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42B1 -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42B1
KR101974342B1 KR1020140058449A KR20140058449A KR101974342B1 KR 101974342 B1 KR101974342 B1 KR 101974342B1 KR 1020140058449 A KR1020140058449 A KR 1020140058449A KR 20140058449 A KR20140058449 A KR 20140058449A KR 101974342 B1 KR101974342 B1 KR 10197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trate
solder
screen print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583A (ko
Inventor
곽병길
김선식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은, 입구 스테이션을 통해 공급된 기판을 워크 스테이션에서 인쇄하여 출구 스테이션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구 스테이션을 지나는 기판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 상기 워크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이 소정의 개구부 패턴을 구비하는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이송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F SOLDER PASTE IN SCREEN PRINTER}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프린터가 생산 작업 중에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 마스크 개구부 벽면에 남아 있는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솔더 충진 후 마스크 등의 분리를 실행하지 않게 하여 마스크 개구부 내의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rinted Curcuit Board, PCB)이 생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전처리 작업을 위해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가 사용된다. 즉, 스크린 프린터는 집적회로소자,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부품을 솔더링할 수 있도록 패턴 회로의 박리 솔더면에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나 크림 솔더(cream solder) 등을 접합제로 이용하여 도포하는 자동화 장비이다. 이렇게 도포된 솔더 위에 부품을 장착하여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지나면 솔더가 녹은 후 응고되어 부품을 인쇄회로기판(PCB) 위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5)이 입구(미도시)를 통해 인쇄가 진행되는 스크린 프린터의 워크 스테이션(10)으로 공급된다. 워크 스테이션(10)은 기판(5)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부(11), 개구부(14)를 구비하는 사각 평면 형상의 마스크(13), 마스크(13) 위에 올린 솔더 페이스트 등을 밀어주는 스퀴지(Squeegee, 15) 등을 구비한다.
이때, 마스크(13)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퀴지(15)가 좌우로 구동하여 인쇄를 진행한다. 즉, 스퀴지(15)는 마스크(또는 스텐실이라고도 함, 13) 위에 위치한 후, 왕복 운동을 하여 상기 마스크(13) 등에 구비된 개구부(14)를 통해 솔더를 기판(5)에 인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구 스테이션(20)을 통해 들어 온 기판(5)이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인쇄 완료되더라도, 출구 스테이션(30)에 기판(5)이 있는 경우에는 워크 스테이션(10)에 있는 기판(5)이 스테이지부(11)가 아래로 하강된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즉, 스크린 프린터의 다음 장비가 정지 등의 이유로 작업을 장시간 하지 못하는 경우, 스크린 프린터의 워크 스테이션(10)에는 인쇄 완료된 기판(5)을 장시간 인쇄 작업 없이 가지고 있게 된다. 이때, 마스크(13)의 개구부(14)에는 솔더가 묻어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렇게 장시간 작업이 정지되면 개구부(14)의 벽면에 묻어 있는 솔더가 굳는 등 열화(deterioration)가 발생된다. 솔더의 열화로 인해 다음 인쇄 작업에서 솔더의 도포량이 적어지는 소납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쇄 작업이 일정 시간 정지되어 개구부(14) 벽면에 있는 솔더가 열화되면,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인쇄된 기판(5)이 배출된 후에 마스크 클리닝(cleaning)을 하고 더블 프린팅(double printing)을 실시하고 있다. 즉, 마스크(13)를 세척하고, 인쇄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일정 시간까지는 효과가 있으나, 장시간 대기 시에는 마스크 클리닝과 더블 프린팅을 하더라도 이미 마스크(13)의 개구부(14)에 있는 솔더의 열화가 이루어져 다음 인쇄 작업에서는 여전히 소납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28879호 (2010.03.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 프린터가 작업을 하지 못하여 솔더가 인쇄된 기판이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 기판을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여 솔더가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은, 입구 스테이션을 통해 공급된 기판을 워크 스테이션에서 인쇄하여 출구 스테이션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구 스테이션을 지나는 기판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 상기 워크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이 소정의 개구부 패턴을 구비하는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이송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은, 스크린 프린터의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이 상기 스크린 프린터의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프린터에서 인쇄 완료된 기판을 이송받는 다음 장비로부터 이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방법은, 스크린 프린터에서 인쇄 완료된 기판을 이송받는 다음 장비로부터 이송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송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스크린 프린터에 투입된 기판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부가 소정의 개구부 패턴을 가지는 스크린 마스크로부터 이동하고, 상기 이송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되어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더가 인쇄된 기판이 장시간 대기하는 경우, 기판을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여 솔더가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에 있는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린 마스크의 클리닝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소납 불량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판 인쇄 작업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에 의한 스크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각각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에 의한 스크린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각각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100)은, 입구 스테이션(20)을 통해 공급된 기판(5)을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인쇄하여 출구 스테이션(30)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출구 스테이션(30)을 지나는 기판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110),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스테이지부(11)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5)이 소정의 개구부(14) 패턴을 구비하는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1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20), 및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이송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구동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구 스테이션(30)에 보드가 있거나, 또는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출구 스테이션(30)으로 기판(5)을 보낼 수 없는 경우, 워크 스테이션(10)에 있는 기판(50을 스크린 마스크(13)에 닿아 있는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솔더가 스크린 마스크(13)의 개구부(14)에 꽉찬 상태로 있어서 개구부(14)의 솔더가 열화되는 현상을 막게 된다.
