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492Y1 -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492Y1
KR200204492Y1 KR2020000017972U KR20000017972U KR200204492Y1 KR 200204492 Y1 KR200204492 Y1 KR 200204492Y1 KR 2020000017972 U KR2020000017972 U KR 2020000017972U KR 20000017972 U KR20000017972 U KR 20000017972U KR 200204492 Y1 KR200204492 Y1 KR 200204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oil
crane
switch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로프의 장력차이를 이용하여 후크의 걸림상태, 와이어로프의 연신, 후크빔의 변형 등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작업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대형설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햐여 본 고안은 상부시브(1)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2)의 장력에 따라 시브(21)가 확축되면 실린더(11)내의 피스톤(12,12-1)이 작동유(13)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피스톤(12-1)가 급유관(18,18-1)을 통해 흡입 또는 배출되는 작동유(19)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실린더부(15,16)와; 상기 실린더부(15,16) 사이에 설치된 천칭박스(52)에 내장되어 상기 급유관(18,18-1)과 연결된 오일탱크(30,31)에 무게편차가 발생되면 천칭몸체(36)가 천칭축(3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시바늘(58)이 지시판(51)의 위험을 가리키고, 푸시롤(32-1)이 캠(33)을 따라 움직이면서 최저점에 이르면 푸시스위치(32)가 작동되는 천칭부(50)와; 상기 천칭박스(52)에 내장되어 상기 오일탱크(30,31)가 무게편차에 의해 회전되면 천칭기어(45)와 치결합하는 스위치기어(44)가 스위치축(4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단자(42)가 고정단자(43)와 접촉되는 감지부(40,40-1)와; 상기 푸시스위치(32)의 작동에 의해 경보램프(62) 및 경보부저(63)가 작동되고, 상기 감지부(40,40-1)의 작동에 따라 경고등(65,64)이 점등되는 시그널판넬(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Device for checking condition of crane}
본 고안은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강래들의 권상을 위해 기중기의 후크를 래들트러니언에 거는 과정에서 후크가 래들트러니언에 정확히 취부되었는지의 여부와, 와이어로프의 장력편차 유무를 자동 확인할 수 있는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강 또는 용선을 담은 래들(5)은 래들카(8)에 의해 운반되고, 다시 기중기(10)에 의해 권상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래들(5)의 권상을 위해 기중기(10)의 후크(4)를 래들(5)의 후크트러니언(7)에 걸게 되는데, 그 후크의 걸림상태를 지상의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후 운전자에게 수신호 및 무선신호로 알리게 된다.
그러나, 지상의 작업자는 열악한 작업장의 여건상 목측확인시간을 지체하게 되고, 더욱이 정확한 목측확인이 어려워 순간적인 판단착오, 혼동, 미확인 등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후크빔(3)과 와이어로프(2)의 흔들림 등으로 후크(4)의 걸림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하여 후크를 다시 거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운전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일뿐 육안확인에 의한 정확한 판단은 아니다.
따라서, 작업자나 운전자 모두 후크트러니언(7)에 걸리는 후크(4)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한 채 기중기(10)를 이용하여 래들(5)을 권상할 경우 후크가 후크트러니언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래들이 지상으로 추락하는 대형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용선장입시 전로와 래들(5)의 경동속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래들의 펠리칸마우스(Pelican Mouth)가 전로의 마우스링(Mouth Ring)에 고착된 지금에 걸리면서 후크(4)가 후크트러니언(7)으로부터 이탈되어도 작업자에 의해 발견되지 못하면 상기와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의 장력차이를 이용하여 후크의 걸림상태, 와이어로프의 연신, 후크빔의 변형 등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작업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대형설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중기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중 실린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중 천칭부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후크체결불량시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6은 와이어로프의 장력편차시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와이어로프 3: 후크빔
4: 후크 5: 용강래들
7: 후크트러니언 8: 래들대차
10: 기중기 15,16: 실린더부
