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546B1 - 벽돌 운반용 손수레 - Google Patents

벽돌 운반용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46B1
KR101976546B1 KR1020190025650A KR20190025650A KR101976546B1 KR 101976546 B1 KR101976546 B1 KR 101976546B1 KR 1020190025650 A KR1020190025650 A KR 1020190025650A KR 20190025650 A KR20190025650 A KR 20190025650A KR 101976546 B1 KR101976546 B1 KR 10197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upport
guide
lift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배
Original Assignee
박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배 filed Critical 박준배
Priority to KR102019002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에 상차한 벽돌을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으로 유지된 적재함에 벽돌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적재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 상기 서포트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여 상기 팰릿서포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팰릿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외측 일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로 연결된 발판, 상기 발판을 눌러서 상승된 상기 승강바로 상기 스토퍼를 해제하여 팰릿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상기 팰릿서포트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발판을 발로 누르거나 해제하는 것 만으로 서포트샤프트를 회전시켜서 팰릿을 지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돌 운반용 손수레{HANDCART FOR BRICK}
본 발명은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상차한 벽돌을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손수레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끄는 수레로서, 공사현장 따위에서는 벽돌을 싣고 내리는 용도의 운반용 손수레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23011호(등록일자 2015년05월19일) ‘발을 이용한 하역수단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가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벽돌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발판과 해제하는 발판이 별도로 구비되어 작동이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23011호(등록일자 2015년05월1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발판으로 벽돌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으로 유지된 적재함에 벽돌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적재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 상기 서포트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여 상기 팰릿서포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팰릿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외측 일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로 연결된 발판, 상기 발판을 눌러서 상승된 상기 승강바로 상기 스토퍼를 해제하여 팰릿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상기 팰릿서포트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복원스프링에 의한 팰릿서포트의 복원 후 상기 발판을 해제하여 승강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2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크랭크는,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크랭크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암, 상기 승강암과 발판을 연결하는 회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돌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벽돌을 적재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 상기 적재함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적재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 상기 서포트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여 상기 팰릿서포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팰릿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상승된 적재함에 적재되는 벽돌 중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하강하도록 상기 적재함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외측 일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로 연결된 발판, 상기 발판을 눌러서 상승된 상기 승강바로 상기 스토퍼를 해제하여 팰릿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상기 팰릿서포트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적재함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 단부에는 적재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강된 상기 적재함의 상승을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속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래칫, 상기 래칫의 승강을 단속하도록 프레임에 구비된 디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래칫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디텐트에 연결된 릴리스레버, 상기 릴리즈레버에 의해 해제된 디텐트를 복원시키는 제3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발로 누르거나 해제하는 것 만으로 서포트샤프트를 회전시켜서 팰릿을 지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빈 상태의 적재함이 프레임의 상부로 상승되어 팰릿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적재함에 적재되는 벽돌의 중량 증가로 적재함이 점차 하강되면서 벽돌을 적재하는 위치가 항상 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벽돌을 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A-A선 요부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벽돌을 적재하는 적재함(10)(10), 적재함(10)을 유지하도록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20), 적재함(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쌓는 팰릿(30), 팰릿(3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적재함(10)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41)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40), 서포트샤프트(41)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50), 스토퍼(50)를 단속하여 팰릿서포트(40)의 회전에 의해 팰릿(30)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60)를 포함한다.
적재함(10)은 벽돌을 적재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적재함(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고 일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판(11)과 이 후면판(1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판(12)을 포함한다.
프레임(20)은 적재함(10)의 틀을 유지하도록 외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프레임(20)은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적재함(10)이 벽돌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적재함(10)의 후면을 보강하는 프레임(20)의 상부에는 손잡이(21)가 연결되고 중앙 양측에는 바퀴(2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팰릿(pallet, 30)은 적재함(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이 쌓이는 운반대로서, 이러한 팰릿(30)은 팰릿서포트(40)에 의해 지지되어 벽돌을 쌓아서 적재하고, 공사현장의 목적지로 이동한 후 팰릿서포트(40)에 의해 해제되어 적재된 벽돌과 함께 지면에 안착된다.
