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128B1 -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128B1
KR101112128B1 KR1020090107398A KR20090107398A KR101112128B1 KR 101112128 B1 KR101112128 B1 KR 101112128B1 KR 1020090107398 A KR1020090107398 A KR 1020090107398A KR 20090107398 A KR20090107398 A KR 20090107398A KR 101112128 B1 KR101112128 B1 KR 10111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spreader
crane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849A (ko
Inventor
신현경
정대화
전진만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신현경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경,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신현경
Priority to KR102009010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1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66C23/823Bracing equipment acting in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레더에 의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회동되는 붐(boom)과, 붐의 일측에 설치되어 붐의 회동을 조정하는 조정실과, 조정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포탈부를 포함하며, 붐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조정실의 상단부로부터 붐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러핑와이어와, 붐의 단부측 하방에 설치되는 와이어지지부와, 스프레더의 유동을 조절하여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실로부터 와이어지지부를 관통하여 스프레더에 연결되는 권상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붐의 전 영역 움직임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쌍씩의 4줄로 이루어지는 권상와이어와 기둥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권상와이어를 통하여 스프레더가 바람의 영향에도 흔들림 없이 승하강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크레인, 스프레더, 와이어, 붐, 안정

Description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SUPPORTOR FOR WIRE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의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스프레더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그 와이어의 지지장치의 개선으로 외부 영향에도 컨테이너의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한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각종 공장?항만?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重量物)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Hoist)나 체인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크레인은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탑형크레인, 천정크레인, 지브(Jib)크레인 등으로 분류되는데, 탑형크레인은 높은 탑 상부에 빔(Beam)을 걸쳐서 하중을 매단 트롤리(Trolly)가 이동되어 중량물을 옮기는 형태를 말하며, 천정 크레인은 공장, 창고 등의 천정 부분에 서로 마주 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이러한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빔을 걸쳐서 트롤리로부터 후크(Hook)를 내려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형태를 말하고, 지브크레인은 돌출된 암(Arm)에 중량물을 매달아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이동시키는 형태를 말한다.
도 1 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지브크레인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브크레인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10)과, 붐(10)의 일단부에 힌지(H)로 결합되어 다수의 와이어(34, 36)와 드럼(도시되지 않음)으로 붐(10)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20)과, 기계실(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기계실(20)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포탈부(Portal Part:40)를 포함한다.
붐(10)은 철재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써, 기계실(20)에서의 조정으로 회전과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중량물(重量物)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붐(10)의 대략 중앙부와 우측 단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러핑와이어(34)가 리빙(reeving)되어 붐(1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러핑시브(Luffing Sheave:12)가 구비된다.
러핑시브(12)에는 붐(1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러핑와이어(Luffing Wire:34)가 리빙(reeving)된다. 러핑와이어(34)는 기계실(20) 내부에 구비되는 러핑드럼(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으로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붐(1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붐(10)의 좌측 단부는 기계실(20)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붐(10)이 용이하게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붐(10)의 우측 단부 하단에는 중량물과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반복하는 스프레더(spreader:14)가 구비된다. 그리고, 러핑시브(12)의 일측에는 스프레더(14)의 유동을 조절하는 권상와이어(Hoisting Wire:36)가 리빙(reeving)되는 스프레더시브(Hook Sheave:16)가 설치된다.
붐(10)은 기계실(20)의 전단부에 힌지(H)로 결합된다. 기계실(20)은 지브크레인을 조정하는 곳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입실하여 조정수단을 조작하는 운전실과 권상와이어(36)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상드럼(Hoisting Drum) 및 러핑와이어(34)를 감거나 풀어주는 러핑드럼(Luffing Drum) 등의 조정장치가 구비된다.
기계실(20)의 상부에는 붐(10)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A-Frame:30)이 설치된다.
에이프레임(30)은 대략 'A' 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러핑와이어(34)와 권상와이어(36)가 리빙(reeving)되는 시브블록(Sheave Block:32)이 설치된다. 따라서, 기계실(20)의 러핑드럼과 권상드럼으로 연결되는 러핑와이어(34)와 권상와이어(36)가 에이프레임(30) 상단의 시브블록(32)에 리빙됨으로써 붐(10)의 하중을 에이프레임(30)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계실(20)의 하부에는 붐(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선회기어(50)가 구비되고, 선회기어(50)의 하부에는 에이프레임(30)과 기계실(20)을 지지하는 포탈부(Portal Part:4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브크레인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하중이 정해지면 작업자는 러핑드럼을 작동시켜 러핑와이어(34)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용으로 붐(10)의 위치, 즉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얼마만큼의 각도를 유지할 것인지를 감안하여 붐(10)을 조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붐(10)을 회전시켜 중량물이 위치한 곳의 상공에 머물도록 하고, 권상드럼을 작동시켜 권상와이어(36)를 풀어줌으로써 권상와이어(36)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레더(14)가 중량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레더(14)를 하강시키게 된다.
스프레더(14)의 하강으로 스프레더(14)에 중량물이 결합되면 스프레더(14)가 상승할 수 있도록 권상드럼을 작동시켜 권상와이어(36)를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스프레더(14)에 결합된 중량물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권상드럼을 정지시켜 중량물의 높이를 유지하고 붐(1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지브크레인을 주행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프레더(14)의 상승과 붐(10)의 러핑(붐의 상방각도 조절) 및 회전, 그리고 지브크레인의 주행은 각각 따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동작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중량물이 결합된 스프레더(14)를 상승시키면서 붐(10)을 러핑과 동시에 회전되게 하고 지브크레인을 주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는 붐(10)이 이동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의 상공에 도착하게 되면, 붐(10)의 회전 또는 지브크레인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권상드럼을 작동시킴으로써 권상와이어(36)의 풀림 작용에 의해 스프레더(14)에 결합된 중량물이 하강하게 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브크레인에서 붐(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러핑와이어(34)로는 붐(10)의 전 영역 움직임에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스프레더(14)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시브블록(32)과 권상와이어(36)는 구조적으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권상와이어(36)는 대체적으로 2줄 또는 많게는 4줄로 이루어져서 균형 잡기가 용이하지 않아 스프레더(14)의 승하강시 바람의 영향으로 요동이 발생되어 작업 중단의 요인이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붐의 전 영역 움직임이 가능하며, 한 쌍씩의 4줄로 이루어지는 권상와이어가 기둥부재를 통과하여 스프레더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됨으로써 스프레더가 바람의 영향에도 흔들림 없이 승하강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더에 의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회동되는 붐(boom)과, 붐의 일측에 설치되어 붐의 회동을 조정하는 조정실과, 조정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포탈부를 포함하며, 붐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조정실의 상단부로부터 붐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러핑와이어와, 붐의 단부측 하방에 설치되는 와이어지지부와, 스프레더의 유동을 조절하여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실로부터 와이어지지부를 관통하여 스프레더에 연결되는 권상와이어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를 제공된다.
