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95Y1 -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95Y1
KR200386295Y1 KR20-2005-0007028U KR20050007028U KR200386295Y1 KR 200386295 Y1 KR200386295 Y1 KR 200386295Y1 KR 20050007028 U KR20050007028 U KR 20050007028U KR 200386295 Y1 KR200386295 Y1 KR 200386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member
reading
partiti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
Original Assignee
(주)동서싸이언스.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싸이언스.퍼니처 filed Critical (주)동서싸이언스.퍼니처
Priority to KR20-2005-0007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의 외측과 내측부위를 분리시켜 내측 부위를 회전시켜 독서대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인 바, 그 구조는 전면과 양측에 칸막이가 마련되는 상판과 그 상판의 하부 테두리에 복수개의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판의 내측과 외측이 분리되어 제1,2상판부재로 구성되며, 제2상판부재가 제1상판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고, 제2상판부재의 타단부 양측이 록킹수단에 의해 양측 칸막이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열람대 책상 뿐만 아니라 독서대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A READING DESK}
본 고안은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서관등에 사용되는 열람대 책상의 상판 일부를 회전가능한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람대는 독서실이나 도서관등의 장소에서 독서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책상 형태로 이루어지며, 타인의 방해 또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독립적인 공간을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기존 열람대의 구조는 전면과 양측면에 칸막이가 수직으로 마련된 상판과, 그 상판의 각 테두리 하부에 수직으로 다리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근접된 위치에 의자가 일체로 마련되거나 혹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열람대의 상판에는 각자 개인 물품이나 책등을 올려 놓고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사용하는 상판의 공간은 의자와 근접되는 외측 테두리 부위에 한정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가방등의 물품이나 책들을 전면 칸막이측에 근접된 위치에 두고 있으므로, 그 공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을 읽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독서대를 구비하여 그 독서대 위에 책을 펼친 상태로 유지시켜 독서를 하거나, 사용자의 양손으로 책을 펼친 상태로 책 테두리 양측을 파지하여 읽어야 하므로, 이는 사용자가 열람대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독서대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한 자세로 장시간 독서할 경우 육체 피로등을 호소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시 잘 사용하지 않는 상판의 내측 부위를 회전 가능한 독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과 양측면에 칸막이가 수직으로 마련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테두리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일체로 형성된 다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판의 외측 부위와 내측 일부위가 상호 분리되어 각각 제1,2상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판부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일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상판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양측의 칸막이 내측면에 록킹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상판부재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양측 칸막이 내측면에 상기 제2상판부재의 회전 경로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상판부재의 타단부 양측 테두리에 마련되고 외측으로 일방향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상판부재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외부와 연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공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과 록킹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구와,
상기 슬라이딩공의 내부와 상기 걸림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구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열람대(100)의 구조는 전면과 양측에 칸막이가 마련되는 상판(110)과 그 상판(110)의 하부 테두리에 복수개의 다리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판(110)의 내측과 외측이 분리되어 제1,2상판부재로 구성되며, 제2상판부재(200)가 제1상판부재(115)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고, 제2상판부재(200)의 타단부 양측이 록킹수단에 의해 양측 칸막이(130)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록킹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록킹수단은 양측 칸막이(130) 내측면에 제2상판부재(200)의 타측단이 회전되는 경로의 궤적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그 제2상판부재(200)의 타단부 양측 테두리에 마련되고 외측으로 일방향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300)가 형성된 것이다.
그 걸림부(300)는 그 양측 칸막이(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3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20)가 일측 테두리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구(310)와, 제2상판부재(200)의 타단부 양측에 그 걸림구(31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측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공(205)과, 그 슬라이딩공(205)의 내부에 수용되고 걸림구(310)의 타측 테두리와 접촉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410)으로 구성된다.
그 걸림구(310)의 양단에는 플랜지가 각각 단턱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 형태의 노브(33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공(205)의 상측으로 좌,우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노브(3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하게 되면, 걸림구(310)가 슬라이딩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제2상판부재(200)의 일단부 양측 테두리에는 힌지돌기(210)가 돌출되게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힌지돌기(210)가 위치하는 양측 칸막이(130)의 내측면에는 끼움홈(314)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00"는 걸림구(310)가 슬라이딩공(205)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열람대(100)는, 평상시에는 상판(11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제1,2상판부재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상판부재(200)가 세워지지 않고 눕혀져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판(110)의 내측과 외측 부위에 개인 물품이나 책등을 올려 놓은 상태로 통상적인 열람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판(110)의 일부를 독서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상판부재(200)를 제1상판부재(115)에 대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세울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양손으로 걸림구(310)의 노브(3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중앙측으로 젖혀서 걸림구(310)의 걸림돌기(320)가 맨하측의 결합홈(13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에 사용자측으로 당기면, 그 슬라이딩공(205)내에 수용되어 있던 스프링(410)이 수축되면서 제2상판부재(200)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칸막이(130)의 끼움홈(314)에 끼워진 힌지돌기(21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지게 된다.
이후에, 그 제2상판부재(200)의 회전 경로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132)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위치에 걸림돌기(320)를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제2상판부재(200)가 적당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된다.
이때, 사용자는 걸림구(310)의 노브(330)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슬라이딩공(20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410)이 수축되어 있다가 복원되는 탄성력을 갖게 되면서 걸림구(310)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구(310)의 걸림돌기(320)가 선택된 결합홈(132)내에 수용되면서 록킹 결합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갖게 된다.
또, 걸림구(310)는 슬라이딩공(205)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의 플랜지가 슬라이딩공(205)의 양측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정 경사각을 갖도록 세워진 제2상판부재(200)의 경사면에 책을 펼친 상태로 안착시켜 독서대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상판부재(200)의 걸림돌기(320)를 칸막이(13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132)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록킹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독서대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상판의 외측과 내측부위를 분리시켜 내측 부위를 회전시켜 독서대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열람대 책상 뿐만 아니라 독서대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열람대가 평상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열람대가 독서대로도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열람대 110 : 상판
115 : 제1상판부재 120 : 다리부
130 : 칸막이 132 : 결합홈
134 : 끼움홈 200 : 제2상판부재
205 : 슬라이딩공 210 : 힌지돌기
300 : 걸림부 310 : 걸림구
320 : 걸림돌기 330 : 노브
410 : 스프링

