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247B1 -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247B1
KR101973247B1 KR1020167019480A KR20167019480A KR101973247B1 KR 101973247 B1 KR101973247 B1 KR 101973247B1 KR 1020167019480 A KR1020167019480 A KR 1020167019480A KR 20167019480 A KR20167019480 A KR 20167019480A KR 101973247 B1 KR101973247 B1 KR 10197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zone
moving walkway
monitoring sens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035A (ko
Inventor
디르크 블론디아우
게르하르트 슈토이버
귄터 슈타인들
위르크 부리
미하엘 마타이즐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0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25Escalator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66B21/12Moving walkway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 플레이트 (12) 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과, 상기 접근 구역들 (2, 3) 사이에 배열된 이송 구역 (4) 을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 관한 것이다. 이송 구역 (4) 은 접근 구역들 (2, 3) 의 두 개의 콤 플레이트들 (12)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은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9, 33, 119) 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9, 33, 119) 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ARRANGEMENT OF A MONITORING SENSOR IN AN ESCALATOR OR IN A MOVING WALKWAY}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센서들은, 사람들의 이송을 위한 이러한 장비 아이템들의 작동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이러한 장비 아이템들의 작동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제어부에 다양한 작동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들 및 무빙 워크웨이들에 대한 공지된 제어부들의 경우에, 에스컬레이터가 사용되지 않거나 '서행 이동' 으로 불리는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감소된 속도로 작동되는 때에, 드라이브는 스위치 오프된다. 사용자들이 에스컬레이터에 접근할 때에, 예를 들어, 라이트 배리어 (light barrier) 를 통과하거나 적외선 센서를 지나갈 때에, 펄스가 트리거링되고, 드라이브가 스위치 온되거나, 드라이브의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미리 정해진 기간이 흐른 후에, 일러도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마지막 사용자가 벗어난 후에, 드라이브는 다시 스위치 오프된다. 그러한 목적에 필요한 모니터링 센서는, 예를 들어, WO 98/18711 A1 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를 신뢰가능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접근 구역의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칼럼 또는 포스트에 수용된다.
EP 1 541 519 B1 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더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를 개시한다. 이 모니터링 센서는 반달리즘의 타겟이 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핸드레일 진입 캡 뒤에 숨겨진다.
전술한 모니터링 센서들의 배열체들은 이 배열체들이 전체 접근 구역을 모니터링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 배열체로 인해,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각각의 접근 구역의 승객 이송 디바이스 영역들의 핸드레일 진입 캡에서 또는 별개의 포스트에서 반드시 감지되지 않는다. 특히, 난간 또는 난간 베이스의 부분들이 감지를 차단하거나 방해하기 때문에, 콤 플레이트 근처의 영역들이 모니터링 센서의 보호 콘에 의해 접근될 수 없다. 이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제어부가 오랜 기간 동안 이러한 영역들에 남아 있는 보다 나이가 많은 사용자들을 더 이상 인식할 수 없고, 따라서 예를 들어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시작과 같은 원하는 제어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 접근 구역을 보다 잘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에 대한 배열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각각의 콤 플레이트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접근 구역들과 상기 접근 구역들 사이에 배열되는 이송 구역을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 의해 충족된다. 이송 구역은 그 길이에 있어서 접근 구역들의 두 개의 콤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또, 이송 구역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난간들 및 난간 베이스들에 의해 그의 길이 또는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된다. 이는, 이송 구역의 단면이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를 향해 배향된 난간들 및 난간 베이스들의 표면들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에 배열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특징 "돌출부" 는 볼록부, 돌출부, 만곡부, 범프 또는 대체로 라운딩된 윤곽들을 갖는 부착물에 대한 유의어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난간 베이스들이 이송 구역을 제한하는 윤곽들이므로, 이러한 난간 베이스들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들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물체들 또는 심지어 사용자들의 옷이나 사지가 이 구성품들에 걸릴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이유로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구성품들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요소 또는 센서는 이송 공간을 향해 단지 예를 들어 약 3 밀리미터로 돌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3 밀리미터는, 모니터링 센서가 설치되는 벽을 따라서 모니터링 센서의 감지 콘이 물체들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모니터링 센서를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고 모니터링 센서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용을 허용하는 돌출부는 현 교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는 모니터링 센서의 감지 콘이 예를 들어 난간 패널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같은 모니터링 센서에 인접한 벽을 적어도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허용된 3 밀리미터보다 상당히 많이 돌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징 "돌출부" 는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구역을 설명하고, 돌출부의 윤곽은, 엣지 또는 표면과 이송 방향 사이에 90°>α> 0° 의 각도를 갖는, 사용자가 만질 수 있는 엣지를 적어도 이송 방향으로 가지지 않는다. 