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219B1 -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219B1
KR101973219B1 KR1020147004808A KR20147004808A KR101973219B1 KR 101973219 B1 KR101973219 B1 KR 101973219B1 KR 1020147004808 A KR1020147004808 A KR 1020147004808A KR 20147004808 A KR20147004808 A KR 20147004808A KR 101973219 B1 KR101973219 B1 KR 10197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zing unit
light source
sheet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075A (ko
Inventor
파스칼 보를레
아델 베라-드베이유
크리스토프 클레오
로랑 라무루스
파스칼 르페브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05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128Treatment of at least one glass sheet
    • B32B17/10155Edge treatment or cham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windscreen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5Light guides as housings, housing portions, shelves, doors, tiles, window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 또는 유기 유리의 제1 시트; 광원 홀더로 언급되는 지지 프로파일 부재를 구비하고, 광원의 방출 영역 또는 방출면은 주입된 광이 제1 시트의 본체 내에서 전파된 후 제1 시트가 주입된 광을 안내하도록, 제1 시트의 소위 주입 섹션과 대향하는 주변 광원; 및 안내된 광을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광원 홀더는 재료에 의해 둘러싸이고 커버로 덮이는 리세스 내에 있고, 커버 및 광원 홀더는 유리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한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리 패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ILLUMINATED GLASS PANEL FOR A VEHICLE, AND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글레이징 유닛, 특히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및 이러한 차량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발광 다이오드(또는 LE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문헌 WO20100496은 도 16에 예시되고,
- 제1 투명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식 글레이징 유닛이며;
- 차량 내부의 제1 주면, 및 적층 스페이서 및 제2 투명 시트와 관련된 제2 주면을 갖고,
- 제1 시트 내에서 안내되고 내측면을 통해 추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가시 광선을 방출하기 위해, 제1 시트의 에지면의 둘레 주위에서 작동하는 다이오드용 지지부로서의 PCB(인쇄 회로 기판) 유형의 프로파일 부재
를 포함하고,
- 프로파일 부재 및 다이오드의 조립체(통상, 다이오드 바아 또는 모듈로 불림)는 글레이징 유닛 둘레에 검은색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밀봉부에 둘러싸여지며, 다이오드는 주형으로의 폴리우레탄 주입에 의한 밀봉에 앞서, 유리의 에지면에 결합되는, LED를 사용하는 조명 루프를 제공한다.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을 폐기하는 비용은 상당하며, 이들 글레이징 유닛은 업그레이드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튼튼하고 쉽게 업그레이드 가능함과 동시에 단순하고 콤팩트하여, 차량 제조사에 의해 부여되는 사양(제조사의 품질 보증서, 성능 특성의 적응성 등)에 부합하는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인 광원(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다이오드에 결합된 광섬유(들))을 사용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루프 구성, 특히 차체 루프, 개방 또는 고정 루프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는 루프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 제1 주면, 제2 주면 및 에지면을 갖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진 제1 시트,
- 광원 지지부로 언급되는 지지 프로파일 부재를 구비한 주변 광원 - 광원은, 측방부가 방출 영역을 형성하는 리본형의 자립식 광섬유와 각각 방출면을 구비한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선택되고, 다이오드용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 유형의 것이고, 방출 영역 또는 방출면은 제1 시트의 두께 내에서 주입된 가시광 및/또는 UV로 언급되는 자외선의 전파를 위해 제1 시트의 주입면으로 언급되는 에지면을 항하고, 그 후 제1 시트는 주입된 광에 대한 가이드로서 역할함 -,
- 안내된 광을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 광원 지지부는, 재료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 내에 있고(주입 에지면은 유리의 시트, 및/또는 (수용부를 둘러싸는) 미리-조립된 구성요소 유형의 별도의 조립 요소, 및/또는 PU와 같은 가요성 밀봉형 또는 PC와 같은 강성형이며(특히, 유체(들), 특히 액체상 물 또는 수증기에 대해, 그리고 먼지 입자에 대해 기밀인) 커버에 의해 덮이는 코팅 또는 중합체 오버몰딩(특히,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공동화된 중합체)의 절결부 내에 있을 수 있음),
-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의) 방출면 또는 (광섬유의)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의 거리(및 정렬)는 직교 좌표계의 3방향으로, 광원 지지부(다이오드 지지부 또는 자립식 광섬유)의 위치 설정 수단, 및 차단 수단으로 언급되는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치 설정 및 차단 수단은 주입 에지면에 대해 위치되는 조립 요소(무기 유리의 시트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의 별도의 구성요소 또는 오버몰딩)를 포함하는, 제1 시트와 관련된 광원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접착 결합에 의할 수 있는 제1 주면 상에, 또는 심지어 제2 시트와 관련하여 제1 시트를 향하는 주면에 대향하는 주면 상에, 또는 에지면 상에) 시스템을 포함하며,
- 특히, 다이오드 또는 자립식 광섬유용 커버 및 광원 지지부는 특히, 적어도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거 가능하거나 가역적인 수단(광원 지지부의 캐리어) 및/또는 광원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가역적인 수단(조립 요소 상에서 커버와는 독립적인 광원 지지부)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으로부터 제거 가능(지지부는 그 자체로 또는 커버와 함께 제거 가능)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XYZ 좌표계는 예를 들어,
Z는 주입 에지면의 길이방향이고,
Y는 주입 에지면의 횡방향(따라서, 글레이징 유닛의 주된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이고,
X는 주입 에지면에 대한 법선 방향(따라서, 글레이징 유닛의 전평면(general face)에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커버는 본질적으로 표면(facial)(제1 시트의 글레이징 유닛의 전평면에 평행)인 것으로 언급되거나, 측방향(주입 에지면의 평균 평면에 평행)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 가능식 해결책은 (예를 들어, LED 바아와 같은) 광원이 완전히 밀봉되고, (글레이징 유닛/LED, 밀봉부 등에 대한) 손상을 입지 않고서는 광원이 접근하기 곤란하게 되어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의 재-사용을 막는, 글루로의, 접착제로의 코팅 또는 이미 전술한 "모노리식" 전체 밀봉, 특히 오버몰딩(밀봉 재료 등)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밀봉은 달성하기 어렵고, 이미 설치된 광원 특히 LED(및/또는 이의 전자 회로)를 열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예방책이 실행되고 있는 제조 설비를 제외하고는 현저한 폐기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미 전술된 자동차용 글레이징 유닛에 LED를 통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몇몇 결점을 포함한다:
- 분해 불가능성,
- 광원 모듈의 가격과 관련된 현저한 폐기 비용.
마찬가지로, LED 바아와 같은 광원의 통합은 광 기능, 글레이징 유닛 및 시일의 열화의 우려로 인해, 압출 또는 성형 구성요소의 경우에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다.
커버는 특히, 조립 요소 상에서 (재-)위치 설정이 용이하며, 필요한 경우,
- 수리, 재활용 등 중에 광원(LED 등) 및/또는 이의 전자 제어부를 변경하기 위해,
- 고객에 의해, 또는 새로이 부여된 표준에 의해 요구되는 광학적 성능 상의 새로운 요구(색상(들), 파워, 주파수, 제어의 변경)을 다루기 위해,
- 그리고/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 및 리세스를 갖는 글레이징 유닛에 광원(LED 및/또는 광섬유) 및/또는 전자 제어부를 추가하기 위해,
제거 가능하다(분해 및/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저 비용으로 교체 가능함).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 흐름의 실행계획 관리를 위해, 글레이징 유닛(다양한 색상, 강도 등으로 조명되거나 조명될 수 있는 글레이징 유닛) 상에 제공되는 조명의 모듈성(고객의 요청에 의한 것이 아니라 미리 공장에서 조립함)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광범위한 유용한 밀봉 또는 사전-조립 해결책을 제공하기 때문에, 방법 및 재료의 선택에 대한 광원(LED 등)의 통합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제조 기술에 대한 종속성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은 특히, 보편적인 기술(압출, 성형 등)에 따라 제조되는 글레이징 유닛 상에 통상적으로 장착되는 기능성 요소를 구비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가 가능하며, 기능성 요소는 조립 후 LED를 수용하기 위해, 적절한 방식(공동화(hollowed out))으로 개조될 수 있다.
커버는 광원의 보호 및 광원에의 용이한 접근 둘 모두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수용부에서의 유지/위치 설정에 관여한다.
커버(일부 구성에서)는 차량의 차체 상에 장착된 후에는 육안으로 시인이 불가능하다.
커버 상의 광원 지지부의 위치 설정은 공정(로봇의 궤적에 의해 계산된 위치 설정)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상의 광원 지지부의 위치 설정은 교체의 취급을 간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단부 정지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관리된다.
주입 에지면을 향하는 광원 지지부의 설치는 상기 공정(로봇의 궤적에 의해 계산된 위치 설정)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체의 관리를 간소화하기 위해, 주입 에지면을 향하는 광원 지지부의 설치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의) 단부 정지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관리된다.
커버는 조립 요소와는 별개(특히, 무기 유리 시트와는 별개)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 요소 상에, 예를 들어,
- 조립 요소 상에서 특히, 예를 들어 단부 정지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위치되고, 무기 유리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PU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중합체 밀봉부(오버몰딩) 상에는 위치되지 않으며,
- 그리고/또는 조립 요소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PU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중합체 밀봉부(오버몰딩) 상에서는 그렇지 않다.
광원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와는 별개인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광원의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의 거리는 광원 지지부(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와 함께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 및 광원 지지부(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와 함께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본 발명에 따른 정렬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실리콘 유형 등의 다이오드, 바람직하게는 사전-밀봉부를 갖는 칩의) 방출면 또는 (광섬유의) 방출 영역은 에지면과의 접촉에 대한 우려 없이, 제어식으로 주입 에지면에 가능한 근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의 거리는 2 mm 미만이거나, 심지어 1 mm 미만일 수 있으며, 특히 0.2 내지 2 mm 또는 심지어 0.5 내지 1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의 조립을 위해 실현되는 구성요소 모두, 즉 (고정을 위한) 조립 요소, 바람직하게는 커버, 및 광원 지지부(다이오드 지지부 또는 자립식 섬유)는 로킹될 수 있다.
(무기) 유리 또는 안내 시트와는 별개인 조립 요소는 예를 들어,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오버몰딩 유형의 코팅이며, 로킹 기능을 위해 충분히 강성을 띤다.
(곡선 또는 평면 형상을 갖거나, L자의 형태 등인) 커버는 로킹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구성요소이다.
광원용 지지부(다이오드에 대한 PCB 지지부 또는 "조명" 광섬유에 대한 비-방출 영역)는,
- 클립 부착: 단일 및 이중 클립, '크리스마스 트리'형 또는 외가지형,
- 클램핑,
- 나사 부착,
- 벨크로(등록상표)형의 "스크래치"(또는 자체-파지식 스트립)
와 같은 수단에 의해 커버에 대해 가역식으로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조립 요소 상의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부(들)은 광원 지지부 및/또는 커버의 설치에 유용하다. 제1 예로서, 제1 시트에 평행한 다이오드 지지부(측방 방출용)는 일측부가 유리의 제1 시트의 에지 상에 배치되고, 조립 요소에 직면하며, 타측부가 조립 요소 상에 배치되고, 조립 요소에 직면한다. 제2 예로서, 제1 시트에 평행한 (측방 방출을 갖는) 다이오드 지지부는 조립 요소 상에 배치되고, 조립 요소의 제1 및 제2 단부 정지부 내로 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역적인 경우에도 임의의 유형의 접착 시스템(글루)은 회피되어야 하며, 또한 조립 요소 상의 힘을 이용하여 커버 및/또는 조립 요소(또는 심지어 커버) 상의 광원 지지부를 조립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회피되어야 한다.
