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16Y1 - 보조 칸막이 - Google Patents

보조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16Y1
KR200425616Y1 KR2020060017233U KR20060017233U KR200425616Y1 KR 200425616 Y1 KR200425616 Y1 KR 200425616Y1 KR 2020060017233 U KR2020060017233 U KR 2020060017233U KR 20060017233 U KR20060017233 U KR 20060017233U KR 200425616 Y1 KR200425616 Y1 KR 200425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housing
fixed
block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전엠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전엠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전엠엔티
Priority to KR2020060017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17/03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with parts added to the original furniture to enlarge it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측면에 설치하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절첩부에 의해 공간을 차단하여 타인의 시선을 차단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며,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보조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접첩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일측단이 그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차단부의 타측단 하부가 그 일단부 하단의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보조 칸막이는, 책상의 칸막이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첩되는 차단부에 의해 주위의 산만함에 대한 시야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는 작동함에 있어 높은 내구성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소음을 최소화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칸막이, 책상, 차단부

Description

보조 칸막이{Cadence partitioning}
도 1은 종래의 보조 칸막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가 책상에 설치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독서실용 책상 20 : 차단부
21 : 제1고정바 22 : 제2고정바
24 : 절첩부 30 : 하우징
31 : 수납공간 34 : 슬라이드바
본 고안은 보조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책상의 측면에 설치하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절첩부에 의해 공간을 차단하여 타인의 시선을 차단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며,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보조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용 책상은 책상판과, 상기 책상판의 폭에 대응한 크기로 양 측면에 설치되는 칸막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판은 독서나 공부를 하는 사용자의 주위의 산만한 외부환경을 차단시키는 역활을 하여 공부나 독서에 대한 집중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독서실용 책상은, 칸막이판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되는 위치보다 길이가 짧아 주위의 산만한 움직임이 시야 범위에 들어오기 때문에 공부나 독서에 대한 집중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시야범위를 줄이기 위해서는, 의자에 착석 하였을때, 상체를 최대한 책상판 끝단에 밀착시키고 머리를 양측 칸막이판 사이에 위치한 상태의 자세를 취해야 시야 범위를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세로는 장시간 공부나 독서를 하기 어렵고 신체적으로도 쉽게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3-98937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3-98937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책상판(1)의 양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판(2)이 있으며, 보조칸막이(3)는 수평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4)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판(2)에 상기 가이드장공(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5)가 고정되어서, 상기 보조칸막(3)이가 상기 칸막이판(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측방향으로 인접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칸막이는, 사용자간의 시선을 차단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었으나, 상기 칸막이판(2)과 상기 보조칸막이(3)의 연결부위가 내구성이 높지않은 가이드돌기(5)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보조칸막(3)이에 형성된 가이드장공(4)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돌기(5)가 반복적으로 부딪쳐 그에 따른 가이드돌기(5)의 목부분의 형태가 변형되기 쉽고 그만큼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칸막이는 미닫이문의 형태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소음이 발생하여 주변 사용자에 방해가 되어 집중력이 저하되고 심리적으로도 불안감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독서실용 책상의 양측 칸막이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절첩되는 차단부에 의해 주위의 산만함에 대한 시야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는 작동함에 있어 높은 내구성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조 칸막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절첩되는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절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바로 구성된 차단부;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바가 그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바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부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자석 또는 금속편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 또는 금속편과 대응되는 제2고정바에는 금속편 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금속편이 자석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책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되는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절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바로 구성된 차단부;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바가 그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바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드 수단;
상기 하우징의 하단과 상기 제2고정바의 하단 사이에 절첩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절첩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차단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첩되는 절첩부, 상기 절첩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고정바, 상기 절첩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고정바로 이루어진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제1고정바가 그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차단부의 제2고정바의 하부가 힌지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제2고정바의 상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제2고정바에 부착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자석 및 금속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마련되고, 책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칸막이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칸막이가 책상에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보조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보조 칸막이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보조 칸막이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8은 그에 따른 단면도 이다.
먼저, 본 고안의 보조 칸막이는 칸막이판이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칸막이는 독서실용 책상 외에도 테이블등 책상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가구 등에 적용될 쉬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칸막이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판(1)과 상기 책상판(1)을 지지하는 칸막이판(2)이 설치된 책상(10)에 있어서 책상판(1) 위에 설치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에 수납되고 인출시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20)와,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칸막이판(2)에 결합되어 상기 책상판(1)의 전면으로 돌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바(34)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칸막이(100)는 책상(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쌍으로 구성된다. 물론 책상(10)의 구조에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에만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0)은 사각의 박스 형상에 전면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31)이 형성된다. 외측 일측면에는 칸막이판(2)의 일측면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바(3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의 양측면에는 관통된 다수개의 제1 및 제2결합홀(35,35')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양측면에 각각 3개 정도가 형성되며, 그 중 가운데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제1결합홀(35)은 후술할 차단부(20)의 제1고정바(21)와 함께 결합 핀(36)을 사용하여 관통 체결한다.
그리고 제2결합홀(35')은 후술할 제2고정바(22)와 함께 힌지핀(37)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 내측 상부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2)은 후술할 제2고정바(22)가 삽입될 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부(20)는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21)와, 상기 하우징(30)의 일단부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고정바(22)와, 상기 제1고정바(21)와 상기 제2고정바(22) 사이에 그 양단이 고정되는 절첩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바(21) 및 제2고정바(22)는 절첩부(24)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바(22)와 하우징(30)은 제2결합홀(35')에 의하여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고정바(22)가 상기 하우징(3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첩부(24)는 상기 제1고정바(21) 및 제2고정바(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절첩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제1고정바(21)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고정바(22)의 일면에 연결된다. 즉, 제1고정바(21)와 연결된 일단은 상기 하우징내(30)로 삽입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또 제2고정바(22)의 하단에는 힌지핀(37)이 결합되는 제3결합홀(35'')이 형성되며, 상기 접철부는(24)는 제3결합홀(35'')에 체결된 힌지핀(3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30) 및 제2고정바(22)의 내측면에는 로킹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바(22)가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개폐가 용이하도록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제2고정바(22)의 일면에는 자석(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23)에 대응하는 하우징(30) 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석(23)에 부착되는 금속편(33)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바(22)가 하우징(30)내에 결합되면, 상기 자석(23)은 금속편(33)에 부착되므로 상기 제2고정바(22)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바(22)의 다른 일면에는 손잡이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부(25)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2고정바(22)는 하우징(30)의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상태로 하우징(30)의 전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2고정바(22)의 폭은 하우징(30)의 전면개구부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들어가 외부로 노출되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바(34)는 하우징(3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칸만이판(2)의 슬라이드홈(8)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30)이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바(34)는 상기 하우징(30) 성형시 일체로 이루어지며, 외측 일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 칸막이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 내부에 차단막(20)의 제1고정 바(21)를 수직결합한 후 제2고정바(22)는 하우징(30) 하단의 제2결합홀(35')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칸막이판(2)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에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라이드바(34)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차단막(20)을 사용하지 않아도 하우징(30)이 칸막이판(2)과 직선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주위의 산만함에 대해 소정간격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시야 공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하우징(30)에 결합된 제2고정바(22)에 형성된 손잡이부(25)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제2고정바(22)와 연결된 절첩부(24)가 펼쳐진다. 이때 상기 제2고정바(22)는 힌지핀(37)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적으로 펼쳐진다.
반면, 차단막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고정바(22)에 형성된 손잡이부(25)를 잡고 하우징(30) 내측으로 밀게되면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졌던 절첩부(24)는 힌지핀(37)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하우징(30)의 수납공간(31)으로 삽입되어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보조 칸막이는 기존의 칸막이에 비해 소음이 거의 나지않아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차단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타인으로부터 느껴졌던 산만한 움직임과 시선에서 벗어나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므로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0)의 하단과 차단부(20)의 하단 사이에 절첩되어 상기 차단부(20)가 펼쳐지면 절첩부(24)와 함께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차단부(20)의 하단을 지지해주는 지지부(40)를 마련한다.
상기 지지부(40)는 길이가 신축되게 다단 결합된 신축부재(41)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부재(41)의 일단부는 제2고정바(2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부(40)는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져서 서로의 내부면에서 슬라이딩되는 다수개의 신축부재(41)로 이루어지고, 신축부재(41)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바(22)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보조 칸막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우징에서 차단부를 꺼내고자할 경우, 제2고정바(22)의 수평이동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신축부재가 순차적으로 전개되어 타인으로부터 시선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고정바를 하우징쪽으로 밀어 넣으면된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 칸막이는, 책상의 칸막이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첩되는 차단부에 의해 주위의 산만함에 대한 시야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는 작동함에 있어 높은 내구성이 필요치 않음은 물 론, 소음을 최소화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절첩되는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절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바로 구성된 차단부;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바가 그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바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칸막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칸막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자석 또는 금속편이 부착되고 상기 자석 또는 금속편과 대응되는 제2고정바에는 금속편 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금속편이 자석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칸막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책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칸막이.
  5. 절첩되는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와, 상기 절첩부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고정바로 구성된 차단부;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바가 그 내부 일측에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2고정바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드 수단;
    상기 하우징의 하단과 상기 제2고정바의 하단 사이에 절첩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절첩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차단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칸막이.
  6. 절첩되는 절첩부, 상기 절첩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고정바, 상기 절첩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고정바로 이루어진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제1고정바가 그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차단부의 제2고정바의 하부가 힌지 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제2고정바의 상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제2고정바에 부착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자석 및 금속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마련되고, 책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조 칸막이.
KR2020060017233U 2006-06-27 2006-06-27 보조 칸막이 KR200425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33U KR200425616Y1 (ko) 2006-06-27 2006-06-27 보조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33U KR200425616Y1 (ko) 2006-06-27 2006-06-27 보조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16Y1 true KR200425616Y1 (ko) 2006-09-05