선호를 위해, 돌출부의 모든 엣지들은 라운딩되고, 존재하는 한, 돌출부의 표면들은 돌출부가 적어도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선택적으로 캠버링된다. 돌출부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구성품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한, 구성품의 평면 표면과 돌출부의 윤곽 사이의 전이부들은 연속적이어야 하는 전이 반경들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통해, 콤 플레이트로부터 전체 접근 구역에서 또는 이송 구역의 전체 폭에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구역을 신뢰가능하게 감지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상적인, 충분히 돌출하는 위치를 모니터링 센서에 대해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송 구역으로부터 먼 난간의 측면에 배열된, 따라서 이송 구역의 외부에 배열된 모니터링 센서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배열체의 경우에, 모니터링 센서는 난간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해야 한다. 그 경우에, 레이더 센서들이 모니터링 센서로서 사용된다면, 간섭이 발생할 것이고, 이 간섭은 예를 들어 순환하는 핸드레일의 인장 캐리어들로서 역할하는 스틸 케이블들에 의해 그리고 난간 베이스의 메탈 커버들에 의해 야기된다. 예를 들어, 먼지가 부착할 수 있는 난간의 유리 패널이 모니터링 센서와 감지되어야 하는 접근 구역 사이에 위치되어, 과도한 오염의 경우에, 모니터링 센서가 말하자면 블라인딩되므로, 이러한 배열체는 또한 적외선 센서들, CCD 카메라들 및 TOF 카메라들에 또한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이러한 배열체가 갖는 모니터링 센서는 잠재적인 반달족들에 의해 즉시 인지될 수 있다.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내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가 또한 경제적인 이점들을 가진다. 돌출부가 가능하게 하는 충분히 돌출하는 위치로 인해, 전체 접근 구역 및/또는 이송 구역이 단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의 돌출 배열이 없다면, 관련 접근 구역을 완전히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모니터링 센서들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다수의 모니터링 센서들이 갖는 해결책은 실질적인 비용 지출과 관련된다 비용 지출은 복수의 모니터링 센서들뿐만 아니라, 제어부로의 배선, 다중 신호들의 처리 및 유지에 대한 증가된 지출과도 관련된다. 모니터링 센서들의 개수가 증가될 경우,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전체 제어 시스템의 결함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중복의 이유로, 명백하게 둘 이상의, 선택적으로는 상이하게 작동하는 모니터링 센서들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접근 구역에 할당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관련 접근 구역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접근 구역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두 개의 난간들에 의해 규정된 폭에 있어서, 그리고 콤 플레이트로부터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접근 구역의 부근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난간들의 단부들까지 이어지는 길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연장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돌출부의 위치는 전체 접근 구역이 모니터링 센서의 감지 콘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접근 구역으로부터 그러한 정도로 이송 구역에서 멀리 위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돌출하는 위치로 인해, 모니터링 센서를 갖는 돌출부가 배열되는 벽을 따라서 모니터링 센서의 감지 콘이 물체들 또는 사용자들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벽은,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을 제한하는 난간, 난간 패널, 베이스 벽, 베이스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콤 플레이트까지의 전체 접근 구역의 갭-프리 (gap-free) 감지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벨트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플레이트 벨트가 연결되는 드라이브의 우수한, 사용자 중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보다 나이가 많은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 진입하길 원한다면, 그 또는 그녀는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를 향해 느리게 이동하여, 그 또는 그녀가 계단을 오르기 전에 콤 플레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수 초 동안 머무르게 된다. 전체 접근 구역의 감지를 통해, 상황이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고,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는, 예를 들어, 그 또는 그녀가 이송 구역의 방향으로 콤 플레이트를 지나 감으로써 모니터링 센서의 감지된 구역을 떠날 때까지, 보다 나이가 많은 사용자의 요구들에 적합해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바쁜, 따라서 접근 구역을 신속히 통과하는 사용자들은 사용자들이 콤 플레이트를 지나갈 때에 스텝 벨트가 정상 이송 속도를 가지길 원한다. 전체 접근 구역의 감지를 통해, 바쁜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를 지나갈 때까지 스텝 벨트의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시간이 충분하다. 사람들이 너무 오래 콤 플레이트의 바로 전방에 머무른다면, 이는 놀고 있는 어린이 또는 반달족들이 접근 구역에 있다는 표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잠재적인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드라이브는 완전히 스위치 오프될 수 있거나,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센서들은 모니터링 센서들이 쉽게 인지될 수 있다면, 장난 또는 반달리즘의 타겟이 될 수 있다. 돌출부를 변장하기 위하여,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디바이스는 돌출부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콤 플레이트가 조명될 수 있는 조명 보디일 수 있다.
디바이스가 적어도 이송 구역의 길이의 1/4 에 걸쳐 연장하고 또한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이송 구역의 윤곽으로서 인지될 경우, 돌출부는 훨씬 잘 감춰질 수 있다. 디바이스가 이송 구역의 길이에 걸쳐 연장할 경우, 돌출부는 훨씬 잘 감춰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의미에서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은 이송 구역의 단면과 부합하고, 여기에서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은 순환하는 핸드레일의 높이에서 종료되고, 관련 종류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경우에 상부를 향해 개방된다. 상응하게, 이송되어야 하는 사용자와 물체들이 이송 구역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할 때에도, 이송 구역으로 불리는 공간은 그 높이에 있어서 이러한 순환하는 핸드레일에 의해 또한 제한된다.
돌출부의 모니터링 센서가 두 개의 접근 구역들 각각과 관련되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접근 구역들의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연장한다. 그 결과, 두 개의 돌출부들은 단 하나의 디바이스에 의해 변장될 수 있다.
