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432B1 -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 Google Patents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432B1
KR102240432B1 KR1020200050287A KR20200050287A KR102240432B1 KR 102240432 B1 KR102240432 B1 KR 102240432B1 KR 1020200050287 A KR1020200050287 A KR 1020200050287A KR 20200050287 A KR20200050287 A KR 20200050287A KR 102240432 B1 KR102240432 B1 KR 10224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vid
symptoms
relieving
dru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천
Original Assignee
강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54774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04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천 filed Critical 강성천
Priority to KR102020005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21/004688 priority patent/WO2021230506A1/ko
Publication of KR10224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COVID-19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기침 등에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RELIEVING COVID-19 SYMPTOMS}
본 발명은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COVID-19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기침 등에 효과가 우수한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류에 독감을 일으키는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전염되지 못하며, 돼지를 중간숙주로 거쳐 사람에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4년 베트남과 태국 등지에서 조류독감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조류독감에 대한 인체감염의 피해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조류독감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완벽한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07-0035203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한 한약재 조성물을 항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제로서 제안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5056에서는 효모의 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세포내의 NO 와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서 간접적으로 조류독감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서 제안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은 다양하다. 포유류와 조류에서 호흡기질환, 소화기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RNA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의 하나이지만 사스바이러스도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사스바이러스는 2002년 중국에서 처음 발생하여 2003년 봄까지 전 세계적으로 9,000여명의 중증 급성호흡기질환 환자를 발생시켰으며 15%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2019년 중국 우한 지방에서 처음 발생하여 2020년 지금까지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며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매년 독감을 유행시키는 인프루엔자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인데 변형을 번번이 일으켜 매년 새로운 항원변이주가 출현한다. 이로 인해 백신에 의존하여 독감을 예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바이러스의 치료에는 많은 항바이러스제들이 쓰이고 있는데, 예를 들어, Ribavirin, acyclovir, azido thymidin, glycyrrhizin 등의 약제가 그 예이다.
상기 항바이러스제들은 이들 약물에 대한 바이러스의 내성 및 부작용으로 지속적인 사용에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항바이러스 활성은 높고 부작용이 없는 재료가 있다면 일상적으로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높고 또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일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항 바이러스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039357호(2020년 04월 16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262870호(2013년 05월 03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940042호(2019년 01월 14일 등록)
본 발명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COVID-19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기침 등에 효과가 우수한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추대 추출물 이외에,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추대 추출물 2 내지 4 중량부에 대해, 새콩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이외에 백모화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COVID-19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 기침 등에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추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새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가시나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고추대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새콩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가시나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추대 추출물은 고추대를 추출하여 고추대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고추대는 가을철 고추를 수확하고 남은 뿌리와 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추대는 비타민, 베타카로틴, 칼슘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고 각종 미네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 암 예방, 심혈관질환 억제효과, 인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항바이러스 효능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COVID-19의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기침 등을 수반하여 인후통, 폐렴, 호흡곤란 등을 겪는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방 약물 조성물은 COVID-19 뿐만 아니라 기타 바이러스성 질병에도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고추대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대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고추대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추대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고추대의 세척은 40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되는 1 내지 3(w/w)%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고추대를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고추대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고추대를 5 내지 7kgf/cm2의 압력에서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고추대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고추대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고추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고추대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숙된 고추대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상기 증숙된 고추대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 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증숙된 고추대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고추대를 50 내지 70mbar의 압력, 50 내지 55℃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고추대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상기 증숙된 고추대, 들초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고추대를 추출하여 고추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고추대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추출법 또는 초임계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건조하여 파쇄한 시료와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이외에,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고추대 추출물 2 내지 4 중량부에 대해, 새콩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새콩 추출물은 새콩을 추출하여 새콩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새콩(Amphicarpaea edgeworthii var trisperma)은 콩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덩굴성 식물이며, 길이 1~2m이고 전체에 밑으로 향한 퍼진 털이 있다. 한국 내에서는 전국 각처의 산야지 초원에 흔히 자생하며, 국외로는 중국, 일본, 인도지역 등에 분포한다.
새콩의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소엽은 3개이고 난형이며, 6~9월에 꽃이 피고 꽃은 자주색이다. 8월부터 열매가 성숙되는데, 열매는 협과이며 편평한 타원형이고 둘레를 따라 털이 있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상기 새콩은 한방에서는 뿌리를 양형두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동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씨의 정유성분이 있으며, 그 주성분은 보르네올(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Bornyl-acetate), 리날로올(Linalool), 네롤리돌(Nerolidol) 등이다.