(광원 지지부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커버 또는 (그 자체만 또는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 지지부의 제거를 위해, 그리핑 수단, 특히 노치, 루프, 리세스, 로드, 취성 영역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구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가 지지부를 지지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커버의 위치 설정, 특히 조립 요소 상에서의 위치 설정은 이러한 위치 설정이 너무 큰 변형을 수반하고 이에 따라 위치((특히 지지부를 갖는) 커버의 가능한 위치는 하나가 아니라 여러 곳)의 정밀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응력하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조립 요소 상의 광원 지지부의 위치 설정은 이러한 위치 설정이 너무 큰 변형을 수반하고 이에 따라 위치(지지부의 가능한 위치는 하나가 아니라 여러 곳)의 정밀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응력하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특히, 조립 요소 상에서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 요소의 변형 없이 바람직하게는 접점(들)에 의해, 특히
-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를 지지하는 커버용 조립 요소의 단부 정지부(들), 특히 경사형 단부 정지부, 평면 또는 선형 베어링, 단일점 베어링, 볼-조인트, 피벗
과 같은 기계적 수단으로부터 선택된다.
커버 상에의 지지부의 위치 설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 커버의 변형 없이 접점(들)에 의해, 헤딩에 의한 영구적 고정 또는 클립에 의한 제거 가능 고정을 이용하여, 특히 단부 정지부, 특히 평면 또는 선형 베어링, 단일점 베어링, 볼-조인트, 피벗과 같은 기계적 수단 중에서 선택되거나,
- 또는 억지 끼워맞춤(힘을 주어 조립하는 등)이다.
조립 요소 상에의 지지부의 위치 설정 수단은 광원 지지부의 변형 없이 접점(들)에 의해, 특히 예를 들어 헤딩 유형의 위치 고정으로, 단부 정지부, 특히 평면 또는 선형 베어링, 단일점 베어링, 볼-조인트, 피벗과 같은 기계적 수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는 글레이징 유닛의 제거 가능 커버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글레이징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영구적으로(쉽게 제거할 수 없게) 커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커버 및 광원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체 조립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해당한다.
커버는 다이오드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할 필요는 없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조립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커버를 통해) 상기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의 전반적인 변형 없이(일단 설치되면, 위치 설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국부적 변형 또는 미변형) 접점(들)에 의해, 특히 기계적 수단들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강성) 상에서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 또는 둘러싸는, 특히 가요적인 밀봉부는 가역적(제거 가능)이며, 바람직하게는,
- 바람직하게는 강성 요소 상의 클립 부착 수단,
- 바람직하게는 강성 요소 상의 나사결합 수단,
- 스크래치 또는 자체-파지식 스트립 유형의 수단,
- 자화 수단이며,
그리고/또는 커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광원 지지부용의 위치 유지 수단은 가역적이며, 특히,
- 바람직하게는 강성 요소 상의 클립 부착 수단,
- 바람직하게는 강성 요소 상의 나사결합 수단,
- 스크래치 또는 자체-파지식 스트립 유형의 수단,
- 자화 수단이거나,
이들 수단은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영구적일 수 있다(글루 등).
클립 부착 수단(커버/조립 요소 및/또는 지지부/커버)은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 영역에서, 단일 지점(핀 등)이거나, 연장될 수 있으며(다시 말해, 커버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커버의 내측면 상에 배열되어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일체부를 형성할 수 있다.
클립 부착 수단은 예를 들어, 후크 유형의 것이며, 커버의 일체부를 형성하거나 밀봉 영역의 바람직하게는 외측에 독립적으로 추가된다.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나사 부착 수단(커버용)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영역 내, 특히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와 수용부의 에지 사이에서, 가능한 블라인드 구멍을 통해, 커버의 일체부, 특히 표면을 형성하거나, 커버의 천공부 내에 수용되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달리 이 대형 구성요소는 이동 가능)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별되고/되거나 상기 광원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 지지부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별된다.
조립 요소는 예를 들어,
- 충분한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지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특히 PU 유형의 제1 시트 주변의 중합체 밀봉부와 관련된 일체형 환형(따라서, 수용부의 둘레 주변에 폐쇄형 윤곽을 갖는 중공형) 구성요소(제1 시트에 부착됨),
- 또는, 충분한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지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특히 제1 시트 주변의 PU 유형의 중합체 밀봉부와 관련된 몇몇 별도의 부분의 구성요소(글레이징 유닛에 부착됨)이거나,
- 또는, 충분한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원을 수용하기 위한 국부적 리세스를 갖는 제1 시트에 오버몰딩되는 중합체 밀봉 재료로 이루어지고, 리세스의 경계를 형성하는 벽은 특히, 제1 시트가 이종-재료 폴리카르보네이트(둘레에서 투명 및 불투명)로 이루어지고, 조립 요소가 암부인 경우에, 주입 에지면에 대해 위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위치 설정 수단에 의해 조립 요소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커버의 설치 위치에서, 조립 요소 내에서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와 협력한다.
따라서, 다이오드(광원) 지지부는 접착 결합과 같은 영구적인 부착 없이,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료로 이루어진) 조립 요소 및 가요성 요소, 특히 곡선형 탭 또는 스프링 유형에 대해 단부 정지부를 위치 설정함으로써, 조립 요소 상에 커버를 독립적으로 (사전) 위치 설정되고, 지지부에 대해 가압되며,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커버는 직교 좌표계의 3개의 축선을 따라 제 위치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한 요소에 의해 위치되는 광원 지지부를 보유할 수 있으며, 커버는 3개의 축에 따라 제 위치에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한 다른 요소에 의해, 조립 요소 및/또는 유리의 에지면(예를 들어, 측방 커버의 내측면에 대해 법선 방향이고, 다이오드에 대해 돌출되며, 다이오드 영역의 외측에서 주입 에지면에 맞닿는 단부 정지부)에 대해 위치된다.
잠재적으로 광원 지지부를 보유하거나, 사전-위치 설정된 광원 지지부를 제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의 단부 정지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지지하는 커버의 조립은 특히, 조립 요소 상에서의 회전 및 가역적 부착(가역적이거나 제거 가능한 부착,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이며, 특히 조립 요소의 내외측 상에서 클립 또는 나사 또는 스크래치 부착에 의해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부착)에 의하며, 길이방향 베이스(상기 베이스는 수용부보다 큰 범위를 가짐)를 갖는 커버는 제1 및 제2 부분을 구비하며,
- 제1 부분(단부)은 회전 안내 부분으로 언급되는 조립 요소의 제1 부분을 가압하고, 제1 부분은 특히 주입 에지면(만일, 주입 에지면이 만곡되어 있거나 경사진 경우에는 평균 평면),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강성을 지닌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부분에 대해 평행한(예를 들어, 오프셋) 회전축(조립에 따라 고정 또는 가동)에 따라, 글레이징 유닛에 대해 회전 이동 (설치)되고,
- 제2 부분은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가역적 수단을 지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분으로 언급되는 조립 요소의 제2 부분의 수용 영역으로 언급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수용되며, 반대로 제2 부분은 수용 영역으로 언급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지지하고, 스크래치의 기술 또는 자체-파지 스트립 유형에 의해 유지하기 위한 가요성 재료(중합체 밀봉부)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연결 부분으로 언급되는 특히 금속 및/또는 충분한 강성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조립 요소의 제2 부분의 위치에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가역적 수단을 수용한다.
회전-일시적 고정에 의한 조립은 특히, 유리의 에지면 상에서 광원(다이오드 등) 수용부를 둘러싸는 재료로 광원이 뱅잉(banging)하여 파단될 위험성을 제한한다.
회전-일시적 고정에 의한 조립은 커버가 (글레이징 유닛의 전평면인) 표면이 되는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법선 방향인 "Y" (기계적 작동의 부착용)로, 또는 커버가 (에지면의 평면인) 측방이 되는 글레이징 유닛에 평행한 "X"로의 많은 유극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조립 및 분해를 위한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은 특히, 주입 에지면에 대한 일시적 위치 설정 수단의 배향에 대한 보다 큰 설계 자유도를 제공한다.
수용부의 외부에서의 일시적 부착(클립 또는 나사 부착)은 수용부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한다.
회전-클립 부착에 의한 조립은 광원(다이오드 지지부 또는 광섬유)이 커버 상에 (일시적으로/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단일 작업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간소하다.
커버의 회전-배치 후 나사 부착에 의한 조립은 커버에 대한 손상 없이(따라서, 재활용 가능함), 커버를 제거할 수 있다. 커버 및 조립 요소의 설계는 이러한 설계가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하거나/가역적 부착 등이 가능한 외부 구성요소(나사)이기 때문에, 간소하다.
조립 요소 상의 커버의 이중 클립 부착(바람직하게는, 강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가능하며, 특히 넓은 지지부(PCB)의 경우에는 회전에 대해 폭 방향으로(표면 커버인 경우 X방향, 측면 커버인 경우 Y방향)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클리핑 방향에 대해서는 (Y방향으로) 유극을 필요로 한다.
조립 요소의 연결 부분은 영구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힘이 인가될 때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재료는 충분한 강성 및 기계적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플라스틱의 경우에, 안내 부분 - 기능성 요소(가요성 플라스틱)의 조립은 공-압출(플라스틱의 경우) 또는 이종-재료 주입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금속의 경우에, 안내 부분 - 기능성 요소(가요성 플라스틱)의 조립은,
- 스피너릿(spinneret)의 입구에서의 롤러는 스트립의 올바른 위치 설정 및 재료의 통과를 위한 최소 두께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며, LED가 위치되는 섹션에 특히,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해방시키기 위해 드릴링 또는 절삭을 위한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할 수 있는 공-압출(플라스틱 재료, 특히 TPE, EPDM)에 의하고,
- 주형 내 러그는 스트립의 올바른 위치 설정 및 재료의 통과를 위한 최소 두께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종-재료 성형/주입(전형적으로, TPE, PVC)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특히, 안내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금속 중심부(스트립)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접음 작업(롤 형성) 또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다.
회전을 위해 다양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 제1 단부는 부분적으로 경사지며, 회전 안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커버를 따라 커버의 제1 단부에 대한 복수의 수용 영역(힌지 유형인 것으로, 조립 요소에 대한 커버의 실질적 "연결"이 없는 레그)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커버를 따라 커버의 가역적 부착 수단에 대한 하나 이상의 국부적 수용 영역으로부터 오프셋되며,
- 제1 단부 및 안내 부분은 상보적인 형상: 반구, 핑거를 갖는 볼 소켓 등을 갖는다.
커버는 직교 좌표계의 3개의 축을 따르는 위치 설정을 위한, 그리고 제 위치에의 유지를 위한 요소들에 의해 위치되는 광원 지지부를 보유할 수 있다.
- 조립 요소에 대한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측면인) 커버의 직교 좌표계의 2개의 방향으로의 (안내 및) 위치 설정은 커버가 표면인 경우에는 X방향으로, 측면인 경우에는 Y방향으로, 또는 병진 안내 운동이 회전과 결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심지어 Z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는) 활주식 연결에 의해 행해진다.
- 제 위치에 커버를 유지하는 것은 직교 좌표계의 제3 방향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에서의 위치 설정을 보장한다.
조립 요소는 (PU 유형의 가요적) 오버몰딩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심지어 오버몰딩 내 기계적으로 정착될 수 있으며, 또는 (커버의 제거를 위해 국부적으로 공동화되어 있는) 사전-조립 시일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커버는 광원 지지부를 보유하는 평면 부분을 갖는 서랍 유형(전체)의 것이다. "서랍" 커버의 단부는 조립 요소 내로의 서랍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서랍이 이동의 마지막에 최종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질 수 있다. LED(또는 광원) 지지부는 립에 의해 물릴 수 있다("억지 끼워맞춤" 설치, 구성요소의 미미한 변형에 의한 제 위치 유지).