40,41: 감지부 50: 천칭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햐여 본 고안은 상부시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의 장력에 따라 시브가 확축되면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작동유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피스톤가 급유관을 통해 흡입 또는 배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 사이에 설치된 천칭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급유관과 연결된 오일탱크에 무게편차가 발생되면 천칭몸체가 천칭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시바늘이 지시판의 위험을 가리키고, 푸시롤이 캠을 따라 움직이면서 최저점에 이르면 푸시스위치가 작동되는 천칭부와; 상기 천칭박스에 내장되어 상기 오일탱크가 무게편차에 의해 회전되면 천칭기어와 치결합하는 스위치기어가 스위치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단자가 고정단자와 접촉되는 감지부와; 상기 푸시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경보램프 및 경보부저가 작동되고, 상기 감지부의 작동에 따라 경고등이 점등되는 시그널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중 실린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중 천칭부 및 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5는 후크체결불량시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6은 와이어로프의 장력편차시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부시브(1)의 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면서 와이어로프(2)의 장력을 측정하는 실린더부(15,16)는 삼방향실린더(11)에 작동유(13)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3개의 피스톤(12,12-1)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12-1)은 장력조절너트(6)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로드(9)가 연결되어 있고, 급유관(18)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14)의 양에 따라 스프링(14)에 의해 상하 탄성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이동을 하는 피스톤(12)에 각각 연결되는 로드(24)에는 조절너트(26)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볼트(23)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간격조절볼트(23)에는 브래킷(22)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브래킷(22)에 시브축(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시브(21)는 와이어로프(2)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피스톤(12)을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실린더부(15,16)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천칭부(50)는 유리커버(56)에 의해 여닫아지는 천칭박스(52)내에 반원판형상의 천징몸체(36)가 천칭축(37)을 중심으로 편심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천칭몸체(36)의 외주면을 따라 오일탱크(30,31)가 부착되어 있고, 이 오일탱크(30,31)는 그 내부가 정확히 이등분되도록 오일펜스(35)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오일탱크(30,31)에는 각각 급유관(18,18-1)이 연결되어 있어 작동유(19)가 공급되고, 오일탱크에 공급되는 작동유(19)의 공급량이 다를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작동유가 공급된 오일탱크가 중력에 의해 밑으로 처지게 된다.
그리고, 오일탱크(30,31)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천칭기어(4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천칭기어(45)와 치결합하는 스위치기어(44)가 스위치축(46)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일탱크(30,31)의 좌우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감지부(40,40-1)에 있어 스위치축(46)의 중단에 고정되는 이동단자(42)는 고정단자(43)의 상부를 선회하면서 단자연결이 되어 와이어로프(2)의 하중편차정도에 따라 시그널판넬(66)의 하중편차경보등(64,65)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한편, 천칭몸체(36)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푸시스위치(32)는 그 감지롤(32-1)이 천칭몸체(36)의 캠(33)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하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푸시스위치(32)는 감지롤(32-1)이 캠(33)을 따라 최저점으로 하강될 때 작동되어 시그널판넬(66)의 후크걸림불량경보등(62)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천칭몸체(36)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지시판(51)에는 정상, 주위, 위험이라는 단계로 구분 표시되어 있고, 천칭축(37)에 고정 결합되는 지시바늘(58)이 지시판(51)상을 선회하면서 후크(4)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시그널박스(66)에는 후크(4)의 걸림불량시 작동되는 경보등(62)과, 각 와이어로프(2)에 작용하는 하중에 편차가 발생될 때 작동되는 경보등(64,65)이 설치되어 있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저(63)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러니언(7)에 걸리는 2개의 후크(4)중 어느 한쪽 예컨대 좌측후크의 걸림상태가 불완전한 경우, 좌측실린더부(15)의 시브(21)에 더 강한 와이어로프(2)의 장력에 가해지면서 피스톤(12)이 작동유(13)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작동유(13)는 피스톤(12-1)을 하강시키게 되고,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작동유(19)가 송유관(18)을 통해 오일탱크(30)에 충전된다.
그러나, 우측실린더부(16)의 시브(21)에는 와이어로프(2)의 장력이 설정압력이하로 가해지고, 스프링(14)에 의해 피스톤(12-1)이 상승되면서 작동유(13)를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되는 작동유(13)는 피스톤(12)을 외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24)가 전진되면서 시브(21)를 외측으로 벌리게 된다.
아울러, 피스톤(12-1)이 상승되면서 오일탱크(31)내의 오일이 송유관(18)을 통해 실린더(11)를 채우게 된다.
따라서, 오일을 충전한 오일탱크(30)가 오일을 배출한 오일탱크(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되고, 이에 따라 오일탱크(30)가 밑으로 처지면서 지시바늘(58)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지시바늘(58)이 지시판(51)의 위험을 가리키게 되고, 캠(33)을 따라 하강하는 푸시스위치(32)가 최저점에 이르면 작동하게 되며, 푸시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시그널박스(66)의 경보등(62)이 점등되면서 부저(63)가 울리게 된다.
