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60B1 -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60B1
KR101975260B1 KR1020180105704A KR20180105704A KR101975260B1 KR 101975260 B1 KR101975260 B1 KR 101975260B1 KR 1020180105704 A KR1020180105704 A KR 1020180105704A KR 20180105704 A KR20180105704 A KR 20180105704A KR 101975260 B1 KR101975260 B1 KR 10197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aces
unit
stacker crane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정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섭 filed Critical 정희섭
Priority to KR102018010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한 적재공간을 확인한 후 해당 적재공간으로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 진화할 수 있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FIRE EXTINGUISHING SYSTEM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 WAREHOUSE RACK HAVING A PLURALITY OF STACKING SPACES USING A STACKER CRA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자동 창고 시스템의 도입이 활성화됨에 따라 창고에서 물건을 수납하고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 창고 시스템은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과 상기 창고용 랙에서 물건을 입출고하는데 사용하는 스태커 크레인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관련해서, 도 1의 도면부호 110에는 자동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시스템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도면부호 11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창고용 랙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복수의 적재공간들이 벌집형태로 구분되어 있고, 스태커 크래인은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적재되어 있는 물건들의 입출고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창고 시스템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물건들을 적재해두고 있다는 점에서 특정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의 확산으로 인해 전체 적재공간들에 적재되어 있는 물건들이 손실될 수 있어서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는 화재 진화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 1의 도면부호 1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특정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의 초기 진화가 불가능하여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다.
따라서,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 화재의 초기 진화를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한 적재공간을 확인한 후 해당 적재공간으로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동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 진화할 수 있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는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촬영 이미지 수신부,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이동 제어부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는 화재 진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한 적재공간을 확인한 후 해당 적재공간으로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동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 진화할 수 있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창고 시스템과 자동 창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의 도면부호 11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접근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200)에 소화제가 보관되는 소화제 보관부(202)와 소화제 보관부(202)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201)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된다.
관련해서, 소화제 분사부(201)는 도 2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적재공간에 직접 접근하여 물건을 로드하는 로드부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소화제 보관부(202)는 스태커 크레인(2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소정의 호스를 통해 소화제가 소화제 보관부(202)로부터 소화제 분사부(201)까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제 보관부(202)는 스태커 크레인(200)의 하단이 아닌 상기 로드부 상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소화제 보관부(202)의 구비 위치는 스태커 크레인(200)의 구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로드부 상에 소화제 분사부(20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특정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스태커 크레인(200)을 상기 특정 적재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드부를 상기 특정 적재공간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로드부 상에 구비되어 있는 소화제 분사부(201)를 통해 소화제를 상기 특정 적재공간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화재의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는 좌표 정보 저장부(211), 모니터링부(212), 촬영 이미지 수신부(213), 화재 발생 판단부(214), 이동 제어부(215) 및 화재 진화 제어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 정보 저장부(211)에는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관련해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이 도 3의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좌표 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좌표 정보는 좌측 상단의 적재공간을 시작으로 해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1, 1), (1, 2), (1, 3), ...'의 형태로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1, 1), (2, 1), (3, 1), ...'의 형태로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부(212)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촬영 이미지 수신부(213)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의 정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발생 판단부(214)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 판단부(214)는 분할 이미지 생성부(217), 비율 확인부(218) 및 판단 처리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이미지 생성부(217)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이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비율 확인부(218)는 상기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응하는 제1 분할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의 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화소 값이 화재 발생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한다.