클립은 하부 부분에 위치되고, 서랍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 클립은 바람직하게는, LED 또는 광원 지지부와의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서, 클리핑 작업 동안 클립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평면 부분에 대해 (하방으로) 오프셋된다.
그렇지 않으면, 클립은 서랍의 측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평면 부분의 단부 정지부에 대한) LED 지지부의 위치 설정은 부분적으로 유리 광 가이드 아래에 있을 수 있다.
조립 요소는 비-방출 영역에서, 주입 에지면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주입 에지면을 향하거나 심지어 이와 접촉하고/하거나 보강재를 형성(예를 들어, 회전 및 일시적 부착에 의해 조립체 내에서 안내 부분과 부착 부분을 단일화함)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및 조립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그리고 동일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조립 요소는 특히, (제1 주면 또는 제2 유리 시트에 대한) 접착 결합에 의해, (영구적으로)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될 수 있고/있거나 글레이징 유닛의 둘레 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걸쳐 (특히, 오버몰딩된, 특히 가요적이고, PU 또는 TP형인) 중합체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바람직하게는 오리피스를 갖는 핀 유형의 밀봉부 내의 기계적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심지어는 접착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을 방지하며, 이러한 정착은 특히, 다이오드의 올바른 위치 설정에 유용하다.
글레이징 유닛(특히, 무기 유리의 제1 시트) 내 조립 요소용 고정 구멍, 예를 들어 조립 요소의 나사 부착부용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요소(연결 부분 등)는 바람직하게는,
- 강성 (열)가소성 물질;
- 바람직하게는 훨씬 높은 저항에 대해 유리 섬유, 특히 PA66 GF30(30% 유리 섬유)로 로딩되는, 포름알데히드 중합체(폴리옥시메틸 POM)에 기초하거나, 폴리브로메이티드 터페닐(PBT)에 기초한,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66),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이들의 조합인 ABS-PC,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 금속(강철,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 요소는, 특히, 미적 기능을 제공하고 커버와의 접촉 가요성에 도움이 되지만, 너무 가요적이어서 커버의 유지를 보장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둘러싸이거나, 이와 접촉하거나, 심지어 그 일부를 형성한다.
- 예를 들어, 가요성 열가소성 물질,
- 폴리우레탄, 특히 PU-RIM(주형 내 반응)으로 제조됨,
- 특히,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SEBS)/폴리프로필렌(PP), 열가소성 TPU, 폴리프로필렌 PP/EPDM으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 폴리염화비닐(PVC), 3량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조립 요소(연결 부분, 안내 부분 등)는 바람직하게는 양면 테이프/접착제(아크릴 등)에 의해, 또는 잠재적으로는 PU 이중- 또는 단일 성분 접착제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 상에 글루접착될 수 있다. 접합은 또한, 특히, 연결 부분의 일부를 형성 및 이를 둘러싸는 가요성 부분 상에서 가능할 수 있다. 나사 부착에 의한 고정이 바람직하다.
글레이징 유닛, 바람직하게는 조립 요소는 반-미광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제1 주면을 따라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을 지나 (평행하게) 배열되며, 잠재적으로는 주입 에지면에 안착(특히, 플러시 중합체 밀봉부의 경우)하는 금속 시트(플라스틱 또는 금속 부재 상의 사전-조립된 시트)를 포함한다.
글레이징 유닛이 적층된 때, 금속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스페이서의 세트-백 영역으로 연장된다.
조립 요소는,
- 차량에 글레이징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예를 들어, 차체에 개방 루프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또는 글레이징 유닛에 추가적인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예를 들어, 글레이징 유닛에 트림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립),
- 국부적으로 공동화되고, 잠재적으로 (위치 설정 및/또는 제 위치에의 유지를 위해 영역의 외측에서) 중합체 재료로 덮이는 사전-조립 시일의 금속 중앙 섹션
중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요소일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일시적 고정 수단(하나의 조립 요소를 다른 조립 요소에 대해 측방 위치 설정하는)에 의해 서로 정렬 및 로킹되는 일체형 요소의 형태인 복수의 조립 요소를 포함한다.
조립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과 같은 폐쇄형 윤곽을 갖는 단일-면 공동화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립 요소는 스트립의 하나의 영역(글레이징 유닛의 일 측부) 또는 전체 길이에 걸칠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인접하거나 대향하는 스트립의 위 또는 전체 둘레 주위에 있을 수 있다.
수용부는 임의의 가능한 형상: 긴 타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의 폭은 5 내지 200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수용부의 길이는 10 내지 1000 m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0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수용부는 예를 들어, 1 mm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m(또는 에지면을 향하는 경우에는 그 미만임)의 충분한 깊이의 것이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능성 요소는 제1 시트와 연관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밀봉 요소, 압출 요소, 사전-조립 시일(리크(lick)-시일), 성형 구성요소, 주입 구성요소 등일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예를 들어, 강화 또는 접착 요소를 통해, 직접 제1 시트 상에 있거나, 간접적으로 제1 시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요소는,
- 재료의 직접 부착(성형 등),
- 그리핑 또는 피팅,
- 글루 유형 등의 연결 수단
중 임의의 수단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에 부착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편면, 양면, 또는 심지어 3중-면일 수 있다.
이미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은 특히,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와 글레이징 유닛 사이에서 특히, 무기 유리, 프라이머,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세트산 폴리비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이중-, 또는 3중-구성요소 층으로 이루어지는 오버몰딩된 기능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오버몰딩에 의해 취득되는 특히, 0.5 mm 내지 수 cm의 두께를 갖는 중합체 밀봉부일 수 있다.
차량 용도에 있어서, 밀봉 재료는 일반적으로 검은색이거나 (미적인 이유 및/또는 차폐 목적으로) 착색되어 있다. 밀봉부는 특히, PU-RIM(주형 내 반응)의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오버몰딩 재료는,
- 가요성 열가소성 물질:
-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특히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SEBS)/폴리프로필렌(PP), 열가소성 TPU, 폴리프로필렌 PP/EPDM을 함유하는 화합물,
- 폴리염화비닐(PVC), 3량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 강성 열가소성 물질:
-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66),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이들의 합금인 ABS-PC,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이다.
오버몰딩 재료는 착색되고, 유리 섬유로 채워진다.
프라이머, 단일-, 이중-, 3중-구성요소 층은, 특히 무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글레이징 유닛과 밀봉부 사이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세트산 폴리비닐,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함유하는데, 이는 이러한 층이 무기 유리와의 접착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기능성 요소는 또한, 우수한 미적 마감을 제공하고, 다른 요소 또는 기능,
- 프레임의 오버몰딩,
- 특히, 글레이징 유닛의 개방을 위해, 글레이징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보강 인서트 또는 인서트,
- 차체에 대한 장착 후 압축되는 다수의 립(이중, 삼중 등)을 갖는 프로파일 밀봉 요소,
- 트림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오버몰딩된 기능성 요소는 립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임의의 형상의 것일 수 있다.
배관, 다시 말해 폐쇄형 셀을 갖는 프로파일 밀봉 요소는 또한, 오버몰딩된 기능성 요소 옆에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루프에 대해, 동일평면 밀봉부, 다시 말해 글레이징 유닛의 표면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 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밀봉부가 형성된다.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은 특히,
- 오버몰딩 또는 글루 요소(시일, 프레임),
- 글레이징 유닛을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예를 들어, 개방 루프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인서트) 또는 추가적인 요소를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예를 들어, 트림을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립),
- 국부적으로 공동화되고, 위치 설정 및/또는 제 위치에의 유지를 위한 영역의 외측에서, 중합체 재료(가요성 등)에 의해 덮이는 사전-조립된 시일의 금속 중앙 섹션인 기능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수 mm의 두께(전형적으로는, 2 내지 15 mm)를 갖는 특히, TPE(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탄성중합체,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시일일 수 있다.
시일은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접착제로 도포될 수 있다. 시일은 그리핑 또는 피팅 또는 클리핑(예를 들어, 2개의 절반부-프레임)에 의해 간단히 유지될 수 있다. 시일은 단면, 양면, 또는 3중-면일 수 있다. 시일은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시일은 임의의 형상, L자-형상, U자-형상 등을 취할 수 있다. 시일은 언제든 제거될 수 있다. 시일은 고정 후의 응력하에서 하나 이상의 립을 구성될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유리 섬유 등이 채워진 금속 또는 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66),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일 수 있다.
기능성 요소는 차량의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하나 이상의 표준 기능성을 보존한다.
기능성 요소의 (단일 또는 다수의) 기능성은,
- 특히, 3 내지 100 mm의 제1 면 상의 폭 및 10 내지 40 mm의 두께를 갖는 글레이징 유닛의 프레임(이미 개시된 바와 같이, 단면, 양면, 3중면), 및/또는
- 고정 또는 중심설정화를 위한(다시 말해, 공장에서 글레이징 유닛을 설치하는 동안, 차량의 차체 상에 글레이징 유닛을 올바르게 위치 설정하기 위한) 요소를 지지하는 구성요소,
- 적어도 차량의 차체와 글레이징 유닛 사이에서의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량의 차체와 글레이징 유닛 사이의 유체(들)(액상 물, 수증기, 세척제 등)에 대한 밀봉용 구성요소,
- 불투명 및/또는 차폐용 구성요소, 및/또는
- 기계적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특정, 전용) 구성요소(측창용 "홀더"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내측면과 제1 면 사이의 거리는 10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외측면과 주입 에지면 사이의 거리는 15 mm 미만이다. 커버의 두께는 5 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커플링 공간으로 언급되는, 주입 전 방출된 복사선 사이의 공간은 방출 원뿔 및 방출의 주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광원의 복사 다이어그램에 따라 자연적으로 변동된다.
커플링 공간을 충전하기 위해, 상기 복사선에 투명하고, 접착제 등, 특히,
- 발포체, 열가소성 수지,
- 글레이징 유닛에 칩을 매립하고 이를 고정시키는 글루 유형의 접착 재료,
- 일 접착면을 통해 칩 및 지지부 상에 부착되고, 타 접착면을 통해 글레이징 유닛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제
인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단기간의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 재료(중합체 등)로서,
- UV-망상형 글루,
- 아크릴 글루로 도포된 접착 스트립(아크릴, PU 등),
- 투명한 글루, PU, 실리콘, 아크릴
- 열가소성 수지: 폴리비닐부티랄(PVB), 에틸렌/아세트산 비닐(EVA) 공중합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미밀봉 또는 사전-밀봉된) LED 또는 광섬유와 글레이징 유닛 사이에 광학적 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충전 재료 및/또는 접착제 및/또는 밀봉 재료)를 포함할 필요성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요소는 고비용으로 이어지고, 광의 색상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커플링 공간으로 알려져 있는 주입 전 방출되는 복사 공간은 기체상(하나 이상의 기체, 예를 들어 공기)으로 이루어진다.
임의의 벽(조립 요소, 커버 등)이 특히, 커플링 공간 내에서는 회피된다.
다이오드는 (사전-)밀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칩을 둘러싸고, 그 기능으로서 요소의 분산 또는 집중, 파장 변환을 갖는, 예를 들어 에폭시 유형의 수지 또는 PMMA로 이루어지는 인벨로프 및 반도체 칩을 포함한다. 인벨로프는 공통이거나 개별적이다.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대략 수백 ㎛ 또는 1 mm의 크기인 폭을 갖는 단일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취급 동안 칩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칩의 재료와 다른 재료 사이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이오드는 선택적으로, (일시적이거나 그 외) 보호성 인벨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특히, 이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 방출면이 지지부에 대해 측면에 있는, 다시 말해 전기 접점(의 면)에 평행하는 측방 방출 다이오드,
- 방출의 주 방향이 칩의 방출면에 대해 수직이거나 경사진 다이오드.
