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429A - 접이식 독서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429A
KR20200067429A KR1020180154275A KR20180154275A KR20200067429A KR 20200067429 A KR20200067429 A KR 20200067429A KR 1020180154275 A KR1020180154275 A KR 1020180154275A KR 20180154275 A KR20180154275 A KR 20180154275A KR 20200067429 A KR20200067429 A KR 2020006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late
support
support plate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현
Original Assignee
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현 filed Critical 전동현
Priority to KR102018015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7429A/ko
Publication of KR2020006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구비되는 받침부가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지지판에 밀착하면서 접히거나 다시 받침부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고, 상기 받침부가 지지판에 밀착되면서 접힐때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있는 책장지지부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에 안착되면서 수납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판상의 구조를 가지는 책지지판과,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책지지판에 놓여진 책의 하부를 받쳐주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지지판을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는 최소한 3개 이상의 받침판이 회동 가능하게 나란히 연결되어 상기 받침판들을 나란히 펼쳐서 상기 책지지판의 전면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받침판들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책지지판과 수평방향이 되면서 상기 책지지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독서대{FOLDABLE BOOKSTAND}
본 발명은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구비되는 받침부가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지지판에 밀착하면서 접히거나 다시 받침부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고, 상기 받침부가 지지판에 밀착되면서 접힐때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있는 책장지지부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에 안착되면서 수납될 수 있는 접이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는 독서를 할 때 책을 경사지게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문구류의 일종이다. 독서대를 사용하면 허리나 목을 과도하게 구부릴 필요 없기 때문에 건강에 두움이 되고, 책을 잡고 있을 필요도 없이 필기 등을 하면서 독서나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여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의 후면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수평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책장을 지지하는 책장지지부 및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판이 경사를 조절하거나 유지하는 고정조절부로 구성된다.
독서대는 주로 원목이나 엠디에프(MDF) 또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나무 독서대는 튼튼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무겁고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독서대는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관이 조잡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서대는 한 장소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독서실이나 공공도서관 또는 학교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모든 독서대는 받침부와 고정조절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일단이 지지판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와 고정조절부가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따로 놀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거나 번거로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1300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일본국 등록실용신안 제3165771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이 있다.
종래기술 1은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책받침부(10)와 책지지부(20), 높이부(30), 바닥지지부(40) 및 경사조절부)50)가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접철식과 휴대성을 강조하다 보니 책지지부(20)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1은 책지지부(20)에 별도의 책지지부홀더(7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책지지부홀더(70)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독서대를 휴대하기 위하여 접더라도 상기 책받침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 1은 구조적으로 책장지지부를 구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독서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 2는 받침부(10)를 하방으로 펼쳐서 삼각형 모양으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받침부(10)를 접으면 지지판(1)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조절부(18)도 지지판(1)의 후방에서 펼쳐지면서 접히기 때문에 실제로 휴대를 할 때는 지지판(1)과 고정조절부(18)의 두께를 합친 두께로 경량화되는 이점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도 휴대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받침부에 책장지지부를 장착할 수 없는 구조이며, 지지판(10)에 상기 받침부(10, 11)에 대응하는 타공부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더구나 종래기술 2는 고정조절부가 지지판에 형성된 장공(8)에 삽입되면서 기울기조절 및 고정을 하기 때문에 조잡한 이미지를 주게 된다.
