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472B1 -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 Google Patents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472B1
KR101970472B1 KR1020190007375A KR20190007375A KR101970472B1 KR 101970472 B1 KR101970472 B1 KR 101970472B1 KR 1020190007375 A KR1020190007375 A KR 1020190007375A KR 20190007375 A KR20190007375 A KR 20190007375A KR 101970472 B1 KR101970472 B1 KR 10197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pad
yarn
pad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주
권은희
박기정
Original Assignee
(주)웰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크론 filed Critical (주)웰크론
Priority to KR102019000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54Abrasive cosmetic skin peeling or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32B2037/1223Hot-melt adhesive film-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린징 패드는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10);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접착된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11,21)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로 되며, 상기 제1, 2패드의 일측에 손가락으로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0)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데니어 이하의 극세섬유를 적용한 섬유면과 루비셀(습식우레탄)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한 우레탄면을 일체형으로 양면에 구성하여 화학성분없이 물만으로 완벽한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학성분 사용에 따른 피부 손상이나 환경오염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은 물론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손잡이를 패드의 테두리에 마련하여 양면 중앙부의 섬유면과 우레탄면을 용이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면만을 사용하는데 비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클린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손잡이 일측에 손가락걸이를 마련하여 패드가 손가락에 걸린 상태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패드 사용 중 낙하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CLEANSING PAD AND CLEAN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데니아 이하의 극세섬유를 적용한 섬유면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한 우레탄면을 일체형으로 양면 구성하여 된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에는 모공, 즉 털이 나 있는 구멍이 1㎝당 200∼300개 정도가 있고, 얼굴 전체에는 약 20,000여개가 분포되어 있으며, 손, 손바닥, 발바닥 등에도 소수 존재하고 있다.
상기 모공에는 피지선이라는 주머니가 달려있어 여기에서 생성된 피지가 털을 타고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종래에 화인데이션을 바르고 투웨이케익을 덧발라도 땀이 나거나 강우시인 경우 얼굴에 물기가 살짝만 닿아도 화장이 금방 지워져서 몇 번씩 화장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는 땀이나 빗물과 같은 물기에도 잘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이 개발되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여성들이 화장을 할 때, 화장법에 따라 얼굴을 뽀얗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모공속에 끈끈한 화인데이션이 채워지도록 바르고, 그 위에 파우더나 투인케익을 고루 바르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주종을 이루고 있는 화장품들은 피부의 모공 등을 막고 있어서,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특히 화장한 얼굴을 세안시 비누 세안만으로는 끈끈한 화장품이 피부에서 완전히 씻겨지지도 않고 잘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노폐물의 배출과 적절한 피지 분비에 장애를 야기시킴으로써 얼굴 피부를 거칠어지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얼굴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여 화장을 들뜨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얼굴의 피부조직에 대한 자극없이 모공 깊숙히 채워진 끈끈한 화인데이션을 지우기 위해서는 기본 3단계의 화장 제거방법과 별도의 각질 제거제인 딥클린징제를 사용해야만 화장품이 지워지게 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화장품회사에서는 4단계 세안법을 권장하고 있다.
여기서, 4단계 세안법이란 워터크린싱티슈 - 크린싱크림 - 폰크린싱 또는 비누와 딥클린징 세안을 말한다.
