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565B1 - 크레인용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565B1
KR101974565B1 KR1020170105494A KR20170105494A KR101974565B1 KR 101974565 B1 KR101974565 B1 KR 101974565B1 KR 1020170105494 A KR1020170105494 A KR 1020170105494A KR 20170105494 A KR20170105494 A KR 20170105494A KR 101974565 B1 KR101974565 B1 KR 10197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eave
wire
horizontal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476A (ko
Inventor
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0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5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빔; 상기 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빔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시브; 상기 한 쌍의 시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평조절부재; 및 상기 빔의 양쪽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빔의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시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빔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후크 장치{Hook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산업현장에서 제품을 적재 또는 출고하는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후크 장치는 그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하고 작동에서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후크 장치는 크레인 등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제철공장에서는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용선, 용강 등의 용융물을 수용하는 래들을 이동시킨다. 천장 크레인은 래들의 외측벽에 구비된 트러니온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장치를 구비한다.
후크 장치는 한 쌍의 후크와, 후크를 연결하는 빔과, 빔의 양쪽에 구비되는 시브를 포함하고, 와이어를 통해 천장 크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의 길이 조절을 통해 빔의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후크를 래들의 양쪽에 구비되는 트러니언에 체결하고,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래들을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반복되는 작업으로 와이어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빔 양쪽에서 와이어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빔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이 경우 후크가 트러니언에 제대로 체결되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크가 트러니언에 체결된 경우에는 래들의 하중이 빔의 어느 한 쪽으로 하중이 편중되어 와이어의 피로 하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와이어의 조기에 마모되거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0244984 U KR 2015-0002019 U
본 발명은 수평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빔; 상기 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빔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시브; 상기 한 쌍의 시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평조절부재; 및 상기 빔의 양쪽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기 시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시브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상기 시브를 연결하는 조절암; 및 상기 조절암을 상기 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한 쌍의 로드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로드와 상기 조절암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의 타측은 상기 시브를 상기 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지지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로드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암은, 상기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수직부와, 상기 시브와 연결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한 쌍의 로드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빔의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시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빔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시브의 하중을 이용하여 시브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후크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변경하여 빔의 수평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투자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장치를 적용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조절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중량물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래들을 이송하기 위해 천장 크레인에 설치되는 후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후크 장치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이나 기중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장치를 적용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크 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레인은 조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예컨대 제강 공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천장 크레인(20)은 래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제강 공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레일(10)을 상부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천장 크레인(20)은 레일(10) 상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크레인 몸체(21)와, 크레인 몸체(21)에 설치되는 와이어 드럼(22)과, 후크 장치(30) 및 와이어 드럼(22)과 후크 장치(30)를 연결하는 와이어(2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드럼(22)은 와이어(23)를 권취 및 권출하여 와이어(2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후크 장치(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후크 장치(30)는 래들(40)의 트러니언(42)에 체결할 수 있는 한 쌍의 후크(34)와, 한 쌍의 후크(34)를 지지하는 빔(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빔(32)의 양쪽은 와이어(23)에 연결된 상태를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래들(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한 쌍의 후크(34)와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이 어느 한 쪽, 예컨대 와이어(23)의 길이가 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빔(32)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져 빔(32)의 일측과 타측은 와이어(23)의 길이 차이 정도의 높이(x) 차이를 갖게 된다. 이에 한 쌍의 후크(34)를 래들(40)의 외측에 구비되는 트러니언(42)에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후크(34)를 트러니언(42)에 체결한 경우 래들(40)을 들어올릴 때 래들(40)의 하중이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빔(32)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중된 쪽의 와이어(23)에 하중이 집중되어 와이어(23)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와이어(23)의 마모가 가속되거나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빔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빔의 수평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크 장치를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구성하는 수평조절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3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빔(310)과, 빔(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빔(310)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시브(320)와, 한 쌍의 시브(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평조절부재(340) 및 빔(310)의 양쪽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빔(310)은 크레인 몸체(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빔(310)은 래들(40)의 트러니언(42)에 체결되는 후크(330)를 지지하기 때문에 대략 래들(40)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빔(3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시브(320), 수평조절부재(3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빔(310)의 상부는 와이어(23)가 통과하는 영역만 개방될 수도 있고, 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빔(310) 자체의 하중을 줄여 와이어(23)나 크레인 몸체(21)에 인가되는 부하를 저감시켜 줄 수 있다.
시브(sheave, 320)는 롤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와이어(23)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시브(320)는 와이어 드럼(22)과 빔(310)을 연결해주고, 와이어(23)의 길이를 조절할 때 회전하여 와이어(23)와의 마찰을 저감시켜줄 수 있다.
