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73B1 - 휴대용 칸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칸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73B1
KR101973673B1 KR1020180076606A KR20180076606A KR101973673B1 KR 101973673 B1 KR101973673 B1 KR 101973673B1 KR 1020180076606 A KR1020180076606 A KR 1020180076606A KR 20180076606 A KR20180076606 A KR 20180076606A KR 101973673 B1 KR101973673 B1 KR 10197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members
members
fixing memb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247A (ko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완 filed Critical 김재완
Priority to KR102018007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책상 또는 식탁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용 칸막이 장치는,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포함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판의 표면에 흡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와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판재의 일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판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여 책상 또는 식탁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칸막이 장치 {A portable parti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책상 또는 식탁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또는 가정에서의 학습은 주위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에 학생들은 학습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책상마다 분리된 공간이 마련된 전문 독서실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서실용 책상은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폭에 대응한 크기로 양 측면에 설치되는 칸막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은 독서나 공부를 하는 사용자 주위의 산만한 외부환경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며 공부나 독서에 대한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시야범위를 보다 제한하기 위하여 칸막이판에 보조 칸막이가 더 구비된 독서실용 책상이 제안된 바 있다 (관련 선행특허문헌 1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독서실용 책상 (10) 은 책상판 (1) 과, 일정한 간격으로 책상판 (1) 의 공간을 분리하는 칸막이판 (2) 과, 칸막이판 (2)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칸막이 (3) 를 포함한다. 보조칸막이 (3) 는 보조칸막이 (3) 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 (4) 이 칸막이판 (2) 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돌기 (5) 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측의 시야범위를 가리도록 기능한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책상에 따르면 칸막이판 (2) 과 보조칸막이 (3) 와 같은 칸막이 구성이 책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그 위치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 형성된 칸막이 구성에 자세를 맞추기 위하여 노력할 수 밖에 없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체를 최대한 책상판 끝단에 밀착시키고, 머리를 양측 칸막이 구성 사이에 위치한 상태의 자세를 취해야만 시야 범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칸막이를 개방하여 책상을 넓게 사용하고자 하더라도, 종래의 책상의 형태는 이미 형성된 칸막이 구성을 분리하거나 제거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공간 상에서 학업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넓은 공간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책상으로 자리를 옮길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트렌드로 혼자만의 여유를 느끼고 싶어 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혼자 먹는 밥 이른바 '혼밥'을 즐기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혼밥족들을 겨냥하여, 최근 식당들은 도 1에 도시된 독서실 책상과 같이 손님이 주변의 시선에 방해받지 않고 식사를 온전히 즐길 수 있도록 칸막이가 형성된 식탁을 구비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통상 둘 이상의 손님들이 함께 식사를 하러 오는 식당의 입장에서는 혼밥족들만을 위한 식탁을 별도로 구비해 두는 것에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기도 하고, 다소 폐쇄적인 구조의 식탁이 식당에 자리잡는 것에 대하여 미관상 적절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다. 이에, 평소에는 개방된 식탁으로 사용하다가도, 1인이 식사를 하러 식당을 방문하는 경우 간편하게 혼밥족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칸막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책상 또는 식탁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의 도입이 필요하다.
1. 한국 특허등록 제 10-0697103 호 (발명의 명칭 : 책상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책상 또는 식탁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 또는 식탁의 형태에 관계 없이 다양한 책상 또는 식탁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칸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칸막이 장치는,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포함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판의 표면에 흡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와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판재의 일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판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칸막이 장치는,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포함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판을 클램핑 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와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판재의 일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판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부는, 서로 이웃하는 판재가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서로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단부가 그 대향하는 단부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여 책상 또는 식탁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따르면, 책상 또는 식탁의 형태에 관계 없이 다양한 책상 또는 식탁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활용성이 높은 칸막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독서실 책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칸막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고정 부재, 칸막이 부재 및 회전축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칸막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고정 부재, 칸막이 부재 및 회전축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는 고정 부재 (110) 및 칸막이 부재 (120) 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가 휴대 가능하게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가 사용되는 경우 부채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 부재 (110) 는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가 책상, 식탁 등의 상판에 필요에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고정 부재 (110) 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의 표면에 흡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을 클램핑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와 같이 고정 부재 (110) 가 흡착 고정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고정 부재 (110) 는 상판과 접촉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의 흡착판 (111) 을 포함한다.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판에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가 고정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를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하기 위하여, 흡착판 (111) 을 상판에 밀착시킨 후 흡착판 (111) 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 (112) 를 회전시킨다. 