상기 4단계 세안법에서는 먼저, 화장을 지우기 위한 초기단계로서 화장을 녹여 내는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워터크린싱 티슈로 닦아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워터크린싱 티슈만으로는 얼굴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화장을 말끔히 지울 수 없고, 모공속에 깊숙이 침투되어 있는 끈끈한 화장품은 제거되지 않아, 2단계로 별도 마사지하면서 닦아내는 크린싱 크림이나, 입자가 아주 미세한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폰크린싱 크림, 또는 모공속에 잔류하는 화장품 찌꺼기 및 피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모공을 열게 하는 딥클린징 크림순으로 얼굴에 바르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화장품 회사에서는 권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화장품 특성상 얼굴에 폰크린싱을 묻혀 마사지를 열심히 해도 얼굴이 개운치가 않고, 깔끔한 느낌이 없고, 차후에 화장이 잘 받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폰크린싱이 피부 깊숙히 채워진 모공속으로 깊숙히 침투되지 못하여 모공속에 채워진 화장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크린싱글러브 예를 들면, 몸의 때를 벗겨내기 위한 목욕용 타올과 해면스폰지등과 같이 얼굴 또는 피부 마사지용 글러브가 제품화되어 있으나, 상기 목욕용 타월은 신체의 때를 벗기는데 사용되는 기능에 한정적이고 이를 얼굴 세안용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얼굴에 적절히 있어야 할 각질층까지도 벗겨내기 때문에, 오히려 피부의 면역성과 탄력성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낳게 된다.
또한, 해면스폰지와 같이 얼굴 마사지용 글러브는 표면이 매우 거친면으로 되어 있어 여러번 얼굴피부에 문질렀을 경우 자극이나 손상을 줄 수 있고, 또 얼굴표면 만을 마찰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모공 속으로 깊숙히 침투해 있는 화장품 찌꺼기나 피지와 같은 노폐물의 제거는 근본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클린징 용품으로써 화학성분인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 등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372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극세사(해도사,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 등)를 적용한 섬유면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한 우레탄면을 일체형으로 양면에 구성하여 화학성분 없이 물만으로 완벽한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한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패드의 테두리에 마련하여 양면 중앙부의 섬유면과 우레탄면을 용이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손잡이 일측에 손가락걸이를 마련하여 패드가 손가락에 걸린 상태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손가락 걸이는 추후 제품사용 후 세척하여 건조 시 건조용 걸이로도 사용가능하며, 적용 시 원단 건조가 용이하여 제품의 잔여수분으로 인한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는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접착된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로 되며, 상기 제1, 2패드의 일측에 손가락으로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1, 2패드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봉합되는 링 형상으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손가락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걸이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중앙부로 손가락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리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는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상기 제1, 2패드는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실질적으로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포켓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성형방식을 적용하여 핫멜트 필름을 150~200℃에서 가열하여 상기 제1, 2 패드면의 사이에서 상기 스펀지를 용융시켜서 접착하여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적용하여 피부 저자극성 및 우수한 닦음성을 발현하는 섬유면으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은 섬도 1데니어 미만의 극세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은 극세사를 적용한 파일사와 폴리에스터 바닥사를 환편 또는 경편으로 편직하여 상기 파일사를 일정길이로 커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의 극세사는 해도사, 직방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적용한 파일사와 폴리에스터 바닥사를 환편 또는 경편으로 편직하여 상기 파일사를 일정길이, 예컨대, 2mm - 6mm로 커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2패드의 제2클린징면은 폴리우레탄폼으로 표면에 복수의 미세돌기를 구비한 요철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린징면의 상기 요철구조 형태는 스티렌 폼, 실리콘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폼은 습식우레탄 폼 또는 건식우레탄 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의 밀도는 1inch 당 경/위사 14~20개 이며, 기본중량이 200 ~ 270gsm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방법은 상기 클린징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클린징 패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클린징면을 물로 적시는 한편 사용자의 안면 등 클린징대상면에 물을 묻히는 단계; 상기 클린징대상면의 화장부분을 문지르듯 하여 닦아내어 색조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클린징면을 이용하여 상기 색조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마사지하듯 닦아내어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미온수로 씻어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화학성분(계면활성제 등)없이 물로만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은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적용한 섬유면과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한 우레탄면을 일체형으로 양면에 구성하여 화학성분없이 물만으로 완벽한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학성분 사용에 따른 피부 손상이나 환경 오염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은 물론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손잡이를 패드의 테두리에 마련하여 양면 중앙부의 섬유면과 우레탄면을 용이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면만을 사용하는데 비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클린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손잡이 일측에 손가락걸이를 마련하여 패드가 손가락에 걸린 상태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패드 사용 중 낙하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건조 시 건조용 고리로 사용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 중 제1클린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 중 제2클린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통안 클린징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 중 제2클린징면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및 손잡이(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패드(10)는 표면이 섬유 재질로 된 제1클린징면(11)을 갖는 원판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2패드(20)는 표면이 우레탄 재질로 된 제2클린징면(21)을 갖는 원판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패드(10,20)는 소정의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의 배면이 접착된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11,21)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은 상기 제1, 2패드(10,20)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0)은 상기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1, 2패드(10,20)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봉합되는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은 일측에 손가락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걸이(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손가락걸이(40)는 상기 손잡이(30)의 일측에 띠 형상의 양단부가 재봉 등으로 연결되어 중앙부로 손가락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리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는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10)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10,20)는 서로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상기 제1, 2패드(10,20)는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실질적으로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50)를 갖는 포켓구조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패드(10)의 제1클린징면(11)은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적용하여 피부 저자극성 및 우수한 닦음성을 발현하는 섬유면으로 되어 있다.