Family

ID=4177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233U KR200425616Y1 (ko) 2006-06-27 2006-06-27 보조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97Y1 (ko) * 2013-11-04 2014-04-15 권용식 탁상용 칸막이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97Y1 (ko) * 2013-11-04 2014-04-15 권용식 탁상용 칸막이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523B2 (en) Portable variable-position headboard apparatus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1528123B1 (ko) 휴대용 머리거울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425616Y1 (ko) 보조 칸막이
JP4789375B2 (ja) 引出家具
JP5865821B2 (ja) 遊技機用の仕切り装置及び仕切り装置を備えた遊技機
KR20180025726A (ko)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100627010B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KR200415360Y1 (ko) 개폐문이 구비된 책꽂이
KR200432769Y1 (ko) 독서대 일체형 책상
CN113974294A (zh) 一种滑动折叠式平板电脑保护套组件以及平板电脑
CN210055231U (zh) 一种带隐藏镜面的柜子
KR200409317Y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0438187Y1 (ko)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개폐구조
KR20120007199U (ko) 슬라이드 도어 개폐형 텔레비젼 수납 책장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KR200352107Y1 (ko) 서랍장을 구비한 화장대
KR102053747B1 (ko) 학교 교실용 책상
KR200399064Y1 (ko) 경대 겸용 책꽂이
KR200293701Y1 (ko) 인출과 접힘이 가능한 협탁을 내장한 침대헤드
JP6514447B2 (ja) 組み合わせ家具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KR200228603Y1 (ko)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