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94B1 -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94B1
KR101973794B1 KR1020170122124A KR20170122124A KR101973794B1 KR 101973794 B1 KR101973794 B1 KR 101973794B1 KR 1020170122124 A KR1020170122124 A KR 1020170122124A KR 20170122124 A KR20170122124 A KR 20170122124A KR 101973794 B1 KR101973794 B1 KR 10197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hicle
air conditioner
ec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696A (ko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2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Abstract

본 발명은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차량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상태감지부; 및 키입력부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중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중량의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공조장치, 편의장치 및 발전기 구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HAVING ECO-DRIVE M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작동 중일 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주행 감성품질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자동차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자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로 탈바꿈되고 있다. 대부분의 전자적인 기능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에서 행해진다.
전자제어유닛은 예컨대, 페달 가속도 센서, 스로들 개도 센서(스로들 밸브의 열림 정도 측정센서), 대기압, 흡기온도 센서(공기 중의 산소량 변화 측정센서), 매니폴드 절대압 센서(흡기 매니폴드 안의 공기압 진공정도 측정센서), 엔진 회전수 센서(인젝터 밸브의 개폐시기와 시간계산센서), 산소 센서(배기가스 중의 산소량 측정 센서), 전압 센서(전기 시스템에 흐르는 전압측정센서) 및 냉각수온 센서(냉각수의 온도측정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변속기, 페달, 엔진 및, 타이어 등 자동차의 전 부품에 대하여 제어를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센서와 자동차 부품들을 제어하게 되면,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 안정성과 편리성 등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에코드라이브에 대한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에코드라이브라 함은 친환경을 의미하는 에코(ecologic)와 운전(driving)의 합성어로서, 친환경 운전법을 의미한다.
여기서, 친환경 운전법은 10계명으로서 알려져 있는데, 경제속도 준수, 내리막길에선 가속페달 밟지 않기, 출발은 천천히, 공회전은 최소화, 적정한 공기압 유지, 한 달에 1회 자동차 점검, 계획운전, 트렁크 비우기, 친환경차 선택 및 유사 연료제 첨가제 사용금지를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6572호(2014.04.21. 공개, 에코드라이브 기능을 갖는 자동차 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에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작동시킬 경우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여 엔진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연비를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각종 편의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작동시킬 경우,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상태에서는 에코드라이드 모드에 따라 엔진 출력을 조절하게 되면 운전자가 엔진 출력의 저하를 느끼면서 주행 감성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작동 중일 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주행 감성품질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는, 차량의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차량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상태감지부; 및 키입력부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중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중량의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공조장치, 편의장치 및 발전기 구동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편의장치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미만 증가한 경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와 편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설정된 경우 중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편의장치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 제어부가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단계;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한 결과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작동 중일 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주행 감성품질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는, 키입력부(10), 중량감지부(20), 배터리 상태감지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0)는 차량의 공조장치(50) 및 편의장치(60)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운전자가 설정하여 제어부(40)가 공조장치(50) 및 편의장치(60)를 구동조건에 따라 구동시키고 에코드라이브 모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선택한다.
중량감지부(20)는 차량중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여기서 중량감지부(20)는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장치를 통해 타이어에 가중되는 무게를 기반으로 차량중량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감지부(30)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제어부(40)는 키입력부(10)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중량감지부(20)로부터 입력된 차량중량의 변화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공조장치(50), 편의장치(60) 및 발전기 구동부(7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하였는지 판단하여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차량중량의 증가에 따른 엔진출력의 저하를 줄이기 위해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공조장치(50)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편의장치(6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편의장치(60)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설정량 이상이면 차량중량의 증가에 따른 엔진출력의 저하를 줄이기 위해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70)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미만 증가한 경우 키입력부(10)를 통해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50) 및 편의장치(60)를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는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작동 중일 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주행 감성품질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40)가 키입력부(10)를 통해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를 작동시킨다(S10).
S10 단계에서 제어부(40)가 키입력부(10)를 통해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를 작동시키면서 키입력부(10)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자가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의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
반면, S20 단계에서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40)는 중량감지부(20)로부터 차량중량을 입력받아 입력된 차량중량이 공차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하였는지 판단한다(S30).
S30 단계에서 차량중량이 공차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자가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의 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S30 단계에서 차량중량이 공차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제어부(40)는 배터리 상태감지부(3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량을 입력받아 설정량 이상인지 판단한다(S40).
S40 단계에서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40)는 배터리의 상태를 좋은 상태로 판단하고 차량중량의 증가에 따른 엔진출력의 저하를 줄이기 위해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70)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S50).
S50 단계에서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후 제어부(40)는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의 구동을 제한한다(S60).
S60 단계에서 제어부(40)는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공조장치(50)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편의장치(6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편의장치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40 단계에서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40)는 배터리의 상태를 나쁜 상태로 판단하고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현재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공조장치(50)와 편의장치(6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는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작동 중일 때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공조장치 및 편의장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주행 감성품질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키입력부 20 : 중량감지부
30 : 배터리 상태감지부 40 : 제어부
50 : 공조장치 60 : 편의장치
70 : 발전기 구동부