일례로, 상기 복합사는 제1,2극세사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2극세사섬유는 원료가 폴리에스터 70 ∼ 85%, 폴리아미드 15 ∼ 30% 혼용율에 소정배수로 분할하는 분할구조를 가진 3차원 공간의 분할사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패드(20)의 제2클린징면(21)은 루비셀(습식우레탄)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하여 미세잔여물 제거 및 피부마사지 효과가 탁원한 우레탄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클린징면(21)은 표면에 복수의 미세돌기(22)가 마련된 요철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돌기(22)는 마름모 형태로서 지름과 높이가 각각 1mm이내이고, 미세돌기의 밀도는 1inch 당 경/위사 14~20개 이며, 기본중량이 200 ~ 270gs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돌기(22)는 단면이 사각형(정육면체/직육면체), 또는 원통형 일 수 있다.
실시예
제1패드면(제1클린징면) 제조1
파일사 N/P 150/72 DTY, 바닥사 Poly 75/36 DTY 적용하여 환편으로 22guage 편직 후 상기 파일사를 커팅하여 약 2mm로 하였다.
중량: 260gsm 였다.
제조한 제1패드면을 염색하였다.
제1패드면(제1클린징면) 제조2
파일사 N/P 150/72 DTY를 적용하여 경편 트리코트로 편직하였으며, 편직 시 파일사는 약 2mm로 적용하였다.
중량: 400gsm 였다.
제조한 제1패드면을 염색하였다.
제2패드면(제2클린징면)제조
루비셀 PU(습식PU)을 평판에서 발포하여 상온의 물에서 48시간동안 숙성 후 꺼낸 후 가로 1mm * 세로 1mm 형상의 마름모 몰드를 적용하여 요철 성형 후 건조하였다.
