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103B1 - 책상 조립체 - Google Patents

책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103B1
KR100697103B1 KR1020030098937A KR20030098937A KR100697103B1 KR 100697103 B1 KR100697103 B1 KR 100697103B1 KR 1020030098937 A KR1020030098937 A KR 1020030098937A KR 20030098937 A KR20030098937 A KR 20030098937A KR 100697103 B1 KR100697103 B1 KR 10069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esk
space
user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649A (ko
Inventor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3009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1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이용자들이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이용자 상호간 시야를 가릴 수 있도록 보조칸막이를 구비하는 책상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책상 조립체는 책상(100)의 상면이 칸막이에 의해서 복수로 공간이 분할되어서 여러 이용자들이 각 분할된 책상(100)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칸막이는 책상(100)을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분할하는 측면칸막이(111)와, 책상(100)을 정면의 이용자와의 사이의 책상공간을 분할하는 전면칸막이(112)로 이루어진다. 측면칸막이(111)에는 보조칸막이(2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보조칸막이(210)는 수평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칸막이(111)에는 가이드장공(2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15)가 고정되어 있다. 보조칸막이(210)를 측면칸막이(1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측방향으로 인접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가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책상 조립체는 측면칸막이와 전면칸막이에 의해서 책상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보조칸막이에 의해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연장하여 분할시킴으로써 시야를 넓게 차단하여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책상, 칸막이, 보조칸막이, 시야, 가이드장공

Description

책상 조립체{A desk assembly}
도 1은 통상의 책상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책상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책상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책상 111...측면칸막이
112...전면칸막이 115...가이드돌기
210,220,230...보조칸막이 221...힌지핀
231...세로장공 232...가로공
235...고정핀
본 발명은 칸막이에 의해서 다수 분할되어 여러 이용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책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용자들이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이용자 상호간 시야를 가릴 수 있도록 보조칸막이를 구비하는 책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에서와 같이 여러사람이 이용하는 책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11)(12)에 의해서 책상(10)의 공간이 다수 분할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는 앞좌석과 옆좌석을 구획하는 전면칸막이(12)와 측면칸막이(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책상(10)을 분할하는 칸막이(11)(12)에 의해서 책상(10)의 공간을 구획하여 좌/우 옆좌석 및 앞좌석 이용자 상호간을 차단하여 주위산만을 해소하고,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책상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칸막이(11)가 책상만을 구획하므로, 좌/우 인접한 좌석에 정자세로 앉아서 독서를 하는 경우 상호 인접한 이용자들이 시야에 들어오므로 독서하는 데 주위가 산만하고 집중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통상은 측면칸막이에 신문지등을 부착하여서 옆좌석과의 공간을 분할시키고 있지만, 매번 이러한 설치작업이 번거롭다.
마찬가지로, 전면칸막이(12)가 낮은 경우 앞좌석 이용자를 마주보고 이용하여야 되므로 상호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칸막이에 의해서 분할된 책상을 이용할시에 앞좌석 또는 옆좌석 이용자와의 상호 간섭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책상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책상의 상면이 칸막이에 의해서 복수로 공간이 분할되어 여러 이용자들이 하께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책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에 이용자 사이공간을 구획하는 보조칸막이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는 정면에 마주보는 이용자와의 사이 책상공간을 구획하는 전면칸막이이며, 상기 전면칸막이에 고정핀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칸막이는 전면칸막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장공과, 상기 세로장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가로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책상 조립체는 측면칸막이와 전면칸막이에 의해서 책상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보조칸막이에 의해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연장하여 분할시킴으로써 시야를 넓게 차단하여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책상 조립체는 독서실과 같이 여러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칸막이에 의해서 분할된 공간을 가지며, 특히 보조칸막이를 채용하여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연장하여 가림으로써 더욱 집중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책상 조립체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책상(100)의 상면이 칸막이(111)(112)에 의해서 복수로 공간이 분할되어서 여러 이용자들이 각 분할된 책상(100)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111)(112)는 책상(100)을 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분할하는 측면칸막이(111)와, 책상(100)을 정면의 이용자와의 사이의 책상공간을 분할하는 전면칸막이(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칸막이(111)에는 보조칸막이(2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조칸막이(210)는 수평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칸막이(111)에는 상기 가이드장공(2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1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칸막이(210)를 상기 측면칸막이(1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인접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가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칸막이(2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장공(211)이 형성됨으로써,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칸막이(111)에 연장하여 이용자 사이를 분할하는 보조칸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힌지핀(221)에 의해서 상기 측면칸막이(111)에 보조칸막이(2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는 상기 보조칸막이(220)가 회전되어서 그 일부분이 측방향으로 인접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가리도록 한다.
즉, 보조칸막이(222)의 일단이 측면칸막이(111)이의 단부에 힌지핀(22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측방으로 인접한 이용자 상호간의 공간을 분할 또는 분할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책상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정면에 마주보는 이용자와의 사이 책상공간을 구획하는 전면칸막이(112)에 보조칸막이(230)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면칸막이(112)에는 고정핀(23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조칸막이(230)에는 전면칸막이(11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핀(2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장공(231)과, 상기 세로장공(231)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가로공(2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칸막이(230)의 가로공(232)은 세로장공(231)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되어서, 보조칸막이(230)를 전면칸막이(112)에 대해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칸막이(230)는 상기 고정핀(235)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조칸막이(23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가로공(232)에 고정핀(235)이 위치되도록 하여 보조칸막이(230)를 고정핀(235)에 지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책상 조립체는 여러 이용자들이 분할된 하나의 책상을 사용하고자 할때, 보조칸막이(210)(220)(230)들을 이동시켜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여 차단시킴으로써 이용자들의 주위의 산만한 환경을 가리도록 하여 하고자 하는 일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책상 조립체는 측면칸막이와 전면칸막이에 의해서 책상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보조칸막이에 의해서 이용자 사이의 공간을 연장하여 분할시킴으로써 시야를 넓게 차단하여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책상의 상면이 칸막이에 의해서 복수로 공간이 분할되어 여러 이용자들이 하께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책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에 이용자 사이공간을 구획하는 보조칸막이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는 정면에 마주보는 이용자와의 사이 책상공간을 구획하는 전면칸막이(112)이며, 상기 전면칸막이(112)에 고정핀(235)이 고정되고,
    상기 보조칸막이(230)는 전면칸막이(11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핀(2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장공(231)과, 상기 세로장공(231)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가로공(2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98937A 2003-12-29 2003-12-29 책상 조립체 KR10069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37A KR100697103B1 (ko) 2003-12-29 2003-12-29 책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937A KR100697103B1 (ko) 2003-12-29 2003-12-29 책상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23U Division KR200345849Y1 (ko) 2004-01-08 2004-01-08 책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49A KR20040012649A (ko) 2004-02-11
KR100697103B1 true KR100697103B1 (ko) 2007-03-22