손잡이 (112) 가 회전하면서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의 밀착된 공간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의 압력이 낮아져 고정부재 (110) 가 상판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를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으로부터 제거하려면, 회전시킨 손잡이 (112) 를 반대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흡착판 (111) 으로부터 돌출된 부분 (111a) 을 잡고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때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의 밀착된 공간의 부피가 작아지거나 또는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판과 흡착판 (111) 사이의 압력에 다시 높아지게 되고, 이로써 고정부재 (110) 가 상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b와 같이 고정 부재 (110') 가 클램핑 고정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고정 부재 (110) 는 내측에 상판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를 가지는 클램핑 몸체부재 (111') 와, 몸체부재 (111') 를 관통하면서 몸체부재 (111') 내에 삽입된 상판의 저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112') 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 (112') 는 몸체부재 (111') 의 내측면과 상판을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가압부재 (112') 는 몸체부재 (111') 에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칸막이 부재 (120) 는 고정 부재 (110) 에 체결되고, 고정 부재 (110) 에 포함된 회전축 (130) 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칸막이 부재 (120) 는 복수 개의 판재 (121) 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칸막이 부재 (120) 는 복수 개의 판재 (121) 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 (도 2a와 같은 상태) 와 복수 개의 판재 (121) 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도 2b와 같은 상태) 사이에서 고정 부재 (110) 에 포함된 회전축 (130)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칸막이 부재 (120) 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 (121) 의 회전 가능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판재 (121) 는 돌출부 (122) 와, 돌출부 (122) 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 (123) 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122) 는 판재 (121) 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의 걸림부 (123) 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 (123) 는 돌출부 (122) 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판재 (121) 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축 (130) 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돌출부 (122) 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돌출부 (122) 와 걸림부 (123) 는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가 회전축 (130) 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각각의 판재 (121) 는 서로 대면하는 면들이 접하도록 적층되는데, 이때 돌출부 (122) 가 걸림부 (123) 에 삽입되어 회전축 (130) 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22) 는 긴 홀로 형성된 걸림부 (123) 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그 단부가 나사못의 헤드 구조처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 (122) 는 이웃하는 판재 (121) 의 걸림부 (123) 에 걸려 각각의 판재 (121) 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고, 돌출부 (122) 가 걸림부 (123) 가 제공하는 이동경로 상에서 움직이게 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의 회전 가능 범위를 한정되게 된다.
한편, 돌출부 (122) 는 그 돌출된 정도가 판재 (121) 의 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돌출부 (122) 가 판재 (121) 의 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면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가 회전하면서 돌출부 (122) 에 걸려 도 2a와 같은 접힘 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므로, 돌출부 (122) 는 그 돌출된 정도가 판재 (121) 의 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a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판재 (121) 에 형성된 각 걸림부 (123) 는, 회전축 (130) 의 중심축 방향으로 판재 (121) 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돌출부 (122) 의 외면에 접하여 돌출부 (122) 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판재 (121) 의 전개 방향으로 돌출부 (122) 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 (123) 가 형성된 부위에는, 판재 (121) 의 일면으로부터 회전축 (130) 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걸림부 (123) 와 연통되고, 걸림부 (123) 와 함께 내측에 수용된 돌출부 (122) 의 외면에 접하여 돌출부 (122) 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회전축 (130) 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부 (122) 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판재 (121) 에 형성된 각 돌출부 (122) 는, 걸림부 (123) 에 수용되어 판재 (121) 의 회전 시 걸림부 (123) 를 따라 이동 가능한 축부 및 안내홈부에 수용되어 판재 (121) 의 회전 시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돌출부 (122) 와 걸림부 (123) 의 도시된 모습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형상 및 배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4에서는 걸림부 (123) 가 판재 (121) 를 관통하는 홀로 예시하고 있지만, 걸림부 (123) 는 판재 (121) 의 일면에서만 개구되도록 형성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부 (122) 가 이러한 홈의 걸림부 (123) 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돌출부 (122) 와 걸림부 (123) 는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의 회전 가능 범위를 한정하면서도 각각의 판재 (121) 가 이격되지 않도록 서로 걸리도록 형성된다면 각각의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판재 (121) 에 걸림부 (123) 가 3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판재 (121) 의 돌출부 (122) 가 어느 하나의 걸림부 (123) 에 교번하여 걸리도록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돌출부 (122) 및 걸림부 (123) 의 배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칸막이 부재 (120) 를 이루는 복수 개의 판재 (121)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도 2a의 접힘 상태와 도 2b의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판재 (12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판재는 고정부재 (110) 와 수직한 상태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나의 판재가 고정된 위치에서 기준을 잡도록 구성되어야 나머지 판재가 고정된 기준 판재와 상대적인 위치를 이루도록 회전하면서 칸막이 부재 (120) 가 부채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판재 (121) 는 회전축 (130) 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 (130) 에 고정되는 단부 (111a) 가 그 대향하는 단부 (111b)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칸막이 부재 (120) 를 이루는 복수 개의 판재 (121) 는 이러한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재 (121) 는 고정 부재 (110) 에 포함된 회전축 (130) 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 (110) 와 칸막이 부재 (120) 를 연결하는 회전축 (130) 은 복수 개의 판재 (121) 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회전축 (130) 은 복수 개의 판재 (121) 가 펼쳐지는 경우의 각각의 판재 (121) 를 지지하는 축이 되면서도, 칸막이 부재 (120) 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각각의 판재 (121) 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공지된 회전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 (130) 은 착탈 불가능하게 고정 부재 (110) 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의 고정 부재 (110) 와 칸막이 부재 (120) 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회전축 (130) 이 고정 부재 (110) 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고정 부재 (110) 를 먼저 상판에 고정시킨 후 고정된 고정 부재 (110) 에 칸막이 부재 (120) 와 회전축 (130) 을 끼움 등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도의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로 포함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여 책상 또는 식탁에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개방된 공간에서 필요에 따라 개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휴대용 칸막이 장치 (100) 는 책상 또는 식탁의 형태에 관계 없이 다양한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활용성이 높은 이점을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휴대용 칸막이 장치
110, 110' … 고정 부재
111 … 흡착판
112 … 손잡이
111' … 몸체부재
112' … 가압부재
120 … 칸막이 부재
121 … 판재
122 … 돌출부
123 … 걸림부
130 … 회전축

Claims (4)

  1.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포함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판의 표면에 흡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와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부는, 서로 이웃하는 판재가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판재의 일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판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에 형성된 각 걸림부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판재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판재의 전개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부와 연통되고, 상기 걸림부와 함께 내측에 수용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에 형성된 각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에 수용되어 상기 판재의 회전 시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축부 및 상기 안내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판재의 회전 시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칸막이 장치.