여기에는 이송 구역의 클리어런스 프로파일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고정 부분에서 돌출부와 이 돌출부와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배열하는 다수의 가능성들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분은 난간 베이스일 수 있고, 돌출부는 난간 베이스에 배열되는 편향 브러쉬의 스타트 요소일 수 있고, 디바이스는 편향 브러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 1 262 441 B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편향 브러쉬는 그 자체가 사용자의 신발들을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유지시키는 아주 흔한 그리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분은 난간일 수 있고, 디바이스는 난간의 핸드레일 가이드일 수 있고, 돌출부는 핸드레일 가이드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분은 난간 조명 수단일 수 있고, 디바이스는 난간 조명 수단의 커버일 수 있고, 또한 돌출부는 커버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고정 부분은 난간 베이스일 수 있고, 디바이스는 스텝 벨트 조명 수단 또는 플레이트 벨트 조명 수단일 수 있고, 또한 돌출부는 스텝 벨트 조명 수단 또는 플레이트 벨트 조명 수단의 스타트 요소일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는 돌출부 내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불필요하다. 돌출부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된다면, 모니터링 센서의 센서 헤드는 돌출부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모니터링 센서의 센서 하우징은 피복재에 의해 한정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내부 공간에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모니터링 센서의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의 제어부 내에 그리고/또는 별개의 하우징 내에 그리고/또는 센서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스캐너, CCD 카메라, 또는 바람직하게는 TOF 카메라와 같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사람들 또는 사용자들의 감지에 적합한 모든 센서들은 모니터링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TOF 카메라와 3D 카메라 시스템은 시간차법 (비상 시간 센서) 에 의해 거리를 측정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장면 또는 스캐닝 공간은 모든 상점 (image point) 에 대해 카메라 측정 시에 조명이 물체에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광 펄스에 의해 조명된다. 필요한 시간은 거리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카메라는 모든 상점에 대해 그 위에 이미지화된 물체의 거리를 공급한다. 원리는 전체 장면이 한번에 기록될 수 있어서, 스캐닝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 레이저 스캐닝에 부합한다.
TOF 카메라가 몇 데시미터에서 약 40 미터까지의 거리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 TOF 카메라는 모니터링 센서로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접근 구역에 특히 적합하다. 오늘날 달성가능한 거리 분해능은 그러한 경우에 약 1 센티미터이고 측면 분해능은 약 200 x 200 픽셀에 달한다. 오늘날 카메라는 초당 최대 160 개의 이미지들을 공급할 수 있다. TOF 카메라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예를 들어 적외선 LED 에 의해 생성되는 광 펄스들로 작동한다. 조명은 짧은 순간 동안 스위치 온되고, 광 펄스는 장면을 조명하여 물체들에서 반사된다. 카메라의 렌즈는 이 광을 수집하여 센서에 장면을 이미지화한다. 각각의 거리에 따라, 별개의 픽셀들에 대한 입사광은 거리 정보로서 평가될 수 있는 지연을 경험한다.
전술한 종류의 모니터링 센서가 공급할 수 있는 시간당 많은 수의 이미지들로 인해, 사용자의 상이한 요건을 고려하는 전체적으로 새로운 작동 방법들이 시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가 존재할 경우, 제어 개념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를 작동하는 사용자 중심 방법들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센서에 의해 생성된 모니터링 신호들은,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신속히 접근하는지의 여부,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느리게 접근하는지의 여부 또는 사람이 모니터링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접근 구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머무르는지의 여부에 대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제어부에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된 데이터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드라이브의 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신속히 접근할 경우,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는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를 통과하기 전에 예를 들어 느린 이송 속도에서 정상 이송 속도로 또는 표준 이송 속도로 증가될 수 있다.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가 이미 정상 이송 속도이고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신속히 접근할 경우, 정상 이송 속도는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근 구역의 콤 플레이트에 느리게 또는 우물거리며 접근할 경우, 정지된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는, 느린 사용자가 이송 구역을 떠날 때까지 유지되는 느린 이송 속도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이미 낮은 이송 속도라면, 느린 사용자가 이송 구역을 떠나거나 이송 구역에 인접한 접근 구역의 콤 플레이트를 통과할 때까지 느린 이송 속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작은 어린이 및 예를 들어 이동 또는 시력에 대해 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이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를 향해 나아가고 다시 안전하게 떠나는 것을 돕는다.
드라이브의 속도는, 사용자가 접근 구역의 콤 플레이트에 느리게 접근할 경우,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는 정상 이송 속도에서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되고, 느린 사용자가 이송 구역을 다시 떠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에서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된다.
국가별 표준들이 이를 허용하는 정도로, 추가의 작동 모드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제어 시에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느리게 또는 우물거리며 접근할 경우,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는 느린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를 통과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에서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드라이브의 속도는,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에 느리게 접근할 경우,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정상 이송 속도에서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되고, 느린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를 통과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에서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되도록 또한 제어될 수 있다.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로부터 이 사용자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느린 사용자로서 확인된 사람들은 그들이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를 떠날 접근 구역의 콤 플레이트에 도달하기 전에, 제어부는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를 정상 이송 속도에서 다시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사람이 모니터링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접근 구역에 오랜 기간 동안 머무를 경우, 이는 놀고 있는 어린이 또는 반달족들의 표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사고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텝 벨트 또는 플레이트 벨트는 정지될 수 있거나, 적어도 이송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오늘날,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몇몇 사용자들이 접근 구역에 진입할 경우, 이송 구역에 느린 사용자와 빠른 사용자가 존재하면, 그 또는 그녀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를 떠나는 접근 구역의 콤 플레이트를 느린 사용자가 통과할 때 까지 느린 이송 속도를 유지하거나 이송 속도를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는,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에 배열될 수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수 있다는 점에서 명백하게 현대화될 수 있다.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고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고정 부분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한 예로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삼차원 도면으로, 모니터링 센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다.