시브(320)는 빔(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빔(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시브(320)는 지지핀(322)에 의해 빔(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핀(322)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빔(3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빔(310)에는 지지핀(322)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312)는 빔(310)의 수평도를 조절하기 위해 시브(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빔(310)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연결구(312)를 따라 시브(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빔(3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빔(310)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의 차이가 크기 않은 경우에는 시브(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빔(310)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와이어(23)의 길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와이어 드럼(22)을 이용하여 와이어(23)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브(320)는 빔(310)의 양쪽에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시브(320)는 빔(310)의 양쪽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은 하나의 지지핀(322)을 이용하여 빔(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시브(320)는 서로 다른 와이어(23)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340)는 빔(31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시브(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340)는 시브(3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빔(310)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340)는 시브(32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로드(342)와, 한 쌍의 로드(342)와 시브(3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암(344) 및 조절암(344)을 빔(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핀(348)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342)는 빔(3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로드(342)는 빔(3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로드(342)는 시브(320)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드(342)는 빔()의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342)의 양단에는 조절암(344)과 연결을 위한 제1통공(342a)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암(344)은 한 쌍의 로드(342) 및 시브(3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절암(344)은 한 쌍의 로드(342)와 연결을 위한 수직부(3442)와, 시브(320)와 연결을 위한 수평부(3441)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직부(3442)와 수평부(344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암(344)은 대략 삼각형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3442)에는 로드(342)와 연결을 위한 2개의 제2통공(345a)이 형성될 수 있고, 수평부(3441)에는 시브(320)와 연결을 위한 제3통공(345b)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암(344)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로드(342) 및 시브(320)와 연결을 위한 3개의 통공(345a, 345b)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암(344)은 로드(3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로드(342)에 형성되는 제1통공(342a)과 조절암(344)에 형성된 제2통공(345a)에 체결핀(346)을 삽입하여 로드(342)와 조절암(344)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시브(320)를 빔(310)에 연결하는 지지핀(322)을 제3통공(345b)에 삽입하여 조절암(344)과 시브(3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조절암(344)의 수직부(3442)에는 고정핀(348)을 삽입하기 위한 제4통공(345c)이 형성될 수 있고, 제4통공(345c)은 제2통공(345a) 사이, 예컨대 2개의 제2통공(345a) 사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통공(345a)과 제4통공(345c)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조절암(344)의 회전시 로드(342)가 수평을 유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핀(348)은 빔(310)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로드(342)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빔(310)에는 고정핀(348)을 이용하여 조절암(344)을 빔(3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핀(348)을 고정구(314) 및 제4통공(345c)에 삽입하여 조절암(344)을 빔(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시브(320)에 걸리던 무게 중심이 고정핀(348)으로 이동하게 되고, 한 쌍의 로드(342)가 조절암(344)을 지지하기 때문에 빔(310)의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조절암(344)의 수평부(344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빔(310)의 양쪽에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에 따라 수평조절부재(340)는 고정핀(348)을 중심으로 조절암(344)이 회전하여 수평부(344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부(3441)에 연결된 시브(320)를 연결구(3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핀(348)을 중심으로 조절암(344)이 회전하면, 한 쌍의 로드(342)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로드(34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로드(342)가 고정핀(348)에 의해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에 빔(310)의 양쪽에서 시브(320)에 연결되는 와이어(23)의 길이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수평조절부재(340)에 의해 시브(320)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빔(310)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후크(330)는 빔(310)의 하부 양쪽에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크(3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철판을 겹쳐서 제작된 라미네이트 후크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빔(310)의 왼쪽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 "제1"을 부여하고, 오른쪽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 "제2"를 부여하여 언급한다.
