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865A -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 Google Patents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865A
KR20200109865A KR1020190029634A KR20190029634A KR20200109865A KR 20200109865 A KR20200109865 A KR 20200109865A KR 1020190029634 A KR1020190029634 A KR 1020190029634A KR 20190029634 A KR20190029634 A KR 20190029634A KR 20200109865 A KR20200109865 A KR 2020010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lamp
support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현
Original Assignee
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현 filed Critical 전동현
Priority to KR102019002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865A/ko
Publication of KR2020010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면에 구비되는 받침판이 접히면서 본체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수납부에 평편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심플한 외관을 구현함은 물론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 구조의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일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단부면에 구비되는 클램프 및 상기 본체패널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패널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기 본체패널의 일측에는 일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구성되는 받침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은 일측이 상기 받침수납부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일면방향에는 상기 클램프를 가려주는 가림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림판이 구비된 받침판의 타측을 상기 본체패널 방향으로 접으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림판이 상기 받침수납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BOOKSTAND HAVING STORAGE FOR BASE PLATE}
본 발명은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면에 구비되는 받침판이 접히면서 본체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수납부에 평편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심플한 외관을 구현함은 물론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는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고정되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독서대는 통상적으로 본체패널의 전면에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본체패널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패널를 경사지게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판에는 책의 낱장이 넘어가거나 책이 덮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클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독서대는 받침판이 본체패널로부터 돌출되어 휴대나 보관이 불편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당수의 독서대는 받침판이 본체패널에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 받침판이 다소 얇아질 뿐 여전히 본체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보관과 수납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73호의 "다기능 독서대"(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지지대가 본체패널의 후면에 접히면서 평편하게 수납되고, 받침판 또한 접히면서 본체패널의 전면에 평편하게 수납되도록 하여 상기 받침판과 지지대를 접으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책장클램프를 완전히 가리기 위하여 수용홈부와 고정홀더와 버튼부 및 작동구 등의 매우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부품들의 설계 및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여 제조가 힘들거나 제조단가가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책장을 지지하는 책장 고정수단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잦은 사용이 요구되는 독서대의 특성상 고장 발생 우려가 다분함은 물론,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튼부를 눌러서 수납하지 않고 받침대를 회동시켜 요입홈부(112)에 밀어넣으려 할 경우 책장 고정수단이 요입홈부의 가장자리에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다분하였다. 더 나아가 선행기술의 경우에 책장 고정수단(150)을 버튼식으로 눌러서 수용홈부(152)에 완전히 삽입하여야만 요입홈부(112)에 수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책장 고정수단(150)이 조금만 덜 수납되더라도 받침대(130)가 접히지 않으며, 책장 고정수단(150)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일반 수요자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렵다.
또한, 선행기술은 책장 고정수단을 펼쳐서 독서대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책장 고정수단이 삽입되는 요입홈부(112)가 움푹 패여진 형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독서대 본체패널(100)과 받침대(130) 위에 얹혀지는 책의 하중이 오직 요입홈부(112)의 후면(바닥면)에 의하여서만 지탱되기 때문에 강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오입홈부 후면을 두껍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림화에 한계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존의 독서대와 비교하여 심미감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컴팩트화 및 경량화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 구조의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일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단부면에 구비되는 클램프 및 상기 본체패널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패널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기 본체패널의 일측에는 일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구성되는 받침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은 일측이 상기 받침수납부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일면방향에는 상기 클램프를 가려주는 가림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림판이 