판단 처리부(219)는 상기 존재 비율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존재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상기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이 도 3의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고 하고,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도면부호 311로 표시한 제1 적재공간(311)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에서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분할 이미지 생성부(217)는 도 3의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이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비율 확인부(218)는 상기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 중 제1 적재공간(311)에 대응하는 제1 분할 이미지(321)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의 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화소 값이 화재 발생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 화소 값 범위는 불꽃의 색상에 해당되는 붉은색 계열의 화소 값 범위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 화소 값 범위는 R값, G값, B값을 기준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R 값 범위 G 값 범위 B 값 범위
220~255 0~30 0~30
이때, 비율 확인부(218)는 제1 분할 이미지(321)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 중 화소 값이 상기 표 1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판단 처리부(219)는 상기 존재 비율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존재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상기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적재공간(31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기준 비율이 '30%'라고 하는 경우, 판단 처리부(219)는 상기 존재 비율이 '30%'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 붉은색 계열의 화소의 비율이 '30%'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적재공간(31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215)는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좌표 정보 저장부(211)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스태커 크레인(200)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스태커 크레인(200)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로부터 상기 제1 좌표 정보와 상기 이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로부터 상기 제1 좌표 정보와 상기 이동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수평이동을 수행하고, 로드부의 수직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소화제 분사부(201)가 상기 제1 적재공간이 존재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스태커 크레인(200)은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재 진화 제어부(216)는 스태커 크레인(200)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상기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스태커 크레인(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스태커 크레인(200)은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로부터 상기 소화제 분사 명령이 수신되면, 소화제 분사부(201)를 통해서 소화제를 상기 제1 적재공간 상에 분사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진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는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220) 및 화재 심각도 정보 출력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심각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속한 비율의 범위 값에 대응되는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심각도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 화재 심각도
30%~50%
50%~70%
70%~100%
이때, 비율 확인부(218)에서 확인된 상기 존재 비율이 '35%'라고 하는 경우,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표 2와 같은 심각도 테이블에서 상기 존재 비율이 속한 비율의 범위 값인 '30~50%'에 대응되는 화재 심각도인 '하'라고 하는 화재 심각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이후, 화재 심각도 정보 출력부(221)는 상기 생성된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현재의 화재 수준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는 스케줄링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부(222)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의 화재 진화 순서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화재 심각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결정한 후 결정된 상기 화재 진화 순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이동 제어부(215) 및 화재 진화 제어부(216)의 동작 순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발생 판단부(214)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적재공간 1'과 '적재공간 2'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하고,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220)에 의해 '적재공간 1'에 대한 화재 심각도가 '상'으로 생성되었고, '적재공간 2'에 대한 화재 심각도가 '하'로 생성된 경우, 스케줄링부(222)는 화재 심각도에 따른 내림차순인 '상', '하'의 순서로 '적재공간 1'과 '적재공간 2'에 대한 화재 진화 순서를 결정한 후 '적재공간 1'과 '적재공간 2'의 순서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이동 제어부(215) 및 화재 진화 제어부(216)의 동작 순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제어부(215)와 화재 진화 제어부(216)는 '적재공간 1'에 대해 우선적으로 스태커 크레인(200)을 이동시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적재공간 1'의 화재 진화가 완료되면, '적재공간 2'로 스태커 크레인(200)을 이동시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스태커 크레인(200)의 고장으로 인해 화재 발생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200)의 고장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는 소비 전력 테이블 유지부(223), 신뢰도 점수 테이블 유지부(224), 정보 수신부(225), 소비 전력 확인부(226), 고장 의심 상태 판단부(227), 합계 연산부(228), 초과 판단부(229) 및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비 전력 테이블 유지부(223)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들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소비 전력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관련해서, 상기 소비 전력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들
100시간~200시간 500W~600W
200시간~300시간 600W~700W
300시간~400시간 700W~800W
... ...
상기 표 3과 같은 구동 시간 값 범위에 대응하는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들로 관리자는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에 따른 정상 소비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표 3과 같은 소비 전력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다.
신뢰도 점수 테이블 유지부(224)는 스태커 크레인(20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신뢰도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관련해서, 스태커 크레인(200)에는 스태커 크레인(200)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모터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에 대한 신뢰도 점수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성능이나 현재까지의 사용 시간 등을 고려하여 관리자에 의해 미리 할당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성능이 높을수록 또는 사용 시간이 적을수록 높은 신뢰도 점수를 할당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4와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구동 모터들 신뢰도 점수
구동 모터 1 100점
구동 모터 2 80점
구동 모터 3 90점
구동 모터 4 70점
... ...
정보 수신부(225)는 스태커 크레인(200)으로부터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스태커 크레인(200)의 누적 구동 시간 값과 스태커 크레인(200)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의 소비 전력 값을 수신한다.
소비 전력 확인부(226)는 스태커 크레인(200)의 누적 구동 시간 값을 기초로 상기 소비 전력 테이블 내에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이 속해있는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고장 의심 상태 판단부(227)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에 대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한다.
합계 연산부(22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가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응하는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를 연산한다.
