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359A -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 Google Patents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59A
KR20060103359A KR1020050025213A KR20050025213A KR20060103359A KR 20060103359 A KR20060103359 A KR 20060103359A KR 1020050025213 A KR1020050025213 A KR 1020050025213A KR 20050025213 A KR20050025213 A KR 20050025213A KR 20060103359 A KR20060103359 A KR 2006010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boom
machine room
fram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수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티씨
Priority to KR102005002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359A/ko
Publication of KR2006010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은, 대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100)과; 상기 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와이어(440,460)와 드럼(320,340)으로 상기 붐(100)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300)과;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와이어(440,460)가 리빙됨으로써 상기 붐(100)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400)과; 상기 기계실(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붐(100)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웨이트(W)와; 상기 기계실(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프레임(400)과 기계실(300)을 지지하는 포탈부(600)와; 상기 포탈부(6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체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붐(100)의 일측에는 원거리로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2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선박건조에 있어서 선박의 이중, 삼중 계류와 작업의 안전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붐, 지브, 러핑, 리빙, 포탈타워, 주권상, 보권상

Description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 An extra-large Knuckle Jib Crane }
도 1 은 일반적인 지브크레인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붐 120. ..... 러핑시브
140. ..... 주권상후크 160. ..... 주권상후크시브
180. ..... 붐힌지 200. ..... 지브어셈블리
220. ..... 지브 230. ..... 지브힌지
240. ..... 지브가이로프 260. ..... 지브프레임
262. ..... 횡행와이어 264. ..... 보권상와이어
266. ..... 지브시브 270. ..... 트롤리
280. ..... 보권상후크 290. ..... 지브가이바
300. ..... 기계실 320. ..... 러핑드럼
340. ..... 주권상드럼 360. ..... 보권상드럼
380. ..... 횡행드럼 400. ..... 에이프레임
420. ..... 시브블록 440. ..... 러핑와이어
460. ..... 주권상와이어 500. ..... 선회기어
600. ..... 포탈부 620. ..... 포탈타워
640. ..... 포탈프레임 700. ..... 주행부
720. ..... 주행휠 740. ..... 주행프레임
800. ..... 선박 W. ..... 밸런스웨이트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지브크레인(Jib Cra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중량물(大重量物)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의 일측에 소중량물(小重量物)을 원거리로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가 더 구비되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각종 공장·항만·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重量物)을 입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Hoist)나 체인블록에 비하여 한층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크레인은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탑형크레인, 천정크레인, 지브(Jib)크레인 등으로 분류되는데, 상기 탑형크레인은 높은 탑 상부에 빔(Beam)을 걸쳐서 하중을 매단 트롤리(Trolly)가 이동되어 중량물을 옮기는 형태를 말하며, 상기 천정크레인은 공장, 창고 등의 천정 부분에 서로 마주 보는 벽을 따라 레일을 부설하고 이러한 레일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빔을 걸쳐서 트롤리로부터 후크(Hook)를 내려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형태를 말하고, 상기 지브크레인은 돌출된 암(Arm)에 중량물을 매달아 수직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이동시키는 형태를 말한다.
도 1 에는 일반적인 지브크레인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브크레인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10)과, 상기 붐(10)의 일단부에 힌지(H)로 결합되어 다수의 와이어(34,36)와 드럼(도시되지 않음)으로 상기 붐(10)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20)과, 상기 기계실(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기계실(20)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포탈부(Portal Part,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붐(10)은 철재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써 상기 기계실(20)에서의 조정으로 회전과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중량물(重量物)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붐(10)의 대략 중앙부와 우측 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러핑와이어(34)가 리빙(reeving)되어 붐(1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러핑시브(Luffing Sheave,12)가 구비된다.
상기 러핑시브(12)에는 상기 붐(1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러핑와이어(Luffing Wire,34)가 리빙(reeving)된다. 상기 러핑와이어(34)는 상기 기계실(20) 내부에 구비되는 러핑드럼(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으로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붐(1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붐(10)의 좌측 단부는 상기 기계실(20)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붐(10)이 용이하게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10)의 우측 단부 하단에는 중 량물과 결합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반복하는 후크(Hook,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러핑시브(12)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14)의 유동을 조절하는 권상와이어(Hoisting Wire,36)가 리빙(reeving)되는 후크시브(Hook Sheave,16)가 설치된다.