요철의 밀도:1인치당 가로 16개 * 세로 16개
중량: 200gsm
제1, 2 패드면의 본딩
핫멜트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방식을 적용하여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을 170℃에서 고온가열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제 1,2 패드면(제1패드면(제1클린징면) 제조 1에 의한 것 사용)의 사이에서 상기 핫멜트 필름을 용융시켜 접착하였다. (루비셀 PU + 핫멜트 필름 + 편물원단 압착본딩에 의한 3중 구조)
또한, 제 1,2패드면 후면에 핫멜트 필름을 접착 후 스펀지(Poly 소재 2T)를 적용하여 본딩 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 볼륨감을 부여하여 제품 사용 시 우수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재단 및 봉제
상기에서 제조한 원단을 원형으로 재단하여 봉제하여 도면 7과 같은 본 발명 제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클린징 패드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여, 우선, 상기 클린징 패드의 제1클린징면(11)을 물로 적시는 한편 사용자의 안면 등 클린징대상면에 물을 묻히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클린징대상면의 화장부분을 문지르듯 하여 닦아내어 색조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제2클린징면(21)을 이용하여 상기 색조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마사지하듯 닦아내어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미온수로 씻어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화학성분(계면활성제 등)없이 물로만 클린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된 상기 클린징 패드는 세정제를 통해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감 등 실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클린징 패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 및 기존 세안법에 대한 닦음성, 사용감, 사용시 선호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분석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감 및 선호도는 20~40대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사용시 사용감 및 최종 선호도를 설문조사 하였다. 닦음성은 인조피혁 10*10cm 위에 0.1g의 파운데이션을 도포한 후 일반 비누 사용세안, 본 발명 클린징 패드 섬유면 적용 물로만 세안, 본 발명 클린징 패드 섬유면과 루비셀(습식우레탄)면 모두 적용 물로만 세안하여 파운데이션이 닦이는 정도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분석 및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클린징 패드를 적용하여 물로만 세안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사용감 및 선호도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루비셀을 적용하여 추가적으로 닦아내었을 때 가장 우수한 닦음성을 나타내었다.
세안법 비누 세안 본발명 클린징 패드
섬유면 세안
본발명(클린징 패드 섬유면 + 루비셀면 세안)
닦음성 테스트
이미지
(x100)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1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2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3
닦음성 테스트
이미지
(x200)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4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5
Figure 112019006948483-pat00006
사용감 기존 세안법으로
사용감 보통
사용감 우수 이중 세안으로 화장잔여감이 없고 사용 효과 매우우수
사용 시
선호도 순위
3 2 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은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를 적용한 섬유면과 루비셀(습식우레탄) 폴리우레탄폼을 적용한 우레탄면을 일체형으로 양면에 구성하여 화학성분없이 물만으로 완벽한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학성분 사용에 따른 피부 손상이나 환경 오염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은 물론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를 패드의 테두리에 마련하여 양면 중앙부의 섬유면과 우레탄면을 용이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면만을 사용하는데 비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클린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 일측에 손가락걸이를 마련하여 패드가 손가락에 걸린 상태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패드 사용 중 낙하되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제1패드 11 : 제1클린징면
20 : 제2패드 21 : 제2클린징면
22 : 미세돌기 30 : 손잡이
40 : 손가락걸이 50 : 삽입부

Claims (14)

  1.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접착된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로 되며,
    상기 제1, 2패드의 일측에 손가락으로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핫멜트 필름을 150~200℃에서 표면 고온 가열하여 상기 제1, 2 패드면의 사이에서 상기 필름를 용융시켜서 접착한 것이며,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제직 또는 편직으로 된 섬유면이고, 상기 제2패드의 제2클린징면은 스폰지 형태 또는 표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마련된 요철구조의 형태로 된 것이며,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극세사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는 해도사, 직방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1, 2패드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봉합되는 링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측에 손가락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걸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걸이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중앙부로 손가락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리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극세사를 적용한 파일사와 폴리에스터 바닥사를 환편 또는 경편으로 편직하여 상기 파일사를 2mm~6mm로 커팅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6.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접착된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일체형 구조로 되며,
    상기 제1, 2패드의 일측에 손가락으로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는 핫멜트 필름을 150~200℃에서 표면 고온 가열하여 상기 제1, 2 패드면의 사이에서 상기 필름를 용융시켜서 접착한 것이며,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제직 또는 편직으로 된 섬유면이고, 상기 제2패드의 제2클린징면은 스폰지 형태 또는 표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마련된 요철구조의 형태로 된 것이며,
    상기 미세돌기의 밀도는 1inch 당 경/위사 14~20개 이며, 기본중량이 200 ~ 27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7. 제1클린징면을 갖는 제1패드; 및
    제2클린징면을 갖는 제2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패드는 서로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의 제1, 2클린징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상기 제1, 2패드는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실질적으로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포켓구조이고,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제직 또는 편직으로 된 섬유면이고, 상기 제2패드의 제2클린징면은 스폰지 형태 또는 표면에 복수의 미세돌기가 마련된 요철구조이고,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극세사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는 해도사, 직방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극세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9. 제 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린징면의 상기 요철구조 형태는 스티렌 폼, 실리콘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폼은 습식우레탄 폼 또는 건식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는 해도사, 직방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제1클린징면은 극세사를 적용한 파일사와 폴리에스터 바닥사를 환편 또는 경편으로 편직하여 상기 파일사를 2mm~6mm로 커팅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돌기의 밀도는 1inch 당 경/위사 14~20개 이며, 기본중량이 200 ~ 27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패드.