팰릿서포트(40)는 적재함(10)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41)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팰릿(30)의 저면 양측을 지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포트샤프트(41)는 프레임(20)의 전후 단부에 고정된 샤프트브래킷(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팰릿서포트(40)는 서포트샤프트(4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서포트샤프트(41)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서포트샤프트(41)의 후단부에는 판재 형상의 스토퍼(50)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된다.
발판부재(60)는 스토퍼(50)를 단속하여 팰릿서포트(40)의 회전에 의해 팰릿(30)의 지지하거나 해제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발판부재(60)는 스토퍼(50)를 단속하도록 적재함(10)의 외면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61), 승강바(6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62), 가이드(62)를 따라 승강바(61)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63)로 연결된 발판(64), 발판(64)을 눌러서 상승된 승강바(61)로 스토퍼(50)를 해제하여 팰릿(30)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팰릿서포트(4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66), 제1 복원스프링(66)에 의한 팰릿서포트(40)의 복원 후 발판(64)을 해제하여 승강바(61)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2 복원스프링(67)을 포함한다.
승강바(61)는 적재함(10)의 후면판(11)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스토퍼(50)를 단속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승강바(61)의 단부는 하강 시 스토퍼(50)의 회전을 차단하고 상승 시 스토퍼(50)의 회전을 해제하게 된다.
가이드(62)는 적재함(10)의 후면판(11)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승강바(61)의 승강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가이드(62)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판(11)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상부 중앙에는 수직의 가이드(62)홀이 형성되어 승강바(61)의 수직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발판(64)은 승강바(61)에 벨크랭크(63)로 연결되어 누름으로 승강바(61)를 상승시키거나 해제로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벨크랭크(63)는 승강바(61)를 승강시키도록 크랭크샤프트(63b)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암(63a), 승강암(63a)과 발판(64)을 연결하는 회전암(63c)을 포함한다. 승강암(63a)은 승강바(61)의 하부에 배치되어 크랭크샤프트(63b)로 회전하면서 승강바(6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고, 일단부에는 후크(63d)가 일체로 구비되어 승강바(61)의 이탈을 방지하며, 크랭크샤프트(63b)는 프레임(20)에 고정된 샤프트브래킷(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암(63c)은 승강암(63a)의 타단부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 발판(64)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발판(64)을 발로 누르면 크랭크샤프트(63b)를 중심으로 벨크랭크(63)가 회전되어 승강바(61)를 상승시키고, 발판(64)에서 발을 떼어 해제하면 크랭크샤프트(63b)를 중심으로 벨크랭크(63)가 회전되어 승강바(61)를 자중에 의해 하강시키게 된다.
제1 복원스프링(66)은 적재함(10)의 외측으로 회전된 팰릿서포트(4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이러한 제1 복원스프링(66)의 일단부는 서포트샤프트(4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적재함(10)의 후면판(11) 하부를 유지하는 프레임(20)의 스프링핀(68)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회전된 팰릿서포트(4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게 된다. 여기서, 팰릿서포트(40)가 적재함(10)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이유는, 발판(64)의 누름으로 상승된 승강바(61)에 의해 스토퍼(50)가 해제되는데, 이때 팰릿(30)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팰릿서포트(40)가 서포트샤프트(41)를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제2 복원스프링(67)은 상승된 승강바(61)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이러한 제2 복원스프링(67)의 일단부는 승강바(61)의 일측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술한 스프링핀(68)에 연결되어, 제1 복원스프링(66)에 의한 팰릿서포트(40)의 복원 후 발판(64)을 해제하여 승강바(61)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적재함(10)이 지면에 세워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팰릿(30)의 양측 저면이 팰릿서포트(40)에 지지되도록 적재함(10)의 내측 하부에 배치한 후 벽돌을 쌓아서 적재함(10)에 적재한다.
