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388B1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3388B1 KR101973388B1 KR1020160065055A KR20160065055A KR101973388B1 KR 101973388 B1 KR101973388 B1 KR 101973388B1 KR 1020160065055 A KR1020160065055 A KR 1020160065055A KR 20160065055 A KR20160065055 A KR 20160065055A KR 101973388 B1 KR101973388 B1 KR 101973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ybean
- virus
- present
- protein
- lect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신규한 렉틴단백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효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를 통하여 생물 전환 신규 렉틴혼합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화학적 처리 방법에 따른 렉틴혼합물 추출 과정을 제조단계와 조작방법을 단순화하였고, 최적화 방법에 따라 생산된 발효물이 ConA로부터 파생된 각기 다른 형태의 신규 조성물질임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들 신규 조성물은 식중독 바이러스와의 결합력에서 상업용 렉틴단백질보다 강한 결합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는 바이러스와 중화력에서 상업용 렉틴단백질 보다 우수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작두콩 유래 렉틴단백질은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과다분비로 인하여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작두콩 유래 신규 조성물은 1 ㎍/㎖ 농도에서 독성 9%, 10 ㎍/㎖ 농도에서는 8%를 각각 감소됨으로써, ConA에 의해 발생되었던 간 독성이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에 의해 완화됨을 in vitro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이로써, 식중독 바이러스와 강한 결합력을 지니고, 간 세포의 독성을 저감화 하는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과 발효를 통한 추출의 제조방법을 신규하게 발명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유해한 바이러스가 과채류를 포함한 농산물 검체에서 검출되는 사례가 국내외에서 보고되고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품을 익히지 않고 섭취하거나 오염된 지하수를 식수로 마시는 경우에는 인체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질병이 유발된다. 이처럼 현대 도시환경의 위생상태가 많이 개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식중독 원인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 (norovirus) 감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총 348회의 집단 발병을 일으켰다고 보고하였다.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과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되는 사회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농수축산물 생산 현지에서부터 바이러스의 고속 검출 방법이 필요하며, 검사 대상인 다양한 식품 및 식수에서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는 원천소재에 대한 개발 및 제조방법 단순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렉틴은 단당 혹은 올리고당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탄수화물 결합 단백질의 총칭으로 세균 및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당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중화 및 포획하는 단백질이다. 최근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탄수화물-결합제(carbohydrate-binding agents), 즉, 렉틴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억제 및 중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항-HIV 렉틴인 Cyanovirin-N 과 banlec, anti-IAV 렉틴인 ESA-2, anti-HCV 렉틴인 Galanthus nivalis agglutinin(GNA) 등이 있다.[1-4] 렉틴은 바이러스 외피단백질(envelope) 단백질의 N-링크 올리고당(N-linked oligosaccharides)를 타겟팅하여 결합함으로써, 감염과 전염을 억제하며, 또한, 살균제의 잠재적인 후보가 될 수 있다[5].
작두콩에서 유래된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ConA)는 단당류 결합 부위에서 만노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등의 당과 결합을 하는 렉틴과에 속하는 단백질이다[6]. 생리적 조건에서의 ConA는 사합체(tetramer)이며, α-만노피라노실(alpha-mannopyranosyl) 및 α-글루코피라노실(alpha-glucopyranosyl) 잔기를 포함하는 세포 표면의 당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특징은 생물학 및 생물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병원체-생리학적에서 반응을 위한 결합제로서 종종 사용되며, 뎅기열바이러스(Dengue virus, DENV), 간염C형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HSV),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IAV), 마우스성 RNA 종양 바이러스(murine RNA tumour virus)와 같은 외피단백질 바이러스를 결합하는 특징이 있으며, 최근 비-외피단백질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와의 강한 결합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13].
렉틴 단백질의 추출 과정은 분쇄체로부터 용해반응을 통한 단백질 용출과정, 다양한 농도의 황산 암모늄 반응에 따른 단백질 침전과정 및 원심분리를 이용한 단백질 분리과정 후 동결건조 단계를 거친 후 최종적으로 식물 유래 렉틴이 생산된다[17]. 이러한 화학적 방법은 단계가 복잡하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바이러스를 포획할 수 있는 렉틴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추출과정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Boyd M. R. et al. "Discovery of cyanovirin-N, a novel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activating protein that binds viral surface envelope glycoprotein gp120: potential applications to microbicide development"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1, 15211530. 1997.