상기 돌가시나무 추출물은 돌가시나무를 추출하여 돌가시나무의 유용성분이 유효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돌가시나무의 열매인 영실은 생리와 생리통에 좋으며 변비, 신장염, 방광염, 각기, 수종 등에 그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8~9월경 열매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후 가루를 내어 복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가시나무 뿌리는 열 내림이나 풍습제거, 혈액순환 촉진, 해독, 관절통, 산후풍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새콩 추출물과 돌가시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새콩 추출물과 돌가시나무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새콩 추출물과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은 새콩 0.5 내지 1.5 중량부 및 돌가시나무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새콩 및 돌가시나무 혼합물의 세척은 40 내지 45℃의 온도로 유지되는 2 내지 4(w/w)%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에 상기 새콩 및 돌가시나무를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은 상기 세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5 내지 7kgf/cm2의 압력에서 130 내지 150℃ 온도의 수증기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전체를 가열하는 체적 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내부의 수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50 내지 70mbar의 압력,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에 2.3 내지 2.5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하지 않고 단시간에 상기 증숙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내부에 침투하여 극성변환에 의한 마찰로 인해 열로 변환되므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는 김치로부터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혼합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40 내지 42℃의 온도 및 60 내지 62%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3 내지 6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냉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발효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의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5 내지 8℃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냉풍 건조된 새콩 및 돌가시나무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방법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이외에 백모화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모화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백모화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여 제조된 백모화 발효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모화와 혼합되는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속(Acetovacter sp)으로, 상기 아세토박터속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모화 발효추출물은 상기 미생물이 첨가된 백모화를 30 내지 33℃의 온도에서 30 내지 90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백모화를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는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백모화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발효된 백모화와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모화 발효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백모화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수행하고 백모화를 즉시 동결 건조시킨 후 동결 건조된 백모화를 분쇄시키며 상기 분쇄된 백모화의 잎과 줄기 20g을 400㎖의 증류수에 넣고, 200℃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뒤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백모화 추출물을 60 내지 65℃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이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여 백모화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된 백모화 추출물을 10g/L되게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덱스트로즈와 pH조절제로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를 첨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균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당 50,000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발효조를 이용하여 10일간, 35℃,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고,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후 여과기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1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백모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고추대 추출물 3 중량부, 새콩 추출물 1 중량부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중량 비율로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백모화 추출물이 더 포함되도록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백모화 발효추출물을 사용하였다.
< 비교예 1 >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새콩 추출물만 포함되도록 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돌가시나무 추출물만 포함되도록 하여 한방 약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관지 수축 억제 시험(in vitro)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한방 약물 조성물이 기관지 수축 억제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실험방법 참조 : Nature, 1977, 270, 256~257; Jpn J Pharmacol, 1996, 72, 1~8; Kor J Pharmacogn, 1999, 30[4], 377~383)
이를 위해, 하틀리(Hartely)계 수컷 기니피그(400~500g, BGI, 국내)에 항난알부민 항혈청(anti-ovalbumin anti-serum)을 2㎖/㎏의 부피로 정맥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감작 48시간 후에 기니피그를 실혈 치사시킨 후 기관지를 적출하였다. 이 후, 타이로이드(tyrode) 액상에서 기관지에 붙어있는 타조직을 제거한 후 연골이 2~3개가 포함되도록 링 모양으로 절개하였다. 절개 후에는 기관지 근육을 보존하면서 링의 연골부분을 절개하고 양쪽으로 실을 연결한 후 장기욕조(organ bath)에 현수(suspension)하였고, 일정시간의 안정화 후 카르바콜(carbachol) 10㎍/㎖을 넣어 최대 수축을 유발하였으며 타이로이드(tyrode) 액으로 기관지를 세척하고 안정화시켰다. 이 후, 인도메타신(indomethacin) 5㎛을 넣고 1분 후 각각의 추출물(동결건조하여 03㎎/㎖로 처리)을 넣었고, 5분 후에는 난알부민(ovalbumin) 20㎍/㎖을 넣어 수축을 유발하였다. 기관지 수축 억제율(%)은 카르바콜과 난알부민에 의한 수축을 비교하여 계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기관지의 수축이완은 힘변환기(force transducer, WPI)와 연결된 생리 활성 측정기(powerlab 8/30, ADInstum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기관지 수축 억제율(%)
실시예 1 79.3
실시예 2 81.2
비교예 1 32.1
비교예 2 33.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은 비교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에 비해 기관지 수축 억제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기도 수축 억제 시험(in vivo)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한방 약물 조성물이 기도 수축 억제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실험방법-호흡량 측정확인: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0, 403, 169~179; Br J Pharmac, 1983, 78, 67~74)
이를 위해, 하틀리(Hartely)계 수컷 기니피그(400~450g, SLC, Japan)에 항난알부민 항혈청을 15㎖/㎏의 볼륨으로 정맥 주사하여 감작하였다. 감작 48시간 후 기니피그에 각 추출물의 동결건조물(400㎎/㎏)을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30분 후에 피릴아민 말레이트(pyrilamine maleate, 05㎎/㎏)와 프로라놀롤(propranolol, 005㎎/㎏)을 피하 주사하여 전처리하였고, 기니피그의 각종 호흡 지표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레티스모미터(plethysmometer)가 장착된 더블챔버 플레티스모그래프 박스(plethysmograph box type 855, HSE, German)에 넣고 기본 기도 저항값(RxV)을 측정하였다. 전처리 30분 후에는 1% 난알부민을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로 만들어 2분간 분무 후 챔버 안에 알부민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를 30초 동안 밖으로 흘려보냈다. 이 후 15분 동안 플레티스모미터 박스 안에서 기도저항(airway resistance)을 측정하였고 기도저항은 AUC(area under the curve)로 계산하고,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표 2에 기도 수축 억제율(%)로 나타내었다.