감지부(110)는 출구 스테이션(30)의 기판(5)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에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이송 신호가 생성된다. 이송 신호는 기판(5)을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출구 스테이션(30)측으로 보내는 명령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출구 스테이션(30)을 통해 기판(5)이 정상적으로 배출되면 워크 스테이션(10)으로부터 인쇄된 기판(5)을 배출하라는 신호이다. 이러한 이송 신호는 출구 스테이션(30) 또는 스크린 프린터의 인쇄 작업의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에서 생성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무게 감지 센서(미도시) 또는 포토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는 출구 스테이션(30)으로 투입되는 기판(5) 및 배출되는 기판(5)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출구 스테이션(30)에 기판(5)이 있는지를 감지하며, 포토 센서는 출구 스테이션(30)을 촬상하여 기판(5)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출구 스테이션(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외에도 출구 스테이션(30)의 기판(5)을 감지하기 위한 여러 센서가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구동부(120)는 스테이지부(11)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부(11)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구동 모터(미도시) 등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 일례로 CW(clockwise)/CCW(counterclockwise) 명령에 의해 정회전/역회전을 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지부(1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감지 신호에 기초로 생성되는 이송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출구 스테이션(30)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CW(clockwise)/CCW(counterclockwise)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모터의 정회전/역회전을 제어하고, 구동 모터에 연결된 스테이지부(11)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에 의해 출구 스테이션(30)의 기판이 감지되거나 또는 출구 스테이션(30)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이송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하도록 상기 구동부(120)를 제어하며, 출구 스테이션(30)에서 기판(5)이 배출되어 감지부(110)에 의해 기판(5)이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기판(5)이 배출되어 감지부(110)에 의해 기판(5)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출구 스테이션(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이송 신호를 전송 받아 구동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즉, 출구 스테이션(30)을 통해 기판(5)이 다음 작업 단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워크 스테이션(10)의 스테이지부(11)를 하강시켜 기판(5)을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출구 스테이션(30)으로 배출하고, 이후 새로운 기판(5)을 입구 스테이션(20)에서 받아 들여 인쇄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출구 스테이션(30)에 기판(5)이 있거나 출구 스테이션(30)이 기판(5)을 배출할 수 없는 경우 등 출구 스테이션(30)을 통해 인쇄 작업의 다음 작업 단계로 기판을 이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테이지부(11)를 하강시키지 않고 스테이지부(11) 위의 기판(5)이 스크린 마스크(13)에 닿아 있도록 하다가 기판(5)이 인쇄 작업의 다음 작업 단계로 이송될 수 있는 경우에 스테이지부(11)를 하강하도록 하다. 이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10)에서 장시간 기판(5)이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크린 마스크(13)의 개구부(14)에 있던 솔더가 개구부(14)에 보관되도록 유지함으로써, 개구부(14)에 있는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기판(5)이 스크린 마스크(13)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됨으로써, 개구부(14) 안에 솔더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개구부(14) 안에 존재하는 솔더의 양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워크 스테이션(10)의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하는 대기 시간이 기준 시간에 이르면,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1회 실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하는 대기 시간이 많이 길어지는 경우, 개구부(14) 안에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솔더를 보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크린 마스크(13)에 있는 솔더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크 스테이션(10)의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한 대기 시간이 2시간이 되면,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1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계속 시간이 지나 일정 횟수 이상 인쇄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기판(5)의 불량이 발생하므로 소정의 기준 횟수까지만 인쇄 작업을 수행하고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기판(5)이 스크린 마스크(13)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대기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30)는 스크린 마스크(13)의 개구부(14)에 있는 솔더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인쇄 작업을 5~6회까지만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을 2시간마다 실시한다 하더라도, 대기 시간이 10~12시간이 경과하면, 솔더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인쇄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되는 기판(5)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부(11), 개구부 패턴을 구비하는 사각 평면 형상의 스크린 마스크(13), 스크린 마스크(13) 위에 올린 솔더를 밀어주는 스퀴지(squeegee, 15) 등을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터(5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의 스크린 프린터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는 입구 및 출구 스테이션이 없는 스크린 프린터(5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은, 스크린 프린터(50)의 스테이지부(11)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5)이 상기 스크린 프린터(50)의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1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10), 및 상기 스크린 프린터(50)에서 인쇄 완료된 기판(5)을 이송받는 