광원 지지부 프로파일 부재는 그 일부에 대해,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둘레 상에: 제1 시트의 에지면 상에 및/또는 제1 시트의 하부면 및/또는 제1 시트의 상부면 상에 있을 수 있다.
광원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제1 시트의 커플링 에지의 길이(각각의 폭) 미만의 길이(및/또는 각각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종래의 PCB일 수 있거나 금속일 수 있다.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이오드의 총 개수 및 다이오드의 전력은 피조명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원하는 광의 세기 및 요구되는 광의 균일성에 따라 선택된다.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의 길이는 다이오드의 개수 및 피조명 표면의 크기에 따라 변동된다.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예를 들어, 약 20 cm의 길이를 갖는다. LED 바아(프로파일 부재 + LED)의 개수는 표면 영역을 덮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수이다.
소형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간소한 설계를 위해,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추가로 이하의 특징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 얇을 수 있다는 점, 특히 두께가 1 mm 이하, 또는 심지어 0.1 mm 이하인 점,
- 전기 전도를 위해 금속 표면 코팅을 가질 수 있다는 점.
특히, 피조명 영역이 매우 널리 이격되어 있거나, 광범위한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것인 경우, 단 하나의 지지 프로파일 부재를 대신하여 몇몇 동일한 다이오드 또는 유사한 지지 프로파일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이오드 지지 프로파일 부재에는 글레이징 유닛의 크기 및 필요에 따라 증가되는 소정의 기준 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우수한 소형화를 위해, 그리고/또는 투명한 유리의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칩을 지지하는 부분과 제1 시트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다이오드 지지부는 또한, 몇몇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몇몇 부분 중 하나는 전기 회로에 대한 지지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방열기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열기를 수용하고, 이에 유리한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조립 요소 및/또는 커버 내 공간이 이용될 수 있다.
광원은 주입 에지면으로부터 (공기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며, 주입 에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심지어 다이오드 지지부는 간소화 및 분해의 신속화를 위해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되지 않고 커버에 고정된다.
광원 지지부를 둘러싸는 재료(예를 들어, 조립 요소 및/또는 오버몰딩) 및 커버는 유체에 액밀하게 형성된다.
커버는 유체(들)에 대한 그리고 먼지에 대한, 특히 액상 물 또는 심지어 수증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밀봉을 위해, 인터페이스 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
유체(들)에 대해 국부적으로 액밀한 인터페이스 요소는 예를 들어, 커버의 내측면의 둘레 상에, 또는 커버의 일측부 상에 있으며, 특히 유체(들)에 대해 액밀한 인터페이스 요소는 리본을 형성한다.
따라서, 조명 글레이징 유닛은 글레이징 유닛이 차체에 의해 보호되지 않을 때라도, 내구성을 갖게 되는데, 이는 간단한 조정식 밀봉 수단으로 인해 유체(들)의 확산용 경로가 제거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및 선택적인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와 관련된 조립 요소는 커플링 공간, 바람직하게는 세척제 또는 고압 제트에 의한 세정에 대한 오염(주형 유형의 먼지, 유기 오염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칩에 대해서 습도에 대한 광원의 보호를 위해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보호는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장기간에 걸쳐 습도에 대한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습포 실험(poultice test)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는 표준 D47 1165-H7은 습윤성 습포 실험(H7)을 형성한다.
이 실험은 피실험 구성요소를 탈이온수에 적셔진 면직물 내에 침지시키고, 전체 조립체를 밀폐식 백으로 둘러싼 후 이를 7일 동안 70±2℃의 오토클레이브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부분들이 제거되고, 적셔진 면직물로부터 세정되며, 2시간 동안 20℃에 배치된다. 시스템 상의 습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구성요소들은 최종적으로 관찰되고, 기계적 또는 기능적으로 실험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의 수년에 걸친 자연적인 열화에 대응한다.
실험은 또한,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압 차-세차 D25 5376: 노즐/차체 거리가 최대 100 mm에서 최대 100 바아의 압력에 대한 저항 실험과 같이, 고압 워터 제트에 의한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분해 및 재-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둘레 상의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는 압축 재료일 수 있으며, 재료 압축에 의한 밀봉은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폐쇄력에 의해 행해지며, 특히,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는,
- 밀봉 립(들)을 구비한 예를 들어, TPE 또는 EPDM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시일, 특히 O-링 시일 - 시일은 특히, 커버의 유극 공간 또는 그루브, 또는 기능성 요소 또는 조립 요소 또는 제2 면 내의 그루브에 존재함 -,
- 중합체로서 선택된 기능성 요소 예를 들어, 특히 EPDM으로 이루어진 밀봉 재료 또는 사전-조립된 시일의 립 또는 립들 상의, 또는 중합체 커버의 내측면 또는 일측부 상의 밀봉 프로파일 부재; 또는 조립 요소 상의 밀봉 프로파일 부재(단일편),
- TPE, 폴리에스테르, 특히, 쌩-고벵 퍼포먼스 플라스틱스(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사에 의해 판매되는 제품 다이나폼(Dynafoam)과 같은 단일-성분 고무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발포체, 특히 아크릴 발포체, PU, 고무(EDPM 등)
중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밀봉 접착제의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유리하게는 습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단일- 또는 다층) 및/또는 실리콘, 에폭시 또는 아크릴 유형의 바니시와 같은 밀봉부로 글레이징 유닛(제조 동안 등)에 통합되기 전에 적어도 광원 지지부(및 심지어 칩)가 설치된다.
이는 글레이징 유닛에 제공되는 수용부로의 통합 준비를 가능하게 한다(캐비티와 외부 환경 사이의 밀봉의 복잡한 관리를 요구하지 않는 통합).
보다 자세하게, 보호층은 누설 밀봉이 아닌 경우, 적어도 인쇄 회로, 솔더 조인트 및 커넥터를 보호한다.
따라서, 실리콘으로 이미 덮여있는(사전-밀봉된) 경우, 다이오드(적어도 방출면)는 바람직하게는 보호되지 않는다.
LED 바아는 이들 바아를 수용부(기능성 요소용 캐비티 등) 내에 통합하기 전에 보호된다. 보호는 보호 바니시 유형(실리콘, 에폭시, 아크릴 등), LED 바아(실리콘, 에폭시, 아크릴 등)의 "포팅(potting)" 또는 밀봉부인 것일 수 있다.
아크릴, PU 또는 실리콘 베이스를 갖는 시네오(Syneo)에 의해 판매되는 열대지방화 바니시가 언급될 수 있다.
보호 바니시 압키미(Abchimie)가 언급될 수 있다. 침착은 잠입, 선택적 침착 또는 증발에 의한다(2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의 층).
보호층으로 인해, 기능성 요소 내 캐비티와 커버의 표면 사이의 완벽한 밀봉이 더 이상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게 되지만, 보완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밀봉 해결책은 또한, 일단 커버가 배치되면, 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위해, 또는 그 밖에 캐비티 내에 갇힌 공기 내 습도로 인한 모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커버는 반드시 (유체에 대해) 누설 밀봉일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다이오드-광원과 주입 에지면 사이에 도달할 수 있는 재료의 임의의 진입을 방지하지만, 습도 및 액상 물에 대한 누설 밀봉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커버는 예를 들어, 와이어의 통로용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와 조립 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커버는 연결 요소의 통로를 위한 블라인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 다이오드의 통합(와이어의 오버몰딩 또는 모듈 내 그루브 또는 채널의 제공 등) 전에 전원용의 (예를 들어, 다이오드의 하나의 바아로부터 다른 바아로의) 전기 접속 요소 및 와이어의 선택적인 통합,
- 통합된 핀에 의해 케이싱의 영역에서 (배터리, 광전지원 등일 수 있는) 주 전원용 커넥터에 대해 와이어를 뽑아내기 위한 설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치수의 리세스 및 광원을 지지하는 커버를 구비한 본 발명은 광의 주입의 영역에 대한 다이오드의 올바른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제3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압축에 의한 밀봉에 관해 간단하게 실시하기 위해, 제1 시트는 유리, 특히 유기 특히 PC로 이루어지고, 주입 에지를 향하는 광원을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렛지, (중첩하는 리세스를 연장시키는) 제2 면으로부터 제1 시트의 두께 내에 블라인드 구멍이 존재한다.
유기 시트, 특히 플라스틱에서, 유리(무기)의 시트에서, 특히 딥-코팅보다 둘레 리세스 및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구멍은 제2 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있으며, 커버는 특히 상기 고정 수단(나사 또는 클립 부착 등에 의해)을 통합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커버(특히, 실질적으로 평면인 대체적인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는 특히 차량 차체의 색상을 갖는 트림일 수 있으며, 또는 글레이징 유닛을 차체에 설치한 후에 차폐되며, 커버는 예를 들어 일 에지를 따르거나 프레임을 형성한다.
커버는 예를 들어, 국부적인 영역에서 C 형상의 조립 요소에 맞닿는 커버를 따라 제1 경사 및 돌출 측방 단부 형성 핀을 갖는 예를 들어 평면 길이방향 베이스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주면에 직교하는) 칩으로부터의 복사선의 피크 주위에 제1 시트의 전달 인자는 50% 이상,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그리고 심지어는 80% 이상이다.
글레이징 유닛은 제1 면 또는 제2 면 중 하나의 면 상의, 또는 상기 면에 걸쳐 연장되는 보호층(시트, 필름, 침착부 등)으로 언급되는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층은 이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 광의 확산(예를 들어, 아크릴 글루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 PU, PE, 실리콘의 가요성 필름),
- 복사선(IR, UV)에 대한 보호: 태양 차폐, 저 방사율 등,
- 스크래치 방지,
- 심미적(착색, 패턴화 등).
제1 시트의 커플링 에지 또는 에지 등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둥근 에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방출된 복사 공간이 공기인 경우에, 적합한 기하학적 구조(둥근 에지, 또는 심지어 경사 등)의 공기/제1 시트 인터페이스에서의 굴절의 이점을 취하여 광선을 제1 시트로 집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는 선택적으로, 경화, 어닐링, 딥-코팅 또는 성형 유형의 사전 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은 단일층이며, 제1 시트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특히 PC, PMMA, PU, 이오노머 수지, 폴리올레핀, 잠재적으로는 이종-재료로 이루어진다.
글레이징 유닛은,
- 두껍거나 얇은 제1 투명 시트, 무기 유리(플로트 유리 등) 또는 유기(PC, PMMA, PU, 이오노머 수지, 폴리올레핀)로부터,
- 소정의 적층 재료로 이루어진 적층 스페이서로부터,
- (불투명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투명, 착색,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태양 차폐 등) 제2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수개의 시트)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적층 스페이서로서, 가요성 형태로 사용된 PU 또는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부티랄(PVB)과 같은 가소제 없는 열가소성 물질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0.2 mm 내지 1.1 mm, 특히 0.38 내지 0.76 mm의 두께를 갖는다.
제1 시트/스페이서/제2 시트로서 특히,
- 무기 유리/스페이서/무기 유리,
- 무기 유리/스페이서/폴리카르보네이트,
- 폴리카르보네이트(두껍거나 그렇지 않거나)/스페이서/무기 유리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유리는 무기 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단일층 또는 적층된 글레이징 유닛의 또는 이중 글레이즈 유닛의 제1 시트의 에지는 다이오드를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절취될 수 있다(딥-코팅에 앞서 리세스로 에지 트리밍).
제1 및/또는 제2 시트는 임의의 형상(직사각형, 정사각형, 라운드, 타원 등)의 것일 수 있으며, 평면이거나 만곡될 수 있다.
