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41B1 -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41B1
KR102360941B1 KR1020200088396A KR20200088396A KR102360941B1 KR 102360941 B1 KR102360941 B1 KR 102360941B1 KR 1020200088396 A KR1020200088396 A KR 1020200088396A KR 20200088396 A KR20200088396 A KR 20200088396A KR 102360941 B1 KR102360941 B1 KR 10236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drone
abnormal temperature
area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646A (ko
Inventor
백철진
천시후
오창근
오석이
이지성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4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by spraying extinguishants from the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영상 수집부; 영상 수집부를 통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시부; 및 화재 감시부와 연계하여,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살수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역 내 CCTV로 실시간 감지가 어려운 사각지대를 방지하여, 석탄설비구역 내 화재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 sprinkler driving Low-carbon using fire det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설비구역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며, 구역 내 CCTV로 실시간 감지가 어려운 사각지대가 많고, 석탄설비구역 내 화재예방용 설비가 환경적인 제약으로 인해 오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확한 감시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Conveyor Belt 운전 중 접근 불가로 과열개소 및 화재감시 등이 어려우며, 석탄설비구역의 전체 면적이 넓어 화재 및 기타 안전사고 발생 시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려워 즉각적인 대처가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감시 타워 및 드론에 장착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영상 수집부; 영상 수집부를 통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시부; 및 화재 감시부와 연계하여,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살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 수집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배치되는 화재 감시 타워에 설치되는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화재 감시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하는 드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관리부는,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을 따라 화재 감시용 드론의 비행 경로를 설정하되,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들이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비행 경로에 포함되도록, 비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시부는, 제1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관리부는, 화재 감시부가,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 감시용 드론 중 비행 경로를 따라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지 않으면, 비행 경로 변경 시,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가장 짧은 시간에 도달 가능한 화재 감시용 드론을 선별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도록 비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전체 지역에 자동 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동 살수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자동 살수용 드론에 장착되는 자동 살수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시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살수부에 화재 발생 메시지를 전달하고, 화재 발생 메시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은,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이,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이,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역 내 CCTV로 실시간 감지가 어려운 사각지대를 방지하여, 석탄설비구역 내 화재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영상 수집부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5는, 화재 감시부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6은, 화재 발생 메시지가 출력되는 출력부 화면이 예시된 도면,
도 7은, 자동 살수부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8은, 드론 관리부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9는, 드론 관리부의 동작 특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영상 수집부(100), 화재 감시부(200), 자동 살수부(300) 및 드론 관리부(400)를 포함한다.
영상 수집부(100)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집부(100)는,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을 24시간 실시간 감시하며,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화재 감시부(200)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화재 여부를 감시하기 위하여, 영상 수집부(100)를 통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동 살수부(300)는, 화재 감시부(200)와 연계하여,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자동 살수부(300)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복수의 살수 설비를 이용하여, 화재 감시부(200)에 의해, 이상 온도 감지 시, 화재 대응을 위하여, 이상 온도가 감지된 지역에 자동 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 관리부(400)는,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되는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살수 설비가 장착되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드론 관리부(400)는,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되는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살수 설비가 장착되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구성요소인 영상 수집부(100), 화재 감시부(200), 자동 살수부(300) 및 드론 관리부(400) 간의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 연결이 Mesh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모든 구성요소들은, 통신 수단이 마련되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구성요소들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영상 수집부(100)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영상 수집부(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수집부(100)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배치되는 화재 감시 타워에 설치되는 제1 열화상 카메라(110)와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열화상 카메라(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110)는, 석탄야적장, 석탄저장소, 저탄장 내 석탄 하역 시설, 석탄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송전선로, 시설 전원 스위치 등의 화재를 감시하기 위해, 화재 감시 타워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에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설치시 지정된 식별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되어, 위치 정보 또는 식별 정보가 매칭된 열화상 영상들은, 화재 감시 타워에 마련되는 유선 통신 수단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화재 감시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열화상 카메라(120)는, 드론 관리부(400)에 의해 설정되는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장착되어, 비행 중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에 대한 열화상 영상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열화상 카메라(120)는, 화재 감시 드론에 장착된 GPS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열화상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어, 위치 정보가 매칭된 열화상 영상들은, 화재 감시용 드론에 마련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화재 감시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화재 감시부(200)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6은, 화재 발생 메시지가 출력되는 출력부(240)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화재 감시부(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재 감시부(200)는, 영상 수집부(100)를 통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재 감시부(200)는, 제1 통신부(210), 제1 프로세서(220), 제1 저장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영상 수집부(100),자동 살수부(300) 및 드론 관리부(400)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통신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21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10)가 장착되는 화재 감시 타워에 마련되는 유선 통신 수단 또는 무선 통신 수단과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210)는, 제2 열화상 카메라(120)가 장착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마련되는 무선 통신 수단과 통신 연결되어, 제2 열화상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저장부(230)는, 제1 프로세서(22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이다.