도 2 는, 개략적인 측단면도로, 도 1 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두 개의 접근 구역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도 3 은,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 2 의 접근 구역을 도시한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돌출부를 통해 도 3 에서 A-A 로 나타낸 절단면을 따라서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되고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길이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돌출부를 통해 도 3 에서 A-A 로 나타낸 절단면을 따라서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되고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길이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은, 삼차원 도면으로, 제 1 층 (E1) 을 제 2 층 (E2) 과 연결시키는 에스컬레이터 (1) 를 도시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각각의 콤 플레이트 (12, 하나만 도시됨) 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과, 상기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사이에 배열된 이송 구역 (4) 을 가진다. 이송 구역 (4) 은 그 길이에 있어서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의 콤 플레이트들 (12) 사이에서 연장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두 개의 편향 구역들 (7, 8; 미도시) 을 갖는 지지 구조체 (6) 또는 프레임워크 (6) 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편향 구역들 사이에는 스텝 벨트 (5) 가 순환하도록 안내된다. 스텝 벨트 (5) 의 편향 구역들 (7, 8) 은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의 층 커버 (9) 아래에 각각 감춰진다. 순환하는 핸드레일 (13, 14) 을 각각 갖는 두 개의 난간들 (10, 11) 은 이송 구역 (4) 의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난간들 (10, 11) 은 그의 하단부들에서 난간 베이스 (15, 16) 에 의해 지지 구조체 (6) 와 각각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인접한 난간 베이스 (15, 16) 를 향해, 따라서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편향 브러쉬들 (17, 18; 도 1 에서는 하나의 편향 브러쉬 (17) 만 도시됨) 이 각각의 난간 베이스들 (15, 16) 의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편향 브러쉬들 (17, 18) 또는 디바이스들 (17, 18) 은 실질적으로 이송 구역 (4) 의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인접한 접근 구역 (2, 3) 을 향해 배향된 스타트 요소 (19) 는 난간 베이스 (15, 16) 에서 편향 브러쉬들 (17, 18) 의 각 단부에 배열된다. 스타트 요소 (19) 는 모니터링 센서 (21) 의 수용을 위한 공동 (20) 을 가지고, 따라서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9) 를 나타낸다. 핸드레일 (13, 14) 에 의해 감춰진 핸드레일 가이드는 각 핸드레일 (13, 14) 아래에서 이송 구역 (4) 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또한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난간 조명 수단 (30, 31) 또는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디바이스 (30, 31) 를 포함한다. 난간 조명 수단 (30, 31) 은 커버 (32) 를 가지고, 상기 커버의 두 개의 단부들 각각에는 폐쇄부의 역할을 하고 또한 이송 구역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돌출부 (33) 가 배열된다. 모니터링 센서 (21) 는 이 돌출부 (33) 에도 배열될 수 있다.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구역들은 전술한 돌출부들 (19, 33) 에 배열된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가능한 감지 공간 (40, 41) 을 나타낸다. 감지 공간들 (40, 41) 의 높이는 예시로서만 이해되어야 하고 모니터링 센서 (21) 의 종류에 실질적으로 의존한다. 정육면체로서 도 1 에 도시된 두 개의 감지 공간들 (40, 41) 은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센서 (21) 로서 역할을 하는 TOF 카메라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TOF 카메라에 의해 감지되는 데이터는 그의 거리 정보에 근거하여 평가 시에 필터링될 수 있고, 여기에서 말하자면 감지 공간들 (40, 41) 의 연결 경계들이 규정될 수 있다.
도 2 는, 측단면도로, 도 1 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1) 의 제 1 층 (E1) 에 배열된 접근 구역 (2)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된다. 측단면도로 인해, 두 개의 난간들 (11) 중 하나만이 도시된다. 도 1 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1) 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난간 조명 수단이 난간 (11) 에 배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2 에서는, 베이스 커버 (9) 아래의 스텝 벨트 (5) 의 편향 구역 (7) 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스텝 벨트 (5) 는 스텝들 (29) 이 배열되는 견인 수단 (28) 을 가진다. 콤 플레이트 (12) 는 접근 구역 (2) 에 배열되고, 베이스 커버 (9) 를 폐쇄한다. 이송 구역을 향해 배향된 콤 플레이트 (12) 의 단부는 접근 구역 (2) 과 이송 구역 (4) 사이의 경계 (X) 를 나타낸다.
