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312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312B1
KR101973312B1 KR1020177030130A KR20177030130A KR101973312B1 KR 101973312 B1 KR101973312 B1 KR 101973312B1 KR 1020177030130 A KR1020177030130 A KR 1020177030130A KR 20177030130 A KR20177030130 A KR 20177030130A KR 101973312 B1 KR101973312 B1 KR 10197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al relationship
feeding
developing
stat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491A (ko
Inventor
마사토시 다키구치
고지 후지나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간이적인 구성에 의해, 적재 부재와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부재와 감광체의 위치 관계를 전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모터 M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간 캠(100)과, 이간 캠(100)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101)에 의해, 승강판(13)과 급송 롤러(3)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롤러(103b)와 감광체 드럼(8)의 위치 관계를 전환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부에 시트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급송 장치는,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롤러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급송 롤러와 동축 상에 설치된 캠에 의해, 적재 부재를 승강시키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프린트 잡이 종료된 후에, 캠에 의해 적재 부재를 하강한 위치에 내려 둘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시트의 보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화상 형성을 행할 때에는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접촉시키고, 화상 형성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3500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180017호 공보
그러나, 적재 부재와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구성과, 현상 부재와 감광체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각각 독립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으로 연결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적인 구성에 의해, 적재 부재와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부재와 감광체의 위치 관계를 전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부재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거리가 이간되고, 또한,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거리가 이간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 수단이 구동력에 의해 적재 부재와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부재와 감광체의 위치 관계를 전환한다. 따라서, 적재 부재와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감광체와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간이적인 구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시퀀스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3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3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30)는 시트(1)가 적재되는 급송 트레이(2)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30)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프린트 잡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 형성 장치(30)에 설치된 급송 롤러(급송 부재)(3)가 회전하고, 급송 트레이(2) 내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가 급송된다. 급송된 시트(1)는 반송 가이드(4)에 의해 가이드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5)으로 반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5)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1)는, 스캐너 유닛(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의 감광 드럼(감광체)(8) 상에 형성된 화상 정보와 타이밍을 맞추어, 감광 드럼(8)과 전사 롤러(9)의 닙부(전사부)에 반송된다.
감광 드럼(8) 상의 토너 화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현상 카트리지(103)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카트리지(103)에 설치된 현상 롤러(현상 부재)(103b)가 감광 드럼(감광체)(8)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감광 드럼(8)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된다. 전사 롤러(9)에 인가된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전사 프로세스가 행해져, 감광 드럼(8)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부에서 시트(1)에 직접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1)는 정착 장치(10)로 반송되고, 정착 장치(10)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시트(1)에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시트(1)는, 배출 롤러 쌍(11)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밖으로 배출되어, 배출 트레이(12)에 적재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30)의 CPU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구동원) M을 갖는 구동 수단과, 모터 M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를 갖는 제1 클러치와 솔레노이드(2)를 갖는 제2 클러치에 접속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는, 모터 M과 후술하는 급송축(108)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에 설치되고, 솔레노이드(2)는 모터 M과 후술하는 이간 캠축(107)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급송축(108)은 화상 형성 장치(30)의 프레임 부재(장치 본체)(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급송축(108)은 CPU로부터 솔레노이드(1)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도 1에 있어서의 CW 방향(시계 방향 방향)으로 1회전 운동하게 설치되어 있다. 급송 롤러(3)는 급송축(108)의 축 상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급송 롤러(3)는 승강판(적재 부재)(13)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최상위의 시트(1)를 급송한다.
시트(1)가 적재되는 승강판(13)은, 회동 중심(13a)을 중심으로, 프레임 부재(10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13)에는, 승강판 리브(제1 피결합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판(13)과 승강판 리브(13b)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승강판 리브(13b)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보스(제1 계합부)(101a)와 계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판(13)은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승강판 스프링(14)에 의해, 승강판(13)에 적재된 시트(1)가 급송 롤러(3)와 접촉하도록, 급송 롤러(3)로 향해서(도 1 중 상측 방향) 탄성적으로 압박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판 스프링(14)은 압축 스프링이다.