제1 프로세서(220)는,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220)는, 이상 온도 발생 시, 열화상 영상에 매칭된 위치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220)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화재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 살수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면, 제1 프로세서(2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110)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열화상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되어,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220)에 의해 생성되는 화재 발생 메시지(즉시 알람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화재 발생 메시지에는, 열화상 영상,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의 시간별 온도 변화 및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자동 살수부(300)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살수부(300)는,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제1 자동 살수 설비(310) 및 제2 자동 살수 설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동 살수 설비(310)는, 별도로 마련되는 소방수 저장 탱크에 연결되어, 이상 온도 감지 시, 소방수가 공급되면, 소방수를 자동으로 살수하는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살수 설비로서,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전체 지역에 자동 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자동 살수 설비(310)들은, 배열된 열 또는 행에 따라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소방수 살수를 위한 공급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급 밸브는, 원격 제어 밸브이다.
그리고 자동 살수부(300)는, 화재 감시부에 판단에 따라 제1 자동 살수 설비(310)의 각각의 공급 밸브를 개별제어하기 위한 통신 장비 및 정보 처리 장비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자동 살수 설비(320)는, 자동 살수용 드론에 장착되는 소방수 저장 수단에 연결되어, 이상 온도 감지 시, 소방수가 공급되면, 소방수를 자동으로 살수하는 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살수용 드론은, 이상 온도 감지시, 드론 관리부(400)에 의해, 이상 온도가 감지된 지역으로 비행 경로가 설정되어, 해당 지역에 도달하면, 비행 중 소방수를 자동으로 살수하는 드론을 의미한다.
드론 관리부(400)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해당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자동 살수 설비(320)의 동작을 원격으로 명령할 수 있다.
도 8은, 드론 관리부(400) 구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9는, 드론 관리부(400)의 동작 특성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드론 관리부(4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드론 관리부(400)는, 열화상 카메라가 장착되는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살수 설비가 장착되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하기 위해, 제2 통신부(410), 제2 프로세서(420) 및 제2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410)는, 영상 수집부(100), 화재 감시부(200), 자동 살수부(300),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자동 살수용 드론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통신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410)는, 화재 감시부(200)로부터 이상 온도 발생 여부와 이상 온도가 감지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자동 살수용 드론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거나,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자동 살수용 드론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저장부(430)는, 제2 프로세서(42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이다.
제2 프로세서(420)는, 화재 감시용 드론 및 자동 살수용 드론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비행 운전 시, 드론별 화재 감시 또는 자동 살수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로세서(420)는,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을 따라 화재 감시용 드론의 비행 경로를 설정하되, 제1 열화상 카메라(110)의 촬영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들이 제2 열화상 카메라(120)의 관심 영역으로서, 제1 열화상 카메라(110)의 촬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비행 경로에 포함되도록, 비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420)는, 화재 감시부(200)가,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110)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 감시용 드론 중 비행 경로를 따라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지 않으면, 비행 경로 변경 시,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가장 짧은 시간에 도달 가능한 화재 감시용 드론을 선별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도록 비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구역 내 CCTV로 실시간 감지가 어려운 사각지대를 방지하여, 석탄설비구역 내 화재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은,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면(S1010),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0).
그리고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은,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030).