상기 붐(10)은 상기 기계실(20)의 전단부에 힌지(H)로 결합된다. 상기 기계실(20)은 상기 지브크레인을 조정하는 곳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입실하여 조정수단을 조작하는 운전실과 상기 권상와이어(36)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상드럼(Hoisting Drum) 및 상기 러핑와이어(34)를 감거나 풀어주는 러핑드럼(Luffing Drum) 등의 조정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20)의 후방(도 1 에서 볼 때 좌측)에는 상기 붐(10)의 하중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밸런스웨이트(Ballance Weight,W)가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20)의 상부에는 상기 붐(10)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A-Frame,30)이 설치된다.
상기 에이프레임(30)은 대략 'A' 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러핑와이어(34)와 권상와이어(36)가 리빙(reeving)되는 시브블록(Sheave Block,3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20)의 러핑드럼과 권상드럼으로 연결되는 상기 러핑와이어(34)와 권상와이어(36)가 상기 에이프레임(30) 상단의 시브블록(32)에 리빙됨으로써 상기 붐(10)의 하중을 에이프레임(30)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계실(20)의 하부에는 상기 붐(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선회기어(50)가 구비된다. 상기 선회기어(50)는 마찰력이 최소가 되어 적은 힘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슬루잉 링 기어(Slewing ring gear)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기어(50)의 하부에는 상기 에이프레임(30)과 기계실(20)을 지지하는 포탈부(Portal Part,40)가 구비된다. 상기 포탈부(4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철재의 구조물의 포탈타워(Portal Tower,42)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탈타워(42)의 하중을 아래로 분산시키는 포탈프레임(Portal Frame,4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탈프레임(44)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브크레인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주행부(Travelling Part,60)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부(60)는 지면에 형성되는 레일(Rail)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주행휠(62)과, 상기 다수개의 주행휠(62)과 결합되어 지브크레인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주행프레임(64)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브크레인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하중이 정해지면 작업자는 상기 러핑드럼을 작동시켜 상기 러핑와이어(34)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용으로 상기 붐(10)의 위치, 즉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얼마만큼의 각도를 유지할 것인지를 감안하여 붐(10)을 조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붐(10)을 회전시켜 중량물이 위치한 곳의 상공에 머물도록 하고, 상기 권상드럼을 작동시켜 상기 권상와이어(36)를 풀어줌으로써 권상와이어(36)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후크(14)가 중량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14)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후크(14)의 하강으로 후크(14)에 중량물이 결합되면 상기 후크(14)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권상드럼을 작동시켜 상기 권상와이어(36)를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후크(14)에 결합된 중량물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상기 권상드럼을 정지시켜 중량물의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붐(1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지브크레인을 주행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후크(14)의 상승과 상기 붐(10)의 러핑(붐의 상방각도 조절) 및 회전, 그리고 상기 지브크레인의 주행은 각각 따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동작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중량물이 결합된 상기 후크(14)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붐(10)을 러핑과 동시에 회전되게 하고 상기 지브크레인을 주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는 상기 붐(10)이 이동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의 상공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붐(10)의 회전 또는 지브크레인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상기 권상드럼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권상와이어(36)의 풀림 작용에 의해 상기 후크(14)에 결합된 중량물이 하강하게 되어 중량물을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브크레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지브크레인은 선박건조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근래 선박건조에 있어서 선박의 길이와 폭이 점차 확대되는 초대형 선박의 발주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선박의 싱글뱅킹(Single Banking) 계류(繫留)시 안벽(岸壁)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어 안벽을 추가적으로 축조하고자 할 때는 막대한 공사비와 장기간의 공사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계류안벽만 축조하고 최대한의 이중, 삼중 계류 로 선박을 건조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선박의 대형화와 이중, 삼중 계류에 따른 큰 작업반경을 가진 지브크레인은 상기 붐(10)의 길이 연장이 불가피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상기 붐(10)의 길이 연장에 따른 중량물의 권상 높이가 높아져 붐(10)의 단부에서 상기 후크(14) 하단까지의 권상와이어(36)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후크(14)와 결합되는 중량물의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붐(10)의 길이 연장에 따른 붐(10)의 러핑(Luffing) 속도와 상기 후크(14)의 권상(Hoisting) 속도가 느려지게 될 뿐만 아니라 권상 높이 증가에 따른 바람의 영향으로 작업 중단의 요인이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량물(大重量物)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의 일측에 소중량물(小重量物)을 원거리로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가 더 구비되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은, 대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과; 상기 붐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와이어와 드럼으로 상기 붐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와이어가 리빙(reeving)됨으로 써 상기 붐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A-frame)과;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붐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웨이트(Ballance Weight)와;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프레임과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탈부(Portal Part)와; 상기 포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체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붐의 일측에는 원거리로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브어셈블리는, 소중량물이 원거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지브(Jib)와; 