Family

ID=3732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937A KR100697103B1 (ko) 2003-12-29 2003-12-29 책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247A (ko) 2018-07-02 2019-01-28 김재완 휴대용 칸막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542B1 (ko) * 2009-07-08 2012-04-03 문현광 파티션이 구비된 책상
CN103829571A (zh) * 2014-03-27 2014-06-04 苏州谊恒印务有限公司 一种防打扰办公桌结构
KR20160129387A (ko) 2015-04-30 2016-11-09 안대흥 휴대용 칸막이
KR102027987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소음 방지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보유한 스크린 일체형 열람대
KR102168609B1 (ko) * 2020-05-14 2020-10-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회의용 부스
KR102224904B1 (ko) * 2020-07-20 2021-03-10 주식회사 대원씨앤에스 높이 및 각도조절식 스니즈가드
KR102317799B1 (ko) * 2021-08-27 2021-10-25 강성기 위생 가림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247A (ko) 2018-07-02 2019-01-28 김재완 휴대용 칸막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49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897A (en) Modular fence
KR100697103B1 (ko) 책상 조립체
US5675946A (en) Privacy screen for office panelling systems
US6253509B1 (en) Workspace partition system
US6756539B1 (en) Adjustable mid-panel spillover fitting
US5275579A (en) Aerobic climbing step/bench
CA2853916C (en) Curved door
US4870908A (en) Office space dividing system
KR200345849Y1 (ko) 책상 조립체
KR200493297Y1 (ko) 스터디카페 책상
US7752813B2 (en) Partitioning system
JP4003745B2 (ja) フレーム構造体の仕切り構造
KR101451223B1 (ko)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KR20090001283U (ko) 파티션
JP4350643B2 (ja)
KR102027987B1 (ko) 소음 방지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보유한 스크린 일체형 열람대
KR100955102B1 (ko) 신축 가능한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JP2007044180A (ja)
KR102419438B1 (ko) 독서실용 부스
KR200425616Y1 (ko) 보조 칸막이
KR102251984B1 (ko) 독서대
EP2676586A1 (en) Shower box with associated additional elements
KR100793712B1 (ko) 학생용 책상
KR200267072Y1 (ko) 책상용 칸막이의 보조 칸막이
KR200229814Y1 (ko)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