난간 베이스 (15) 에 배열된 편향 브러쉬 (17) 는 스타트 요소 (19) 를 포함한다. 현 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 센서 (21) 는 돌출부 (19) 로서 역할을 하는 스타트 요소 (19) 에 배열된다. 이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의 경계들 (일점쇄선으로 도시됨) 은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명백하게, 감지 콘 (22) 의 실질적으로 보다 큰 개방각을 갖고 또한 사용자의 사지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센서들 (21) 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센서들 (21) 은, 예를 들어, 어린이가 어른과 구분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된 접근 구역 (2) 에서 어린이의 존재 시에, 적어도 한 명의 어른이 이 접근 구역 (2) 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다면, 스텝 벨트 (5) 는 정지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 (1) 의 드라이브 (미도시) 의 작동을 위해 제어부 (50) 에서 상황에 대해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각각의 크기와 유형에 따라, 그의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 (51) 이 그의 센서 헤드 (23) 로부터 별개로 배열될 수 있다. 현 실시형태에서, 이는 베이스 커버 (9) 아래에 배열된 별개의 하우징에서 수용된다. 보다 나은 명료성을 위해, 센서 헤드 (23),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 (51) 및 제어부 (50) 간의 연결 라인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편향 브러쉬 (17) 는 실질적으로 이송 구역 (4) 의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스타트 요소 (19) 는 콤 플레이트 (12) 의 전체 폭이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에 의해 커버될 수 있도록 이송 구역 (4) 의 경계 (X) 로부터 간격 (S) 을 두어 배열된다는 이유로 편향 브러쉬 (17) 는 필수적이다. 이는 특히 후술되는 도 3 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3 은,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 2 에 도시되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접근 구역 (2) 을 도시한다. 이송 구역 (4) 에서의 돌출부 (19) 의 배열체로 인해, 접근 구역 (2) 의 전체 폭 (B) 은 콤 플레이트 (12) 에 의해 규정된 경계 (X) 로부터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송 구역 (4) 으로 그리고 편향 브러쉬 (17) 의 스타트 요소 (19) 의 형태로 돌출하는 돌출부 (19) 는 돌출부 (19) 가 모니터링 센서 (21) 와 함께 배열되는 난간 베이스 (15) 의 베이스 벽 (24) 을 따라서 감지를 또한 가능하게 한다.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의 돌출 영역 (25) 이 한 예로서 일점쇄선에 의해 도시된다.
게다가, 이미 도 1 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고 또한 난간 베이스 (16) 에 배열된 제 2 편향 브러쉬 (18) 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편향 브러쉬 (18) 또는 디바이스 (18) 는 그의 단부들 각각에서 돌출부 (19) 로서 구성되는 스타트 요소 (19) 와 연결된다. 이송 구역 (4) 의 대향 측면에 배열된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이 전체 접근 구역 (2) 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출부들 (19) 은 빈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명백하게, 예를 들어, 중복의 이유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가 이러한 돌출부들 (19) 내에 또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윤곽이 적어도 이송 방향으로, 엣지 또는 표면과 스텝 벨트 (5) 의 이송 방향 사이에 90°> α > 0°의 각도를 갖는, 사용자가 만질 수 있는 엣지나 표면을 가지지 않는 이러한 돌출부들 (19) 에 의해 또한 도시된다. 선호를 위해, 돌출부 (19) 의 모든 엣지들은 라운딩되고, 존재하는 한, 돌출부의 표면들은 돌출부 (19) 가 적어도 이송 방향으로 말하자면 유선형의 연속 윤곽을 가지도록 선택적으로 캠버링 (cambered) 된다.
에스컬레이터 (1) 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은 도 4 에서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고, 그의 A-A 절단면은 도 3 에 표시되어 있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편향 브러쉬 (17) 의 스타트 요소 (19) 로서 디자인되는 돌출부 (19) 를 도시한다. 한 예로서 내진성 플라스틱 재료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돌출부 (19) 는 난간 베이스 (15) 의 베이스 벽 (24) 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나은 명료성을 위해, 스텝 (29) 의 일부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모니터링 센서 (21) 또는 적어도 모니터링 센서의 센서 헤드 (23) 가 수용되는 제 1 공동 (25) 은 돌출부 (19) 에 형성된다. 제 1 공동 (25) 은 투명한 커버 (27) 에 의해 이송 구역 (4) 을 향해 폐쇄된다. 모니터링 센서 (21) 가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이면, 모니터링 센서의 레이더파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료 부분들을 투과할 수 있고, 투명한 커버 (27) 는 명백하게 제거될 수 있고, 제 1 공동 (25) 은 돌출부 (19) 의 하우징 벽에 의해 이송 구역 (4) 을 향해 폐쇄된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모니터링 센서 (21) 는 베이스 벽 (24) 을 향해 배향된 측면으로부터 제 1 공동 (25) 에 삽입되어야 한다. 케이블 (52) 은 모니터링 센서 (21) 로부터 모니터링 센서 (21) 의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 (미도시) 으로 이어진다.
조명 수단 (55) 이 배열되는 제 2 공동 (26) 이 A-A 단면에서 추가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조명 수단 (55) 은 콤 플레이트 (12) 를 조명하여 각각의 접근 구역 (2, 3) 과 이송 구역 (4) 사이의 경계 (X) 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도 1 내지 도 3 설명되는 콤 플레이트 (12) 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공동 (26) 은 편향 브러쉬 (17) 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스텝 벨트 조명 수단의 시작 또는 종료를 또한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조명 수단 스트립 (55) 이 편향 브러쉬 (17) 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공동 (26) 에서 편향 브러쉬 (17) 아래에 배열된다.