초과 판단부(229)는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가 기설정된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는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태커 크래인(200) 전체에 대해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1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정보 수신부(225)가 스태커 크레인(2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이 '250시간'이라고 하는 경우, 소비 전력 확인부(226)는 스태커 크레인(200)의 누적 구동 시간 값을 기초로 상기 표 3과 같은 소비 전력 테이블 내에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인 '250시간'이 속해있는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인 '200시간~300시간'을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인 '200시간~300시간'에 대응하는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인 '600W~700W'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중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인 '600W~700W'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고장 의심 상태 판단부(227)는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에 대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합계 연산부(228)는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 각각에 대응하는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를 연산할 수 있는데,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의 신뢰도 점수가 상기 표 4와 같이 할당되어 있다고 하는 경우, 합계 연산부(228)는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로 '180점'을 연산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초과 판단부(229)는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가 기설정된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는 스태커 크래인(200) 전체에 대해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1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는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제1 임계 값이 '150점'이라고 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는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경고 메시지 출력부(230)는 스태커 크레인(200)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 모터들 중 높은 신뢰도 점수를 갖는 구동 모터들이나 많은 수의 구동 모터들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된다면, 스태커 크레인(200) 전체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상기 제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스태커 크레인(200) 전반에 대해 점검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낮은 신뢰도 점수를 갖는 구동 모터들이나 적은 수의 구동 모터들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된다면, 해당 구동 모터들에 대해서만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상기 제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문제가 있는 구동 모터들에 대해서 신속하게 점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410)에서는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420)에서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계(S430)에서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한다.
단계(S440)에서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450)에서는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한다.
단계(S460)에서는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40)에서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이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응하는 제1 분할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의 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화소 값이 화재 발생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존재 비율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존재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상기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심각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속한 비율의 범위 값에 대응되는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의 화재 진화 순서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화재 심각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결정한 후 결정된 상기 화재 진화 순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단계(S450)과 단계(S460)의 동작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들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소비 전력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신뢰도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과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의 소비 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을 기초로 상기 소비 전력 테이블 내에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이 속해있는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에 대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가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응하는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가 기설정된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태커 크래인 전체에 대해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1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2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스태커 크레인
201: 소화제 분사부 202: 소화제 보관부
210: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211: 좌표 정보 저장부 212: 모니터링부
213: 촬영 이미지 수신부 214: 화재 발생 판단부
215: 이동 제어부 216: 화재 진화 제어부
217: 분할 이미지 생성부 218: 비율 확인부
219: 판단 처리부 220: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
221: 화재 심각도 정보 출력부 222: 스케줄링부
223: 소비 전력 테이블 유지부 224: 신뢰도 점수 테이블 유지부
225: 정보 수신부 226: 소비 전력 확인부
227: 고장 의심 상태 판단부 228: 합계 연산부
229: 초과 판단부 230: 경고 메시지 출력부

Claims (12)

  1.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 저장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촬영 이미지 수신부;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발생 판단부;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이동 제어부;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는 화재 진화 제어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들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소비 전력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소비 전력 테이블 유지부;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신뢰도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신뢰도 점수 테이블 유지부;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과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의 소비 전력 값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을 기초로 상기 소비 전력 테이블 내에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이 속해있는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소비 전력 확인부;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에 대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하는 고장 의심 상태 판단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가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응하는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를 연산하는 합계 연산부;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가 기설정된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초과 판단부; 및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태커 크레인 전체에 대해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1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판단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이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분할 이미지 생성부;
    상기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응하는 제1 분할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의 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화소 값이 화재 발생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하는 비율 확인부; 및
    상기 존재 비율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존재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상기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 처리부
    를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심각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속한 비율의 범위 값에 대응되는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심각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심각도 정보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의 화재 진화 순서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화재 심각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결정한 후 결정된 상기 화재 진화 순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상기 이동 제어부 및 상기 화재 진화 제어부의 동작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5. 삭제