제1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소다 라임 유리, 예를 들어, 쌩-고벵 글라스(SAINT GOBAIN GLASS)사로부터의 플라니룩스(PLANILUX)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시트는 착색되고, 예를 들어, 쌩-고벵 글라스사로부터의 비너스(VENUS)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글레이징 유닛은 특히, 제1 시트에 적층 스페이서에 의해 적층되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제2 시트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 제1 시트의 에지면은 광원이 수용되는 두께 내 부차적 관통-리세스를 포함하거나, 제2 시트가 제1 시트의 주입 에지로부터 돌출하여 글레이징 유닛의 측방 렛지를 생성하며,
- 상기 부차적 리세스 또는 상기 측방 렛지는 기능성 요소의 리세스의 적어도 (하부 부분)을 수용한다.
글레이징 유닛은 진공하에서의 다수의 절연 글레이징 유닛, 특히
- 두껍거나 얇은 제1 투명 시트, 무기 유리(플로트 유리 등) 또는 유기 PC, PMMA, PU, 또는 심지어 이오노머 수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 가스(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의 층에 의해 이격된 제2 시트(불투명 또는 투명, 착색,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진: 태양 차폐 등)으로부터,
- 가스(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의 층에 의해 이격되는 선택적인 제3 시트(불투명 또는 투명, 착색,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진: 태양 차폐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이중 또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일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은 진공하의 또는 절연체를 갖는 다수의 글레이징 유닛, 특히 적층 글레이징 유닛, 이중 글레이징 유닛, 또는 본질적으로 측방인 리세스, 본질적으로 측방인 커버 또는 MASTIC을 갖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이며, 제1 시트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의 외부 또는 중심 시트이다.
제1 및/또는 제2 주면을 통해 안내된 광의 추출 수단은 제1의 표면 및/또는 제2 주면 상의 확산 수단 또는 제1 시트 내 벌크 확산의 수단, 및/또는 주입된 광이 UV일 때, 특히, 제1 주면 및/또는 제2 주면 상의 형광물질인 제1 및/또는 제2 주면을 통해 UV광을 가시광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다.
광의 추출을 위해, 샌드블라스팅, 산 부식, 에나멜 또는 확산 페이스트 유형의 침착의 유리 시트의 표면 처리, 또는 레이저 에칭 유형의 유리의 벌크에 있어서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확산의 수단이 사용된다.
확산 층은 입자가 함께 뭉치되록 하는 바인더 및 입자를 포함하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입자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입자의 크기는 50 nm 내지 1 ㎛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바인더는 열에 대한 저항을 위해 무기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확산 층은 바인더로 응집되는 입자로 구성되며, 상기 입자는 0.3 내지 2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상기 바인더는 10 내지 40%의 체적 범위 비율을 가지며, 입자는 치수가 0.5 내지 5 마이크로미터 범위에 있는 골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확산 층은 특히 출원 WO0190787에 개시되어 있다.
입자는 반-투명 입자,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과 같은 무기 입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산화티타늄, 산화세륨, 또는 이들 산화물 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약 10 ㎛의 무기 확산층이 선택된다.
보다 우수한 소형화를 위해, 그리고/또는 깨끗한 유리의 영역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시트로부터의 방출면의 거리는 2 mm 미만일 수 있다. 특히, 보다 작은 다이오드, 예를 들어 렌즈가 없는, 그리고/또는 사전-밀봉부가 없는, 특히 폭이 약 1 mm이고, 길이가 약 2.8 mm이며, 높이가 약 1.5 mm인 칩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글레이징 유닛의 하나의 에지, 또는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에서, 글레이징 유닛의 틀을 형성하는 대향 또는 인접 에지들을 따른 둘레의) 조명 영역 또는 영역들은 내부 환경 조명, 측창에 의한 판독용 내부 조명, 루프 등, 또는 내부 및/또는 외부 조명 신호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조명 영역 또는 영역들은 특히 글레이징 유닛의 틀을 형성하는 스트립 또는 스트립들이 둘레에 존재한다.
(다이오드의 유형 및/또는 위치 및/또는 개수와 함께),
- 특히 차량의 내부에서 가시적인 주변 또는 독서 조명,
- 조명 신호, 특히 외부로부터 가시적인:
- 원격 제어에 의해: 주차장 등에서의 차량의 검출, 도어의 (언)로킹의 표시기, 또는
- 예를 들어, 후방의 정지등으로서의 안전 신호,
- 전체 추출 표면에 걸친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명(하나 이상의 추출 영역, 공통적이거나 개별적인 기능)을 위해, 복사선의 추출/전환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광은,
- 연속적이고/이거나 간헐적이거나,
- 단색성이고/이거나 다색성일 수 있다.
차량의 내부에 대해 가시적인 경우, 임의의 종류의 야간 조명의 또는 도안, 로고, 알파벳 신호 또는 다른 사인 유형 확인 정보의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장식적 패턴으로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조명 스트립 또는 둘레 조명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단일 추출면(바람직하게는, 차량 내부)이 실현될 수 있다.
이들 글레이징 유닛으로의 다이오드의 삽입은 다음과 같은 다른 신호 기능성을 허용한다.
- 차량의 운전자를 위해, 또는 승객을 위해 의도된 조명 신호 표시기의 디스플레이(예: 자동차 윈드실드의 엔진 온도 경보 표시기, 창문용 전기 방빙 시스템 활성 표시기 등),
- 차량의 외부에 있는 사람에 대한 조명 신호 표시기의 디스플레이(예: 측면 윈도우 내 차량 경보의 활성화에 대한 표시기),
- 차량의 글레이징 유닛 상의 조명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비상 차량 상의 발광 디스플레이, 차량이 위험한 상황이 있음을 알려주는 저전기 소비 안전 디스플레이).
글레이징 유닛은 특히 다이오드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 특히 적외선을 수용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은 임의의 차량에,
- 특히 전기 윈도우의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인 기능성 요소를 갖거나, 커버 트림을 갖는 지상 차량, 자동차, 유틸리티 차량, 트럭, 기차의 측면 윈도우,
- 특히 만곡될 수 있는 제1 시트, 특히 적층식 글레이징 유닛을 갖는 지상 차량, 특히 자동차, 유틸리티 차량, 트럭, 기차의 이동 또는 고정 루프,
- 에나멜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둘레의 (예를 들어, "HUD"를 형성하는) 조명 영역 또는 영역들, 특히 에나멜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둘레의 후방 윈드실드를 갖는 지상 차량, 특히 자동차, 유틸리티 차량, 트럭, 기차의 윈드실드,
- 항공기의 윈도우 또는 윈드실드,
- 수상 차량, 보트, 잠수함의 윈도우 또는 루프 글레이징 유닛,
- 기차 또는 버스 내 이중 또는 삼중 글레이징 유닛을 장비하도록 설계된다.
자연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앞서 규정된 글레이징 유닛을 통합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1 제조 방법을 목표로 한다.
밀봉 후 광원, 특히 다이오드의 설치를 위한 해결법에는 전술한 이점(불합격 처리의 제한, 보다 용이한 접근 가능성 및/또는 추가)들이 제공된다.
상기 설계에 따르면, 조립 요소는 글레이징 유닛 상에 자립하며, 오버몰딩 공정 동안 주형이 핀으로 그 위에 놓이게 되거나, 핫멜트 유형(PU 또는 PA)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 제1 시트 및 선택적인 제2 시트를 공급한 후, 제1 시트 및/또는 제2 시트 상에 조립 요소를 배치하고 접착 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커버를 광원 지지부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광원 지지부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 제1 시트 및 선택적인 제2 시트를 공급한 후, 주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 시일을 포함하는 커버와 함께, (예를 들어, 돌출하는) 제1 시트 및/또는 제2 시트 상의 조립 요소를 주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 커버로 주형을 폐쇄하고, 시일을 압박하고, 중합체 밀봉 재료(가요적),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재료의 주입에 의해 오버몰딩하는 단계,
- 주형으로부터 글레이징 유닛을 제거하고, 주입 에지면을 향하는 영역으로부터 시일을 제거하여 광원에 대한 수용부를 남겨두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커버와 광원 지지부를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광원 지지부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및 지지부 상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차량 글레이징에 대한 업계의 방법과 상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상세 및 특징은 이하의 도면에 의해 예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유닛의 예를 읽을 때 명백할 것이다.
· 도 1 내지 도 19는 이하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1b, 도 4b, 도 6b, 도 10b, 도 16b, 도 17b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 도 1d 및 도 1e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개략적인 저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 도 1f 및 도 1g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덮여 있는 조립 요소의 각각의 개략적인 저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 도 1h는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를 도시한다.
명료화를 위해, 도시된 객체의 다양한 요소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재생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00)은,
- 제1 주면(11), 제2 주면(12) 및 에지면(10)을 갖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제1 투명 시트(1), 예를 들어 2.1 mm의 두께를 갖는 규소-소다-라임 유리의 시트,
- 잠재적으로 태양 차폐 기능을 위한 것으로, 착색(예를 들어, 쌩-고벵사로부터의 비너스 VG10 유리)되고/되거나 2.1 mm 두께의 태양 차폐 코팅에 의해 덮이며, 주면(13) 및 자유 주면(14)을 갖는 제2 유리 시트(1')를 포함하는 적층식 글레이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유리 시트(1')는 두께 0.76 mm의 적층 스페이서(8), 예를 들어 PVB에 의해 적층된다.
발광 다이오드(2)용 지지부로서의 프로파일 부재(3)는 둘레, 예를 들어 제1 시트(1)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지지부는 두께가 0.6 mm(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 폭이 7 mm 그리고 길이가 20 cm인 얇은 모노리식 프로파일 부재(3)이다. 이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종래의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1 시트(1) 내에서 안내되는 가시광선 중 하나 이상의 유형의 복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방출 칩(2)을 포함한다. 다이오드는 감소된 크기의 것으로서, 전형적으로는 수 mm 미만, 특히 대략 2x2x1 mm이며, 광학기기(렌즈)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으며, 가능한 많은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전 밀봉되지 않거나, 보호를 위해 (실리콘에 의해) 밀봉된다.
예시된 구성에서, 칩의 방출면(21)은 상부면(프로파일 부재(3)에 법선 방향)이다. 주입 에지면과 방출면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많이 감소되고, 예를 들어 5 mm, 또는 심지어 0.2 내지 2 mm이다. 예를 들어, 주 방출 방향은 다수의 양자샘을 갖는 활성층을 사용하여, AlInGaP 기술 또는 다른 반도체를 사용하는 반도체 칩의 면에 직교한다. 광원뿔은 ±60°인 람베르 유형의 뿔이다.
광의 추출(12')은 특히 루프 유닛의 경우에, 차량에 대해 예를 들어, 하부면인 제2 면(12)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UV LED는 예를 들어, 면(12) 상의 형광물질을 여기하기 위해 특히, UVA에서 선택된다.
추출(12')은 제2 면(12)의 표면 상의 임의의 확산 수단: 샌드-블라스팅, 산 에칭, 확산층,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행해지며, 일 변형예로서, 제1 시트(1) 내에서의 레이저 에칭에 의해 행해진다.
소정의 다이오드 군에 대해, 방출된 복사 공간은 접착제 없이, 제1 시트의 에지면과 각각의 방출면(칩) 사이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기체상 매체, 전형적으로는 공기인 광학적 커플링 공간으로 언급된다.
각각의 칩 및 방출된 복사 공간은 임의의 오염물질: 물,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이는 글레이징 유닛(100)의 제조 동안과 같은 장기간의 보호이어야 한다.
그러나, 공지된 방식에서, 글레이징 유닛에,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주위,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유닛(여기서는 적층식) 및 적어도 제2 면(1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예를 들어, 두께가 약 2.5 mm인 중합체 오버몰딩(7)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플러시 유형, 특히 루프 유닛의 밀봉을 위해, 제2 유리(1')의 면(14)을 자유롭게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봉부(7)는 이중-면(bi-face)으로 언급된다.