또한, 전술한 스텝 벨트 조명 수단은 편향 브러쉬 (17) 없이 이송 구역 (4) 내에 명백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1) 의 길이 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119) 의 단면은 도 5 에서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고, 그의 A-A 절단면은 도 3 에 표시되어 있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서 편향 브러쉬 (117) 의 스타트 요소 (119) 로서 형성되는 돌출부 (119) 를 도시한다.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119) 의 제 2 실시형태는, 베이스 벽 (124) 에 직접 형성되지만,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베이스 벽 (24) 에 부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1 돌출부 (19; 도 4 에 도시됨) 와는 상이하다. 보다 나은 명료성을 위해, 스텝 (29) 의 일부는 도 5 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한 예로서, 이러한 종류의 돌출부들 (119) 은 딥 드로잉 프로세스 또는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난간 베이스 (115) 의 베이스 벽 (124) 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적절히 재형성될 수 있다. 범프형이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119) 로 인해, 돌출부 (119) 의 부피에 의해 제한되는 공동뿐만 아니라, 에스컬레이터 (1) 의 실질적으로 보다 큰 내부 공간 (190) 에도 모니터링 센서 (21) 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 (151) 은 내부 공간 (190) 내에서 모니터링 센서 (21) 의 바로 근처에서 또한 배열될 수 있다. 케이블 (152) 은 모니터링 센서 (21) 의 전자 평가 및 제어 시스템 (151) 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1) 의 제어부 (50; 도 2 에 도시됨) 로 이어진다.
본 발명이 에스컬레이터에 근거하여 특정 실시형태들의 설명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실시형태의 수많은 추가의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지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실시형태들은 무빙 워크웨이에서 또한 이용가능하다.

Claims (17)

  1. 콤 플레이트 (12; comb plate) 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접근 구역들 (2, 3) 과, 상기 접근 구역들 (2, 3) 사이에 배열된 이송 구역 (4) 을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로서,
    상기 이송 구역 (4) 은 상기 이송 구역 (4) 의 길이에 있어서 상기 접근 구역들 (2, 3) 의 두 개의 상기 콤 플레이트들 (12) 사이에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난간들 (10, 11) 과 난간 베이스들 (15, 16) 에 의해 상기 이송 구역 (4) 의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한되고,
    상기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9, 33, 119) 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 (19, 33, 119)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에 관한 상기 돌출부 (19, 33, 119) 의 위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상기 난간들 (10, 11) 및 상기 난간 베이스들 (15, 16) 에 의해 규정되는 폭 (B) 에 있어서, 그리고 상기 콤 플레이트 (12) 로부터 적어도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부근에서 배열된 두 개의 상기 난간들 (10, 11) 의 단부들로 연장하는 길이에 있어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이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detection cone) 에 의해 커버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콤 플레이트 (12) 는 모니터링되는 구역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는 관련 접근 구역 (2, 3) 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를 갖는 상기 돌출부 (19, 33, 119) 가 배열되는 벽 (10, 11, 24, 124) 을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에 의해 물체들을 감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디바이스 (17, 18) 는 상기 돌출부 (19, 33, 119) 에 배열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17, 18) 는 적어도 상기 이송 구역 (4) 의 길이의 1/4 에 걸쳐 연장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7. 제 5 항에 있어서,
    돌출부 (19, 33, 119) 내의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는 두 개의 상기 접근 구역들 (2, 3) 의 각각과 관련되고, 상기 디바이스 (17, 18) 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들 (19, 33, 119) 사이에서 연장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난간 베이스 (15, 16, 115) 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편향 브러쉬 (17, 18) 이며, 상기 돌출부 (19, 33, 119) 는 상기 난간 베이스 (15, 16, 115) 에 배열되는 상기 편향 브러쉬 (17, 18) 의 스타트 요소 (19) 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난간 (10, 11) 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난간 (10, 11) 의 핸드레일 가이드이며, 상기 돌출부 (19, 33, 119) 는 상기 핸드레일 가이드에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난간 조명 수단 (30, 31) 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난간 조명 수단 (30, 31) 의 커버 (32) 이며, 상기 돌출부 (33) 는 상기 커버 (32) 에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난간 베이스 (15, 16) 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스텝 벨트 조명 수단 (26) 또는 플레이트 벨트 조명 수단이며, 상기 돌출부 (19, 33, 119) 는 상기 스텝 벨트 조명 수단 (26) 또는 플레이트 벨트 조명 수단의 스타트 요소 (19) 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의 센서 헤드 (23) 가 상기 돌출부 (19, 33, 119) 내에 배열되고,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의 센서 하우징 (151) 이 피복재들 (124; claddings) 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내부 공간 (190) 내에 배열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는 레이더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 (charge-coupled-device camera) 또는 비상 시간 카메라 (time-of-flight camera) 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
  14. 기존의 에스컬레이터 (1) 또는 기존의 무빙 워크웨이의 현대화 방법으로서,
    이송 구역 (4) 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9, 33, 119) 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분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9, 33, 119)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접근 구역 (2, 3) 에 관한 상기 돌출부 (19, 33, 119) 의 위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무빙 워크웨이의 난간들 (10, 11) 및 난간 베이스들 (15, 16) 에 의해 규정되는 폭 (B) 에 있어서, 그리고 콤 플레이트 (12) 로부터 적어도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부근에서 배열된 두 개의 상기 난간들 (10, 11) 의 단부들로 연장하는 길이에 있어서,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이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의 감지 콘 (22; detection cone) 에 의해 커버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콤 플레이트 (12) 는 모니터링되는 구역의 일부인, 기존의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현대화 방법.
