상승시키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포스트(180)를 포함한다.
[0086]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191)는, 셔터(140)가 폐쇄 포지션을 향하여 편향되도록, 하우징(102)의 후방부(111)를 향하여 각각의 편향 부재들에 의해 편향된다. 제1 결합부(190)의 내부 표면은,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며 그리고 제1 결합부(19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제2 결합부(191)의 후방 단부(186)에 접촉하는 캐치(catch)(184)(파선들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0087] 도 29 내지 도 31은 결합부들(190 및 191)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예시한다. 도 29는,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의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이들의 편향된 포지션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들(190 및 191) 및 결합부(160)를 도시한다.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지 않으면서,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진다면, 제1 결합부(190)의 캐치(184)는, 후방 단부(186)에 접촉시키지 않고, 제2 결합부(191)의 후방 단부(186) 위로 그리고 이 후방 단부(186)를 지나 이동한다. 그 결과,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지 않으면서,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진다면, 제2 결합부(191)는 그 편향된 포지션으로 유지되며, 셔터(140)는 개방되지 않고, 그리고 돌출부(170)는 그 제1 포지션으로 유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셔터(140)를 개방하지 않고, 이미징 유닛(200)이 존재하지 않으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설치되는 경우에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되지 않으면서,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진다면, 이미징 유닛(20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가 프린트하기에 준비되지 않는 것을 제어기(28)에 계속 표시하도록, 돌출부(170)는 센서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도 30은, 예컨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과 정합되며 그리고 맞물림 피쳐(212)가 맞물림 표면(164)에 접촉할 때, 그 상승된 포지션에 있는 결합부(160)를 도시한다. 결합부(16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포스트(180)는 제2 결합부(191)의 저부 표면(188)에 접촉하고, 제2 결합부(191)의 후방 단부(186)가 캐치(184)의 경로에 있으면서, 제2 결합부(191)를 제 1 결합부(190)와 정렬되게 상방으로 민다. 도 31은, 맞물림 표면(155)이 눌려질 때, 예컨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폐쇄될 때,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1 결합부(190)를 도시한다. 제1 결합부(19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제2 결합부(191)가 제1 결합부(190)와 정렬될 때, 캐치(184)는 제2 결합부(191)의 후방 단부(186)에 접촉하여, 제2 결합부(191) 상의 편향을 극복하고 제2 결합부(191)를 전방으로 민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셔터(140)를 개방하고 돌출부(170)를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결합부(191)의 전방 이동은 레버(146)가 회전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로부터 제거될 때, 이러한 순서는 리버싱된다.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될 때, 제1 결합부(190) 및 제2 결합부(191)는 이들의 편향된 포지션들로 후퇴하여, 셔터(140)를 폐쇄하고 그리고 그 제2 포지션으로 돌출부(170)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이미지 장치(22)로부터 토너 카트리지(100)를 제거함에 따라, 이미징 유닛(200) 상의 맞물림 피쳐(212)는 맞물림 표면(164)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어, 결합부(160)가 그 편향된 포지션으로 하강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결합부(160)가 하강함에 따라, 후방 단부(186)가 제1 결합부(190) 상의 캐치(184)의 경로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제2 결합부(191)가 하강한다.
[0088] 다른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100) 상의 돌출부(예컨대, 돌출부(170))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과 정합되는 때를 표시하기 위해 결합부(160)가 이미징 유닛(200)의 프레임(206) 상의 맞물림 피쳐(212)에 접촉할 때, 돌출부가 그 제1 포지션으로부터 그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부(16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의 포지션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22)에 대한 접근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폐쇄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는 셔터(140)가 개방되어 있는지 폐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지 않는다.