현상 카트리지(10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하여, 회동 중심(103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카트리지 스프링(1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현상 카트리지(103)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현상 롤러(103b)를 감광 드럼(8)을 향하여 압박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스프링(110)은 압축 스프링이다. 카트리지 스프링(110)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03)는 회동 중심(103a)을 중심으로, CW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103)에는, 계합 보스(제2 피결합부)(103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103)와 계합 보스(103c)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계합 보스(103c)는 후술하는 계합 클로(제2 계합부)(102)와 계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104)는, 프레임 부재(105)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가이드(104)를 개재하여, 화상 형성 장치(3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10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착탈을 가이드한다.
제1 실시 형태는, 승강판(13)과 급송 롤러(3)의 위치 관계 및 감광 드럼(8)과 현상 롤러(103b)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이간 캠(100)(제1 이동 부재)을 갖는다. 이간 캠(100)은, 후술하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제1 캠 위치(제1 회전 위치)와, 후술하는 도 3의 (c)에 나타내는 제2 캠 위치(제2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간 캠(100)은 이간 캠축(107)의 축 상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간 캠축(107)은 프레임 부재(1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간 캠축(107)은 CPU로부터 솔레노이드(2)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도 1에 있어서의 CW 방향으로 반회전 운동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는, 이간 캠(100)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제2 이동 부재)(101)를 갖는다. 슬라이더(101)는, 후술하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제1 이동 위치와, 후술하는 도 3의 (c)에 나타내는 제2 이동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01)는 슬라이더 가이드(10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106)는, 프레임 부재(105)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01)에는, 계합 클로(102)와 슬라이더 보스(10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101)와 슬라이더 보스(101a)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보스(101a)는 승강판 리브(13b)와 계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보스(101a)는 승강판 스프링(14)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승강판 리브(13b)를 가압한 위치와, 승강판 리브(13b)의 가압을 해제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01)가 1왕복 운동하면, 승강판(13)은 회동 중심(13a)을 중심으로, 1회 회동 운동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 클로(102)는 현상 카트리지(103)에 설치된 계합 보스(103c)(제2 피결합부)와 계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계합 클로(102)는 카트리지 스프링(110)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계합 보스(103c)를 가압한 위치와, 계합 보스(103c)의 가압을 해제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01)가 1왕복 운동하면, 현상 카트리지(103)가 회동 중심(103a)을 중심으로 1회 회동 운동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CPU로부터 솔레노이드(2)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이간 캠축(107)과 이간 캠(100)이 일체적으로 CW 방향으로 반회전 운동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더(101)가 슬라이드하고, 승강판(13)과, 현상 카트리지(103)가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30)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승강판(13)의 동작을 명시하기 위해서, 슬라이더 가이드(10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의 (a)는, 화상 형성 장치(30)의 프린트 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이간 캠(100)은 제1 캠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슬라이더(101)는 제1 이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판 스프링(14)에 압박된 승강판(13)의 승강판 리브(13b)는 슬라이더(101)에 설치된 슬라이더 보스(101a)와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스프링(110)에 의해 압박되는 현상 카트리지(103)의 계합 보스(103c)는, 슬라이더(101)에 설치된 계합 클로(102)와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101)는 이간 캠(10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은 이간된 이간 상태이고, 또한, 승강판(13)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와 급송 롤러(3)는 이간된 이간 상태이다.
처음에, 화상 형성 장치(30)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프린트 잡 신호가 입력되면, CPU가 솔레노이드(2)로 구동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모터 M의 구동력이 이간 캠(100)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이간 캠(100)이 CW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슬라이더(101)가 도 3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슬라이더(101)가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01)에 설치된 계합 클로(102)도 왼쪽으로 이동하므로, 현상 카트리지(103)는 회동 중심(103a)을 중심으로, CW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슬라이더(101)가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01)에 설치된 슬라이더 보스(101a)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승강판(13)은 회동 중심(13a)을 중심으로, CW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3의 (b)는 이간 캠(100)이 회전을 하고 있는 도중의, 화상 형성 장치(30)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01)는 카트리지 스프링(110)에 의해, 도면 중 좌측 방향의 압박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01)는 이 압박력에 의해, 도 3의 (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 3의 (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간 캠(100)은, 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반회전한 도 3의 (c)의 상태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01)는 좌측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을 정지한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이간 캠(100)은 제2 캠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슬라이더(101)는 제2 이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계합 클로(102)에 의한 계합 보스(103c)의 가압이 해제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더 보스(101a)에 의한 승강 리브(13b)의 가압이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스프링(110)에 의해 압박되어 있는 현상 롤러(103b)는 감광 드럼(8)과 접촉하고, 또한, 승강판 스프링(14)에 의해 압박되어 있는 승강판(13)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는 급송 롤러(3)와 접촉한다. 즉,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은 접촉한 접촉 상태이고, 또한, 승강판(13)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와 급송 롤러(3)는 접촉한 접촉 상태이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CPU가 솔레노이드(1)에 구동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모터 M의 구동력이 급송 롤러(3)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급송 롤러(3)가 CW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트(1)의 급송 동작이 개시된다. 급송된 시트(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사 및 정착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고, 배출 트레이(12)에 배출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승강판(13)을 승강시키지 않고 시트(1)를 필요한 매수만 급송할 수 있다.