  2. 책상 또는 식탁의 상판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용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포함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채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판 상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된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판을 클램핑 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모두 중첩된 접힘 상태와 상기 복수 개의 판재가 부채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진 펼침 상태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는,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에서 그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웃하는 판재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접힘 상태와 상기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걸림부는, 서로 이웃하는 판재가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관통된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판재의 일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복수 개의 판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가 다단으로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판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에 형성된 각 걸림부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판재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판재의 전개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걸림부와 연통되고, 상기 걸림부와 함께 내측에 수용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판재에 형성된 각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에 수용되어 상기 판재의 회전 시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축부 및 상기 안내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판재의 회전 시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칸막이 장치.
  3. 삭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단부가 그 대향하는 단부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칸막이 장치.
KR1020180076606A 2018-07-02 2018-07-02 휴대용 칸막이 장치 KR10197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06A KR101973673B1 (ko) 2018-07-02 2018-07-02 휴대용 칸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06A KR101973673B1 (ko) 2018-07-02 2018-07-02 휴대용 칸막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104 Division 2017-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47A KR20190009247A (ko) 2019-01-28
KR101973673B1 true KR101973673B1 (ko) 2019-04-29

Family

ID=6526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606A KR101973673B1 (ko) 2018-07-02 2018-07-02 휴대용 칸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982B2 (ja) * 1990-09-19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矩形状atカット水晶振動子
JP2005000404A (ja) * 2003-06-12 2005-01-06 Yamada Kogyo Kk デスクトップサイドパネル
KR200423724Y1 (ko) * 2006-05-15 2006-08-10 유화자 휴대용 절첩식 부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500Y1 (ko) * 1990-05-10 1992-03-05 신은수 부채의 전개각(展開角) 조절장치
KR100697103B1 (ko) 2003-12-29 2007-03-22 주식회사 리바트 책상 조립체
JP3159982U (ja) * 2010-02-19 2010-06-10 和博 椎 スライド式扇状開閉シャッ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982B2 (ja) * 1990-09-19 2001-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矩形状atカット水晶振動子
JP2005000404A (ja) * 2003-06-12 2005-01-06 Yamada Kogyo Kk デスクトップサイドパネル
KR200423724Y1 (ko) * 2006-05-15 2006-08-10 유화자 휴대용 절첩식 부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47A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551B2 (en) Portable paper organizer
USD938207S1 (en) Foldable table
US9516946B1 (en) Freestanding desktop storage unit for support of a privacy panel
KR101973673B1 (ko) 휴대용 칸막이 장치
USD498412S1 (en) Table height adjusters
WO2006012109A1 (en) Modular triangular desk
KR101370380B1 (ko) 기능성 파티션
KR20038629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KR102350513B1 (ko)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KR101562796B1 (ko) 조립식 파티션
US11096487B2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KR101413164B1 (ko) 접이식 도마
KR102101480B1 (ko) 샘플북
JP4191790B1 (ja) 衝立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USD530528S1 (en) Rectangular school desks
KR200319414Y1 (ko) 휴대용 교탁
KR20190043924A (ko) 선박용 테이블을 포함한 소파
KR20200000376U (ko) 기립구조로 파지 및 휴대가 용이한 피자포장박스
KR101694352B1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0425616Y1 (ko) 보조 칸막이
KR20170004152U (ko) 이동식 조명장치를 갖는 침대
KR20230001974U (ko) 가변형 칸막이 기구
KR101546823B1 (ko) 휴대용 독서 보조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