[0089]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상의 돌출부 및 대응하는 센서의 구성들이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을 예시한다. 이는 배타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당업자가, 자연스럽게 뒤따르는 그의 다양한 수정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개시의 원리들 및 그의 실제 적용을 예시하도록 선택된다. 모든 수정들 및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주 내인 것으로 고려된다. 비교적 자명한 수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피쳐들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피쳐들을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24)

  1. 토너 카트리지(toner cartridge)로서,
    하우징(housing)─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에 포지셔닝되는 최상부, 저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리저보어(reservoir)를 가짐─;
    상기 리저보어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근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 상에 아래로 향하는 출구 포트(outlet port);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의 결합부(linkage)─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접근가능한 맞물림 표면(engagement surface)을 가짐─;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맞물림 표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는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image forming device)에 설치될 때 상기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서 센서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의 아암 상에 접촉하고 상방으로 미는 것에 방해받지 않는(unobstructed),
    토너 카트리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포지션을 향하여 편향되는,
    토너 카트리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를 향하여 후방으로 편향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는 정렬 가이드(alignment guid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정렬 가이드의 최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토너 카트리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는 정렬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상기 정렬 가이드와 일치하는(in line with),
    토너 카트리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어지는,
    토너 카트리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가이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전방부에 포지셔닝되는 쉴드(shield)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포지션과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해제하는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shut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맞물림 표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는 전방의 힘을 수용할 때,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토너 카트리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channel)─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및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aug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채널의 저부 표면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및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의 채널과 일치하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함─; 및
    상기 채널로 토너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리저보어에 포지셔닝되는 토너 운반 조립체(toner delivery assembly)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운반 조립체는 상기 리저보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축(drive shaft)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축은 회전 축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구동 축의 회전 축선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13. 토너 카트리지로서,
    하우징(housing)─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사이에 포지셔닝되는 최상부, 저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리저보어(reservoir)를 가짐─;
    상기 리저보어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근처의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 상에 아래로 향하는 출구 포트;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의 결합부─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구동(actuation) 힘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접근가능한 맞물림 표면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맞물림 표면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서 구동 힘을 수용할 때,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가능함─;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의 플래그(flag)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그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래그는, 플래그가 제2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며, 상기 플래그는 상기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의 전방 이동은 상기 플래그로 하여금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켜,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플래그가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에서 센서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토너 카트리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제1 포지션을 향하여 편향되는,
    토너 카트리지.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를 향하여 후방으로 편향되는,
    토너 카트리지.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는 정렬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플래그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정렬 가이드의 최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는 정렬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상기 정렬 가이드와 일치하는,
    토너 카트리지.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 상에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어지는,
    토너 카트리지.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가이드는, 상기 플래그가 상기 제1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플래그의 전방부에 포지셔닝되는 쉴드(shield)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가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옆으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하는 폐쇄 포지션과 상기 출구 포트를 차단해제하는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결합부의 전방 이동이 상기 셔터가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결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토너 카트리지.
  22.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및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플래그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채널의 저부 표면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23.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및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플래그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의 채널과 일치하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이어지는 채널─상기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리저보어에 대해 개방됨─;
    상기 채널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하는 오거─상기 오거는 상기 출구 포트를 향하여 상기 채널에서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함─; 및
    상기 채널로 토너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리저보어에 포지셔닝되는 토너 운반 조립체(toner delivery assembly)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운반 조립체는 상기 리저보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회전 축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플래그의 최상부 부분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축선보다 더 높게 포지셔닝되는,
    토너 카트리지.