Swanson MD et al.. "A lectin isolated from bananas is a potent inhibitor of HIV replication" J Biol Chem. 19;285(12):8646-55. 2010
Sato Y. et al. "Entry Inhibition of Influenza Viruses with High Mannose Binding Lectin ESA-2 from the Red Alga Eucheuma serra through the Recognition of Viral Hemagglutinin" Mar Drugs. 29;13(6):3454-65. 2015
Laure Izquierdo et al. "Hepatitis C Virus Resistance to Carbohydrate-Binding Agents" PLOS ONE | DOI:10.1371/journal.pone.0149064. 2016.
Balzarini J. "Carbohydrate-binding agents: a potential future cornerstone for the chemotherapy of enveloped viruses?" Antivir Chem Chemother. 18(1):1-11. 2007.
Remy Loris et al. "Legume lectin structur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383: 936. 1998.
Pereira et al. "Binding of Dengue Virus Particles and Dengue Proteins onto Solid Surface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9 (2010): 2602-2610.
Lei et al. "Lectin of Concanavalin A as an anti-hepatoma therapeutic agent."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16.1 (2009): 1-12.
Izquierdo et al. "Hepatitis C Virus Resistance to Carbohydrate-Binding Agents." PloS one 11.2 (2016): e0149064.
Ito et al. "Inactivation of herpes simplex virus by concanavalin A." Journal of virology 13.6 (1974): 1312-1318.
Botos et al. "Proteins that bind high-mannose sugars of the HIV envelope." Progress in biophysics and molecular biology 88.2 (2005): 233-282.
Klein et al. "Location of ferritin-labeled concanavalin A binding to influenza virus and tumor cell surfaces." Journal of virology 10.4 (1972): 844-854.
Calafat et al. "Binding of Concanavalin A to the envelope of two murine RNA tumour viruses." Journal of General Virology 14.1 (1972): 103-106.
Isolation of soybean agglutinin (SBA) from soy mea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82, 59.11: 977
본 발명자는 종래의 렉틴 추출방법의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발효균주를 이용하여 작두콩 발효물을 제조하여 단계를 단순화한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추출방법을 제시하였고,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콩 분쇄체 또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발효균주를 접종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배양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콩 발효물로부터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를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자는 종래의 렉틴 추출방법의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발효균주를 이용하여 작두콩 발효물을 제조하여 단계를 단순화한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추출방법을 제시하였고,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발효과정을 통하여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본래의 렉틴단백질의 성질을 잃지 않으면서 그 아미노산 서열이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단백질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해당분야의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조성물에 대한 원천특허를 제공하며 렉틴단백질 정제 방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고안한 발효과정이 렉틴 생산의 상업적 이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렉틴’은 탄수화물-결합 단백질(carbonydrate-binding protein)으로, 콘카나발린 A는 주요 렉틴 중 하나인 만노오스 또는 글루코오스-결합 렉틴이다. 본 명세서에서 ‘콘카나발린 A’는 ‘렉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은 바이러스-결합 단백질로서 범용적 활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은 바이러스-결합 단백질로서 비-외피단백질 바이러스(non-enveloped virus) 및 외피단백질 바이러스(enveloped virus)에 범용적 활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외피단백질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단백질 바이러스는 뎅기열바이러스, 간염 C형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마우스성 RNA 종양 바이러스,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 수포성 구내염바이러스 (VSV), 에볼라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ERS Corona Viru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단계 (a): 발효균주의 접종
먼저, 콩 분쇄체 또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발효균주를 접종한다.