시트(1)의 급송 동작이 종료된 후에, CPU가 솔레노이드(2)로 구동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이간 캠(100)이 CW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이간 캠(100)이 슬라이더(101)를 도 3 중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하므로, 슬라이더(101)는 도 3 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더(101) 및 슬라이더(101)에 설치된 계합 클로(102) 및 슬라이더 보스(101a)가 도 3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계합 클로(102)가 카트리지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계합 보스(103c)를 가압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103)는 회동 중심(103a)을 중심으로, CCW 방향(반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슬라이더 보스(101a)가 승강판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승강판 리브(13b)를 가압함으로써, 승강판(13)은 회동 중심(13a)을 중심으로, CCW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3의 (d)는 이간 캠(100)이 회전을 하고 있는 도중의, 화상 형성 장치(30)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간 캠(100)은,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CW 방향으로 반회전함으로써,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되고, 회전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01)는 우측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을 정지하고, 프린트 잡이 종료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30)는, 이상의 동작을 프린트 잡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반복함으로써, 시트(1)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판(13)과 급송 롤러(3)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으로서, 이간 캠(제1 이동 부재)(100)과, 슬라이더(제2 이동 부재)(101)를 갖는다. 또한, 이간 캠(100)과 슬라이더(101)는 공통의 구동원인 모터 M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간이적인 구성으로 승강판(13)과 급송 롤러(3)의 위치 관계 및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의 위치 관계를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이상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30)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시퀀스도는, n매의 연속 프린트 잡 신호가 화상 형성 장치(30)에 입력된 경우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종축은 기구 요소, 횡축은 시간이다.
도 4에 있어서의 기구 요소의 상태 및 위치의 정의를 설명한다. 급송 롤러(3)는, 회전 상태 및 정지 상태의 두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103), 승강판(13), 슬라이더(101), 이간 캠(100)은 이간 위치 및 맞닿음 위치의 두 정지 위치를 얻을 수 있고, 그 사이에서 동작한다. 여기서 이간 위치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이고, 맞닿음 위치는 도 3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이다.
도 4의 (1) 내지 (6)에 나타내는, 프린트 잡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프린트 잡의 종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은, 전술한 동작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명시하고 싶은 점은, n매의 연속 프린트 잡 신호에 대하여, 승강판의 상하 운동이 1왕복만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예에서는 n매의 연속 프린트 잡에 대하여 n회 동작하고 있던 승강판의 상하 운동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잡마다 1회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속 프린트 시의 승강판의 상하 운동에 수반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보다 정숙성이 높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잡 종료 후는, 항상 프린트 대기 상태인 도 3의 (a)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승강판(13)은 하강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유저가 시트(1)를 보급하는 조작이나, 교환하는 조작을 방해하는 일 없이, 높은 유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103b)는 감광 드럼(8)으로부터 이간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현상 롤러(103b) 및 감광 드럼(8)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감광 드럼(8)과 현상 롤러(103b)의 접촉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스프링의 배치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계합 클로(202)는 슬라이더(1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01)에는, 카트리지 가압 부재(203)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가압 부재(203)는, 카트리지 스프링(210)에 의해 도 5 중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슬라이더(20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스프링(210)은 압축 스프링이고, 카트리지 스프링(210)의 타단부측은 장치 본체측의 부재에 계합하고 있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승강판(13)의 동작을 명시하기 위해서, 슬라이더 가이드(10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의 개략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승강판 스프링(14)과 카트리지 스프링(210)이 압축하는 동작 프로세스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103)는 계합 보스(103c)가 슬라이더(101)의 계합 클로(202)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카트리지 가압 부재(203)는 계합 보스(103c)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카트리지 스프링(210)은 해제 상태이다. 또한, 승강판 스프링(14)은 압축 상태이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103)는 계합 보스(103c)가 카트리지 가압 부재(203)에 가압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때, 카트리지 가압 부재(203)가 계합 보스(103c)를 가압하고 있고, 카트리지 스프링(210)은 압축 상태이다. 또한, 승강판 스프링(14)은 해제 상태이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3의 (c)로부터 도 3의 (a)에 이르는 동작 프로세스에서, 승강판 스프링(14)과, 카트리지 스프링(110)이 동시에 압축 상태(탄성력이 충전된 상태)가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판 스프링(14)과 카트리지 스프링(110)의 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두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기 위한 구동 토크가 필요해지고, 그 구동 토크를 보증하기 위한 구동원 및 전원이 필요하였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의 (a)로부터 도 6의 (c)에 이르는 동작 프로세스에서, 카트리지 스프링(210)이 압축 상태가 되고, 승강판 스프링(14)은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6의 (c)로부터 도 6의 (a)에 이르는 동작 프로세스에서, 승강판 스프링(14)은 압축 상태가 되고, 카트리지 스프링(210)은 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동작 프로세스로 두 스프링을 압축시키기 위한 구동 토크를 보증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시퀀스도는, n매의 연속 프린트 잡 신호가 화상 형성 장치에 입력된 경우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종축은 기구 요소, 횡축은 시간이다.