구분 기도 수축 억제율(%)
실시예 1 57.9
실시예 2 59.3
비교예 1 15.2
비교예 2 14.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은 비교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에 비해 기도 수축 억제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기관지 염증 억제 시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한방 약물 조성물이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모델에서 폐기관지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감작된 마우스에 항원을 노출시켜 유발되는 폐기관지의 백혈구 증가반응을 확인(Pharmacological Research, 2010, 61, 288~297; Biochemical Pharmacology, 2010, 79, 888~896)하였다.
이를 위해, BALB/c계 암컷마우스(65주령, SLC, 일본)에 10㎍의 난알부민(Ovalbumin, [0074] OVA, sigma)과 수산화알루미늄(4mg, aluminium hydroxide, Alum, Pierce) 1:1 혼합액 02㎖을 0, 7 및 14일에 복강 내 투여하여 감작시켰다. 최종 감작일로부터 8일 후와 10일 후에 10% 난알부민을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로 만들어 50분간 분무하여 기도염증을 유발하였다. 각 시험물질(각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400㎎/㎏, bid)의 투여는 첫 감작 후 21일부터 23일까지 오전 오후 하루 두 차례에 걸쳐 경구 투여하여 Challenge 하였다. 마지막 Challenge 24시간 후에 인산완충용액(pH 72) 15㎖을 이용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을 하여 기관지폐포 세척액을 모았다. 세척액 중의 백혈구 세포수는 헤마톨로지 분석기(Hematology analyzer, Drew Scientific Inc, HEMAVET HV950FS, M-950HV)를 사용하여 백혈구수를 계수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음성대조군(1% CMC[carboxymethyl cellulose] 투여군)의 백혈구 세포수 정도를 기준으로 폐기관지 염증 억제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구분 폐기관지 염증 억제율(%)
실시예 1 27.9
실시예 2 29.3
비교예 1 3.1
비교예 2 3.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은 비교예 1, 2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에 비해 기관지 염증 억제 활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독성 실험
실시예 1, 2의 한방 약물 조성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3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PEG-400/tween-80/EtOH(8/1/1, v/v/v)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한방 약물 조성물을을 상기 PEG-400/tween-80/EtOH(8/1/1, v/v/v)에 녹여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day 농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한방 약물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진 환자 실험
(1) 환자 1(실시예 1의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
① 인적 사항 : 오** 62세(남), 구미시 인동 2길 ***** 거주
② 코로나 19 감염과 확진 일자 : 처음에 확진 받아서 병원에 10일간 입원 중에 중증환자에 밀려 퇴원
③ 증상 : 감기, 기침, 가래, 열 38℃, 목통증, 2주 후 호흡곤란 상태
④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일 및 치료 경과 : 증상이 그리 심하지 않아서 퇴원하여 집에 왔는데, 폐렴이 심해져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곤란이 옴. 2020년 2월 29일부터 다음날인 3월 1일까지 이틀간 복용 후 급속히 증상이 개선되어 호흡곤란이 없어지고 몸이 편안해짐
⑤ 판정 : 이틀간 복용 후 숨가뿜 소실, 열감소, 목통증 감소, 5일 후인 3월 7일 검사에서 음성 나옴
(2) 환자 2(실시예 1의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
① 인적 사항 : 박** 50대 주부(여), 대구시 달성군 월배로 ***** 거주
② 코로나 19 감염과 확진 일자 : 2020년 2월 23일 대구 *** 백화점 갔다 온 뒤에 감염됨. 다음날부터 증상이 있고 10일 뒤인 3월 4일 확진
③ 증상 : 몸살, 기침, 발열로 고통, 병실 부족으로 자가 격리중인 상태
④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일 및 치료 경과 : 복용 후부터 인후통 두통 발열 등의 증상이 가벼워졌고 2일차 복용 후 증세가 매우 가벼움. 복용 후 37℃ 미열, 조금의 기침증세만 있고 몸이 좋아짐
⑤ 판정 : 2020년 3월 12일(목요일) 첫 검사, 3월 13일 음성판정, 두차례 음성 검진으로 3월 24일 문자로 완치 확인
(3) 환자 3(실시예 1의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
① 인적 사항 : 서** 40대(여), 대구시 달서구 대명천로 ***** 거주
② 코로나 19 감염과 확진 일자 : 2020년 2월 대구 *** 종교 모임
③ 증상 : 2월 25일 확진 판정 당시 인후통, 콧물, 재채기, 한열
④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일 및 치료 경과 : 확진 받고 복약 후 인후통 감소, 완화. 기침, 가래만 약간 남아 있고 모든 증상 소실
⑤ 판정 : 3월 22일 검진시 음성 나와 최종 완치됨
상기 환자1, 2 및 3의 한방 약물 조성물 복용 경과를 살펴보면, 코로나 19 바이러스 확진 환자로 자가 격리 중이던 환자 3명에 복용시킨 결과, 3명 모두 공통적으로 복용 이틀만에 증상이 급격히 호전되었고, 1주일 뒤 검진에서 음성 판정이 나와서 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물 조성물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사멸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고추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대 추출물 이외에,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대 추출물 2 내지 4 중량부에 대해, 새콩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 이외에 백모화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백모화 추출물은 상기 고추대 추출물, 새콩 추출물 및 돌가시나무 추출물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KR1020200050287A 2020-04-24 2020-04-24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KR10224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87A KR102240432B1 (ko) 2020-04-24 2020-04-24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PCT/KR2021/004688 WO2021230506A1 (ko) 2020-04-24 2021-04-14 Covid-19 치료 및 기타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용 한방 약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87A KR102240432B1 (ko) 2020-04-24 2020-04-24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432B1 true KR102240432B1 (ko) 2021-04-14