이외에도 일부 휴대용 독서대로 판상의 구조를 접어서 휴대성을 강조한 구조가 일부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독서대와 같이 책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없이 판상의 구조를 접어서 사용하는 형태는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이거나 책장을 지지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종래의 독서대에 비하여 휴대성이 향상된 것은 사실이지만 기존의 독서대의 장점인 일부 기능을 포기한 구조이거나 책장지지부를 깔끔하게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휴대성이나 보관성 불편함이 여전이 존재한다. 특히 종래의 접척식 독서대는 대부분 책받침부나 고정조절부가 지지판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지판에 많은 타공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외관이 조잡하게 됨은 물론 지지판에 필기구 등을 놓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종래의 독서대는 휴대성 및/또는 외관을 강조하다보면 독서대 본원의 기능을 일부 포기해야하고, 기능성을 강조하면 휴대성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0611300 B1 JP 3165771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서대로 사용할 때는 책장지지부를 포함하여 전술하여 설명한 독서대의 모든 구성을 가지게 되며, 휴대를 할 때는 외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기능성과 휴대성 및 미관을 모두 갖춘 휴대용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판상의 구조를 가지는 책지지판과,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책지지판에 놓여진 책의 하부를 받쳐주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지지판을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는 최소한 3개 이상의 받침판이 회동 가능하게 나란히 연결되어 상기 받침판들을 나란히 펼쳐서 상기 책지지판의 전면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받침판들 중 최소한 하나가 상기 책지지판과 수평방향이 되면서 상기 책지지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책받침부는 일측면이 상기 책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1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2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받침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판들을 접어서 책받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고, 상기 제2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1 받침판의 하부로 접히고, 상기 제3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 방향이 되도록 접혀서 상기 제3 받침부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에 대면하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2 받침판의 일면으로 상기 책받침부를 상기 책지지판에 밀착되도록 접힐때 상기 책지지판과 대면하는 방향에는 책장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책지지판에는 상기 책받침부가 대면하여 밀착하는 경우에 상기 책장지지부가 특정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로 상기 제1 받침판의 아랫부분에는 상기 제3 받침판의 타측면이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받침판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받침판들이 책받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3 받침판은 상기 제1 받침판보다 길게 구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이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평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3 받침판은 상기 제2 받침판의 타단보다 하부로 경사지게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에 고정 또는 지지되어 상기 제2 받침판과 상기 제3 받침판 사이의 내각이 90°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로 상기 제1 받침판의 아랫부분에는 상기 제2 받침판이 수평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3 받침판의 타단이 걸리거나 고정되는 받침판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판고정부의 상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3 받침판이 상기 보조고정부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판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보다 상기 제2 받침판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책받침부는 일측면이 상기 책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1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2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받침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판들을 접어서 책받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고, 상기 제2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면서 타단이 상기 책지지판의 하단과 동일하거나 길도록 상기 제1 받침판의 하부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제3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 방향이 되도록 접혀서 상기 제3 받침부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받침판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받침판고정부는 상기 책지지판의 후면방향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고정부의 전방에는 보조받침판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3 받침판의 타단이 상기 받침판고정부에 고정되는 경우보다 상기 보조받침판고정부에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받침판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으로부터 높게 이격되면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에 의하면 받침부가 다단의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휴대시에는 지지판에 밀착되고, 독서대로 사용할 때는 책장지지부가 구비된 통상의 받침부 형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휴대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받침부에 구비된 책장지지부가 지지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안착되면서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가 지지판에 밀착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받침부가 밀착부에 평편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외관이 심플하고 깔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지지판의 전부를 책받침부 또는 고정조절부로 가려지도록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책받침부나 고정조절부의 색상이나 재질을 조절하여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느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책받침부가 접히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부와 받침판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부가 3개 이상의 받침판으로 고성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느 측면도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의 책받침부가 접히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는 종래의 일반적으로 독서대와 마찬가지로 책지지판(100), 책받침부(130) 및 고정조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책지지판(100)은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나무나 플라스틱 또는 철재와 같은 재질의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경사지게 놓여진 상태에서 책의 후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책지지판(100)은 종래의 독서대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후술하여 설명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든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조절부(150)는 책지지판(100)의 경사진 기울기를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 및/또는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독서대의 기본구성으로 세부적인 형상은 기능적 또는 디자인적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독서대의 통상적인 구성 중 본 발명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구조와 재질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독서대 중에서 발명의 특징을 이루며, 종래의 독서대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책받침부(130)가 최소한 3개 이상의 복수의 받침판(131, 133, 135)이 나란히 연결되어 상기 받침판들(131, 133, 135)이 펼쳐져서 책지지판(100)에 밀착되거나 상기 받침판들(131, 133, 135)을 단면구조가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로 접어서 책받침부(13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책받침부(130)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책받침부(130)를 구성하는 받침판(131, 133, 135)은 3개 이상이면 다양한 개수로 할 수 있다. 받침판(131, 133, 135)을 3개 이상으로 한 것은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들(131, 133, 135)을 나란히 펼쳐져서 책지지판(100)과 밀착되도록 하여 휴대하거나 보관이 용이하게 하고, 독서대로 사용할 때는 상기 받침판(131, 133, 135)이 책받침부(130)를 형성하면서 최소한 하나(도면에서 제2 받침판(133)(133))가 상기 책지지판(100)과 수평방향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후술하여 설명할 책장지지부(140)의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되면서도 상기 책지지판(100)에 밀착되도록 접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책장지지부(14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3개의 받침판(131, 133, 135)으로 구성된 독서대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고, 4개 이상의 받침판으로 구성된 구조에 관해서는 별도로 보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받침판의 개수는 책지지판(100)로부터 이격되면서 접히는 부분의 개수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책지지판(100)과 밀착하여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은 발명의 기능과는 무관하거나 핵심적인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1 받침판(131)의 하부에 상기 제1 받침판(131)과 동일한 두께와 형상의 받침판을 책지지판(100)에 부착하면 상기 제1 받참판(131)의 하부도 균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발명의 기능과는 무관한 구성이다.