  15. 돌출부 (19, 33, 119) 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센서 (21) 를 이용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에 의해 생성된 모니터링 신호들이
    -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 (12) 에 신속히 접근하는 지의 여부,
    - 사용자가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하는 지의 여부, 또는
    - 사람이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접근 구역 (2, 3) 에서 오랜 기간 동안 머무르는 지의 여부에 대해 평가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작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 사용자가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신속히 접근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송 구역 (4) 의 방향으로 상기 콤 플레이트 (12) 를 통과하기 전에, 스텝 벨트 (5)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느린 이송 속도에서 보통 이송 속도로 증가되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할 경우, 정지된 스텝 벨트 (5) 또는 플레이트 벨트는, 느린 사용자가 상기 이송 구역 (4) 을 다시 떠날 때까지 유지되는 느린 이송 속도에 이르게 되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하고 또한 상기 스텝 벨트 (5) 또는 상기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이미 느린 이송 속도인 경우, 상기 느린 이송 속도는 느린 사용자가 상기 이송 구역 (4) 을 다시 떠날 때까지 유지되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접근 구역 (2, 3) 의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할 경우, 스텝 벨트 (5) 또는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정상 이송 속도로부터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되고, 느린 사용자가 상기 이송 구역 (4) 을 다시 떠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로부터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되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할 경우, 상기 스텝 벨트 (5) 또는 상기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는 느린 사용자가 상기 콤 플레이트 (12) 를 통과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로부터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되는 단계,
    - 사용자가 상기 콤 플레이트 (12) 에 천천히 접근할 경우, 상기 스텝 벨트 (5) 또는 상기 플레이트 벨트의 속도가 정상 이송 속도로부터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되고, 느린 사용자가 상기 콤 플레이트 (12) 을 통과할 때에만 느린 이송 속도로부터 정상 이송 속도로 증가되는 단계, 및
    - 사람이 상기 모니터링 센서 (21) 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접근 구역 (2, 3) 에서 오랜 기간 동안 머무르는 경우, 상기 스텝 벨트 (5) 또는 상기 플레이트 벨트가 정지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실시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작동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느린 사용자와 빠른 사용자의 존재 시에, 느린 이송 속도가 유지되거나, 상기 느린 사용자가 상기 이송 구역 (4) 을 다시 떠날 때까지 정상 이송 속도가 느린 이송 속도로 감소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무빙 워크웨이의 작동 방법.
KR1020167019480A 2013-12-20 2014-11-14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 KR101973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8751.3 2013-12-20
EP13198751 2013-12-20
PCT/EP2014/074641 WO2015090764A1 (de) 2013-12-20 2014-11-14 Anordnung eines überwachungssensors in einer fahrtreppe oder in einem fahrstei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035A KR20160103035A (ko) 2016-08-31
KR101973247B1 true KR101973247B1 (ko) 2019-04-26

Family

ID=4988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480A KR101973247B1 (ko) 2013-12-20 2014-11-14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850100B2 (ko)
EP (1) EP3083480B1 (ko)
KR (1) KR101973247B1 (ko)
CN (1) CN105829236B (ko)
AU (1) AU2014365631B2 (ko)
BR (1) BR112016013506B1 (ko)
CA (1) CA2932988C (ko)
CL (1) CL2016001528A1 (ko)
ES (1) ES2785316T3 (ko)
MX (1) MX2016007943A (ko)
PH (1) PH12016501157B1 (ko)
PL (1) PL3083480T3 (ko)
RU (1) RU2647391C2 (ko)
SG (1) SG11201604494RA (ko)
TW (1) TWI630162B (ko)
WO (1) WO2015090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7923B2 (en) 2014-10-14 2021-08-24 Xico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ft devices
CN106315324B (zh) * 2015-06-16 2020-04-14 奥的斯电梯公司 一种能够监测儿童使用的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TW201803798A (zh) * 2016-06-21 2018-02-01 伊文修股份有限公司 具有用於識別受損的踏板單元之監視及標記機構的人員輸送裝置
CN107662875B (zh) 2016-07-29 2021-07-06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机的梯级与梳齿板的啮合状态监检测
CN107662874B (zh) 2016-07-29 2021-04-16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机的扶手入口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07662872B (zh) 2016-07-29 2021-03-12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机的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US10144617B2 (en) * 2016-09-30 2018-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aspects of a moving platform
US20180118522A1 (en) * 2016-10-28 2018-05-03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on escalator landing plate
FI127132B (en) * 2016-11-15 2017-12-15 Kone Corp Escalator System
US11472673B2 (en) * 2017-02-27 2022-10-18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3D model of a bearing structure of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KR102407553B1 (ko) * 2017-03-28 2022-06-10 인벤티오 아게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기계적 상태의 모니터링
JP6524288B1 (ja) 2018-03-01 2019-06-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KR102246761B1 (ko) * 2018-05-28 2021-04-30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핸드레일의 순환 시간을 판정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점검 시스템
TWI816905B (zh) * 2018-10-25 2023-10-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產生電梯或自動走道之三維衍架資料集之方法