Claims (11)

  1. 차량의 공조장치와 편의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차량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상태감지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중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차량중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단하여 상기 공조장치, 상기 편의장치 및 발전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상기 발전기 구동부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편의장치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미만 증가한 경우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한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편의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7. 제어부가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공조장치와 편의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에코드라이브 모드가 설정된 경우 중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중량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한 결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상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차량중량의 증가량에 따라 상기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차량중량이 공차중량 대비 설정값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편의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편의장치는, 핸들열선, 시트열선, 사이드미러 열선, 유리열선, 및 통풍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22124A 2017-09-21 2017-09-21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7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24A KR101973794B1 (ko) 2017-09-21 2017-09-21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24A KR101973794B1 (ko) 2017-09-21 2017-09-21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70A Division KR101980123B1 (ko) 2019-04-12 2019-04-12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696A KR20190033696A (ko) 2019-04-01
KR101973794B1 true KR101973794B1 (ko) 2019-05-02

Family

ID=6610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24A KR101973794B1 (ko) 2017-09-21 2017-09-21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619A (ja) * 2004-12-17 2006-06-29 Denso Corp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10213461A (ja) * 2009-03-10 2010-09-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モータ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619A (ja) * 2004-12-17 2006-06-29 Denso Corp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10213461A (ja) * 2009-03-10 2010-09-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モータ温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696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768B2 (en) Automatic shutdown control for vehicular internal combustion
EP2032379B1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15192B2 (ja) 内燃機関の絞り弁制御装置
JP3708718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出力制御装置
JP3883917B2 (ja) スロットル弁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H0821290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システムのセンサ異常処理装置
JP2000204999A (ja) ハイブリッド車のエンジン始動装置
JP4483850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101973794B1 (ko)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80123B1 (ko) 에코드라이브 모드를 갖는 차량 제어장치
KR20150104380A (ko) 완가속 주행시 스로틀 밸브 개도 제한 방법
KR100727191B1 (ko) 디젤 차량의 쓰로틀 밸브 제어방법
JP3797120B2 (ja) 内燃機関の運転制御装置
US88383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unit
JP6809178B2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JPH0849587A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KR0174231B1 (ko) 에어컨 컴프레서 작동시 공기량 보정 방법
KR100792922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제어기간 협조제어를 통한 시동시엔진 제어 방법
JP5122834B2 (ja) 燃料噴射量補正装置
JP4472488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制御方法
JP7081652B2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JP2012218643A (ja) 車両用ヒータ制御装置
JPH09287508A (ja) 電制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6243760B2 (ja) 内燃機関の絞り弁制御装置
JP3598826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