다음 장비(미도시)로부터 이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구동부(210)는 스테이지부(11)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부(11)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구동 모터(미도시) 등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의 구동부(110)와 그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20)는 스크린 프린터(50)가 다음 장비로부터 이송 신호를 받아 상기 이송 신호를 기초로 구동부(2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이송 신호를 수신하면 스테이지부(11)가 스크린 마스크(13)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상기 이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스테이지부(11)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도록 상기 구동부(21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20)는 생산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스크린 마스크(13)로부터 스테이지부(11)가 분리되도록 구동부(210)를 제어하며, 생산 작업이 정지된 경우에는 스크린 마스크(13)로부터 스테이지부(11)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동부(210)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생산 작업이 정지된 경우에는 스테이지부(11) 위의 기판(5)이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하여 대기하므로, 스크린 마스크(13)의 개구부(14)의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방법은, 스크린 프린터(50)에서 기판(5)의 인쇄 작업을 실시하며(S10), 스크린 프린터(50)에서 인쇄 완료된 기판(5)을 이송받는 다음 장비로부터 이송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20). 그런 다음에, 이송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스크린 프린터(50)에 투입된 기판(5)을 지지하는 스테이지부(11)가 소정의 개구부 패턴을 가지는 스크린 마스크(13)로부터 이동하고(S40), 스크린 프린터(50)의 인쇄 작업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로 스테이지부(11) 상의 기판이 이송된다(S50). 그리고, 상기 이송 신호의 수신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스테이지부(11)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되어 대기함으로써, 스테이지부(11) 위의 기판(5)이 스크린 마스크(13)에 밀착하여 스크린 마스크(13)의 개구부의 솔더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110: 감지부 120: 구동부
130: 제어부

Claims (6)

  1. 입구 스테이션을 통해 공급된 기판을 워크 스테이션에서 인쇄하여 출구 스테이션을 통해 배출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구 스테이션을 지나는 기판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
    상기 워크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이 소정의 개구부 패턴을 구비하는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이송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이송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신호를 전송 받지 않은 경우, 상기 이송 신호를 전송 받기 전까지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되어 대기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되어 대기하는 대기 시간이 기준 시간에 이르면, 상기 스테이지부가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밀착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1회 실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작업이 기준 횟수까지만 실시되도록 제어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58449A 2014-05-15 2014-05-15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7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49A KR101974342B1 (ko) 2014-05-15 2014-05-15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49A KR101974342B1 (ko) 2014-05-15 2014-05-15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83A KR20150131583A (ko) 2015-11-25
KR101974342B1 true KR101974342B1 (ko) 2019-05-02

Family

ID=5484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49A KR101974342B1 (ko) 2014-05-15 2014-05-15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475A (ja) * 2003-03-11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ンシル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879A (ko) 2008-09-05 2010-03-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페이스트 경화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8475A (ja) * 2003-03-11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ンシル印刷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83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834B2 (en) Board printing system
CN110140092B (zh) 生产管理装置
CN109429479B (zh) 生产系统和生产方法以及生产线管理装置
JP6511374B2 (ja) 基板生産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基板の処理装置
CN110268814B (zh) 生产管理装置
KR101878768B1 (ko) 프린트 기판용 반송장치
JP6109171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
JP4386422B2 (ja) 実装基板製造装置の段取り替え方法および実装基板製造装置
KR101822008B1 (ko)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KR101974342B1 (ko)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열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3363486B2 (ja) プリント基板搬送装置
EP3653380B1 (en) Screen printer
JP2010098213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のメンテナンス支援方法
JP6968750B2 (ja) マスク清掃装置、印刷機、マスク清掃方法
JP7315787B2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WO2013021792A1 (ja) 基板表面実装ライン、および、基板表面実装ラインにおけるバッドマーク検出方法
WO2023021601A1 (ja) 搬送装置、実装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6084241B2 (ja) 電子部品実装機器の基板搬送システム
JP469689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6082982B2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
JP2019207967A (ja) 基板搬送装置、印刷機、部品実装機、基板搬送方法
JPH05315796A (ja) 部品組立方法
JP2008037008A (ja) 印刷機
JP2008060336A (ja) 電子部品の装着装置及び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