  14. 제 1항 내지 제 8항,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클린징 패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클린징면을 물로 적시는 한편 사용자의 안면 등 클린징대상면에 물을 묻히는 단계;
    상기 클린징대상면의 화장부분을 문지르듯 하여 닦아내어 색조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클린징면을 이용하여 상기 색조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마사지하듯 닦아내어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각질제거 및 잔여화장재가 제거된 클린징대상면을 미온수로 씻어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화학성분(계면활성제 등)없이 물로만 클린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징 방법.
KR1020190007375A 2019-01-21 2019-01-21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KR10197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75A KR101970472B1 (ko) 2019-01-21 2019-01-21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75A KR101970472B1 (ko) 2019-01-21 2019-01-21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472B1 true KR101970472B1 (ko) 2019-05-13

Family

ID=6658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75A KR101970472B1 (ko) 2019-01-21 2019-01-21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633A (ja) * 1994-12-29 1996-07-16 Shimoda Shokai:Kk 人体用清浄具
JP2010046129A (ja) * 2008-08-19 2010-03-04 P & P F:Kk シート状皮膚洗浄用具
KR101520372B1 (ko) 2013-12-03 2015-05-20 (주)아모레퍼시픽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KR20180112970A (ko) * 2017-04-05 2018-10-15 (주)아우딘퓨쳐스 바디 샤워용 루파 글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633A (ja) * 1994-12-29 1996-07-16 Shimoda Shokai:Kk 人体用清浄具
JP2010046129A (ja) * 2008-08-19 2010-03-04 P & P F:Kk シート状皮膚洗浄用具
KR101520372B1 (ko) 2013-12-03 2015-05-20 (주)아모레퍼시픽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KR20180112970A (ko) * 2017-04-05 2018-10-15 (주)아우딘퓨쳐스 바디 샤워용 루파 글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140B1 (ko) 클렌징 패드
US4254530A (en) Cleaning and washing pad
JP7164214B2 (ja) 洗浄タオル地
KR101970472B1 (ko) 클린징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클린징 방법
US20080263801A1 (en) Exfoliating and cleansing washcloth
JP5000270B2 (ja) 清拭用ブラシ
JP2005103249A (ja) 洗顔用クロスとその製造方法
JPH068790Y2 (ja) 洗浄用具
JPH1094763A (ja) 摺洗具
US20030008588A1 (en) Textile skin cleaning device
JP3042256U (ja) 清拭具
JPH0434788Y2 (ko)
KR200291295Y1 (ko) 얼굴 마사지 글러브
JPH048870Y2 (ko)
KR200240491Y1 (ko) 세안용 장갑
JP3214580U (ja) 石鹸を使わず皮脂汚れを水だけで洗浄できる布織物
KR100448172B1 (ko) 세척용 양면 파일 편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29661A (ja) 耳掻きおよび耳掻きセット
KR20180065568A (ko) 마스크 팩형 클렌징 시트
JP2002253442A (ja) 洗浄用具
JP3006084U (ja) 垢すり具
JP3042259U (ja) 清拭ブラシ
KR20230115110A (ko) 차량 청소용 세척폼
JPH10234611A (ja) 洗浄具
JPH11221395A (ja) 靴下の洗濯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