상기 지브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브의 수평을 유지하는 지브가이로프(Jib guy rope)와; 상기 지브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이로프를 고정하는 지브프레임(Jib frame)과; 상기 지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보권상후크(Auxiliary Hoisting Hook)와; 상기 지브프레임과 에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가이바(Jib guy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브어셈블리는 상기 붐의 일측에 지브힌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건조에 있어서 선박의 이중, 삼중 계류와 작업의 안전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 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은 크게 대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100)과, 상기 붐(100)의 일단부에 지브힌지(230)로 결합되어 원거리로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200)와, 상기 붐(100)의 타단부에 붐힌지(180)로 결합되어 다수의 와이어(262,264,440,460)와 드럼(320,340,360,380)으로 상기 붐(100)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300)과, 상기 기계실(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기계실(300)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포탈부(Portal Part,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붐(100)은 철재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써 상기 기계실(300)에서의 조정으로 회전과 상하로 유동됨으로써 대중량물(大重量物)(예컨대 15톤 ~ 80톤 정도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붐(100)의 대략 중앙부와 우측 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러핑와이어(440)가 리빙(reeving)되어 붐(10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러핑시브(Luffing Sheave,120)가 구비된다.
상기 러핑시브(120)에는 상기 붐(10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러핑와이어(Luffing Wire,440)가 리빙(reeving)된다. 상기 러핑와이어(440)는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구비되는 러핑드럼(320)의 회전으로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붐(100)의 상하 유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붐(100)의 좌측 단부는 상기 기계실(300)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붐(100)이 용이하게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100)의 우측 단부에는 대중량물과 결합되어 대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반복하는 주(主)권상후 크(Main Hoisting Hook,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붐(100)의 우측 단부에는 상기 주권상후크(140)의 유동을 조절하는 주(主)권상와이어(Main Hoisting Wire,460)가 리빙(reeving)되는 주(主)권상후크시브(Main Hoisting Hook Sheave,160)가 설치된다.
상기 붐(100)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단부에 붐힌지(180)로 결합된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붐(100)과 지브어셈블리(200)를 조정하는 곳으로, 작업자가 입실하여 조정수단을 조작하는 운전실(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주권상와이어(460)를 감거나 풀어주는 주(主)권상드럼(Main Hoisting Drum,340), 상기 러핑와이어(440)를 감거나 풀어주는 러핑드럼(Luffing Drum,320), 그리고 상기 지브어셈블리(200)에 구비되는 보(補)권상와이어(264) 및 횡행와이어(262)를 감거나 풀어주는 보(補)권상드럼(Auxiliary Hoisting Drum,360), 횡행드럼(Traversing Drum,380) 등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300)의 전단부와 결합되는 붐(100)의 반대편 단부에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브어셈블리(200)는 상기 붐(100)이 이동시키는 대중량물보다 작은 소중량물(小重量物)(예컨대 15톤 이하의 중량물)을 원거리(예컨대 40m ~ 120m 정도의 거리)로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브어셈블리(200)는 소중량물이 원거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지브(Jib,220)와, 상기 지브(2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브(220)의 수평을 유지하는 지브가이로프(Jib guy rope,240)와, 상기 지브(2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이로프(240)를 고정하는 지브프레임(Jib frame,260)과, 상기 지브(220)의 하단부 에 구비되어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보권상후크(Auxiliary Hoisting Hook,280)와, 상기 지브프레임(260)과 아래에서 설명할 에이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상기 지브(220)를 지지하는 지브가이바(Jib guy bar,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브(220)는 상기 붐(100)과 마찬가지의 철구조물로써 상기 붐(100)의 단부에 지브힌지(230)로 결합되어 붐(100)의 회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지브(220)의 상단부에는 지브(2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지브가이로프(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브(220)는 상기 붐(100)의 회전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브가이로프(240)는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브(220)의 대략 중앙부와 우측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지브(220)의 좌측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브프레임(26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브(220)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브프레임(260)은 대략 삼각형 향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보권상후크(280)의 좌우 및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횡행와이어(Traversing Wire,262)와 보권상와이어(Auxiliary Hoisting Wire,264)가 권취되는 지브시브(Jib Sheave,26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브프레임(2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에이프레임(400)과 상기 지브가이바(290)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브(220)는 상기 지브가이로프(240), 보권상와이어(264) 및 횡행와이어(262)가 아래에서 설명할 시브블록(420)과 상기 지브시브(266)에 리빙(reeving)됨과 더불어 상기 지브가이바(290)가 아래에서 설명 할 에이프레임(40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그 하중이 상기 기계실(300) 후단부의 밸런스웨이트(Ballance Weight,W)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브(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권상후크(280)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트롤리(Trolly,270)가 구비되고, 상기 트롤리(270)에는 상기 보권상후크(280)가 상기 보권상와이어(264)에 연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권상후크(280)가 상기 트롤리(270)에 의해 안내되어 빠른 속도로 소중량물을 원거리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후방(도 2 에서 볼 때 기계실의 좌측)에는 상기 붐(100) 및 지브어셈블리(200)의 하중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밸런스웨이트(Ballance Weight,W)가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에는 상기 붐(100)과 지브어셈블리(200)를 지지하는 에이프레임(A-Frame,400)이 설치된다.
