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498B1 -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98B1
KR101901498B1 KR1020160183504A KR20160183504A KR101901498B1 KR 101901498 B1 KR101901498 B1 KR 101901498B1 KR 1020160183504 A KR1020160183504 A KR 1020160183504A KR 20160183504 A KR20160183504 A KR 20160183504A KR 101901498 B1 KR101901498 B1 KR 10190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mage
abnormality
path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593A (ko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이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환 filed Critical 이지환
Priority to KR102016018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4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검토수단과; 중계수단; 및 영상저장수단; 을 포함하여, 쉽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을 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어떤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유지보수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SYSTEM FOR ABNORMALITY DETECTION NETWORK BANDWIDTH}
본 발명은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쉽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을 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어떤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유지보수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TV와 같은 카메라에 네트워크를 접목한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는 카메라에 라우터나 공유기 등을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이 연결된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감시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카메라는 모니터링하는 관제 센터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카메라는 부품의 열화, 낙뢰 등과 같은 자연재해, 전력공급의 장애, 네트워크 오류 등으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하거나,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원활하게 전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카메라 주위에 유지보수 담당자가 상주하지 않으므로관제 센터에서 근무하는 운용자가 영상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장애 발생을 인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운용자는 구체적인 장애 발생 부위를 특정할 수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의 제조사 등에 장애 발생 사실을 알리면서 지원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원을 나가는 A/S 기사 등 또한 구체적인 장애 발생 부위나 원인을 알지 못한 상태로 현장에 출동함으로써 1차적으로 진단을 하여 발생 부위 및 원인을 파악한 후 관련 구성부품을 구비한 다음, 다시 카메라 설치 지역으로 출동하여 장애가 발생한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장애를 복구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등에서는 관제 센터 근무자가 카메라의 장애 부위 내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 복구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단순히 카메라 자체의 장애 부위만 파악할 수 있을 뿐, 카메라의 장애 부위를 파악하는 장비에 대한 고장 발생이나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네트워크 문제의 경우 네트워크의 최대 전송대역폭이라는 제한사항으로 인하여 카메라와 관제 센터, 중간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가 아닌 경우에도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즉,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되는 촬영영상,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영상데이터는 동영상 실시간 전송과 유사한 통신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영상의 연속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큰 전송 대역폭뿐만 아니라 대역폭의 품질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관제 센터에서 취합하여 모니터링 하게 되며, 따라서 네트워크 측면에서 카메라로부터 센터 측 단계로 넘어갈수록 데이터가 집중되어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을 이루는 네트워크 단계 중 어느 하나에서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을 단시간이라도 초과(네트워크 대역 이상)하게 되면 촬영영상의 전송이 끊기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불규칙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단순한 현장 장비나 관제 센터 장비를 점검해서는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26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쉽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어떤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유지보수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연결되는 검토수단과; 상기 검토수단에 연결되는 중계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촬영영상을 상기 중계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촬영영상의 이상 여부를 검토하여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촬영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검토수단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한 검토결과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중계수단의 네트워크 대역 이상으로 판단하는 영상저장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계수단은 다수가 사용되고, 상기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기저장하는 경로저장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고, 상기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며, 파악된 네트워크 경로와 상기 경로저장수단에 기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이 파악한 네트워크 경로와 상기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는 그래픽화되어 비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이 파악한 네트워크 경로는, 상기 영상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까지의 제1 네트워크 경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저장수단까지의 제2 네트워크 경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검토수단은 서로 각각 대응되는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검토수단의 이상 발생시,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토수단의 남는 채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하고,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중계수단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쉽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어떤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유지보수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가 수행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1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1 네트워크 경로 및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은 크게 네트워크 카메라(10), 검토수단(20), 중계수단(30) 및 영상저장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카메라(10)는 IP(Internet Protocol)카메라라고도 불리며, 별도의 녹화기가 없어도 손쉽게 일정 장소를 감시할 수 있고 인터넷이 연결된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감시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카메라(10)는 다수 운용이 가능하다.