상기 콩 분쇄체는 다양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콩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콩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가공과정 후 분말화된 상태, 균질화(homogenization)된 상태, 으깬(mash) 상태 등 다양한 상태의 콩 분쇄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콩 분쇄체는 건조 과정 후 분말화된 상태 또는 균질화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콩 분쇄체는 동결 건조 과정 후 분말화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콩 추출물은 콩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콩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콩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콩은 작두콩(Carnavalia ensiformis), 대두(Glycine max) 또는 해녀콩(Canavalia lineata)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배지는 콩 분쇄체 또는 콩 추출물을 1 내지 20 질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배지는 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을 1 내지 17 질량%, 1 내지 14 질량%, 1 내지 11 질량%, 1 내지 8 질량% 또는 2 내지 8 질량% 포함한다.
상기 콩 분쇄체 또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배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박테리아 배양 배지[예컨대, LB 브로스밀러(broth miller) 배지, TSB(Triptic Soy Broth) 배지, NB(Nutrient Broth) 배지,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 등], 완충액[예컨대, Tris 완충액, HEPES 완충액 등], 증류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배지는 박테리아 배양 배지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배지는 LB 브로스밀러 배지이다.
상기 작두콩 분쇄체의 현탁액 또는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발효균주를 접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실러스(Bacillus)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효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효균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ACC 14481),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Lactobacillus buchneri; ATCC 400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50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효균주이다.
단계 (b): 콩 발효물의 제조
다음,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배양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양은 25-38℃ 배양온도에서 2-15일 배양시간동안 배양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온도는 25-37℃, 25-36℃, 25-35℃, 26-35℃, 27-35℃, 28-35℃, 29-35℃ 또는 30-35℃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 온도는 33℃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시간은 2-14일, 2-13일, 2-13일, 2-12일, 2-11일, 2-10일, 2-9일 또는 3-9일이다.
단계 (c):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분리
다음, 상기 콩 발효물로부터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을 분리한다.
본 발명의 콩 발효물로부터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발 또는 침전을 포함한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크로마토그래피(예,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별 배제), 전기영동, SDS-PAGE를 포함하여 일반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콩 내 존재하는 콘카나발린 A는 이합체(dimer) 형태로 48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콩 발효물 내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은 상기 이합체가 단량체(monomer)로 분리된 형태로, 25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은 발효균주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실러스(Bacillus)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효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효균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ACC 14481), 락토바실러스 부치네리(Lactobacillus buchneri; ATCC 4005),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50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효균주이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바이러스에 대하여 높은 결합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또는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같이, 상기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은 종래의 콘카나발린 A보다 높은 결합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은 바이러스에 대하여 높은 결합력을 갖으므로, 이를 이용한 여러 용도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발효물을 바이러스 농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을 바이러스를 농축시키기 위한 컬럼에 혼합하여 바이러스와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바이러스를 농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바이러스와의 결합력은 바이러스 검출, 진단 및 센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이러스의 중화 및 제거(예컨대, 소독제)에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효물과 바이러스와의 결합은 비항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종래의 콘카나발린 A와 비교하여 약화된 간 독성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같이, 상기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은 간세포에 대하여 종래의 콘카나발린 A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건강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파머푸드(pharmafood), 건강보조식품, 뉴트라슈티칼(nutraceutical), 디자이너 푸드,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이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류, 광물(전해질), 식이성분,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료 첨가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동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다른 생균 형태의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제 성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또는 질병예방제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건조 