상기 에이프레임(400)은 대략 'A'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에이프레임(A-Frame)이라 칭하며, 상단부에는 상기 러핑와이어(440), 주권상와이어(460), 보권상와이어(264) 및 횡행와이어(262)가 리빙(reeving)되는 시브블록(Sheave Block,42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300)에 구비되는 러핑드럼(320), 주권상드럼(340), 보권상드럼(360) 및 횡행드럼(380)으로 연결되는 상기 러핑와이어(440), 주권상와이어(460), 보권상와이어(264) 및 횡행와이어(262)가 상기 에이프레임(400) 상단의 시브블록(420)에 리빙(reeving)됨으로써 상기 붐(100)과 지브어셈블리(200)의 하중을 붐프레임(400)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의 하부에는 상기 붐(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선회기어(500)가 구비된다. 상기 선회기어(500)는 마찰력이 최소가 되어 적은 힘으로도 회전이 가능한 슬루잉 링 기어(Slewing ring gear)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기어(500)의 하부에는 상기 에이프레임(400)과 기계실(300)을 지지하는 포탈부(Portal Part,600)가 구비된다. 상기 포탈부(60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철재의 구조물의 포탈타워(Portal Tower,620)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탈타워(620)의 하중을 아래로 분산시키는 포탈프레임(Portal Frame,6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탈프레임(640)의 하단부에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주행부(Travelling Part,700)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부(700)는 지면에 형성되는 레일(Rail)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주행휠(720)과, 상기 다수개의 주행휠(720)과 결합되어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주행프레임(740)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대중량물(大重量物)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시키고자 하는 대중량물의 하중이 정해지면 작업자는 상기 러핑드럼(320)을 작동시켜 상기 러핑와이어(440)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용으로 상기 붐(100)의 위치, 즉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얼마만큼의 각도를 유지할 것인지를 감안하여 붐(100)을 조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붐(100)을 회전시켜 대중량물이 위치한 곳의 상공에 머물도 록 하고, 상기 주권상드럼(340)을 작동시켜 상기 주권상와이어(460)를 풀어줌으로써 주권상와이어(460)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주권상후크(140)가 대중량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주권상후크(14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주권상후크(140)의 하강으로 주권상후크(140)에 대중량물이 결합되면 상기 주권상후크(140)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주권상드럼(340)을 작동시켜 상기 주권상와이어(460)를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주권상후크(140)에 결합된 대중량물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상기 주권상드럼(340)을 정지시켜 대중량물의 높이를 유지하고 원하는 상기 붐(10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과 동시에 너클지브크레인을 주행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권상후크(140)의 상승과 상기 붐(100)의 러핑(붐의 상방각도 조절) 및 회전, 그리고 상기 너클지브크레인의 주행은 각각 따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동작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대중량물이 결합된 상기 주권상후크(140)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붐(100)을 러핑(Luffing)과 동시에 회전되게 하고 상기 너클지브크레인을 주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는 상기 붐(100)이 회전되어 대중량물을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의 상공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붐(10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주권상드럼(34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주권상와이어(460)의 풀림 작용에 의해 상기 주권상후크(140)에 결합된 대중량물이 하강하게 되어 대중량물을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소중량물(小重量物)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소중량물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되는 소중량물이 건조되는 선박 (800)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지브(220)의 높이가 유지되도록 상기 붐(10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붐(100)을 회전하여 상기 지브(220)가 소중량물의 상공에 머물도록 하고 상기 횡행드럼(380)을 작동시켜 상기 트롤리(27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권상후크(280)의 하강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보권상드럼(360)을 작동시켜 상기 보권상와이어(264)를 풀어줌으로써 보권상와이어(264)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보권상후크(280)가 소중량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보권상후크(28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보권상후크(280)의 하강으로 보권상후크(280)에 소중량물이 결합되면 상기 보권상후크(280)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보권상드럼(360)을 작동시켜 상기 보권상와이어(264)를 감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보권상후크(280)에 결합된 소중량물이 일정한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상기 보권상드럼(360)을 정지시켜 소중량물의 높이를 유지하고 원하는 위치로 상기 붐(1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붐(100)이 