구비된 받침판의 타측을 상기 본체패널 방향으로 접으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림판이 상기 받침수납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받침판을 접어서 상기 받침수납부에 수납하면 상기 가림판의 타단이 상기 본체페널의 일면과 나란하게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클램프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를 상기 받침판에 나란하게 접으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받침판 위에 얹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림판은 최소한 상기 받침판 위에 접혀서 얹혀진 상기 클램프의 일면방향을 모두 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클램프는 가운데 부분이 휘어진 꺽쇠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은 가운데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클램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에 의하면 받침판과 클램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가방에 넣어서 휴대하기도 용이하고, 책과 함께 포개서 휴대하기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가 적용된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가 적용된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독서대와 유사하게 책을 얹어서 거치하는 본체패널(100)과, 상기 본체패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타측 단부면에 구비되어 책장을 지지하는 클램프(130) 및 상기 본체패널(100)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패널(10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패널(1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체패널(100)은 디자인적인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본체패널(100)의 세부적인 형상은 공지의 다양한 구조와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는 본체패널(100)의 일측에 일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구성되는 받침수납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수납부(150)는 후술하여 설명할 가림판(115)이 구비된 받침판(110)이 수납되거나 안착되는 곳이다. 받침수납부(150)는 양측에 수납리브(153)가 구비되어 측면을 가려주는 동시에 상기 받침수납부(150)에 의하여 얇아진 본체패널(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받침수납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본체패널(100)의 두께나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수납리브(153)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받침판(110)은 본체패널(100)의 일면의 일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받침수납부(15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하여 독서대로 사용할 때는 본체패널(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독서대로 사용할지 않을 때는 타측을 받침수납부(150) 방향으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받침판(110)을 접어서 받침수납부(150)에 수납할 때 상기 받침판(110)의 일면은 본체패널(100)의 일면과 나란하게 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받침판(110)의 타측 단부면(도 1에서 받침판의 상부)에는 클램프(130)가 구비되어 있다. 클램프(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절곡된 꺽쇠구조의 철판이 주로 사용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으로, 클램프(130)의 구조나 종류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130)는 받침판(110)의 타측 단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형태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클램프(130)는 일반적으로 받침판(1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구비된다. 클램프(130)는 받침판(110)의 단부면에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독서를 할 때는 클램프(130)를 받침판(110)에 대하여 수직방향(본체패널방향)으로 펼쳐서 책장을 지지하는데 사용하고, 독서를 하지 않을 때는 상기 받침판(110)의 단부면에 나란하게 얹혀지도록 접을 수 있다. 받침판(110)의 두께는 클램프(130)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클램프(130)가 받침판(110) 위에 안정적으로 나란히 접히도록 한다. 여기서 대응하는 두께란 반드시 동일한 두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클램프(130)가 안정적으로 접히면서 얹혀질 수 있는 두께라면 상기 클램프(130)의 폭보다 다소 커거나 작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받침판 구조에서는 상기 받침판(110)의 타측 단부면에 클램프(130)를 구비하면 필연적으로 상기 클램프(130)와 상기 클램프(130)의 결합부가 받침판(110)의 단부면 위로 돌출되게 된다. 특히 독서대에 사용되는 클램프(130)는 책장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휘어진 꺽쇠구조의 철판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 클램프(130)를 펼친 상태에서 끝단이 메인패널의 일면에 닿을 정도가 되어야 얇은 책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램프(130)를 받침판(110)의 단부면 위에 접어서 얹혀지도록 하면 가운데 절곡된 부분이 볼록하게 튀어 올라오는 구조가 되며, 이처럼 클램프(130)가 돌출되면 받침수납부(150)의 크기도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10)을 가운데부분으로 갈수록 클램프(130)의 형상에 대응하게 일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받침판(110)의 가운데부분이 클램프(1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몰되도록 하여 상기 클램프(130)를 접으면 상기 클램프(130)가 받침판(110) 위에 밀착되면서 타측방향으로 거의 돌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더라도 받침판(110)을 접어서 받침수납부(150)에 수납하면 클램프(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기 싫게 될 뿐만 아니라 독서대의 일면이 평편하게 구현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는 받침판(110)의 타측에 가림판(115)이 더 구비되어 있다. 가림판(115)은 받침판(110)의 일면이 일부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받침판(110)을 접어서 받침수납부(150)에 수납한 상태에서 클램프(130)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가림판(115)은 최소한 받침판(110)에 클램프(130)가 접혀서 나란하게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30)가 충분히 가려지도록 구성된다. 즉, 클램프(130)가 받침판(110)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10)의 위로 돌출되는 부분보다 길게 구성되도록 한다.