검토수단(20)은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검토수단(20)은 하기에 서술하는 영상저장수단(40)의 제어에 따라 촬영영상을 검토하라는 명령이 있을 경우에만 촬영영상을 검토하게 되며, 이러한 명령이 없는 경우 단순히 촬영영상이 검토수단(20)을 거쳐서 하기의 중계수단(30)으로 전달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검토수단(20)이 촬영영상을 검토하는 것과 관련하여 영상저장수단(40)의 제어 외에 별도의 제어명령,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검토수단(20)이 촬영영상을 검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토수단(20)은 네트워크 카메라(10)나 중계수단(30)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카메라(10)와 중계수단(30) 사이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중계수단(30)은 검토수단(2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실질적으로는 검토수단(20)과 영상저장수단(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중계수단(30)은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장치, 예를 들어 라우터(Router)나 공유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계수단(30)은 검토수단(20)과 영상저장수단(40) 사이에서 하나만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가 직렬이나 병렬, 또는 직렬과 병렬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저장수단(40)은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중계수단(30)을 통해 전달받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영상저장수단(40)이, 중계수단(30)으로부터 전달된 촬영영상, 다시 말해서 제1 촬영영상의 이상 여부를 검토하여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전술한 검토수단(20)을 통해 제1 촬영영상과는 다른 영상, 즉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의해 새롭게 촬영된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한다. 즉, 제1 촬영영상은 영상저장수단(40)에서 가장 먼저 검토하게 되며, 그 결과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검토수단(20)으로 하여금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여 검토결과를 전송받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검토수단(20)을 통해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한 결과에서도 이상이 있다면, 이는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면 중계수단(30)의 네트워크 대역 이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중계수단(30)의 네트워크 대역 이상인 경우 카메라의 촬영영상과 같은 큰 대역폭의 데이터는 전송이 어렵지만 대역폭이 작은 데이터, 예를 들어 단순 텍스트 데이터 등은 전송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역폭이 작은 데이터를 통해 검토수단(20)이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지시하거나, 검토수단(20)이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한 검토결과를 영상저장수단(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수단(30)으로부터 전달된 제1 촬영영상을 검토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이를 영상저장수단(40)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저장수단(40)은,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는 네트워크상에 설치된 카메라나 비디오 서버의 영상 녹화, 모니터링, 이벤트 관리, 재생 등을 위한 장비로서, 네트워크 카메라(10)를 통해 디지털 영상을 전송받아 압축 저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은 그 구성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경로저장수단(50)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
먼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영상저장수단(40)이 제1 촬영영상의 이상 여부를 검토하고,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검토수단(20)을 통해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구성되는데, 검토수단(20)을 통해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한 결과 마찬가지로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다면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면, 다시 말해서 영상저장수단(40)에서는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다고 검토되었으나, 검토수단(20)에서는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고 검토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이상이 아닌 중계수단(30)에 이상(오류)이 발생, 즉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상 네트워크 문제의 대부분은 중계수단(30)의 오류, 특히 네트워크 대역 이상일 가능성이 큰데, 중계수단(3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어떤 중계수단(30)에서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인지 파악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영상저장수단(40)과 네트워크 카메라(10)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기저장하는 경로저장수단(50)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30)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의 구축시 네트워크 경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하게 되며, 네트워크 망 공급 서비스 업체를 통해 공개된 네트워크 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이피(IP) 주소가 바뀔 때마다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하여 경로저장수단(50)에 새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계수단(30)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영상저장수단(40)의 검토 결과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고, 검토수단(20)의 검토 결과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고 검토되는 경우, 영상저장수단(40)은 영상저장수단(40)으로부터 네트워크 카메라(10) 사이의 현재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된 현재의 경로정보와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던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30)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카메라(10)와 검토수단(20)은 서로 각각 대응되는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에, 검토수단(20)이 고장난 경우,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토수단(20)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검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는 검토수단(20)의 인근에 위치한 다른 검토수단(20)에서 남는 채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하여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검토수단(20)을 대신하여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검토수단(20)의 고장 여부는 검토수단(20)이 자기체크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하여 고장 여부를 체크하거나, 시스템 관리자가 별도의 장비를 통해 검토수단(20)의 고장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가 수행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로저장수단(50)에는 미리 파악한 네트워크 경로정보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촬영에 따라 생성된 제1 촬영영상은 검토수단(20)으로 전달(S10)되고, 검토수단(20)은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촬영영상을 곧바로 중계수단(30)으로 전달(S20)한다.
그리고, 중계수단(30)에 전달된 제1 촬영영상은 영상저장수단(40)으로 전달(S30)되며, 영상저장수단(40)은 제1 촬영영상의 이상 유무를 검토(S40)하게 된다.