또는 액체 상태의 제제 형태일 수 있으며, 사료 첨가용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 첨가용 부형제로는 제올라이트, 옥분 또는 미강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축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섭취량 또는 분할 일일 섭취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동물에는 식용우, 젖소, 송아지, 돼지, 돼지새끼, 양, 염소, 말, 토끼, 개, 고양이 등과 같은 가축, 병아리, 알닭, 가정용 닭, 수탉, 오리, 거위, 칠면조, 메추라기, 작은새 등과 같은 가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적 처리 방법보다 단순화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의 발효물 또는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렉틴 독성이 저감화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c) 바이러스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비항체물질인 작두콩 발효물을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 중화반응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조하기 쉽고 단순하게 설계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컬럼과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장치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바이러스 중화력을 지니는 상기 조성물은 바이러스 소독제 및 항바이러스제의 조성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학적 처리방법과 본 발명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의 발효균주를 이용한 발효물 제조 최적화 방법을 비교하여 도식화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작두콩 발효물을 발효 0일부터 7일까지의 발효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작두콩 발효물의 0일 및 4일째의 발효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작두콩 발효물로부터 동정된 펩타이드에 대한 질량값 정보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작두콩 추출물과 식중독바이러스와의 결합력을 상대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인비트로(in vitro) 수준에서 작두콩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여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작두콩 발효물을 발효 0일부터 7일까지의 발효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작두콩 발효물의 0일 및 4일째의 발효 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작두콩 발효물로부터 동정된 펩타이드에 대한 질량값 정보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작두콩 추출물과 식중독바이러스와의 결합력을 상대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인비트로(in vitro) 수준에서 작두콩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여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주를 활용한 발효물 제조 최적화 방법
기존의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을 이용한 렉틴의 추출 방법(Sinha, Sharmistha, et al. "Unfolding studies on soybean agglutinin and concanavalin a tetramers: a comparative account." Biophysical journal 88.2 (2005): 1300-1310.; Isolation of soybean agglutinin (SBA) from soy mea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82, 59.11: 977.-)에서 수정하여 발전한 방법은 10일이 소요되며, 추출 단계와 조작방법이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생물 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를 이용한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의 발효를 통하여 추출단계를 단순화하여 렉틴 단백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도 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트립톤(trypto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및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을 포함하는 LB 브로스 밀러(LB broth miller, LBL407.500, Bioshop, Canada) 200 ㎖(1% 트립톤, 0.5% 효모 추출물 및 1% 염화 나트륨)에 작두콩 분말 8.25 g을 추가로 넣고, 배지의 5%(v/v)에 해당하는 균주를 접종한 후 33℃에서 교반하여 7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된 상층액은 12,000 rpm, 20 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여 여과페이퍼(Whatman filter faper 4, 25 ㎚)를 이용하여 잔여물을 분획하고 여액은 10 kDa 막 필터(Sartorius 7554-95, MASTERFLEX, USA)를 이용하여 염을 제거하고 발효액 용량을 2.4배 농축하여 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고형분은 작두콩 발효물의 최종산물로써 SDS-PAGE를 실시하여 단백질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단백질 분자량 패턴을 이용한 작두콩 발효물 생산과정 모니터링
작두콩 발효물을 발효 0일 부터 7일까지 샘플을 각각 1 ㎎씩 취하여 증류수 1 ㎖에 녹여 15%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통하여 SDS-PAGE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발효 0일째 48 kDa 분자량에서 주요 밴드가 확인되었으나, 발효 1일째부터 48 kDa 분자량의 밴드가 감소되면서 ConA 사이즈인 25 kDa 이하의 밴드가 증가되었고 7일째 까지 주요 밴드가 25 kDa 이하 분자량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물의 펩타이드 커버리지 분석
도 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15% SDS-PAGE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리한 결과 발효 0일의 경우 약 48 KDa 의 단백질이 주요 단백질로 존재하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를 이용하여 4일 동안 발효시 약 20-25 KDa 단백질 3종이 생성되었다. 펩타이드 커버리지 분석을 통하여 표준물질인 ConA와 작두콩 발효물로부터 구체적인 상동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작두콩 분말(도 3의 2열)의 F0 밴드와 작두콩 발효물(도 3의 3열)의 F2, F3 및 F4 밴드를 컷팅한 후 겔내분해(in gel digestion) 하여 25 mM ABC in 50% ACN 용액으로 세척하고 50 mM ABC 조건에서 트립신 골드(Promega, V5280)로 펩타이드로 분해 후 Oasis SPE(Waters, 186001828BA)를 이용하여 탈염하고 nanoUPLC-Synapt G2 si(Waters, USA) 장비를 이용하여 펩타이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LC-MS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PLGS(ProteinLynx Global Server(version 3.0, PLGS, Water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F0 밴드의 경우 상업용 ConA 서열로 예상되는 CVJB 콘카나발린 A Jack bean (UniProtKB: CVJB Con A, gi72333)과 97.5%의 상동성을 확인하였으며, F2, F3 및 F4 밴드의 경우 CVJB 콘카나발린 A, Jack bean (UniProtKB: CVJB Con A, gi72333)와 각 서열 커버리지가 81.4%, 53.2%, 62.86%로 확인되었다 (표 1).