Claims (3)

  1. 전면과 양측면에 칸막이(130)가 수직으로 마련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각 테두리 하부에 수직으로 일체 형성된 다리부(120)로 구성된 열람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외측 부위와 내측 일부위가 상호 분리되어 각각 제1,2상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판부재(20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일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상판부재(200)의 타단부가 상기 양측의 칸막이(130) 내측면에 록킹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상판부재(115)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양측 칸막이(130) 내측면에 상기 제2상판부재(200)의 회전 경로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상판부재(200)의 타단부 양측 테두리에 마련되고 외측으로 일방향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00)는 상기 제2상판부재(20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외부와 연통되는 슬라이딩공(205)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공(205)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132)과 록킹 결합되는 걸림돌기(3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구(310)와,
    상기 슬라이딩공(205)의 내부와 상기 걸림구(3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구(310)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1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KR20-2005-0007028U 2005-03-16 2005-03-16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KR200386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28U KR200386295Y1 (ko) 2005-03-16 2005-03-16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28U KR200386295Y1 (ko) 2005-03-16 2005-03-16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95Y1 true KR200386295Y1 (ko) 2005-06-10

Family

ID=4929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28U KR200386295Y1 (ko) 2005-03-16 2005-03-16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10B1 (ko) 2011-09-05 2011-10-25 정지용 독서대 겸용 책상
KR102027987B1 (ko)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소음 방지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보유한 스크린 일체형 열람대
KR102251984B1 (ko) * 2019-11-15 2021-05-13 김민지 독서대
KR200496719Y1 (ko) * 2022-05-27 2023-04-11 김학천 조명장치가 포함된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10B1 (ko) 2011-09-05 2011-10-25 정지용 독서대 겸용 책상
KR102027987B1 (ko)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소음 방지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보유한 스크린 일체형 열람대
KR102251984B1 (ko) * 2019-11-15 2021-05-13 김민지 독서대
KR200496719Y1 (ko) * 2022-05-27 2023-04-11 김학천 조명장치가 포함된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1422B2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6950302B2 (en) Portable computer pedestal method and apparatus
CN209235352U (zh) 便携式可调节桌子系统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20170028814A (ko) 높이조절 가능한 책상 플랫폼
US20070120034A1 (en) Xdeck laptop/book-holder
TW200403135A (en) Tool case with cover member support
KR20038629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열람대
US9872573B1 (en) Convertible bar cabinet
EP3598921B1 (en) Articulated support bracket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101987001B1 (ko) 가구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1636133B1 (ko) 수강 및 연수용 책상
US11617441B2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JP2016104117A (ja) 天板傾斜角可変机
US6601815B2 (en) Adjustable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103089A1 (en) Household lectern
KR200463478Y1 (ko)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되는 가방
US905342A (en) Folding table.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