검토 결과,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면 영상저장수단(40)은 제1 촬영영상을 저장(S50)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만약,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다면, 영상저장수단(40)에서는 검토수단(20)이 제1 촬영영상과 다른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검토수단(20)은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의해 새롭게 촬영된 제2 촬영영상이 전달(S60)되면 이의 이상 유무를 검토(S70)하여 검토 결과를 영상저장수단(40)으로 전송하게 되고, 검토 결과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이상으로 판단(S80)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영상저장수단(40)이 수행하게 되나, 검토수단(20)이 자체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까지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되며, 이러한 제1 실시예에 이어서 검토수단(20)을 통해 검토한 결과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검토수단(20)과 영상저장수단(40)의 사이, 즉 중계수단(3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토수단(20)의 검토 후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다면, 영상저장수단(40)은 현재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S90)하게 된다.
이때, 시스템의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파악하여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하거나, 현재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명령어, 예를 들어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인 트레서트(Tracert)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경로의 파악은, 영상저장수단(40)으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까지, 즉 도 1의 (a)나 도 2의 (a)상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제1 네트워크 경로)할 수도 있고, 반대로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시작하여 영상저장수단(40)까지 도 1의 (a)나 도 2의 (a)상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제2 네트워크 경로)할 수도 있다.
이에,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하고자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할 때나 현재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할 때 제1 네트워크 경로 및 제2 네트워크 경로를 모두 파악하도록 하여 좀 더 신뢰성 있게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파악된 현재 네트워크 경로와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 정보를 비교(S100)하여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30)을 검출(S110)하게 된다.
도 4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1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는 영상저장수단(40)이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 경로, 즉 영상저장수단(40)으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까지 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중계수단(30-1, 30-2)은 두 개가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셋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의 (a)와 같이 제1 네트워크 경로에 이상이 없다면 영상저장수단(40)으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까지 네트워크 경로가 파악되며, 이는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동일하다.
그런데, 제1 네트워크 경로에 문제가 있다면, 즉 도 4의 (b)와 같이 영상저장수단(40)으로부터 시작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까지 도달하기 전에 특정 중계수단, 예를 들어 중계수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중계수단(30-1) 이후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할 수 없게 되며, 이는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중계수단(30-1)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파악된 제1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경로정보의 비교시 그래픽화, 예를 들어 도 4의 (a), (b)와 같이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을 도형과 같은 그림 형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의 제1 네트워크 경로를 그림이나 도형 등으로 그래픽화하여 나타내도록 하고,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던 네트워크 경로정보 또한 그래픽화하여 그림이나 도형 등으로 나타내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손쉽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30-1)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의 (a)에서는 도 4의 (a)와는 반대로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시작하여 영상저장수단(40)까지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는 상태, 즉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진행하여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제2 네트워크 경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 도 5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중계수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중계수단(30-1)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 및 (b)는 영상저장수단이 제1 네트워크 경로 및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고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의 (a)에서는 전술한 도 4의 (a)의 제1 네트워크 경로와 도 5의 (a)의 제2 네트워크 경로를 모두 파악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제1 및 제2 네트워크 경로에 이상이 없다면 경로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와 동일한 네트워크 경로가 파악된다.
그런데, 도 4의 (a)나 도 5의 (a)와 같이 중계수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중계수단(30-1)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1 네트워크 경로나 제2 네트워크 경로 중 어느 하나만 파악하더라도 해당 중계수단(30-1)을 검출할 수 있지만, 중계수단(30-1, 30-2)이 모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경로만 파악해서는 중계수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중계수단(30-1)에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게 되고, 반대로 제2 네트워크 경로만 파악해서는 중계수단(30-1, 30-2) 중 다른 하나의 중계수단(30-2)에만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네트워크 경로를 모두 파악하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중계수단(30-1, 30-2) 중 어느 하나의 중계수단(30-1)에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하였고, 제2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 중계수단(30-1, 30-2) 중 다른 하나의 중계수단(30-2)에도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장비, 즉 검토수단(20)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고, 검토수단(20)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중계수단(30)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 로컬 CCTV 시스템은 로컬 시공사, 통신망은 통신사, 센터 CCTV 시스템은 센터 시공사 등과 같이 각각 이상이 발생한 부위별로 유지보수 담당자가 다른 경우가 많다.