도 7에 있어서 명시하고 싶은 점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승강판 스프링(14)이 압축되는 타이밍과, 카트리지 스프링(210)이 압축되는 타이밍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승강판 스프링(14)과 카트리지 스프링(210)의 압축하는 동작 프로세스를 분리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의 효과 외에,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기타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4의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다 저렴한 구동원 및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저렴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환 수단이 현상 롤러(103b)를 감광 드럼(8)에 대하여 맞닿음 및 이간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의 위치 관계를, 서로의 거리가 가까운 제1 상태와, 제1 상태보다도 서로의 거리가 이간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화상 형성을 행하지 않는 경우나 물류 시 등에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의 위치 관계를 제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현상 롤러(103b)나 감광 드럼(8)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상태는,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이 반드시 맞닿아 있는 것을 의도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제2 상태는, 현상 롤러(103b)와 감광 드럼(8)이 반드시 이간되어 있는 것을 의도하는 것도 아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승강판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1)와 급송 롤러(3)를 맞닿음 및 이간시키는 구성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판(13)과 급송 롤러(3)의 위치 관계를, 서로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제1 상태)와, 제1 상태보다도 이간된 상태(제2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01)를 사용하여 승강판(13)을 승강시키는 구성이므로, 시트(1)의 적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예의 구성에서는, 시트(1)의 적재 용량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승강판(413)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급송 캠(400)의 최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급송 캠(400)의 최외경을 크게 하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급송 캠(400)의 회전 궤적(400a)과 현상 카트리지(403)가 간섭하는 경우가 있고, 이 간섭을 해소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를 높이 방향으로 크게 하거나, 폭 방향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는, 슬라이더(101)가 승강판(13)을 회동시키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급송 캠(400)을 폐지할 수 있다. 즉, 본체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 시트(1)의 적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하여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1: 시트
2: 급송 트레이
3: 급송 롤러(급송 부재)
4: 반송 가이드
5: 반송 롤러
6: 스캐너 유닛
7: 프로세스 카트리지
8: 감광 드럼(감광체)
9: 전사 롤러
10: 정착 장치
11: 배지 롤러 쌍
12: 배지 트레이
13: 승강판(적재 부재)
13a: 회동 중심
13b: 승강판 리브(제1 피결합부)
14: 승강판 스프링(제1 탄성 부재)
30: 화상 형성 장치
100: 이간 캠(제1 이동 부재)
101: 슬라이더(제2 이동 부재)
101a: 슬라이더 보스(제1 계합부)
102: 계합 클로(제2 계합부)
103: 현상 카트리지
103a: 회동 중심
103b: 현상 롤러(현상 부재)
103c: 계합 보스
104: 카트리지 가이드
105: 프레임 부재
106: 슬라이더 가이드
107: 이간 캠축
108: 급송축
110: 카트리지 스프링(제2 탄성 부재)
202: 계합 클로
203: 카트리지 가압 부재
210: 카트리지 스프링
400: 급송 캠
400a: 급송 캠 궤적
403: 현상 카트리지(종래예)
413: 승강판(종래예)
413a: 회동 중심(종래예)

Claims (17)

  1.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부재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거리가 이간되고, 또한,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거리가 이간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현상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 부재는,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현상 부재는, 상기 감광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와 상기 급송 부재가 접촉하고, 또한,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접촉한 접촉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최상위의 시트와 상기 급송 부재가 이간하고, 또한,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가 이간된 이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제1 이동 부재를 갖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회전 위치와 제2 회전 위치를 취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상기 제2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회전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제1 이동 위치에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이동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제1 계합부와,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기 위한 제2 계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적재 부재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가 상기 급송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가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전환 수단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에 설치된 제1 클러치와, 상기 구동원과 상기 급송 부재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에 설치된 제2 클러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는, 회동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상기 적재 부재의 회동 지지점보다도, 시트의 급송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부재를 갖는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장착 및 제거 가능하고,