책받침부(130)는 일측면이 책지지판(100)의 전면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판(131)과, 일측면이 상기 제1 받침판(131)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판(133)과, 일측면이 상기 제2 받침판(133)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제3 받침판(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31, 133, 135)은 책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얇고 튼튼한 재질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받침판(131, 133, 135)은 얇은 철판이나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관을 위하여 고무나 가죽 또는 원단 느낌의 코팅이나 표면처리를 할 수도 있다.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은 자석으로 부착고정이 가능하게 철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판(131, 133, 135)의 폭(도 1에서 책지지판(100)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말함, 이하 동일)은 책지지판(100)의 폭과 유사하거나 상기 책지지판(100)의 폭보다는 좁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131, 133, 135)은 독서대로 사용하지 않을때 나란히 펼쳐져서 책지지판(100)의 전면(책이 얹혀지는 면을 말함, 이하 동일)에 밀착되면서 상기 책지지판(100)의 전면을 일부 가리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는 상기 책지지판(10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하여 책받침부(130)를 형성할 때 제1 받침판(131)은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접고, 상기 제2 받침판(133)은 상기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평방향(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1 받침판(131) 및 책지지판(100)의 하부방향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제3 받침판(135)은 상기 책지지판(100) 방향이 되도록 접어서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측면이 책지지판(100)의 하부로 상기 제1 받침판(131)의 하부에 대면하면서 지지되거나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받침판들이 내측에 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면서 책지지판(10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평행한 방향)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반드시 수학적인 90°나 평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방향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받침판(135)의 타측을 책지지판(100)의 전면에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지지판(100)의 하부면 일부와 상기 제3 받침판(135)을 자석이나 금속으로 하여 서로 부착하게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책지지판(100)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측 일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당업자가 고려할 수 있는 상식적인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고정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제2 받침판(133)의 일면으로 상기 제2 받침판(133)이 책지지판(100)과 밀착되는 경우에 상기 책지지판(100)과 대면하는 방향에 책장지지부(140)가 구비되고, 책지지판(100)에는 상기 책받침부(130)가 대면하여 밀착하는 경우에 상기 책장지지부(140)가 특정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책장지지부(140)는 상기 제2 받침판(13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면서 탄성력으로 책의 상부 양측을 가압하여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거나 책이 덮히는 것을 방지하는 독서대의 기본적인 구성 중에 하나다. 책장지지부(140)는 제2 받침판(133)의 일면, 즉 도면으로 기준으로 받침판(131, 133, 135)이 책받침부(130)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받침판(133)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그리하여 책받침부(130)를 펼쳐서 책지지판(100)에 밀착하는 경우에 책장지지부(140)가 책지지판(100) 방향이 되면서 상기 책받침부(130)에 가려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책장지지부(140)로 인하여 책받침부(130)가 밀착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책지지판(100)에 수용부(110)를 형성하여 상기 책장지지부(140)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면서 안착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수용부(110)는 책장지지부(140)가 삽입되면서 안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책지지판(100)에 가로방향으로 수용부(110)를 형성하여 책장지지부(140)를 가로방향으로 하여 책받침부(130)를 책지지판(100)에 밀착시키면 상기 책장지지부(140)가 책지지판(100)의 수용부(110)에 삽입되는 구조를 예시로 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세로방향 등 다양한 방향 중에 특정 방향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독서대에 책을 안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제1 받침판(131) 위에 올려지는 책의 무게와 책장지지부(140)가 책장을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은 제3 받침판(135)에 가장 크게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3 받침판(135)이 견고하게 지지 및/또는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제1 받침판(1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책지지판(100)에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걸리거나 고정되는 받침판고정부(1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받침판고정부(115)는 상기 제3 받침판(135)이 걸리거나 고정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접촉할 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삽입되면서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외관을 심플하게 하기 위하여 책지지판(100)의 하부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 부위와 제3 받침판(135)이 자석이나 금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상기 걸림홈에 일부 삽입되면서 자석의 원리로 부착하여 걸리는 받침판고정부(115)를 일 례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받침판들(131, 133, 135)이 책받침부(130)를 형성하는 경우에 제3 받침판(135)은 제1 받침판(131)보다 길게 구성되어 제2 받침판(133)이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평방향(평행한 방향)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3 받침판(135)은 제2 받침판(133)의 타단보다 하부로 경사지게 