이에, 이상이 발생한 부분이 네트워크 카메라(10)인지 중계수단(30)인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해당 장비나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 즉 유지보수 담당자가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PDA, 컴퓨터 등을 통해 호출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애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네트워크 카메라 20: 검토수단
30, 30-1, 30-2: 중계수단 40: 영상저장수단
50: 경로저장수단

Claims (6)

  1.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연결되는 검토수단과;
    상기 검토수단에 연결되는 중계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촬영영상을 상기 중계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촬영영상의 이상 여부를 검토하여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촬영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검토수단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한 검토결과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중계수단의 네트워크 대역 이상으로 판단하는 영상저장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중계수단은 다수가 사용되고,
    상기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기저장하는 경로저장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제1 촬영영상에 이상이 있고 상기 제2 촬영영상에 이상이 없는 경우, 네트워크 대역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저장수단과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며, 파악된 네트워크 경로와 상기 경로저장수단에 기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네트워크 대역 이상이 발생한 중계수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이 파악한 네트워크 경로와 상기 경로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경로정보는 그래픽화되어 비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이 파악한 네트워크 경로는,
    상기 영상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까지의 제1 네트워크 경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저장수단까지의 제2 네트워크 경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검토수단은 서로 각각 대응되는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검토수단의 이상 발생시,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검토수단의 남는 채널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제2 촬영영상을 검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수단은,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하고,
    상기 검토수단에 의한 제2 촬영영상의 검토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중계수단의 유지보수 담당자를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6. 삭제
KR1020160183504A 2016-12-30 2016-12-30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KR10190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04A KR101901498B1 (ko) 2016-12-30 2016-12-30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04A KR101901498B1 (ko) 2016-12-30 2016-12-30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3A KR20180078593A (ko) 2018-07-10
KR101901498B1 true KR101901498B1 (ko) 2018-09-21

Family

ID=6291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04A KR101901498B1 (ko) 2016-12-30 2016-12-30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26B1 (ko) * 2018-01-26 2020-06-25 지엘디앤아이에프 주식회사 허니팟이 적용된 망 분리 시스템
KR102664712B1 (ko) * 2024-03-13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KR102664713B1 (ko) * 2024-03-14 2024-05-10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l2 스위치를 활용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의 장애 대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864A (ja) * 2009-08-07 2011-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システム
KR101119842B1 (ko) * 2011-09-02 2012-02-28 (주)리얼허브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소스 영상 장애 판별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록매체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587B2 (en) * 2004-01-30 2009-09-01 Microsoft Corporation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KR20080007748A (ko) * 2006-07-1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통신 선로 감시방법
JP2009260616A (ja) * 2008-04-16 2009-11-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Cctv設備状態監視システム
KR101195703B1 (ko) * 2012-03-08 2012-10-29 (주)가디엘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1625606B1 (ko) * 2014-08-14 2016-06-13 (주)인펙비전 Cctv 관리 시스템
KR20160071748A (ko) * 2014-12-12 2016-06-22 이봉헌 장애 보수가 용이한 영상전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864A (ja) * 2009-08-07 2011-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システム
KR101119842B1 (ko) * 2011-09-02 2012-02-28 (주)리얼허브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소스 영상 장애 판별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록매체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3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9847B (zh) 视频监控网络的视频诊断和运维管理系统及方法
CN102387038B (zh) 基于视频检测及综合网管的网络视频故障定位系统及方法
CN112866004B (zh) 控制面设备的切换方法、装置及转控分离系统
KR101901498B1 (ko)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US201102709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trace events of a network device
KR101205265B1 (ko)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1685950B1 (ko)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올인원 녹화 장치
JP2015229224A (ja) 産業用ロボット
JP2016116003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6332733A (ja) カメラ画像を利用した監視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
US11165602B2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KR101979639B1 (ko) 장애 관리를 지원하는 영상 감시 장치
KR102204287B1 (ko) 망 장비의 교점 정보를 이용하여 망 장애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360941B1 (ko)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521223B1 (ko) Cctv카메라 네트워크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및 장치
US64842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transmission link
JP5005425B2 (ja) 制御装置復帰システム
JP2019009714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
JP5241870B2 (ja) 画像記録装置の故障監視装置
KR101119842B1 (ko)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소스 영상 장애 판별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록매체
CN106327836A (zh) 一种基于供电状态与网络状态在线监控上传的摄像机
JP6204397B2 (ja) 通信機、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66401B1 (ko)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WO2001056294A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