광원을 차폐하기 위해, 또는 심지어 시트(1')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미광(stray light)을 제거하기 위해, 주변의 차폐 요소(15), 예를 들어 불투명(검은색 등) 에나멜 면(13)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주변 차폐 요소(15)는 또한, 차체에의 부착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변형으로서, 밀봉부(7)가 삼중-면으로 언급되며, 차폐 요소(15)는 잠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오버몰딩(7)은 통상적으로 매력적인 미적 마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하거나 다른 요소 또는 기능(보강 인서트 등)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오버몰딩(7)은 예를 들어, 글레이징 유닛과 차량 사이에 밀봉 립을 구비한다(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1c 참조).
오버몰딩(7)은 검은색 폴리우레탄으로, 특히 PU-RIM(반응 사출 성형)으로 가요적으로 제조된다.
오버몰딩(7)은 다이오드 바아(지지 프로파일 부재(3) 상의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리세스(70)를 구비한다.
오버몰딩(7)은 다이오드를 보호하며, 이로써 원래의 기능성을 보존함과 동시에, 유체(들)(액상 물, 세척제, 또는 심지어 수증기 등)에 대해 장기간 밀봉한다.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면에 대한 오버몰딩의 폭을 가능한 멀리, 예를 들어 10 mm 미만의 폭으로 제한하기 위해, 제1 시트(1)는 또한, 에지 리세스로 언급되는 주변 리세스를 가지며, 주변 리세스는 주변에 주입 에지면(10)을 형성하며, 도시되지 않은 절결되지 않은 에지면으로부터 세트 백되고, 리세스 내 위치 설정을 위해 긴 영역을 갖도록, 작은 반경의 절결부를 갖는다. 이러한 에지 리세스는 오버몰딩(70)의 리세스의 하부를 수용한다.
글레이징 유닛은 제2 면(12)의 에지를 따라 다이오드 바아(3)를 덮고 주입 에지면(10)에 안착되는 커버(4)를 추가로 포함하며, 커버는 제1 시트를 향해 배향되는 내측면으로 언급되는 전평면(40)을 가지며, 상기 면은 그립 연결부를 형성하는 수단(45)에 의해 다이오드 지지부(3)를 지지한다.
커버(4)는 대체적으로 평면 형상, 그리고 도 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윤곽(그 에지가 잠재적으로 라운드 형임)의 길이방향 베이스를 갖는 강성 플라스틱 부분이다. 커버는 베이스가 적층식 글레이징 유닛의 주면을 향(그리고 이에 평행)하기 때문에, 표면으로서 언급된다.
커버(4)는 다이오드를 삽입하거나 이를 변경하기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시스템은 회전-가역 부착에 의해 다이오드를 조립하기 위해 제공되며,
- 리세스(70)를 경계짓는 중합체 밀봉부(7)에 의해 둘러싸이고 리세스(70) 내 주입 에지면(10)의 영역 내로 연장되는 제1 시트(1)와 관련된, 바람직하게는 커버(4)와 동일한 (유형의) 재료인 강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폐쇄 윤곽을 갖는 모노리식 구성요소인 주변 조립 요소(6)를 포함하고,
- 상기 커버(4)는 제1 측방 단부 및 다른 부분을 구비한다.
(도면의 좌측 상의) 제1 측방 단부는 안내 부분(61)으로 언급되는 기능성 요소(6)의 제1 부분에 대해 (조립 동안) 안착되는 부분적으로 경사진(beveled) 에지면(41)을 포함한다. 제1 측방 단부는 주입 에지면(10)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글레이징 유닛에 대해 회전(R) 이동 설치되며, 제1 측방 단부는 도 1f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63)에서 C자 형상의 조립 요소에 (평면으로) 맞닿는 커버를 따라 경사 및 돌출 형성 핀(41)이며, 다른 영역에서는 조립 요소(6)에 대한 (평면) 접촉을 이루는 커버(4)의 (좌측) 에지면이다.
베이스의 대향 단부에서, (도면의 우측 상의) 측방 단부(42)는 조립 요소(62)에 맞닿는다.
(Y방향으로 유리를 향해 배향되는) 내측면(4)에 대해 법선 방향의 커버(4)의 부분(44)은 조립 요소(6)의 수직 벽(64) 내의 복귀-방지 단부 정지부 상에 클리핑되는 회전에 대한 지지 영역에 대해 오프셋된 커버를 따라, 클립-부착 스퍼(64) 형태로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지지한다.
클립-부착 또는 회전 영역은 다이오드 지지부(3)를 어쩌면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다이오드 지지부는 (리세스를 향하는) 커버의 길이 대부분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이오드 지지부(3)는 리세스(70)의 (사실상)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립 요소(6)는 또한, 조립 요소의 윤곽에 근접한 측방 부분에 더해, 클립-부착 부분(64) 및 안내 부분(61)을 통합하는 보강재(66)(도 1f, 도 1g 참조)를 형성하는 주입 에지면(10)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다이오드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포함한다.
조립 요소(6)는 주위 전체에 오버몰딩 재료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핀 전체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오리피스(예를 들어, 구멍)를 갖는 측방 핀 유형의 밀봉부 내 기계적 정착부(65)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조립 요소와 오버몰딩 사이에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보장한다.
글레이징 유닛은 일시적 고정 수단(67)에 의해 서로 정렬 및 로킹되는 모노리식 요소 형태의 복수의 조립 요소(및 관련 다이오드를 갖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식 위치 설정을 갖는 이 로크-핏은 2개의 LED 사이, 심지어 하나의 모듈로부터 다른 모듈까지(이에 따라 하나의 조립 요소로부터 다른 조립 요소까지) 동일한 간격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커버(4) 및 조립 요소(6)의 설계는 다이오드 바아(3)의 통합을 허용하고, 또한 다이오드의 집약을 허용하며, 다시 말해 주입 에지면(10)에 대해 상기 바아(3)의 올바른 위치 설정을 허용한다.
또한, 커버는 잠재적으로 연결 요소의 통로를 위한 블라인드 리세스 또는 관통 리세스(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O-링 시일 등)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요소가 폭이 5 mm인 밴드 형태의 EPDM으로 제조되는 O-링인 유체(들)에 대한 인터페이스 누설 밀봉을 형성하는 인터페이스 요소(5)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커버의 유극 공간(4')에 커버의 내측면(40) 상에 존재한다.
인터페이스 밀봉 요소(5)는 압축 재료이며, 재료의 압축에 의한 밀봉은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폐쇄력에 의해 달성된다.
백색광 또는 유색광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는 주변 조명, 독서등 등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에지 상의 및/또는 상이한 기능(전력, 방출 광, 추출 영역의 범위 및 위치의 적절한 선택)을 갖는 몇몇 바아도 물론 제공될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100)은 예를 들어, 지상 차량 또는 일 변형예로서 보트 등에 대한 고정식 파노라마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는 외측으로부터 접착제(91)를 통해 차체(90) 상에 설치된다. 추출, 예를 들어 확산 층(12')은 주변 조명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요소(7)는 밀봉 립을 구비한다.
이러한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는,
- 적층식 글레이징 유닛의 주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 시일(5a)을 포함하는 커버(4a)를 갖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상에서 조립 요소(6)의 주형(M) 내로 배치하는 단계,
- 커버 위로 주형(M)을 폐쇄, 시일(5a)을 압축, 가요성 중합체 밀봉 재료,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물질의 주입에 의해 오버몰딩하는 단계,
- 주형으로부터 글레이징 유닛의 제거 및 주입 에지면을 향하는 영역으로부터 시일의 제거에 의해 광원에 대해 수용부를 마련하는 단계,
-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커버를 광원 지지부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에 조립하거나, 변형예로서,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 가역 부착에 의해, 광원 지지부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및 지지부 상에 조립하는 단계
을 포함한다.
도 1i는 커버 상의 다이오드 지지부의 설치를 위한 다른 구성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다이오드 지지부에는 커버(45a) 및 헤더(45b)의 핀에 의한 배치를 위한 오리피스(31)가 장착된다.
다이오드 지지부(3)(다이오드의 외측)에는 열대지방형 바니시(5')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2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글레이징 유닛(200)은,
- 커버 상의 다이오드 지지부가 커버와 맞닿고(45') 접착제 또는 스크래치 또는 자립식 스트립(48a)에 의해 수직 벽(45)에 고정되며,
- 클립 부착부가 리세스(7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조립 요소(6)의 (수평방향) 전용 영역 내 스크래치 또는 자립식 스트립(48)에 의해 제 위치 유지부로 대체되고,
- 오버몰딩(7)이 예를 들어, 삼중-면인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100)과는 상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3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00)과 상이한 점들만 설명한다.
다이오드(67')에 대한 정렬 단부 정지부가 수용부의 바닥에, 조립 요소(6)의 바닥에 의해 단부 정지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적인 다이오드 지지부용 안내 슬로프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단부 정지부에 대한 보충부(또는 교체부)로서, 금속 시트(68')는 미광 차폐부를 형성하는 조립 요소(6) 상에 사전-결합되어 있다.
또한, 조립 요소(6)는 글루(91)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에 결합되며, 이를 둘러싸는 오버몰딩은 없다.
일 변형예로서, 조립 요소는 금속이다(커버도 금속일 수 있음).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4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400)은,
- 조립 요소(6) 내 상보적 형상을 갖는 캐비티(61) 및 커버(4)의 단부 상의 볼 및 소켓 유형의 시스템(41)에 의해 회전이 수행되고,
- 유지 클립 부착부(64)가 리세스(70) 외부에 있으며,
- 로드(45)가 스퍼(45c) 내 지지부(3)의 단부를 지지하고,
- 대형 유리(1')의 내측면의 에지 상에 수용부(70)의 바닥에서 조립 요소(6)의 부분(68)이 미광 차폐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100)과는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5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500)은,
- 커버(4)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베이스의 내측면(40)으로부터 돌출하고 커버(4)를 통과하는 나사(44')이며, 이들 나사는 조립 요소(6) 내 국부적 카운터-보어, 즉 나사식 구멍(64')에 수용되고,
- 다이오드(2)가 측방 방출 유형의 것이며, 대면(21)은 지지부에 대해 측방(지지부(3)에 대해 법선 방향)에 있으며,
- 커버(4)는 (접착제 없이) 조립 요소(6)의 측방 단부 정지부(6a, 6b)를 통해 지지부의 에지면의 에지(31, 32)에 의해 위치되는 다이오드 지지부(3)를 지지하지 않으며, 지지부는 일측부가 조립 요소(6) 상에, 타측부가 제1 유리 시트(1)의 (자유) 주면 상에 있는 상태로 글레이징 유닛(1)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 스프링 시스템(46)이 이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지지부(3)의 후방에 가압되며,
-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의 밀봉이 바니시(또는 포팅)에 의해 제공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100)과는 상이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6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b는 사시도이다.
글레이징 유닛(600)은,
- 조립 요소(6)가 루프 장착 인서트이고,
- 회전이 반구형 스터드의 시스템(61)에 의해 이루어지며,
- 대형 유리(1')의 면 상의 밀봉부가 미광 차폐체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400)과는 상이하다.
주입 에지면에 대해 주형 내 글레이징 유닛의 기준설정(referencing)은 인서트(6)의 위치 설정을 보장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7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이의 측면도이다.
글레이징 유닛(100)에 대한 글레이징 유닛(700)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 회전은 커버(4)의 일단부에서 조립 요소 내 일련의 구형부(61)와 상보적 형상부(41)에 의해 이루어지고,
- 커버는 측방이고 표면이 아니며,
- 다이오드(2)는 측방 방출을 이용하고, 지지부(3)는 커버의 단부 정지부(41')에 대한 일단부(31')를 구비하고, 접착제(9) 또는 스크래치 또는 자립식 스트립에 의해 커버 상에 유지되고,
- 클립 부착부(64)는 볼 및 소켓(61)의 평면에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8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700)에 대해, 클립 부착부(64)는 볼 및 소켓(61)의 평면에 대해 법선 방향을 이룬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9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글레이징 유닛(900)은 다이오드 없이(또한 잠재적으로는 지지부도 없이) 영역(10a) 내 주입 에지면에 대해 가압되고 주입 에지면(10)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47)에 의해 유리의 주입 에지면에 대해 커버(4)가 위치 설정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800)과는 상이하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0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000)은,
- 오버몰딩의 부재,
- 글레이징 유닛 상에의 조립 요소의 접착 결합(9),
- 클립 부착에 의해 연장되지 않는 커버의 지지 단부 정지부(31'),
- 카울링이 단부에 형성(도 10b 참조)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800)과는 상이하다.