먼저, 도 5는 빔(310)의 양쪽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23a)와 제2와이어(23b)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어, 빔(31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빔(310)의 양쪽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23a) 및 제2와이어(23b)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1조절암(344a) 및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는 수직상태를, 수평부(3441)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시브(320a) 및 제2시브(320b)에 연결된 제1지지핀(322) 및 제2지지핀(322)은 각각 제1연결구(312a)와 제2연결구(312b)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로드(342)가 조절암(344)을 지지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시브(320)에서 고정핀(348)으로 이동하여 수평부(344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빔(310)의 왼쪽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23a)의 길이가 오른쪽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23b)의 길이보다 긴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후크장치는 빔이 와이어의 길이가 긴 왼쪽으로 편중되어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와이어(23a)가 제2와이어(23b)에 비해 길면, 제1시브(320a)의 하중에 의해 제1시브(320a)가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320a)는 제1연결구(3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시브(320a)가 하향 이동하면, 제1시브(320a)에 연결된 제1조절암(344a)은 제1고정핀(348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조절암(344a)의 수평부(3441)가 제1시브(320a)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조절암(344a)이 회전하면, 제1조절암(344a)의 수직부(3442)는 제1고정핀(348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로드(342)는 제1고정핀(348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 변화없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로드(342)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로드(342)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342)가 이동하게 되면, 로드(342)와 연결된 제2조절암(344b)이 제2고정핀(348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로드(342)가 이동하면서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 하부를 외측으로 밀고,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 상부를 내측으로 당겨 제2조절암(344b)의 수평부(3441)를 상향 이동시게 된다. 이때, 제1조절암(344a)의 수직부(3442)와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는 제1와이어(23a)와 제2와이어(23b)의 길이 차이의 약 1/2정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시브(320a)와 제2시브(320b)는 제1와이어(23a)와 제2와이어(23b)의 길이 차이의 약 1/2정도 높이 차이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고, 빔(310)은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7은 빔(310)의 오른쪽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23b)의 길이가 왼쪽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23a)의 길이보다 긴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후크장치는 빔이 와이어의 길이가 긴 오른쪽으로 편중되어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와이어(23b)가 제1와이어(23a)에 비해 길면, 제2시브(320b)의 하중에 의해 제2시브(320b)가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시브(320b)는 제2연결구(3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시브(320b)가 하향 이동하면, 제2시브(320b)에 연결된 제2조절암(344b)은 제2고정핀(348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조절암(344b)의 수평부(3441)가 제2시브(320b)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조절암(344b)이 회전하면,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는 제2고정핀(348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로드(342)는 제2고정핀(348b)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 변화없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로드(342)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로드(342)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342)가 이동하게 되면, 로드(342)와 연결된 제1조절암(344a)이 제1고정핀(348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로드(342)가 이동하면서 제1조절암(344a)의 수직부(3442) 하부를 외측으로 밀고,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 상부를 내측으로 당겨 제1조절암(344a)의 수평부(3441)를 상향 이동시게 된다. 이때, 제1조절암(344a)의 수직부(3442)와 제2조절암(344b)의 수직부(3442)는 제1와이어(23a)와 제2와이어(23b)의 길이 차이의 약 1/2정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1시브(320a)와 제2시브(320b)는 제1와이어(23a)와 제2와이어(23b)의 길이 차이의 약 1/2정도 높이 차이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고, 빔(310)은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빔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에 차이가 나는 경우 와이어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빔의 수평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300: 후크장치 310: 빔
320: 시브 330: 후크
340: 수평조절부재

Claims (7)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빔;
    상기 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빔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시브;
    상기 한 쌍의 시브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평조절부재; 및
    상기 빔의 양쪽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빔은 상기 시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기 한 쌍의 시브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로드;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상기 시브를 연결하는 조절암; 및
    상기 조절암을 상기 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한 쌍의 로드 사이에 배치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조절암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의 타측은 상기 시브를 상기 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지지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암은,
    상기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수직부와, 상기 시브와 연결하기 위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한 쌍의 로드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에 연결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KR1020170105494A 2017-08-21 2017-08-21 크레인용 후크 장치 KR10197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94A KR101974565B1 (ko) 2017-08-21 2017-08-21 크레인용 후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94A KR101974565B1 (ko) 2017-08-21 2017-08-21 크레인용 후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76A KR20190020476A (ko) 2019-03-04
KR101974565B1 true KR101974565B1 (ko) 2019-05-02

Family

ID=6575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94A KR101974565B1 (ko) 2017-08-21 2017-08-21 크레인용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593B1 (ko) 2020-03-03 2022-04-14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장치 및 레일 변형량 측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92Y1 (ko) *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093A (en) 1991-05-13 1993-04-20 Emerson Electric Co. Plug-in hub ring
KR102032969B1 (ko) 2013-06-28 2019-10-16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92Y1 (ko) *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76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565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US6375242B1 (en) Load clipping device for crane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US20210114848A1 (en) Cantilevered lifting beam system
US3513987A (en) Three-crane lifting beam
EP3431434A1 (en) Hoisting arrangement and hoisting cage
CN109132837B (zh) 自动调整吊具平衡的钢丝绳缠绕系统
JP2011121667A (ja) 屋内クレーンの施工方法及び装置
CN104192738A (zh) 起重机及其臂架、副臂支撑装置
JP2011213468A (ja) 平面位置アジャスト吊り治具
CN110844806A (zh) 一种起重机副臂安装设备
KR20150059265A (ko) 크레인
JP2002356296A (ja) 門型クレーン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JP2007182270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ユニットの吊り治具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101112128B1 (ko)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KR20180076608A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JP2021008362A (ja) 重量物の荷役方法
JP4762096B2 (ja) 門型クレーン
JP2007153555A (ja) 重量資材の吊下補助装置
RU22253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ращивания башни
TWM575804U (zh) Crane suspension system
CN212639665U (zh) 一种吊具结构及架梁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