KR1020187007274A 2015-08-13 2016-05-02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KR101977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25,400 US9360797B1 (en) 2015-08-13 2015-08-13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14/825,400 2015-08-13
PCT/US2016/030350 WO2017027077A1 (en) 2015-08-13 2016-05-02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70A KR20180041170A (ko) 2018-04-23
KR101977820B1 true KR101977820B1 (ko) 2019-05-13

Family

ID=5608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274A KR101977820B1 (ko) 2015-08-13 2016-05-02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9) US9360797B1 (ko)
EP (1) EP3130965B1 (ko)
KR (1) KR101977820B1 (ko)
CN (1) CN107924154B (ko)
AR (1) AR105679A1 (ko)
AU (1) AU2016306099B2 (ko)
BR (1) BR112018002677B1 (ko)
CA (1) CA2994105C (ko)
CL (1) CL2018000219A1 (ko)
DK (1) DK3130965T3 (ko)
ES (1) ES2700461T3 (ko)
IL (1) IL257266B (ko)
MX (1) MX2018001027A (ko)
PH (1) PH12018500318B1 (ko)
PL (1) PL3130965T3 (ko)
PT (1) PT3130965T (ko)
RU (1) RU2682942C1 (ko)
TR (1) TR201820183T4 (ko)
TW (1) TWI606318B (ko)
WO (1) WO2017027077A1 (ko)
ZA (1) ZA2018008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0797B1 (en) *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JP6497348B2 (ja) * 2016-04-07 2019-04-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26702B1 (en) * 2017-05-11 2018-11-13 Lexmark International, Inc. Drive coupler actuation via replaceable unit insertion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D852880S1 (en) 2017-06-30 2019-07-0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USD854078S1 (en) 2017-06-30 2019-07-1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USD841730S1 (en) 2017-06-30 2019-02-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EP3451070A1 (en) * 2017-08-28 2019-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27967B1 (en) * 2018-10-11 2020-01-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having a common input gear for a toner agitator assembly and an encoded member
US10725422B2 (en) * 2018-10-25 2020-07-2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electrical contacts
JP7190106B2 (ja) * 2018-11-27 2022-12-1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3574470B (zh) * 2019-03-22 2024-02-09 利盟国际有限公司 具有编码构件和用于相对于编码构件定位传感器的对准引导件的墨粉容器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CN110083034A (zh) * 2019-06-04 2019-08-0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碳粉盒
CN110221529A (zh) * 2019-06-10 2019-09-10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补充盒及显影剂补充方法
WO2021010968A1 (en) * 2019-07-15 2021-0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aterial container
USD952030S1 (en) * 2019-10-23 2022-05-1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JP7342609B2 (ja) * 2019-10-24 2023-09-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705905B (zh) * 2019-11-06 2020-10-01 東友科技股份有限公司 印表機清潔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5911A1 (en) 2007-02-28 2008-08-28 Satoru Ishikawa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image forming apparatuses
WO2013101351A2 (en) 2011-12-30 2013-07-0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20130170865A1 (en) 2011-12-30 2013-07-04 James Anthany Carter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165A (en) 1988-10-28 1992-06-0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unit and a toner hopp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H066377Y2 (ja) 1989-10-25 199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JP3044997B2 (ja) 1994-02-16 2000-05-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US5614996A (en) 1994-03-03 1997-03-25 Kyocera Corporation Toner storage unit, residual toner collect unit, toner container with these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ch toner container
JP3471992B2 (ja) 1995-10-26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5634169A (en) 1996-02-16 1997-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function encoder wheel for cartridges utilized in an electrophotographic output device
US5758233A (en) 1996-12-20 1998-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locating on photoconductor shaft
US6968139B2 (en)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8205B2 (ja) 1997-06-1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08153B2 (ja) 1997-06-19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89567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6496671B2 (en) 1998-12-14 2002-12-17 Oki Dat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ith locking toner discharge opening
JP3450741B2 (ja) 1999-03-29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0356895A (ja) 1999-06-15 2000-12-26 Kyocera Corp 現像装置
JP3684209B2 (ja)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496662B1 (en) 2002-06-19 2002-12-17 Lexmark International, Inc. Optical toner low sensor
JP2005258061A (ja) 2004-03-11 2005-09-22 Murata Mach Ltd 感光ドラムユニット