밴드 명 | 접근번호 | Description | 스코어 | 동일 펩타이드 | 서열 커버(%) |
F0 | gi72333 | CVJB 콘카나발린 A - jack bean | 2389.3 | 23 | 97.5 |
F2 | gi72333 | CVJB 콘카나발린 A - jack bean | 730.1 | 9 | 81.4 |
F3 | gi72333 | CVJB 콘카나발린 A - jack bean | 629.7 | 8 | 53.2 |
F4 | gi72333 | CVJB 콘카나발린 A - jack bean | 1341.8 | 8 | 62.86 |
실시예 4. 작두콩 발효물로부터 동정된 단백질 질량값 측정
작두콩 발효물에서 분리되었던 단백질들의 정확한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두콩 발효 0일째의 주요 밴드와 작두콩 발효 4일째 발효물에서 확인되었던 분자량 30 KDa 이하 단백질 농축물에 대하여 인택트 단백질 질량(intect protein mass)값을 측정하였다. 발효물 분석을 위한 나노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ACQUITY UPLC I-Class/SYNAPT G2-S HDMS, Waters)를 이용하여 분자량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분석조건은 아래 제시한 바와 같다.
ACQUITY BEH300 C18(1.7 ㎛ × 2.1 × 50 ㎜)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컬럼온도 60℃, 이동상 용매 A(0.1% 포름산 in water), 용매 B(0.1% 포름산 in 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ESI 파지티브 모드에서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조건은 모세관 전압 3.0 kV, 콘 전압 30 V, 소스 온도 120℃, 스캔 시간은 0.5 초로 설정하였다. ESI prot 1.0으로 계산하여 표 2와 같은 deconvoluted MW (Da)와 std 값을 설정하였다.
F2, F3 및 F4 밴드의 경우 CVJB 콘카나발린 A, Jack bean (UniProtKB: CVJB Con A, gi72333)와 각 서열 커버리지가 81.4%, 53.2%, 62.86%가 확인됨에 따라 라이신(lysine)과 아르기닌(arginine) 잔기를 인식하는 트립신(trypsin) 특성상 정확한 절단 위치를 확인할 수 없지만 F2는 단량체(monomer) 상태의 ConA로 인택트 단백질 질량값 측정시 확인되는 도 4의 F2 영역의 단백질(26213.96 Da)으로 예측되며, F3 밴드의 질량값을 계산한 결과 21175.48 Da으로 인택트 단백질 질량값 측정 시 확인되는 도 4의 F3 영역의 단백질 (21176 Da)로 예측되었다. F4 밴드의 경우 질량값을 계산한 결과 18796.86 Da임에 따라 인택트 단백질 질량값 측정 시 확인되는 도 4 의 F4 영역의 단백질(18796.8 Da)로 예측되었다(도 4 및 표 2).