책지지판(10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받침판(133)과 제3 받침판(135) 사이의 내각이 90°이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책받침부(130)에 얹혀지는 책의 무게와 책장지지부(140)에 의한 반발력은 대부분 제3 받침판(135)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제3 받침판(135)이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것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구조가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더육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부와 받침판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받침판고정부(115)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받침판고정부(115)의 상부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117)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받침판고정부(115)에 걸려서 고정 및 지지되거나 보조고정부(117)에 걸려서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판이 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2 받침판(133)이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보조고정부(117)에 걸려서 지지 및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제2 받침판(133)의 타측이 높아져서 경사지게 되는 구조가 된다. 이는 책장지지부(140)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두께의 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책장지지부(140)에 의한 반발력이 제3 받침판(135)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하는데도 유리한 구조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량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한 목적 중에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 책장지지부(140)가 책지지판(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에 안착되는 구조를 선택하였다. 그런데 책장지지부(140)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수용부(110)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며, 상기 수용부(110)의 크기가 커지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수용부(110)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으면 책장지지부(140)가 수용부(110)에 삽입되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책장지지부(140)의 탄성력이나 가압범위가 줄어들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통상적으로 독서대는 책장지지부(140)가 다양한 두께의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탄성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책장지지부(140)는 책이 없는 상태에서 끝단이 책지지판(100)에 닿도록 구성되면서 가운데 부분이 휘어진 구조로 구성된다. 이처럼 책장지지부(140)가 책지지판(100)에 닿도록 하면서 다양한 두께의 책에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지만 책장지지부(14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책장지지부(140)가 많이 휘어질 수록 상기 책장지지부(140)를 수용하는 수용부(110)의 크기나 폭도 함께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책장지지부(140)가 책지지판(100)에 닿지 않도록 하면 얇은 책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하며, 책받침부(130)의 크기(특히 제1 받침판(131)의 길에로 결정되는 높이)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두꺼운 책을 지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판고정부(115)의 상부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보조고정부(117)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받침판(135)의 고정위치를 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제2 받침판(133)의 타측이 높아져서 책장지지부(140)의 끝단이 책지지판(100)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3 받침판(135)의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작은 크기의 책장지지부(140)로 다양한 두께의 책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책장지지부(140)의 크기가 작아지면 수용부(110)의 크기도 작아지고 수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 받침판(133)이 하부(타측)가 높고 상부(일측)가 낮으면 책장지지부(140)의 반발력이 자연스럽게 제1 받침판(131) 보다는 제3 받침판(135) 쪽으로 전달되어 안정적이 지지도 가능하다. 제1 받침판(131)은 책의 무게에 의하여 눌려지고 책장지지부(140)의 반발력은 후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중에 상기 제1 받침판(131)이 상부로 기울어지거나 접힐 우려는 적다. 그러나 소비자의 사용성향이나 책을 넘기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책장지지부(14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이 제1 받침판(131) 방향인 상부로 전달되면서 책받침부(130)의 구조가 무너지게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2 받침부가 경사지게 구성되면 책장지지부(140)의 반발력이 대부분 제3 받침판(135) 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3 받침판(135)만 안정적으로 지지되면 책받침부(130)의 구조가 무너질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고정부 및 보조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부(130)는 제1~3 받침판(131, 133, 135)으로 구성되고, 받침판고정부(115)는 책지지판(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3 받침판(135)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받침판(131)은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고, 제2 받침판(133)은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되 상기 제2 받침판(133)의 타단이 책지지판(100)의 하부면에 대응하거나 다소 길도록 상기 제1 받침판(131)의 하부로 접히고, 제3 받침판(135)은 책지지판(100) 방향이 되도록 접혀서 타측이 책지지판(10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받침판고정부(115)는 책지지판(100)의 후면방향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고정부(115)의 전방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보조받침판고정부(115)가 구비되어 상기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받침판고정부(115) 또는 보조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받침판고정부(115)가 책지지판(100)의 전면이 아니라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 외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원리와 유사하다.