    상기 유닛의 상기 제2 계합부와 계합하는 부분은, 상기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합부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부재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위치 관계 및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제1 상태와,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급송 부재의 거리가 이간되고, 또한, 상기 제1 상태보다도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거리가 이간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갖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현상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 제2항,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 부재에 의해 급송된 시트에 대하여,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직접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30130A 2015-03-27 2015-03-27 화상 형성 장치 KR10197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9595 WO2016157285A1 (ja) 2015-03-27 2015-03-27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91A KR20170130491A (ko) 2017-11-28
KR101973312B1 true KR101973312B1 (ko) 2019-04-26

Family

ID=5697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130A KR101973312B1 (ko) 2015-03-27 2015-03-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1675B2 (ko)
JP (1) JP6632608B2 (ko)
KR (1) KR101973312B1 (ko)
CN (1) CN107407903B (ko)
WO (1) WO2016157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3853B2 (en) * 2016-06-29 2019-01-0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76765B2 (ja) 2017-07-31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529270B (zh) * 2018-03-23 2019-09-03 广东东方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启动点的送纸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098A (ja) 2011-01-25 2012-08-16 Ricoh Co Ltd トナー濃度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30270764A1 (en) 2012-04-13 2013-10-17 KYOCERA Documentation Solutions Inc. Sheet conveying device,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873A (en) * 1990-07-04 1993-04-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having the ability to retract the sheet supply
JP2943415B2 (ja) 1991-03-19 1999-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5358230A (en) * 1992-04-24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H0635254A (ja) * 1992-07-18 1994-02-10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666599A (en) * 1994-04-06 1997-09-09 Hitachi, Ltd. Col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US7024150B2 (en) * 2002-09-17 2006-04-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parable clean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90921B2 (en) *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39780B1 (ko) * 2005-12-26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셔터 아암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902756B2 (ja) 2009-06-12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80601B2 (ja) 2010-03-02 2012-11-21 一般財団法人国際石油交流センター ガス流れ中の硫化水素濃度測定装置及び硫化物イオンの定量方法
US8511671B2 (en) * 2010-06-28 2013-08-2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9541B2 (ja) * 2011-03-16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57956B2 (ja) * 2012-02-29 2016-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60724B2 (ja) * 2014-10-29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098A (ja) 2011-01-25 2012-08-16 Ricoh Co Ltd トナー濃度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30270764A1 (en) 2012-04-13 2013-10-17 KYOCERA Documentation Solutions Inc. Sheet conveying device,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2608B2 (ja) 2020-01-22
WO2016157285A1 (ja) 2016-10-06
CN107407903A (zh) 2017-11-28
US20160282787A1 (en) 2016-09-29
KR20170130491A (ko) 2017-11-28
CN107407903B (zh) 2020-06-16
US9851675B2 (en) 2017-12-26
JPWO2016157285A1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26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9187274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11348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8777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973312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478598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38200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加圧装置、および押付装置
US914105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4031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6008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14606B2 (en) Drive transmission apparatus,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25802B2 (en) Alig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7484462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5205745A (ja) 画像形成装置
JP6573384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0235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30150782A1 (en) Sheet conveying device
JP352437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356021A1 (en) Secondary transfer device
US1017385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203114B (zh) 定影装置以及具有该定影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20231227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1242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14610A (ja)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1259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