Charge (+) | 피크 (m/z) | MW(Da) | 디콘볼루티드 MW (Da) | |
F2 | 29 | 904.9487 | 26214.2820 | 26213.9637 ± 0.7529 |
28 | 937.2229 | 26214.0188 | ||
27 | 971.8983 | 26214.0397 | ||
26 | 1009.2819 | 26215.1229 | ||
25 | 1049.5328 | 26213.1215 | ||
24 | 1093.2675 | 26214.2294 | ||
23 | 1140.7080 | 26213.1019 | ||
22 | 1192.5895 | 26214.7943 | ||
21 | 1249.2468 | 26213.0160 | ||
20 | 1311.7194 | 26214.2292 | ||
19 | 1380.5923 | 26212.1028 | ||
18 | 1457.2847 | 26212.9816 | ||
17 | 1543.1046 | 26215.64332 | ||
F3 | 28 | 757.2388 | 21174.4640 | 21175.4820 ± 0.9101 |
27 | 785.3299 | 21176.6929 | ||
26 | 815.4147 | 21174.5783 | ||
25 | 848.0338 | 21175.6465 | ||
24 | 883.3274 | 21175.6670 | ||
23 | 921.6443 | 21174.6362 | ||
22 | 963.4954 | 21174.7241 | ||
21 | 1009.4067 | 21176.3739 | ||
20 | 1059.8358 | 21176.5572 | ||
19 | 1121.5699 | 21290.6772 | ||
18 | 1177.6122 | 21178.8766 | ||
17 | 1246.6261 | 21175.5087 | ||
F4 | 21 | 896.0964 | 18796.8576 | 18796.8607 ± 0.4439 |
20 | 940.8870 | 18797.5812 | ||
19 | 990.3096 | 18796.7315 | ||
18 | 1045.2678 | 18796.6774 | ||
17 | 1106.6982 | 18796.7344 | ||
16 | 1175.8607 | 18797.6441 | ||
15 | 1254.1100 | 18796.5309 | ||
14 | 1343.6151 | 18796.5002 | ||
13 | 1446.8917 | 18796.4888 | ||
12 | 1567.3868 | 18796.5463 | ||
11 | 1709.7998 | 18796.7104 | ||
10 | 1880.6688 | 18796.6086 | ||
9 | 2089.5081 | 18796.5014 |
실시예 5. 작두콩 발효물과 식중독 바이러스의 결합력 측정
식중독 바이러스와 작두콩 발효물의 결합력 측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Blitz(Forte BIO) 기기를 이용하였다. Blitz에 이용한 바이오칩은 AR2G(Amine Reactive)를 이용하여, 칩에 바이러스를 고정한 후, 4일째 작두콩 발효물과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니셜 베이스라인(initial baseline) 60초; 커스텀(custom) 150초; 로딩(loading) 210초; 커스텀 180초; 베이스라인 60초; 어소시에이션 180초; 및 디스어소시에이션 180초로 실시하였다.
도 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노로바이러스는 상업용 ConA와 5.776e-6 KD 값을 나타냈고, 작두콩 발효에 의해 추출된 발효물은 5.894e-7 KD 값을 나타냈다. 즉, 같은 농도의 ConA와 작두콩 발효물를 이용하여 식중독 바이러스와 결합력을 측정했을 때, 작두콩 발효물이 ConA 보다 결합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간염 A형 바이러스(HAV)와 Con A의 결합력은 9.264e-5 KD값이 측정되었고, 간염 A형 바이러스와 작두콩 발효물은 1.133e-6 KD 값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작두콩 발효물이 Con A 보다 식중독 바이러스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작두콩 발효물의 간독성 평가
HepG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로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안정화하였다. ConA 및 작두콩 발효물을 각 농도별(1100 ㎍/㎖)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CCK-8(Cell counting Kit-8)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VersaMaxELISA 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ConA와 작두콩 발효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여 ConA 및 작두콩 발효물 처리그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nA를 1-100 ㎍/㎖ 농도 범위로 HepG2 세포에 처리했을 때, 1 ㎍/㎖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84%로 독성이 아주 미약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10 ㎍/㎖ 농도로 ConA 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 74%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작두콩 발효물의 경우 1 ㎍/㎖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93%이며, 세포 생존율이 80% 미만으로 감소한 ConA와 동일한 농도인 10 ㎍/㎖ 농도에서 88%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함에 따라 작두콩 발효물을 처리함으로써 ConA에 의해 발생되었던 간 독성이 완화됨을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 포획방법:
(a)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양배지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를 접종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배양하여 작두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작두콩 발효물을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와 접촉하는 단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작두콩 발효물은 배양된 콩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배양배지는 작두콩 분쇄체 또는 작두콩 추출물을 1 내지 20 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작두콩 발효물은 배양된 작두콩 발효물을 건조하여 생성된 고형물을 분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배양은 1-20일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에 의해 발효된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에 대한 포획능력이 향상된 작두콩 발효물.
- 제 8 항의 작두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약제학적 조성물.
- 삭제
- 제 8 항의 작두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 포획용 조성물.
- 제 8 항의 작두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식품조성물.