또한,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는 경우에 제2 받침판(133)이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하고, 제3 받침판(135)의 타단이 보조받침판고정부(115)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2 받침판(133)의 타측이 책지지판(100)에 대하여 더 많이 이격되면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 또한 동일하다.
받침판고정부(115)가 책지지판(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판고정부(115)는 상기 책지지판(100)의 내측으로 드나들면서 수납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온전히 판상의 구조로 접히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부가 3개 이상의 받침판으로 고성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책받침부(130)는 전술하여 설명한 3개의 받침판(131, 133, 135)구조에서 제3 받침판(135)의 타측에 제4 받침판(137)이 추가로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4 받침판(137)이 책지지판(100)에 평행하게 상기 제3 받침판(135)의 상부로 접혀서 책지지판(100)의 전면에 대면하면서 접촉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제4 받침판(137) 및 상기 제4 받침판(137)이 대면하는 부위의 책지지판(100)은 금속 또는 자석으로 상호 대응하게 구성되어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책받침부(130)의 구성은 4개 이상의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받침판이 책지지판에 대면하거나 접촉하는 방식에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는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3개의 받침판이 전술하여 설명한 기능을 가지는 범위에서 추가적인 받침판이 구비되는 구조는 동일하거나 균등범위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정조절부(150)는 책지지판(100)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고정 및/또는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조절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지지판(100)의 후면으로 이격되면서 가운데 부분이 접혀서 책지지판(10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후면에 이격된 구성의 상부면에 홈(미도시)이나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책지지판(100)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지지다리(미도시)가 상기 홈이나 돌기에 걸리면서 경사지게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고정조절부(150)가 적용되고 있으나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때 상기 독서대를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순수하게 평판 구조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정조절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지지판(100)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의 평판으로 상기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판상의 고정조절부(150)는 책지지판(100)을 지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한 얇은 판상의 구조를 가져서 상기 고정조절부(150)가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평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정조절부(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조절판(151, 153)이 연속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책지지판(100)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하고, 책지지판(100)의 후면에는 복수의 홈(미도시)이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이나 돌기는 책지지판(100)의 후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일측이 책지지판(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조절판(151)은 상기 책지지판(100)이 책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나란하게 펼쳐지고, 일측이 상기 제1 조절판(151)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조절판(153)은 타측이 책지지판(100)의 후면으로 접혀서 상기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나 돌기에 걸리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고정조절부(150)를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상기 책지지판(100)에 대응하고 일측이 상기 책지지판(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판상의 조절판을 구비하되, 상기 조절판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부면에 복수의 고정돌기를 구성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하여 책지지판(10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별도의 지지다리가 상기 고정돌기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독서대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고정조절부(150)를 예시한 것이다. 다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독서대는 상기 고정조절부(150)가 책지지판(100)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판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고정조절부(150)를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부착하여 완전한 평면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전술하여 설명한 구조에서 고정돌기나 고정홈 등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책지지판(100) 등에 수납되는 구조가 적용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조절부(150)가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밀착되는 경우에 자석 등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보면, 책받침부(130)가 책지지판(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받침판(131)은 수직방향으로 접히고, 제2 받침판(133)은 수평방향으로 하부로 접히며, 제3 받침판(135)은 다시 책지지판(100) 방향으로 접혀서 끝단(타단)이 상기 책지지판(100)의 전면 또는 하부면에 지지 및/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후에 제2 받침판(133)에 구비된 책장지지부(140)를 책지지판(100)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책지지판(100)에 놓여진 책장을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받침판(131, 133, 135)을 펼쳐서 책받침부(130)를 형성한 후에는 고정조절부(150)를 펼쳐서 책지지판(100)을 경사지게 지지하게 한다.
한편, 독서대를 보관하거나 휴대하기 위하여 접을 때는 먼저 제2 받침판(133)에 구비된 책장지지부(140)를 책지지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접는다. 도면에서는 수용부(110)가 책지지판(100)에 가로방향으로 장공 또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책장지지부(140)도 상기 수용부(110)에 대응하도록 제2 받침판(133)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접는다. 그런 후에 제1 받침받(131)과 제2 받침판(133) 및 제3 받침판(135)을 순차적으로 책지지판(100)에 대면시키면 상기 제2 받침판(133)에 구비되어 있는 책장지지부(140)가 수용부(110)에 안착되면서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들은 전부나 일부가 책지지판(100)에 어느정도 고정력을 가지도록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받침판(135) 및 상기 제3 받침판(135)이 대면하는 책지지판(100)에는 금속 또는 자석이 상호 대응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3 받침판(135)이 상기 책지지판(100)에 자석부착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모든 받침판(131, 133, 135)들이 책지지판(100)에 자석으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외관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부착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책받침부(130)를 접은 후에는 고정조절부(150)를 접어서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부착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조절부(150)를 책지지판(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얇은 금속판 등으로 구성되는 판상의 고정조절부(150)를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밀착시키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가 거의 없는 심플한 판상의 구조가 되어 가방에 넣어서 다니거나 손으로 잡아서 이동하기 용이해 진다.