받침판(110)을 접어서 받침수납부(150)에 수납할 때 상기 가림판(115)은 타측이 본체패널(100)의 일면과 나란하게 편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림판(115)이 구비된 받침판(110)을 접어서 받침수납부(150)에 수납하면, 상기 받침판(110)과 가림판(115) 및 메인패널의 일면이 모두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받침수납부(150)가 받침판(110)과 클램프(130)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수납부(150)의 타측방향에 가림판(115)이 밀착되면서 수납될 수 있는 가림판수납부(115)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면 받침판(110)과 클램프(130)가 완전히 수납되면서 받침판(100)과 가림판(115) 및 메인패널(100)의 일면이 평면이 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림판수납부(115)도 받침수납부(150)와 동일한 깊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지지대(17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지지대(170)는 메인패널(100)에 대면하도록 접혀서 타면이 상기 메인패널(100)의 다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받침판을 접어서 일면이 평면이 되는 구조를 예시로 설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면이 평면이 되고, 메인패널(100)의 타면에 있는 지지대(170)를 상기 메인패널(100)에 평편하게 밀착되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하면 스마트패드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독서대를 접으면 외관상으로는 전혀 독서대임을 짐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패드처럼 보여서 패션아이템의 역할 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볍고 휴대하기 편한 것은 물론, 오히려 가방에 넣을 수 있음에도 손으로 휴대하여 패션아이템으로 활용될 수도 있어서 소비자로부터 호기심을 유발하고 재미를 줄 수 있는 신개념의 독서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메인패널
110: 받침판
115: 가림판
130: 클램프
150: 받침수납부
170: 지지대

Claims (4)

  1. 두께를 가지는 판상 구조의 본체패널과, 상기 본체패널의 일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단부면에 구비되는 클램프 및 상기 본체패널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패널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패널의 일측에는 일면이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구성되는 받침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은 일측이 상기 받침수납부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의 타측의 일면방향에는 상기 클램프를 가려주는 가림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가림판이 구비된 받침판의 타측을 상기 본체패널 방향으로 접으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가림판이 상기 받침수납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을 접어서 상기 받침수납부에 수납하면 상기 가림판의 타단이 상기 본체페널의 일면과 나란하게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클램프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구성되어 상기 클램프를 상기 받침판에 나란하게 접으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받침판 위에 얹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림판은 최소한 상기 받침판 위에 접혀서 얹혀진 상기 클램프의 일면방향을 모두 가도록 구성되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4.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가운데 부분이 휘어진 꺽쇠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은 가운데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클램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KR1020190029634A 2019-03-15 2019-03-15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KR20200109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34A KR20200109865A (ko) 2019-03-15 2019-03-15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34A KR20200109865A (ko) 2019-03-15 2019-03-15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65A true KR20200109865A (ko) 2020-09-23

Family

ID=7270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34A KR20200109865A (ko) 2019-03-15 2019-03-15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8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73Y1 (ko) 2014-03-13 2014-05-27 홍명수 다기능 독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73Y1 (ko) 2014-03-13 2014-05-27 홍명수 다기능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102026051B1 (ko)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TWI479975B (zh) The protective cover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269405B1 (ko) 휴대용 독서대
KR20210007656A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2215096B1 (ko)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0407154Y1 (ko) 접이식 독서대
KR20200109865A (ko)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KR100805554B1 (ko) 파일형 독서대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KR102020604B1 (ko) 슬림구조의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KR102055571B1 (ko) 노트북 지지대
KR20100011278U (ko) 책상설치용 독서대 및 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
KR200316841Y1 (ko)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US20190021488A1 (en) Reading Stand
CN219515628U (zh) 一种读写架
KR20200055631A (ko) 접이식 독서대
CN214072526U (zh) 一种可变组合式桌椅
KR20120084855A (ko)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KR200275781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책상
JP3222977U (ja) 折りたたみ式携帯型本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