- 제 8 항의 작두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로바이러스 또는 간염 A형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사료 첨가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055A KR101973388B1 (ko) | 2016-05-26 | 2016-05-26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PCT/KR2017/005390 WO2017204547A1 (ko) | 2016-05-26 | 2017-05-24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055A KR101973388B1 (ko) | 2016-05-26 | 2016-05-26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4843A KR20170134843A (ko) | 2017-12-07 |
KR101973388B1 true KR101973388B1 (ko) | 2019-04-30 |
Family
ID=6041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055A KR101973388B1 (ko) | 2016-05-26 | 2016-05-26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3388B1 (ko) |
WO (1) | WO2017204547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62294A (zh) * | 2021-05-31 | 2021-08-17 | 中国食品药品检定研究院 | 一种用于治疗冠状病毒感染的植物凝集素succ-Con A及应用 |
KR20210145591A (ko) | 2020-05-25 | 2021-12-0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코로나바이러스 중화용 조성물 |
WO2023008666A1 (ko) * | 2021-07-30 | 2023-02-02 | 주식회사 바이오쓰리에스 | 바이러스 처리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432B1 (ko) * | 2020-04-24 | 2021-04-14 | 강성천 |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910B1 (ko) * | 2007-10-25 | 2008-12-10 | 두두원발효(주)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7007133A1 (fr) * | 1995-08-17 | 1997-02-27 |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 Conglutinine de recombinaison et procede pour produire cette substance |
US6129919A (en) * | 1999-06-04 | 2000-10-10 | Alfa Biotechnology Co., Ltd. | Method of producing fermented sword beans |
US20020182274A1 (en) * | 2001-03-21 | 2002-12-05 | Kung-Ming Lu | Methods for inhibiting cancer growth, reducing infection and promoting general health with a fermented soy extract |
KR20110124976A (ko) * | 2010-05-12 | 2011-11-18 | 일동제약주식회사 |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과 면역 증강작용을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아이디씨씨 9207 백미 발효물 |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5055A patent/KR101973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5-24 WO PCT/KR2017/005390 patent/WO20172045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910B1 (ko) * | 2007-10-25 | 2008-12-10 | 두두원발효(주)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5591A (ko) | 2020-05-25 | 2021-12-0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코로나바이러스 중화용 조성물 |
CN113262294A (zh) * | 2021-05-31 | 2021-08-17 | 中国食品药品检定研究院 | 一种用于治疗冠状病毒感染的植物凝集素succ-Con A及应用 |
CN113262294B (zh) * | 2021-05-31 | 2022-03-22 | 中国食品药品检定研究院 | 一种用于治疗冠状病毒感染的植物凝集素succ-Con A及应用 |
WO2023008666A1 (ko) * | 2021-07-30 | 2023-02-02 | 주식회사 바이오쓰리에스 | 바이러스 처리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4843A (ko) | 2017-12-07 |
WO2017204547A1 (ko) | 2017-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388B1 (ko) |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05548B1 (ko) |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 |
KR101170998B1 (ko) | 미강 유래 당단백 분획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911736B1 (ko) |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 |
KR101458556B1 (ko) | 프로바이오틱 혼합균주의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및 의약조성물 | |
KR20180087662A (ko) |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시스타틴을 포함하는 대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 |
KR20230110470A (ko) | 식용곤충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식용곤충 가수분해물의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 | |
CN114989258B (zh) | 植物提取组合物在制备治疗便秘、减肥产品上的应用 | |
KR101988878B1 (ko) | 풍미와 항산화 및 면역기능이 증진된 고체발효마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21241969A1 (ko) | 코로나바이러스 중화용 조성물 | |
KR101704123B1 (ko) |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 |
KR102048434B1 (ko) |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102042151B1 (ko) |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20190046255A (ko) |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33473B1 (ko) |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
KR20190031044A (ko) | 호박벌 여왕벌의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 |
KR102098914B1 (ko) | 낫토 및 캐피어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 |
KR101635982B1 (ko) |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80046021A (ko) |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8367060B2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razyme for the prevention of liver dysfunction | |
KR20200075724A (ko)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
KR101635985B1 (ko) |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Bacillus aryabhattai)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362988B1 (ko) |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836711B1 (ko) |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 |
KR102237450B1 (ko) |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