상기와 같이 책지지판(100)에 대응하는 평판구조의 고정조절부(150)를 상기 책지지판(100)의 후면에 평편하게 밀착시키고, 책받침부(130)를 펼쳐서 상기 책지지판(100)의 전면에 밀착시키면 전면과 후면이 모두 평편한 판상의 구조가 된다. 따라서 겉으로 노출되는 고정조절부(150)와 책받침부(130)의 마감에 따라 평편한 보드판 또는 테블릿피씨와 같은 겉모습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더구나 책지지판(100)의 전면 중에 책받침부(130)에 가려지지 않는 상부에도 상기 책받침부(130)와 동일한 두께와 재질로 커버를 부착하거나 여닫이식(후면의 고정조절부와 유사한 구조)으로 구비하면 책지지판(100)이 전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테블릿피씨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시 패션아이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책지지판
110: 수용부
115: 받침판고정부
117: 보조고정부
130: 책받침부
131: 제1 받침부
133: 제2 받침부
135: 제3 받침부
140: 책장지지부
150: 고정조절부

Claims (1)

  1. 판상의 구조를 가지는 책지지판과,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책지지판에 놓여진 책의 하부를 받쳐주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지지판을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는 일측면이 상기 책지지판의 전면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1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받침판과, 일측면이 상기 제2 받침판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구성되는 제3 받침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받침판들을 접어서 책받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고, 상기 제2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에 대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1 받침판의 하부로 접히고, 상기 제3 받침판은 상기 책지지판 방향이 되도록 접혀서 상기 제3 받침부의 타측이 상기 책지지판의 하부로 상기 제1 받침판의 하부에 대면하면서 고정되거나 지지되며,
    상기 제2 받침판의 일면으로 상기 책받침부를 상기 책지지판에 밀착되도록 접을 때 상기 책지지판과 대면하는 방향에는 책장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책지지판에는 수용부가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책장지지부가 상기 제2 받침판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책받침부가 상기 책지지판에 대면하여 밀착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독서대.

KR1020180154275A 2018-12-04 2018-12-04 접이식 독서대 KR2020006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75A KR20200067429A (ko) 2018-12-04 2018-12-04 접이식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75A KR20200067429A (ko) 2018-12-04 2018-12-04 접이식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429A true KR20200067429A (ko) 2020-06-12

Family

ID=7108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275A KR20200067429A (ko) 2018-12-04 2018-12-04 접이식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74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06A1 (ko)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양극 스크랩을 이용한 활물질 재사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00B1 (ko) 2005-03-07 2006-08-10 임동균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JP3165771U (ja) 2010-11-24 2011-02-03 操 佐々木 折畳式携帯書見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00B1 (ko) 2005-03-07 2006-08-10 임동균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JP3165771U (ja) 2010-11-24 2011-02-03 操 佐々木 折畳式携帯書見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06A1 (ko)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양극 스크랩을 이용한 활물질 재사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102026051B1 (ko)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US11297941B1 (en) Portable collapsible variable height book stand
KR101268863B1 (ko) 접철식 독서대
US20080011915A1 (en) Portable and collapsible lectern and bookstand
KR102269405B1 (ko) 휴대용 독서대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US6848665B1 (en) Paper holder structure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KR200407154Y1 (ko) 접이식 독서대
KR102020604B1 (ko) 슬림구조의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KR20200055631A (ko) 접이식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200067431A (ko)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구조
KR102215096B1 (ko)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KR101791360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200353767Y1 (ko) 상판 각도조절식 책상
KR200437333Y1 (ko) 접이식 수납의자
GB2596563A (en) Support for a book
KR100583831B1 (ko) 책장 고정용 클립
KR20130098696A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200109865A (ko)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JP2021115850A (ja) 書見台兼スマートフォン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