그리고 바퀴(22)가 지면에 닿도록 손잡이(21)를 잡고 회전시켜서 손수레를 공사현장의 목적지로 이동한 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적재함(10)이 지면에 세워지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발판(64)을 누르면 승강암(63a)이 크랭크샤프트(63b)로 회전되어 승강바(61)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승강바(61)는 스토퍼(50)의 회전을 해제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때 팰릿(30)은 적재함(10)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서포트샤프트(41)를 중심으로 적재함(1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팰릿(30)은 적재된 벽돌과 함께 지면에 안착된다.
다음, 발판(64)에서 발을 떼어 해제하면 팰릿서포트(40)가 제1 복원스프링(66)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자리하게 된다.
또한, 승강바(61)는 제2 복원스프링(67)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판(64)을 발로 누르거나 해제하는 것 만으로, 서포트샤프트(41)를 회전시켜서 팰릿(30)을 지지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퀴(22)를 생략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벽돌을 적재하는 적재함(10), 적재함(1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20), 적재함(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쌓는 팰릿(30), 팰릿(3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적재함(10)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41)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40), 서포트샤프트(41)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50), 스토퍼(50)를 단속하여 팰릿서포트(40)의 회전에 의해 팰릿(30)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60), 프레임(20)의 상부로 상승된 적재함(10)에 적재되는 벽돌 중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하강하도록 적재함(10)과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실린더(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재함(10)과 프레임(20)을 연결하는 실린더(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의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실린더(70)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20)의 내부에는 대략 ‘┗┛’한 형상의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되어 적재함(10)의 승강을 안내하고, 가이드레일(23)의 외측 단부에는 가이드림(guide rim, 24)이 구비되어 적재함(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적재함(10)의 승강 시 팰릿서포트(40)와 발판부재(60)가 프레임(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샤프트브래킷(42)와 크랭크브래킷(65) 등의 구성을 적재함(10)에 설치하고 팰릿서포트(40)와 서포트샤프트(41)의 길이도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조절한다.
실린더(70)는 적재함(10)의 후면판(11) 상부와 프레임(20)의 중앙에 연결되어 적재함(10)에 적재되는 벽돌 중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하강하게 된다. 부연하면, 적재함(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린더(70)의 플런저(71)가 신장되어 프레임(20)의 상부로 상승되므로 팰릿서포트(40)에 지지된 팰릿(30)이 프레임(20)의 중앙에 위치된다. 반면, 적재함(10)에 벽돌이 적재되기 시작하면 벽돌의 중량이 조금씩 증가하면서 실린더(70)의 플런저(71)가 압축되어 프레임(20)의 하부로 점차 하강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팰릿서포트(40)에 지지된 팰릿(30)이 프레임(20)의 하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강된 적재함(10)의 상승을 단속하는 단속부재(80)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단속부재(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래칫(81), 래칫(81)의 승강을 단속하는 디텐트(82)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10의 A-A선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래칫(81)은 적재함(1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고, 디텐트(82)는 프레임(20)의 내측에 구비되어 래칫(81)의 상승 및 하강을 단속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텐트(82)는 릴리즈레버(83)에 의해 래칫(8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적재함(10)을 실린더(70)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시키는데, 이러한 디텐트(82)는 제3 복원스프링(84)에 의해 복원되어 하강된 래칫(81)을 다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3 복원스프링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빈 상태의 적재함(10)이 프레임(20)의 상부로 상승되어 팰릿(30)이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해당하는 프레임(2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적재함(10)에 적재되는 벽돌의 중량 증가로 적재함(10)이 점차 하강되면서 벽돌을 적재하는 위치가 항상 프레임(20)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리하게 벽돌을 쌓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적재함
20 : 프레임
30 : 팰릿
40 : 팰릿서포트
50 : 스토퍼
60 : 발판부재
61 : 승강바
62 : 가이드
63 : 벨크랭크
64 : 발판
66 : 제1 복원스프링
67 : 제2 복원스프링
70 : 실린더
80 : 단속부재
81 : 래칫
82 : 디텐트
83 : 릴리즈레버

Claims (8)