도 11a는 다이오드를 갖는 영역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1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b는 다이오드 지지부(보강재(66) 구비)가 없는 영역을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100)은 조립 요소가 접착제(91)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제2 시트의 에지 섹션 및 제1 시트(1)의 주면) 상에 부착되고, 중합체 재료(7)에 의해 국부적으로 (클립-부착 및 회전 영역의 외측에) 둘러싸이는 금속 중앙 섹션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800)과 상이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2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200)은,
- 커버(4)가 밀봉부(7) 내 스크래치 또는 자립식 스트립(48)에 의해 유지되고,
- 다이오드 지지부(3)가 조립 요소(6)의 측방 레그(66')에 의해 유지되며, 위치 설정이 조립 요소의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부(6b)에 의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500)과는 상이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3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300)은 커버의 리세스 외부에 이중 클립 부착부, 조립 요소(6) 상의 클립 부착부, 및 스프링 대신 가요성 탭(46)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500)과는 상이하다. 조립 요소(6)의 하나의 벽(68)은 리세스(70)의 바닥 상의 미광 차폐부를 형성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4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제1 투명 시트(1)는 투명(부분 1) 및 불투명(부분 6) 둘 모두의 이종-재료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유기 유리로 이루어진다.
둘레(6) 상의 불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지지부(3)의 위치 설정을 위한 단부 정지부(6a, 6b)를 갖는 조립 요소를 형성한다.
주입 에지면(10)은 시트(1)(보다 정확하게는 부분 6) 내 리세스(70)에 기인하며, 글레이징 유닛의 에지 섹션(14)과는 상이하다.
조립체는 회전 및 클립 부착에 의해, 리세스(70) 외부에 잔류하고, 클립 부착부는 검은색 폴리카르보네이트(6)의 캐비티 내에 있으며, 볼 및 소켓(61)용 수용부는 검은색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캐비티 내에 있다.
커버(4)는 커버를 유지하도록 다이오드 지지부(3)에 대해 안착되는 단부(46)를 구비한다. 중합체 밀봉부(7)는 선택적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모노리식 글레이징 유닛(15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500)은 검은색 폴리카르보네이트(6) 상에 2개의 후크에 의한 유지(4, 44')에 있어서 상기 후크 중 하나(64)는 주면(12)을 향하여 가압되고, 다른 하나(64')는 주입 에지면(10)을 향하여 가압되며, 커버는 복귀부를 갖는 대체로 평면인 형상, 즉 "L자"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1400)과는 상이하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6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6b는 평면도이다.
커버(4)는 직교 좌표계의 3개의 축에 따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위치 설정 요소에 의해 위치되는 광원 지지부(3)를 보유한다.
조립 요소(6)에 대해 직교 좌표계의 2개의 방향으로 커버(4)의 안내 및 위치 설정은 (만곡될 수 있는) 활주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제 위치에 커버(4)를 유지하는 것은 직교 좌표계의 제3 방향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방출면(21)과 주입 에지면(10) 사이의 위치 설정을 보장한다.
다이오드 지지부(3)를 지지하는 "서랍(drawer)" 커버(4)의 (도면의 좌측 상의) 단부(81)는,
- 단부가 이동의 끝에서 최종 위치를 찾도록, 조립 요소(6) 내로의 서랍(4)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지고,
- 최종 위치를 규정하도록 기계적 단부-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유리 광 가이드(1)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방 유극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부(81)를 추종하는 평면 부분(82)은 다이오드 지지부(3)를 수용한다.
위치 설정은 평면 부분의 우측 상에서 정지부(83)에 의해, 그리고 평면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LED 지지부(3)는 상부 립(83')에 의해 그리핑된다(구성요소의 미미한 변형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억지 끼워맞춤" 조립).
클립(64)은 하부 부분 상에 위치되고 서랍(4)을 따라 분포된다. 클립(64)은 상기 클립이 LED 지지부와의 충돌없이 부착될 때, 클립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평면 부분(82)에 대해 하방으로 오프셋된다.
(구속된 상태로 도시된: 변형된) 시일(5)이 이중-주입에 의해 서랍 또는 조립 요소에 끼워지거나 형성된다.
조립 요소의 상부 부분(68)은 미광 커버로서 사용된다. 소형 유리(1) 아래에 돌출부는 주입(주형 내 핀 또는 접착 결합 또는 시일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동안 PU(7)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입 에지면에 대해 기준설정하기 위한 LED의 외측에 있는 섹션에 조립 요소(6)에 존재하는 보강재/단부-정지부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6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7b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700)은 평면 부분(82)의 측방 부분에서 클립(64)에 의한다는 점이 글레이징 유닛(1600)과는 상이하다. 서랍(4) 및 조립 요소(6)의 하부 부분의 형상/카운터-형상으로서의 그루브에 의해 안내된다.
모듈의 설치는 모듈 아래의 수평 평면 부분 및 (국부적일 수 있고 연속적일 수 있는) LED 지지부의 좌측 상의 수직 돌출부(83)에 의해 LED 지지부(3)의 우측 상의 수직 평면 부분에 의해 실행된다.
지지부(3)는 스크래치 또는 자립식 스트립/양면 접착제/헤딩에 의해 (서랍(4)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8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글레이징 유닛(1800)은 평면 부분(82)의 단부-정지부(83)에 대한 LED 지지부의 위치 설정이 소형 유리(1) 아래를 지난다는 점에서 글레이징 유닛(1700)과는 상이하다: 이는 감소된 체적 및 설치 위치에서의 소형 유리(1)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유지의 이점을 제공한다. 소형 유리에 대한 보강재/단부-정지부가 (예를 들어, 상부 부분에서) 선호된다.
LED 지지부(3)의 수직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소형 유리가 조립 동안 LED 지지부 상에서 벤딩되는 상방 수직 돌출부(일종의 재료 변형에 의한 힌지)에 대응하는 경사 부분에서 서랍에 얇고, 따라서 가요성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1900)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측면-방출 대신) 상부-방출 LED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다이오드 지지부(3)는 수직(주입 에지면(10)에 평행)이다. 이러한 경우에, 다이오드 지지부에 대한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소형 수평 부분(83) 및 수직 평면 부분(82)이 존재하며, 수직 탭(83')은 국부적 구속부/변형부에 의해 지지부를 유지한다.
클립 부착은 조립 요소(6) 내에 구속되며, 이러한 사실은 서랍(4)의 설계를 간소화한다. 글레이징 유닛(1600)에 대한 안내는 단면의 외측에서 측방 그루브에 의한다.

Claims (22)

  1. - 제1 주면, 제2 주면 및 에지면을 갖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진 제1 시트,
    - 광원 지지부로 언급되는 지지 프로파일 부재를 구비한 주변 광원 - 광원은, 측방부가 방출 영역을 형성하는 자립식 광섬유와 각각 방출면을 구비한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선택되고, 다이오드용 지지 프로파일 부재는 인쇄 회로 기판 유형이고, 방출 영역 또는 방출면은 제1 시트의 두께 내에서 주입된 가시광, UV로 언급되는 자외선, 또는 둘 모두의 전파를 위해 제1 시트의 주입면으로 언급되는 에지면을 향하고, 그 후 제1 시트는 주입된 광에 대한 가이드로서 역할함 -,
    - 안내된 광을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 광원 지지부는, 재료에 의해 둘러싸이고 커버에 의해 덮이는 수용부 내에 있고,
    - 커버 및 광원 지지부는 글레이징 유닛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의 거리는 직교 좌표계의 3방향(XYZ)으로, 광원 지지부에 대한 위치 설정 수단, 및 차단 수단으로 언급되는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치 설정 수단 및 차단 수단은 주입 에지면에 대해 위치되는 조립 요소를 포함하는, 제1 시트와 관련된 광원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조립 요소는,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되거나, 글레이징 유닛의 둘레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서 중합체 밀봉부에 의해 둘러싸이며 오리피스를 갖는 핀 유형의 밀봉부 내 기계적 정착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둘 모두이며,
    광원 지지부는 조립 요소 내에 있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은, 조립 요소 상의 광원 지지부에 대한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조립 요소 상의 제 위치에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 요소 상의 제 위치에 광원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광원 지지부는 커버와는 독립적으로 조립 요소에 위치되고, 커버는 광원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 요소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를 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 요소의 변형 없이 접점을 통해 커버가 광원 지지부를 보유하기 위한 조립 요소의 단부 정지부인, 평면 또는 선형 베어링, 단일점 베어링, 볼-조인트, 또는 피벗을 포함하는 기계적 수단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조립 요소의 전체적인 변형 없이 접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가역적이거나, 커버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지지부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가역적이거나, 또는 둘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커버용 위치 설정 수단과는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요소는,
    -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고, 모노리식 환형 요소이거나,
    - 또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둘 모두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별개 부분의 구성요소이거나,
    - 또는, 광원의 수용을 위한 국부적 리세스를 갖는,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 지지부는 위치 설정 수단에 의해 조립 요소에 위치되고, 커버는, 커버의 설치 위치에서 광원을 조립 요소 내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의 설치는 회전 및 가역적 부착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커버는 직교 좌표계의 3개의 축을 따라 제 위치에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한 요소의 수단에 의해 위치되는 광원 지지부를 보유하고,
    - 조립 요소에 대한 커버의 직교 좌표계의 2개의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는 활주식 연결에 의해 행해지며,
    - 커버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은 직교 좌표계의 제3 방향을 차단하여,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과 주입 에지면 사이에서의 배치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요소는 비-방출 영역에, 주입 에지면을 기준설정(referencing)하기 위해, 또는 보강재를 형성하기 위해, 또는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주입 에지면을 향하거나 접촉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는 표면을 이루는(facial)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는 조립 요소 내에 배치 및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요소는 접착 결합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는 제1 주면을 따라 방출면 또는 방출 영역을 지나 배열되는 금속 시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조립 요소의 일부가 수용부의 바닥에서 미광 실드(stray light shiel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이 적층될 때, 금속 시트는 적층 스페이서의 세트 백 영역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요소는,
    - 글레이징 유닛을 차량 상에 고정하거나, 추가적인 요소를 글레이징 유닛 상에 고정하기 위해 글레이징 유닛에 트림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인서트,
    - 국부적으로 공동화(hollowed out)되는 미리-조립된 시일의 금속 중앙 섹션
    중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유닛은 단일-층 유닛이고, 제1 시트는 무기 또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2 시트는 적층 스페이서에 의해 제1 시트에 적층되는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
  20.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이며,
    - 제1 시트 및 선택적인 제2 시트를 공급한 후, 제1 시트, 제2 시트, 또는 둘 모두 상에 조립 요소를 배치하고 접착 결합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 커버를 광원 지지부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거나, 또는 광원 지지부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용 조명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 방법이며,
    - 제1 시트 및 선택적인 제2 시트를 공급한 후, 주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 시일을 포함하는 커버와 함께, 제1 시트, 제2 시트, 또는 둘 모두 상의 조립 요소를 주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
    - 커버로 주형을 폐쇄하고, 시일을 압박하고, 중합체 밀봉 재료의 주입에 의해 오버몰딩하는 단계,
    - 주형으로부터 글레이징 유닛을 제거하고, 주입 에지면을 향하는 영역으로부터 시일을 제거하여 광원에 대한 수용부를 남겨두는 단계,
    - 커버와 광원 지지부를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하거나, 또는 광원 지지부를 조립 요소 상에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 요소 및 지지부 상에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삭제
KR1020147004808A 2011-07-29 2012-07-30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KR101973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7011 2011-07-29
FR1157011A FR2978379B1 (fr) 2011-07-29 2011-07-29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fabrication
PCT/FR2012/051792 WO2013017790A1 (fr) 2011-07-29 2012-07-30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075A KR20140050075A (ko) 2014-04-28
KR101973219B1 true KR101973219B1 (ko) 2019-04-26

Family

ID=4678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08A KR101973219B1 (ko) 2011-07-29 2012-07-30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397075B2 (ko)
EP (1) EP2736767A1 (ko)
JP (1) JP2014529541A (ko)
KR (1) KR101973219B1 (ko)
CN (1) CN103842210B (ko)
BR (1) BR112014002267A2 (ko)
CA (1) CA2843411A1 (ko)
EA (1) EA027798B1 (ko)
FR (1) FR2978379B1 (ko)
MX (1) MX356962B (ko)
WO (1) WO2013017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9041B1 (fr) 2012-04-10 2014-12-05 Saint Gobain Vitrage eclairant pour vehicule