그리고 와이어지지부는, 붐의 단부측에 하방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의 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권상와이어가 네 모서리부에 근접하여 관통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재에는 상면 중앙에 권상와이어가 삽입되어 네 곳의 측방으로 인출되어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 권상와이어는 한 쌍씩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네 곳 모서리부에 각각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에 의하면, 붐의 전 영역 움직임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쌍씩의 4줄로 이루어지는 권상와이어와 기둥부재 및 지지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권상와이어를 통하여 스프레더가 바람의 영향에도 흔들림 없이 승하강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와이어지지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와이어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크레인(100)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110)과, 붐(110)의 유동을 조정하는 조정실(120)과, 조정실(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정실(120)을 지지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는 포탈부(Portal Part: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붐(11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는 러핑와이어(Luffing Wire:140)와, 붐(110)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와이어지지부(150)와, 붐(110)의 상하 유동에 의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스프레더(160)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는 권상와이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붐(110)은 철재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써, 조정실(120)에서의 조정으로 회전과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중량물(重量物)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붐(110)은 조정실(120)에 설치된 힌지(121)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으며, 붐(110)의 하부측에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권상와이어(170)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반복하는 스프레더(spreader:1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정실(120)은, 크레인(100)을 조정하는 곳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입실하여 조정수단을 조작하는 조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포탈부(130)는, 조정실(120)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하게 설치되며, 붐(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선회기어(132)가 구비될 수 있다.
러핑와이어(140)는, 붐(11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정실(120)의 상단부에 마주하는 한 쌍의 러핑드럼(122)에 복수의 러핑와이어(140)가 권취되어 붐(110)의 단부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러핑와이어(140)는 러핑드럼(122)의 회전으로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붐(11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붐(110)의 단부측 하방에 설치되는 와이어지지부(15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붐(110)의 단부측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기둥부재(152)와, 기둥부재(152)의 저면에 일체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5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더(160)의 유동을 조절하여 이동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실(120)로부터 이어져서 와이어지지부(150)를 관통하여 스프레더(160)에 연결되는 권상와이어(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와이어(170)는 기둥부재(152)의 상면 중앙에 삽입되어 기둥부재(152)의 네 곳 측방에 형성된 홀(152a)을 통해 인출되고, 이 인출된 권상와이어(170)는 지지플레이트(154)에서 근접하는 네 곳 모서리부에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권상와이어(170)는 한 쌍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4줄로 이루어질 수 있 으며, 한 쌍의 권상와이어(170)는 스프레더(16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도시된 권상드럼에서 줄을 번갈아 가면서 당김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권상와이어(170)의 당김과 풀림 작동은 조정실(120)에서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동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하중이 정해지면 작업자는 러핑드럼(122)을 작동시켜 러핑와이어(140)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용으로 붐(110)의 위치, 즉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얼마만큼의 각도를 유지할 것인지를 감안하여 붐(110)을 조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붐(110)을 선회기어(132)를 통해 회전시켜 중량물이 위치한 곳의 상공에 머물도록 하고, 조정실(120)에서 권상드럼을 작동시켜서 권상와이어(170)를 풀거나 당기게 된다. 즉, 한 쌍씩의 4줄이 와이어지지부(150)의 기둥부재(152)에 삽입되고, 관통되어 네 곳의 홀(152a)로 인출되며, 이 인출된 4줄의 권상와이어(170)는 지지플레이트(154)의 네 곳의 모서리에 근접한 곳을 관통하여 스프레더(1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레더(160)가 중량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레더(160)를 하강시키게 되며, 이때, 한 쌍의 권상와이어(170)는 적당히 풀거나 당김 작동이 번갈아 반복되면서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바람 등 외부의 여건속에서도 총 8줄로 연결된 스프레더(160)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프레더(160)의 하강으로 스프레더(160)에 중량물이 결합되면 스프레더(160)가 상승할 수 있도록 권상드럼을 작동시켜 권상와이어(170)를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스프레더(160)에 결합된 중량물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권상드럼을 정지시켜 중량물의 높이를 유지하고 붐(11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크레인을 주행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는 붐(110)이 이동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의 상공에 도착하게 되면, 붐(110)의 회전 또는 크레인(100)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권상드럼을 작동시킴으로써 권상와이어(170)의 풀림 작용에 의해 스프레더(160)에 결합된 중량물이 하강하게 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붐(110)의 전 영역 움직임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쌍씩의 4줄로 이루어지는 권상와이어(170)와 와이어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스프레더(160)가 바람의 영향에도 흔들림 없이 승하강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 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도 1 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지브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와이어지지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와이어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레인 110 : 붐
120 : 조정실 121 : 힌지
122 : 러핑드럼 130 : 포탈부
132 : 선회기어 140 : 러핑와이어
150 : 와이어지지부 152 : 기둥부재
152a : 홀 154 : 지지플레이트
160 : 스프레더 170 : 권상와이어