Family

ID=7547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87A KR102240432B1 (ko) 2020-04-24 2020-04-24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0432B1 (ko)
WO (1) WO20212305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39B1 (ko) * 2021-05-06 2022-04-22 이희능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기관지 기능 개선용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WO2023204775A1 (en) 2022-04-21 2023-10-26 Ipmc Group Ilac San. Ve Tic. Ltd. Sti. Herbal product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ovid-1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70B1 (ko) 2011-01-28 2013-05-09 환인제약 주식회사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0042B1 (ko) 2017-05-11 2019-0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곰보배추 및 홍삼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9357A (ko) 2018-10-05 2020-04-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71914A (zh) * 2003-04-29 2004-02-04 胡世玺 防治由sars病毒引起的非典型肺炎的药物和应用及其制备方法
KR101973388B1 (ko) * 2016-05-26 2019-04-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범용성 바이러스 포획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4572B1 (ko) * 2018-05-23 2021-05-21 한국식품연구원 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70B1 (ko) 2011-01-28 2013-05-09 환인제약 주식회사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0042B1 (ko) 2017-05-11 2019-0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곰보배추 및 홍삼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9357A (ko) 2018-10-05 2020-04-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페퍼민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ti Khaerunnisa 외. Potential Inhibitor of COVID-19 Main Protease (Mpro) from Several Medicinal Plant Compounds by Molecular Docking Study. ResearchGate. Vol. 1, pp. 1-14, 2020.03.1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39B1 (ko) * 2021-05-06 2022-04-22 이희능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기관지 기능 개선용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WO2023204775A1 (en) 2022-04-21 2023-10-26 Ipmc Group Ilac San. Ve Tic. Ltd. Sti. Herbal product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ovid-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506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4585255A (zh) 一种驱蚊杀菌剂
KR102240432B1 (ko) Covid-19 증상 완화용 한방 약물 조성물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62305B1 (ko) 약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약초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07158209A (zh) 一种治疗禽流感的复方中药生物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36207A (zh) 一种艾叶甜茶及其制备方法
CN103393908B (zh) 治疗系统性红斑狼疮及风湿病的制品及其制备方法
CN107897441B (zh) 一种缓解吸烟引起咳嗽的平卧菊三七茶及其制备方法
KR102365480B1 (ko) 개미취(Aster tataricus)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393752A (zh) 藿香油的新用途
CN106107987A (zh) 一种具有免疫调节、美容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846713A (zh) 治疗鸡传染性鼻炎的中草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5168337A (zh) 一种治疗鸡禽流感的发酵中药制剂
CN104288521A (zh) 一种治疗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67822A (ko) 개복숭아 발효액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6541163B1 (en) Process of powder for bath from natural plants
CN107823114A (zh) 一种含有黄精干细胞提取物的祛痘护肤品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9288871B (zh) 一种蜂箱气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77359B1 (ko)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15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15

Effective date: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