JP6114091B2 (ja) * 2013-04-02 2017-04-1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乗物用照明装置
US20150375673A1 (en) * 2014-06-25 2015-12-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glass panels with integrated lighting components
FR3026691A1 (fr) * 2014-10-02 2016-04-08 Valeo Vision Systeme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102015000071B4 (de) * 2015-01-12 2020-10-08 Webasto SE Deckel eines Fahrzeugdaches mit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FR3034500A1 (fr) 2015-04-03 2016-10-07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avec un tel vitrage
BR102015016171A8 (pt) * 2015-07-03 2018-02-27 Pilkington Brasil Ltda dispositivo de luz de freio e seu arranjo de montagem no vidro da janela traseira de um veículo
FR3039475B1 (fr) * 2015-07-31 2019-05-10 Valeo Vision Belgique Systeme reglable d'interface de montage d'un feu de signalisation arriere additionnel sur un vehicule automobile
CN108025624B (zh) 2015-09-07 2021-04-27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车辆的后挡板的塑料装配玻璃
WO2017042699A1 (en) 2015-09-07 2017-03-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olding of plastic glazing of tailgates
CN108025625B (zh) 2015-09-07 2021-06-29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背门的塑料玻璃表面
EP3347183B1 (en) 2015-09-07 2020-12-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lastic glazing for a tailgate of a vehicle having a light assembly
KR102140566B1 (ko) 2015-11-23 2020-08-04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플라스틱 글레이징을 갖는 윈도우를 위한 라이팅 시스템
KR101917220B1 (ko) * 2015-12-29 2018-11-12 레이비전스마트라이팅(주) 광확산용 패널을 이용한 발광유리
US10150352B2 (en) * 2016-02-11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window assemblies having light-diffusing elements
DE102016001629A1 (de) 2016-02-15 2017-08-17 Webasto SE Deckel eines Fahrzeugdaches
FR3049494B1 (fr) 2016-03-31 2021-02-12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comprenant une diode electroluminescente
DE102016222324A1 (de) 2016-11-14 2018-05-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Dachelement mit integrierter Beleuchtung
JP6973413B2 (ja) * 2016-12-26 2021-11-24 Agc株式会社 シール部材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US10173582B2 (en) * 2017-01-26 2019-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system
FR3063254B1 (fr) * 2017-02-27 2019-03-22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ncapsulation
US10195985B2 (en) * 2017-03-08 2019-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system
FR3066160B1 (fr) * 2017-05-11 2020-11-06 Saint Gobain Vitra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embase de fixation d'accessoires a piece metallique et embase de fixation d'accessoires.
US10974645B2 (en) * 2017-06-02 2021-04-13 Webasto SE Vehicle pane with a covered lighting device
US10272832B2 (en) * 2017-06-29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ing pipe integrated within sunroof trim ring
EP3461668A1 (fr) * 2017-09-28 2019-04-03 AGC Glass Europe Fixation d'un enjoliveur sur joint de vitrage
DE202017107507U1 (de) * 2017-12-11 2019-03-1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ffen-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DE102018208804A1 (de) * 2018-06-05 2019-12-05 Audi Ag Fahrzeug mit umgreifender Frontscheibe und elektrischer Komponente zwischen Vordersäule und Frontscheibe
TWI810332B (zh) * 2018-07-13 2023-08-01 穎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具曲面之可透光塑膠板結構
FR3084355B1 (fr) 2018-07-27 2023-05-19 Saint Gobain Substrat emaille, dispositif vitre lumineux automobile avec un tel substrat et sa fabrication.
CN109060311B (zh) * 2018-08-02 2024-04-12 江苏泽景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hud杂散光测试设备
CN111322528A (zh) * 2018-12-13 2020-06-23 朗德万斯公司 具有改进外壳的照明装置
CN110356319A (zh) * 2019-08-09 2019-10-22 江苏铁锚玻璃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影遮挡结构及灯影遮挡层的制作方法
DE102019212088B4 (de) * 2019-08-13 2021-09-09 Bos Gmbh & Co. Kg Glasdach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e solche Glasdachanordnung
CN110549831A (zh) * 2019-08-22 2019-12-10 江苏德福来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固定玻璃导轨一体机构
CN112677575B (zh) * 2019-10-18 2023-03-10 颖华科技股份有限公司 导光天窗总成
EP3932664A1 (en) 2020-06-30 2022-01-05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 plate and transparent illumin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FR3122372B1 (fr) * 2021-04-30 2023-07-21 Saint Gobain Ensemble pour vehicule comprenant un module a diode electroluminescente, plaque-support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ensemble
CN113581066B (zh) * 2021-06-02 2023-05-16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组件及车辆
FR3132521A1 (fr) 2022-02-08 2023-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Substrat émaillé illuminable et sa fabrication
FR3132520A1 (fr) 2022-02-08 2023-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Substrat émaillé illuminable et sa fabrication
CN114435240B (zh) * 2022-02-15 2024-04-16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组件及车辆
FR3135011A1 (fr) 2022-04-29 2023-11-03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avec un tel vitrage lumineux et sa fabrication
FR3141380A1 (fr) 2022-10-26 2024-05-03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illuminable de vehicule et vehicule avec un tel vitrage
FR3141379A1 (fr) 2022-10-26 2024-05-03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illuminable de vehicule et vehicule avec un tel vitrage
FR3142564A1 (fr) * 2022-11-24 2024-05-31 Luxor Lighting Ensemble d’un boîtier pour le couplage d’un guide de lumiè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7576A1 (en) * 2000-05-12 2002-01-24 Giorgio Gai Luminous diffused light panel with low energy consumption and limited thickness
JP2004271734A (ja) * 2003-03-06 2004-09-30 Sankyo Alum Ind Co Ltd グレイジングチャンネル
JP2007108438A (ja) * 2005-10-13 2007-04-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JP2010049638A (ja) * 2008-08-25 2010-03-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抽出装置、抽出システム、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049639A1 (fr) * 2008-10-27 2010-05-06 Saint-Gobain Glass France Modul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pour vehicule, support a diodes
JP2010269598A (ja) * 1997-01-10 2010-12-02 Libbey-Owens-Ford Co 成形周辺封止部を備える封入型ウインドウアセンブリを形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203U (ko) * 1985-05-09 1986-11-17
JPH04115917U (ja) * 1991-03-28 1992-10-15 東海興業株式会社 自動車の固定窓用モ−ル付窓材
DE19501129C2 (de) * 1995-01-03 2002-07-18 Willing Gmbh Dr Ing Scheibenleuchte
JPH11217046A (ja) * 1998-02-03 1999-08-10 Ichikoh Ind Ltd 発光式ドアウインドパネル構造
DE19958808A1 (de) * 1999-12-07 2001-06-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FR2809496B1 (fr) 2000-05-23 2002-07-12 Saint Gobain Vitrage Couche diffusante
FR2821320B1 (fr) * 2001-02-26 2003-06-06 Plastic Omnium Cie Encadrement de vitre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t ouvrant comportant un tel encadrement
DE10331075B4 (de) * 2003-07-09 2009-02-26 Diehl Aerospace Gmbh Leuchtelement mit einem Leuchtmittel
JP4211029B2 (ja) * 2003-07-17 2009-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4164015B2 (ja) * 2003-10-08 2008-10-08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TWI339760B (en) * 2005-05-30 2011-04-01 Kyocera Corp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S2264382B1 (es) * 2005-06-02 2008-02-01 Grupo Antolin-Ingenieria, S.A. Luminaria para techos de vehiculos.
WO2006137660A2 (en) * 2005-06-22 2006-12-28 Fawoo Technology Co., Ltd. Back light unit
JP4840121B2 (ja) * 2006-04-20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JP2007322541A (ja) * 2006-05-30 2007-12-13 Nec Lcd Technologies Ltd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BRPI0721020A2 (pt) * 2007-01-22 2014-07-29 Sharp Kk Dispositivo de luz traseira e visor plano usando o mesmo
JP2010009787A (ja) * 2008-06-24 2010-01-14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ユニッ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10009845A (ja) * 2008-06-25 2010-01-14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ユニッ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DE102008031655B4 (de) 2008-07-03 2021-05-27 Bundesdruckerei Gmbh Mehrschichtsicherheitsdokumentkörp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schichtsicherheitsdokumentkörpers unter Anwendung eines Ultraschallverfahrens
FR2937710B1 (fr) * 2008-10-27 2013-05-17 Saint Gobain Modul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pour vehicule, support a diodes, fabrications
KR101055023B1 (ko) * 2010-01-15 2011-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R2955530B1 (fr) * 2010-01-26 2015-11-20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fabrications
FR2955539B1 (fr) * 2010-01-26 2016-03-25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fabrica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9598A (ja) * 1997-01-10 2010-12-02 Libbey-Owens-Ford Co 成形周辺封止部を備える封入型ウインドウアセンブリを形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US20020007576A1 (en) * 2000-05-12 2002-01-24 Giorgio Gai Luminous diffused light panel with low energy consumption and limited thickness
JP2004271734A (ja) * 2003-03-06 2004-09-30 Sankyo Alum Ind Co Ltd グレイジングチャンネル
JP2007108438A (ja) * 2005-10-13 2007-04-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JP2010049638A (ja) * 2008-08-25 2010-03-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抽出装置、抽出システム、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049639A1 (fr) * 2008-10-27 2010-05-06 Saint-Gobain Glass France Modul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pour vehicule, support a di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7075B2 (en) 2016-07-19
US20140204601A1 (en) 2014-07-24
MX2014001165A (es) 2014-11-10
EA201490343A1 (ru) 2014-06-30
EA027798B1 (ru) 2017-09-29
MX356962B (es) 2018-06-21
CN103842210A (zh) 2014-06-04
FR2978379A1 (fr) 2013-02-01
WO2013017790A1 (fr) 2013-02-07
CN103842210B (zh) 2017-08-15
CA2843411A1 (fr) 2013-02-07
BR112014002267A2 (pt) 2017-02-21
KR20140050075A (ko) 2014-04-28
EP2736767A1 (fr) 2014-06-04
JP2014529541A (ja) 2014-11-13
FR2978379B1 (fr)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19B1 (ko) 차량용 조명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KR101973220B1 (ko) 차량용 발광 글레이징 유닛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43208B1 (ko) 차량용 플래싱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32000B1 (ko) 발광 차량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 방법
US8944655B2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for a vehicle, and productions
US9664835B2 (en) Luminous multiple glazing unit for an item of furniture
US20110273874A1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for a vehicle, and diode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