JP3970274B2 (ja) 2004-03-31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79655B2 (ja) 2004-11-12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35592A (ja) 2005-01-31 2006-09-07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134061B2 (ja) 2005-02-14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TWI335867B (en) 2005-03-04 2011-01-11 Canon Kk Toner supply container
JP2006309147A (ja) 2005-03-30 2006-11-09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シャッタ構造
JP2006337418A (ja) * 2005-05-31 2006-12-14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KR100633142B1 (ko) 2005-06-29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충전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현상제 충전시스템
JP4378374B2 (ja)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70286634A1 (en) 2006-06-08 2007-12-13 David Clay Blaine Developer Roll Shield to Reduce Toner Dusting
US7548710B2 (en) 2006-10-25 2009-06-16 Lexmark International, Inc. Dual sliding shutter system
US7606520B2 (en) 2006-11-06 2009-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JP4636037B2 (ja) * 2007-02-28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体
KR100873443B1 (ko) * 2007-06-25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고정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토너카트리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방법 및 탈착방법
US7974558B2 (en) 2007-06-25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artridge lock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oner cartridge, and mounting and dismounting method for a toner cartridge
JP4415037B2 (ja) 2007-08-22 2010-02-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593653B2 (en) 2007-08-22 2009-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Optical sensor system with a dynamic threshold for monitoring toner transfer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200126B2 (en) 2007-11-30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592113B2 (ja) 2009-03-02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84369B2 (ja) * 2011-09-27 2016-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ユニットの着脱機構、定着ユニットの着脱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US9031451B2 (en)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649710B2 (en) 2011-12-30 2014-02-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pivoting exit port cover
US8867966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682213B2 (en) * 2011-12-30 2014-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867970B2 (en)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8938179B2 (en) * 2012-06-25 2015-0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20140029960A1 (en) * 2012-07-25 2014-01-30 Adam Jude Ahne Magnetic Interlock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8873996B1 (en) 2013-05-29 2014-10-28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syste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a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with bypassing actuation
US9360797B1 (en) *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5911A1 (en) 2007-02-28 2008-08-28 Satoru Ishikawa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image forming apparatuses
WO2013101351A2 (en) 2011-12-30 2013-07-0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20130170865A1 (en) 2011-12-30 2013-07-04 James Anthany Carter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7077A1 (en) 2017-02-16
PH12018500318A1 (en) 2018-08-13
US20170277075A1 (en) 2017-09-28
US9477176B1 (en) 2016-10-25
AU2016306099B2 (en) 2019-03-07
US20210072667A1 (en) 2021-03-11
TW201712449A (zh) 2017-04-01
US10884357B2 (en) 2021-01-05
US11156941B2 (en) 2021-10-26
ZA201800883B (en) 2019-09-25
PT3130965T (pt) 2018-11-14
MX2018001027A (es) 2018-07-06
EP3130965B1 (en) 2018-09-26
RU2682942C1 (ru) 2019-03-22
TR201820183T4 (tr) 2019-01-21
DK3130965T3 (en) 2019-01-07
US9709925B2 (en) 2017-07-18
CA2994105A1 (en) 2017-02-16
CN107924154A (zh) 2018-04-17
US10036981B2 (en) 2018-07-31
AR105679A1 (es) 2017-11-01
EP3130965A1 (en) 2017-02-15
AU2016306099A1 (en) 2018-02-22
IL257266B (en) 2021-08-31
CL2018000219A1 (es) 2018-07-27
US20180173134A1 (en) 2018-06-21
TWI606318B (zh) 2017-11-21
PH12018500318B1 (en) 2018-08-13
BR112018002677B1 (pt) 2019-09-24
US10656559B2 (en) 2020-05-19
KR20180041170A (ko) 2018-04-23
US9360797B1 (en) 2016-06-07
IL257266A (en) 2018-03-29
US20180348669A1 (en) 2018-12-06
US20170045843A1 (en) 2017-02-16
US20200278623A1 (en) 2020-09-03
US9915894B2 (en) 2018-03-13
CN107924154B (zh) 2020-12-11
ES2700461T3 (es) 2019-02-15
PL3130965T3 (pl) 2019-05-31
US20190121260A1 (en) 2019-04-25
CA2994105C (en) 2021-02-16
US10197944B2 (en)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820B1 (ko) 이미지 형성 디바이스로 설치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US10429790B2 (en)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US9477178B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