  6. 소화제가 보관되어 있는 소화제 보관부와 상기 소화제 보관부로부터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 분사부가 구비된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 -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음 - 을 갖는 창고용 랙(rack)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고용 랙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제1 적재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창고용 랙의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 감지 카메라와 접속하여 상기 영상 감지 카메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좌표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에 대한 제1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상기 제1 좌표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따른 위치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공간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이동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할 것을 지시하는 소화제 분사 명령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구동 시간 값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들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소비 전력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신뢰도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으로부터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과 상기 스태커 크레인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의 소비 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태커 크레인의 누적 구동 시간 값을 기초로 상기 소비 전력 테이블 내에서 상기 누적 구동 시간 값이 속해있는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각각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구동 시간 값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 값이 상기 제1 정상 소비 전력 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에 대해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가 고장 의심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신뢰도 점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응하는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신뢰도 점수의 전체 합계가 기설정된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태커 크레인 전체에 대해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1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뢰도 점수의 합계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모터 각각에 대한 부분 고장임을 나타내는 제2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각각이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할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적재공간에 대응하는 제1 분할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들의 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에서 화소 값이 화재 발생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화소 값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존재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존재 비율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존재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상기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비율의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심각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존재 비율이 속한 비율의 범위 값에 대응되는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의 화재 진화 순서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의 화재 심각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결정한 후 결정된 상기 화재 진화 순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적재공간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화재 진화가 수행되도록 상기 이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소화제 분사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05704A 2018-09-05 2018-09-05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04A KR101975260B1 (ko) 2018-09-05 2018-09-05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04A KR101975260B1 (ko) 2018-09-05 2018-09-05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60B1 true KR101975260B1 (ko) 2019-05-07

Family

ID=6665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04A KR101975260B1 (ko) 2018-09-05 2018-09-05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441A (zh) * 2019-11-15 2020-02-18 广东伟创五洋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仓库设备系统
KR2022015723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KR102526642B1 (ko) * 2022-09-21 2023-04-28 주식회사 피케이에프 물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N116294325A (zh) * 2021-12-20 2023-06-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机组的控制方法、装置和冷凝机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04B1 (ko) * 2003-12-29 2006-07-03 정광우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KR101400143B1 (ko) * 2009-12-14 2014-05-30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시스템, 소화 유닛 및 자동 창고의 소화 방법
KR20150109830A (ko) * 2014-03-21 2015-10-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 오감지 영역이 제거된 화재 영역 선정 방법, 이를 이용한 물대포 발사 목표점 또는 발사 순서 선정 및 화재 진압 방법
KR101855057B1 (ko) * 2018-01-11 2018-05-04 셔블 테크놀러지(주)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04B1 (ko) * 2003-12-29 2006-07-03 정광우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KR101400143B1 (ko) * 2009-12-14 2014-05-30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시스템, 소화 유닛 및 자동 창고의 소화 방법
KR20150109830A (ko) * 2014-03-21 2015-10-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불꽃 오감지 영역이 제거된 화재 영역 선정 방법, 이를 이용한 물대포 발사 목표점 또는 발사 순서 선정 및 화재 진압 방법
KR101855057B1 (ko) * 2018-01-11 2018-05-04 셔블 테크놀러지(주)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441A (zh) * 2019-11-15 2020-02-18 广东伟创五洋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仓库设备系统
KR2022015723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KR102630003B1 (ko) 2021-05-20 2024-0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CN116294325A (zh) * 2021-12-20 2023-06-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机组的控制方法、装置和冷凝机组
KR102526642B1 (ko) * 2022-09-21 2023-04-28 주식회사 피케이에프 물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60B1 (ko)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8745B1 (ko)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5264B1 (ko) 소화제 저장소와 케이블베어로 연결된 스태커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화재 진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7203804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4444674B (zh) 基于电梯物联网的维保监控系统及方法
CN105939950B (zh) 群呼管理
CN105006082B (zh) 一种消防应急疏散二维码系统及其运行方法
CN113542014A (zh) 巡检方法、装置、设备管理平台及存储介质
CN113213052A (zh) 故障救援方法、设备以及系统
CN107250016A (zh) 用于操作电梯系统的方法
CN107006148A (zh) 元件安装装置及元件安装系统
WO202223520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hazard and for determining construction site progress
CN108083188B (zh) 臂架控制装置和方法、高空作业平台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95577B1 (ko) 테이블 게임에 사용되는 경고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N112390105A (zh) 电梯运行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3914653A (zh) 用于检查软件的方法及系统
KR102360941B1 (ko)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TWI839713B (zh) 故障救援方法、調度設備、搬運機器人以及機器人系統
CN110334974B (zh) 一种基于红外光幕监督的智能仓储管制系统
CN110378646A (zh) 管控异常玻璃基板的方法和玻璃基板生产控制系统
JP40289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H09272603A (ja) 消火機能付き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104360889A (zh) 一种驱动程序加载方法及装置
JP200901293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7809420A (zh) 一种建筑内火灾逃生指引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