CA3116615A1 (en) * 2018-12-21 2020-06-25 Inventio Ag Registration of users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CN109573802A (zh) * 2019-01-25 2019-04-05 通力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的安全装置和包含该安全装置的自动扶梯
EP3805141A1 (en) * 2019-10-09 2021-04-14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Passenger detection system for a passenger moving system
JP7218273B2 (ja) * 2019-10-29 2023-0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US11192757B2 (en) * 2020-05-06 2021-12-07 Techdayaf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ensuring social distancing on an escalator or travellator
TWI735260B (zh) * 2020-06-19 2021-08-01 東元電機股份有限公司 自動升降裝置及自動升降系統
KR102361089B1 (ko) * 2020-08-26 2022-02-11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레이더를 이용한 보안 검색 시스템
CN112357740B (zh) * 2020-12-02 2022-04-08 厦门市特种设备检验检测院 一种具有防夹装置的自动扶梯及其运行方法
CN112926722B (zh) * 2021-01-27 2022-11-01 上海兰宝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扶梯出入口区域人员计数方法
JP7224516B1 (ja) 2022-06-06 2023-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7739A (ja) * 2005-09-16 2009-02-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におけるコームラインの光学的な監視
JP4476497B2 (ja) * 1999-05-17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371958A1 (ru) * 1984-07-27 1988-02-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Мпс Ссср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работой дорожек эскалатора
JPH0812238A (ja) * 1994-06-30 1996-01-1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安全保護装置
US6049189A (en) 1996-10-29 2000-04-11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speed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on
MY118807A (en) * 1996-12-16 2005-01-31 Inventio Ag Device for monitoring the entry area of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US20010012644A1 (en) * 2000-01-14 2001-08-09 I-Ming Chen Method for mounting a semiconductor chip on a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adapted for mounting on a substrate
EP1262441B1 (de) 2001-05-31 2009-12-02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treppe oder Fahrsteig
JP4467278B2 (ja) * 2003-10-10 2010-05-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および先端スカート部構造
JP4353763B2 (ja) * 2003-10-10 2009-10-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自動運転方式マンコンベア
JP4401138B2 (ja) * 2003-10-10 2010-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ZA200409385B (en) * 2003-12-08 2005-09-28 Inventio Ag Equipment for monitoring the space in front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by high-frequency sensors
JP5089304B2 (ja) 2007-09-13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BR112012014183A2 (pt) * 2009-12-18 2016-05-31 Otis Elevator Co sistema para detectar uma pessoa, e, métodos para detecção de um passageiro e de uma pessoa
JP2012176824A (ja) * 2011-02-25 2012-09-13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
JP5687228B2 (ja) * 2012-02-20 2015-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EP2708485B1 (de) * 2012-09-18 2014-09-03 Cedes AG Anfahrsensor mit Vorraumüberwachung für Fahrtreppen oder Fahrstei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6497B2 (ja) * 1999-05-17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09507739A (ja) * 2005-09-16 2009-02-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におけるコームラインの光学的な監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68741A1 (en) 2016-12-22
TW201534549A (zh) 2015-09-16
TWI630162B (zh) 2018-07-21
CA2932988A1 (en) 2015-06-25
KR20160103035A (ko) 2016-08-31
PH12016501157A1 (en) 2016-08-15
EP3083480A1 (de) 2016-10-26
MX2016007943A (es) 2016-10-12
CN105829236B (zh) 2018-02-16
US9850100B2 (en) 2017-12-26
BR112016013506A2 (ko) 2017-08-08
SG11201604494RA (en) 2016-07-28
PH12016501157B1 (en) 2016-08-15
CA2932988C (en) 2022-05-24
AU2014365631B2 (en) 2017-08-31
EP3083480B1 (de) 2020-04-01
BR112016013506B1 (pt) 2022-08-23
RU2647391C2 (ru) 2018-03-15
CL2016001528A1 (es) 2017-05-19
WO2015090764A1 (de) 2015-06-25
ES2785316T3 (es) 2020-10-06
AU2014365631A1 (en) 2016-07-07
PL3083480T3 (pl) 2020-09-21
RU2016129698A (ru) 2018-01-29
CN105829236A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47B1 (ko) 에스컬레이터에서의 또는 무빙 워크웨이에서의 모니터링 센서의 배열체
CA2224829C (en) Equipment for approach area monitoring for escalators and travelling walkways
KR101051828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CA2489654C (en) Equipment for monitoring the space in front of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by high-frequency sensors
KR100838850B1 (ko) 승객 컨베이어
CN103663084B (zh) 用于自动扶梯或电动人行道的具有前方空间监测的启动传感器
JP2008273709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083733A (zh) 滑动门装置及电梯
JP5811934B2 (ja) 滞留度検出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2011020757A (ja) 乗客コンベアの乗客逆進入防止装置
JP5480825B2 (ja)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CN1261904C (zh) 图象处理装置和装载该装置的电梯
KR20110053462A (ko) 슬라이드 도어장치 및 엘리베이터
JP7098781B1 (ja) 乗客コンベアの投影システム
JP5508296B2 (ja)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5776289B2 (ja)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H09323884A (ja) エスカレータ
JP7287410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348422Y1 (ko) 지하철용 안전펜스 시스템
JP2021070551A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