이를 통해, 석탄설비구역 내 전체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영상 수집부
110 : 제1 열화상 카메라
120 : 제2 열화상 카메라
200 : 화재 감시부
210 : 제1 통신부
220 : 제1 프로세서
230 : 제1 저장부
240 : 출력부
300 : 자동 살수부
310 : 제1 자동 살수 설비
320 : 제2 자동 살수 설비
400 : 드론 관리부
410 : 제2 통신부
420 : 제2 프로세서
430 : 제2 저장부

Claims (10)

  1.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 영상 수집부;
    영상 수집부를 통해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시부; 및
    화재 감시부와 연계하여,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살수부;를 포함하고,
    영상 수집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배치되는 화재 감시 타워에 설치되는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며,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화재 감시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하는 드론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드론 관리부는,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을 따라 화재 감시용 드론의 비행 경로를 설정하되,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들이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비행 경로에 포함되도록,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제2 열화상 카메라는,
    화재 감시용 드론의 GPS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에 위치 정보를 매칭하며,
    화재 감시부는,
    제1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하고,
    화재 감시부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 시, 제2 열화상 영상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의 위치를 판단하며,
    드론 관리부는,
    화재 감시부가,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 감시용 드론 중 비행 경로를 따라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지 않으면, 비행 경로 변경 시,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가장 짧은 시간에 도달 가능한 화재 감시용 드론을 선별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도록 비행 경로를 변경하며,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전체 지역에 자동 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자동 살수 설비를 구비하고,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자동 살수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자동 살수 설비를 더 포함하고,
    드론 관리부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자동 살수 설비의 살수 작업 동작을 원격으로 명령하고,
    화재 감시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살수부에 화재 발생 메시지를 전달하고,
    화재 발생 메시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에 마련되는 영상 수집부가,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의 열화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에 마련되는 화재 감시부가, 획득된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에 마련되는 자동 살수부가, 이상 온도 감지 시, 자동으로 살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영상 수집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배치되는 화재 감시 타워에 설치되는 제1 열화상 카메라; 및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화재 감시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며,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은,
    화재 감시용 드론의 경로 설정 및 비행 운전을 관리하는 드론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드론 관리부는,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을 따라 화재 감시용 드론의 비행 경로를 설정하되,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들이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로 비행 경로에 포함되도록,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제2 열화상 카메라는,
    화재 감시용 드론의 GPS 정보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열화상 영상에 위치 정보를 매칭하며,
    화재 감시부는,
    제1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하고,
    화재 감시부는,
    제2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이상 온도 발생 여부를 검증 시, 제2 열화상 영상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의 위치를 판단하며,
    드론 관리부는,
    화재 감시부가, 제1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열화상 카메라의 촬영 영역 중 석탄야적 또는 석탄취급 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서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 감시용 드론 중 비행 경로를 따라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는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임계 시간 미만인 화재 감시용 드론이 존재하지 않으면, 비행 경로 변경 시,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가장 짧은 시간에 도달 가능한 화재 감시용 드론을 선별하여,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도록 비행 경로를 변경하며,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전체 지역에 자동 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열과 행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자동 살수 설비를 구비하고,
    자동 살수부는,
    석탄야적장 및 석탄취급 전기설비시설 내 기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자동 살수용 드론에 장착되는 제2 자동 살수 설비를 더 포함하고,
    드론 관리부는,
    자동 살수용 드론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비행 경로를 설정하고,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자동 살수 설비의 살수 작업 동작을 원격으로 명령하며,
    화재 감시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살수부에 화재 발생 메시지를 전달하고,
    화재 발생 메시지는,
    이상 온도가 발생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방법.
KR1020200088396A 2020-07-16 2020-07-16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36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96A KR102360941B1 (ko) 2020-07-16 2020-07-16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96A KR102360941B1 (ko) 2020-07-16 2020-07-16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46A KR20220010646A (ko) 2022-01-26
KR102360941B1 true KR102360941B1 (ko) 2022-02-08

Family

ID=8005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96A KR102360941B1 (ko) 2020-07-16 2020-07-16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7264B (zh) * 2023-11-24 2024-03-08 济南金丰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矿综采工作面的监控信息集成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990B1 (ko) * 2016-02-26 2016-08-12 세안이엔씨 주식회사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KR102051863B1 (ko) * 2019-05-16 2019-12-06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경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574A (ko) * 2013-04-25 2014-11-04 (주)유타스 화재 오보 감소를 위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990B1 (ko) * 2016-02-26 2016-08-12 세안이엔씨 주식회사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KR102051863B1 (ko) * 2019-05-16 2019-12-06 주식회사 천일이앤씨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소방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46A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741B2 (en) Drone based security system
US6975225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EP32292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nauthorized intruders using drones integrated with a security system
US20200346057A1 (en) Fire Protection Robot for Controlling Fire Fighting Devices, Corresponding Fir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KR101178927B1 (ko)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1745598B1 (ko) 이상행동 탐지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CN109906614B (zh) 监视系统以及移动机器人装置
US20050024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calable multi-camera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urveillance system
CN106296045B (zh) 一种电网异物激光清除设备安全管理控制装置及方法
KR101756603B1 (ko) 드론을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20210018602A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79111A (zh) 一种用于森林防火的无人机巡查系统
CN106448036A (zh)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KR102360941B1 (ko)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CN112421778A (zh) 基于变电信息综合处理系统的联动方法及联动系统
KR20210123671A (ko) 드론 블랙박스 시스템 및 드론 모니터링 조치 방법
US11727778B2 (en) Thermographic detector device for a fire alarm control system
CN207883080U (zh) 一种视频火灾报警系统
KR101447689B1 (ko) 화재수신반 원격감시 시스템
KR101901498B1 (ko)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KR20040044575A (ko)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100719505B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200411295Y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JP2016116003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