Claims (5)

  1. 스프레더에 의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회동되는 붐(boom)과,
    상기 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붐의 회동을 조정하는 조정실과,
    상기 조정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포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붐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조정실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붐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러핑와이어와,
    상기 붐의 단부측 하방에 설치되는 와이어지지부와,
    상기 스프레더의 유동을 조절하여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조정실로부터 상기 와이어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레더에 연결되는 권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지지부는, 상기 붐의 단부측에 하방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권상와이어가 네 모서리부에 근접하여 관통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면 중앙에 상기 권상와이어가 삽입되어 네 곳의 측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와이어는 한 쌍씩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네 곳 모서리부에 각각 관통되는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와이어 지지지장치가 포함된 크레인.
KR1020090107398A 2009-11-09 2009-11-09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KR10111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98A KR101112128B1 (ko) 2009-11-09 2009-11-09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98A KR101112128B1 (ko) 2009-11-09 2009-11-09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849A KR20110050849A (ko) 2011-05-17
KR101112128B1 true KR101112128B1 (ko) 2012-03-13

Family

ID=4436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398A KR101112128B1 (ko) 2009-11-09 2009-11-09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8769B (zh) * 2022-01-07 2024-02-23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起重机钢丝绳平衡及安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563U (ja) * 1996-10-04 1997-04-22 エムイーシー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563U (ja) * 1996-10-04 1997-04-22 エムイーシー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849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JP5766980B2 (ja) クレーン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10578A (ja) クレーンによる構造物の吊上方法及び吊上用治具
CN106986267B (zh) 一种四钩吊运翻斗起重机
KR101112128B1 (ko)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JP6193170B2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CN206705532U (zh) 一种四钩吊运翻斗起重机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2012193031A (ja) 起重機
KR20200120891A (ko)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KR20060103359A (ko)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JP5992711B2 (ja) クレーン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KR20150059265A (ko) 크레인
JP4481031B2 (ja) トロリクレーンとその振れ止め方法
CN220845220U (zh) 塔式起重机及其臂架组件
JP2007099402A (ja) 長尺材用吊具
JP3354821B2 (ja) 懸架式トロリー
JP2017178580A (ja) 岸壁クレーン
JP2002037585A (ja) 門型クレーンおよび橋型クレーン
JPH0881180A (ja) 水平移動クレーン
KR20200007552A (ko) 영구자석 고정식 운반장치
KR20210000338U (ko)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