한편, 와이어로프(2)의 과도한 연신이나 후크빔(3)의 변형 등으로 좌우측 후크(4)의 높이차이가 허용오차(30㎜이하)를 벗어나게 되면 와이어로프의 장력에도 편차가 발생된다.
이처럼 와이어로프(2)간에 장력편차가 발생되면 실린더(15,16)의 작동에 따라 오일탱크(30,31)의 충전오일량에 차이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천칭축(37)을 중심으로 오일탱크가 편심회전되면 천칭기어(45)와 치결합하는 스위치기어(44)에 의해 이동단자(42)가 회전되면서 고정단자(43)에 감지된다.
따라서, 이동단자(42)를 감지한 고정단자(43)에서 전기적 신호를 시그널판넬(66)에 보내게 되면 경보등(64,65)이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부저(63)가 울리게 된다.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의 장력차이를 이용하여 후크의 걸림상태, 와이어로프의 연신, 후크빔의 변형 등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작업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대형설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뿐만아니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상부시브(1)의 하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2)의 장력에 따라 시브(21)가 확축되면 실린더(11)내의 피스톤(12,12-1)이 작동유(13)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피스톤(12-1)가 급유관(18,18-1)을 통해 흡입 또는 배출되는 작동유(19)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실린더부(15,16)와;
    상기 실린더부(15,16) 사이에 설치된 천칭박스(52)에 내장되어 상기 급유관(18,18-1)과 연결된 오일탱크(30,31)에 무게편차가 발생되면 천칭몸체(36)가 천칭축(3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시바늘(58)이 지시판(51)의 위험을 가리키고, 푸시롤(32-1)이 캠(33)을 따라 움직이면서 최저점에 이르면 푸시스위치(32)가 작동되는 천칭부(50)와;
    상기 천칭박스(52)에 내장되어 상기 오일탱크(30,31)가 무게편차에 의해 회전되면 천칭기어(45)와 치결합하는 스위치기어(44)가 스위치축(4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단자(42)가 고정단자(43)와 접촉되는 감지부(40,40-1)와;
    상기 푸시스위치(32)의 작동에 의해 경보램프(62) 및 경보부저(63)가 작동되고, 상기 감지부(40,40-1)의 작동에 따라 경고등(65,64)이 점등되는 시그널판넬(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KR2020000017972U 2000-06-23 2000-06-23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KR200204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72U KR200204492Y1 (ko) 2000-06-23 2000-06-23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72U KR200204492Y1 (ko) 2000-06-23 2000-06-23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492Y1 true KR200204492Y1 (ko) 2000-11-15

Family

ID=1966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72U KR200204492Y1 (ko) 2000-06-23 2000-06-23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4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07B1 (ko) * 2010-12-22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주권 후크 체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20476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후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07B1 (ko) * 2010-12-22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주권 후크 체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90020476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후크 장치
KR101974565B1 (ko) * 2017-08-21 2019-05-02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용 후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44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volumetric loading of a truck body
CN108439141A (zh) 电梯绳索检测装置
CN105562670A (zh) 钢包/铁水罐360度倾翻装置
KR200204492Y1 (ko) 기중기의 작업상태 점검장치
US4273243A (en) Lift centering device
CN113233352B (zh) 一种用于履带式起重机的防侧翻装置及侧翻预警方法
CN110626959A (zh) 一种工程机械结构件吊转装置
CN101585488B (zh) 钢丝绳断裂保护系统
CN211224967U (zh) 一种吊装式垃圾车安全作业的保护系统
CN201264861Y (zh) 一种应用于大型设备安装与检修的c形吊装取物工具
CN1872652A (zh) 防止集装箱起重机误吊集装箱卡车的测控方法及装置
CN110498164B (zh) 吊装式垃圾车安全作业的保护系统
CN2795172Y (zh) 用于集装箱起重机防误吊集装箱卡车的测控装置
CN202465086U (zh) 工程机械的支腿的着地检测装置
CN212198156U (zh) 一种起重机的超载保护装置
JP2639119B2 (ja) クレーン
CN220056034U (zh) 一种建筑工程用吊钩
CN216105662U (zh) 一种起重机械防斜拉吊限制装置
CN220317211U (zh) 一种起重机离地报警器与测控绳组合装置
CN212655381U (zh) 一种起重机械防斜拉装置
CN220178147U (zh) 连铸中间包烘烤器防坠装置
CN205772978U (zh) 一种旋臂起重装置
CN219971566U (zh) 箕斗倾斜报警机构
CN210438293U (zh) 一种带监测装置的高层外墙装卸料平台
CN219239694U (zh) 一种安全交废钢的抓钢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