  1. 프레임으로 유지된 적재함에 벽돌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적재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 상기 서포트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여 상기 팰릿서포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팰릿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외측 일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로 연결된 발판, 상기 발판을 눌러서 상승된 상기 승강바로 상기 스토퍼를 해제하여 팰릿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상기 팰릿서포트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 및 상기 제1 복원스프링에 의한 팰릿서포트의 복원 후 상기 발판을 해제하여 승강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2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2. 벽돌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벽돌을 적재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 상기 적재함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벽돌을 적재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서포트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팰릿서포트, 상기 서포트샤프트의 일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여 상기 팰릿서포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팰릿의 지지 및 해제시키는 발판부재,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상승된 적재함에 적재되는 벽돌 중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하강하도록 상기 적재함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단속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외측 일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벨크랭크로 연결된 발판, 상기 발판을 눌러서 상승된 상기 승강바로 상기 스토퍼를 해제하여 팰릿에 적재된 벽돌의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된 상기 팰릿서포트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 및 상기 제1 복원스프링에 의한 팰릿서포트의 복원 후 상기 발판을 해제하여 승강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제2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바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크랭크는,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도록 크랭크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암, 상기 승강암과 발판을 연결하는 회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적재함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 단부에는 적재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7. 청구항 2에 있어서,
    하강된 상기 적재함의 상승을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래칫, 상기 래칫의 승강을 단속하도록 프레임에 구비된 디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디텐트에 연결된 릴리스레버, 상기 릴리스레버에 의해 해제된 디텐트를 복원시키는 제3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20190025650A 2019-03-06 2019-03-06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197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50A KR101976546B1 (ko) 2019-03-06 2019-03-06 벽돌 운반용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50A KR101976546B1 (ko) 2019-03-06 2019-03-06 벽돌 운반용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546B1 true KR101976546B1 (ko) 2019-08-28

Family

ID=677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50A KR101976546B1 (ko) 2019-03-06 2019-03-06 벽돌 운반용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9112A (zh) * 2020-10-22 2021-01-22 金陵科技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用加气块搬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1B1 (ko) 2015-02-25 2015-05-26 이장섭 발을 이용한 하역수단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1B1 (ko) 2015-02-25 2015-05-26 이장섭 발을 이용한 하역수단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9112A (zh) * 2020-10-22 2021-01-22 金陵科技学院 一种建筑工程施工用加气块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2368A (en) Pallet for gas cylinders and the like
TW553858B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or cradle
KR101976546B1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US4923357A (en) Container transfer lift
JP4683666B2 (ja) 段ばらし装置
US20070031231A1 (en) Gas cylinder lift
KR101848423B1 (ko) 유리 이송용 파렛트
US3404791A (en) Load-supporting apparatus
JP5606170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CN113859337B (zh) 一种土木工程施工砖块装卸设备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FI102158B (fi) Apulaite ja menetelmä rakennuselementtien nostamiseksi ja asentamiseks i
KR200494059Y1 (ko) 지게차 부착용 화물승강장치
JP2014141230A (ja) 索道用機器の昇降搬送装置
US20070183882A1 (en) Removable stinger assembly for forklift and dolly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CN205709690U (zh) 一种托架升运车
JP3571392B2 (ja) 容器の運搬装置および容器への内容物の充填方法
JPS63300100A (ja) 重量物運搬装置
FI130588B (en) Load handling device and loader
JPH0541532B2 (ko)
JP2882637B2 (ja) 建設用揚重装置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US1340458A (en) Portable freight-stacking elev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