회전되어 소중량물을 하역하고자 하는 위치의 상공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붐(10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횡행드럼(380)의 작동으로 상기 보권상후크(28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소중량물의 하역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보권상드럼(36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권상와이어(264)의 풀림 작용에 의해 상기 보권상후크(280)에 결합된 소중량물이 하강하게 되어 소중량물을 하역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에서는, 대중량물(大重量物)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의 일측에 소중량물(小重量物)을 원거리로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근래 선박 건조에 있어서 선박의 길이와 폭이 점차 확대되는 초대형 선박의 발주가 증가되는 추세에 따라 선박 건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선박 건조의 제한된 납기 및 포화상태의 계류안벽으로 이중 또는 삼중 계류에 의해 선박을 건조하더라도 붐과 지브의 길이로 대중량물 및 소중량물의 운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안벽을 추가적으로 더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안벽설치에 따른 비용이 상당히 절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종래의 지브크레인의 붐에 지브어셈블리를 추가로 접목시킴으로써 중량물과 결합되는 주권상후크 또는 보권상후크에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로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대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Boom)과;
    상기 붐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와이어와 드럼으로 상기 붐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와이어가 리빙(Reeving)됨으로써 상기 붐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A-frame)과;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붐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웨이트(Ballance Weight)와;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이프레임과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탈부(Portal Part)와;
    상기 포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체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붐의 일측에는 원거리로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지브어셈블리(Jib Assembly)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Gib Cran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어셈블리는
    소중량물이 원거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지브(Jib)와;
    상기 지브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브의 수평을 유지하는 지브가이로프(Jib guy rope)와;
    상기 지브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이로프를 고정하는 지브프레임(Jib frame)과;
    상기 지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소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보권상후크(Auxiliary Hoisting Hook)와;
    상기 지브프레임과 에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브를 지지하는 지브가이바(Jib guy ba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어셈블리는 상기 붐의 일측에 지브힌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Knuckle Jib Crane).
KR1020050025213A 2005-03-26 2005-03-26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KR2006010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13A KR20060103359A (ko) 2005-03-26 2005-03-26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13A KR20060103359A (ko) 2005-03-26 2005-03-26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59A true KR20060103359A (ko) 2006-09-29

Family

ID=3762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13A KR20060103359A (ko) 2005-03-26 2005-03-26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423B1 (ko) 천정 트롤리와 호이스팅 윈치를 가지는 천정 크레인
JP6174510B2 (ja) クレーン
KR101114030B1 (ko) 지브크레인
JP4186822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03040577A (ja) 橋形クレーン
JP6193170B2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KR20060103359A (ko) 초대형 너클지브크레인
KR101112128B1 (ko)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H04266397A (ja) ジブ付きクレーン
JP4481031B2 (ja) トロリクレーンとその振れ止め方法
JP2009242082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CN220845220U (zh) 塔式起重机及其臂架组件
JP5992711B2 (ja) クレーン
JP2023087331A (ja) 作業機械
JP3354821B2 (ja) 懸架式トロリー
KR200480328Y1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JP2022064507A (ja) クレーンの連結ビームおよびクレーンの連結ビーム取付方法
KR20140104613A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JPH10182066A (ja) 垂直搬送装置
KR20170097978A (ko) 수평 트롤리 지브를 갖는 인입 크레인
KR200251266Y1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JPH0797182A (ja)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JP2659112B2 (ja) 建築工事用多機能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