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22B1 -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22B1
KR101969322B1 KR1020180141735A KR20180141735A KR101969322B1 KR 101969322 B1 KR101969322 B1 KR 101969322B1 KR 1020180141735 A KR1020180141735 A KR 1020180141735A KR 20180141735 A KR20180141735 A KR 20180141735A KR 101969322 B1 KR101969322 B1 KR 10196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frame
inclined loading
wall
spe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8014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는, 다수의 원자재가 스피드 패널로 조립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하되 다수의 원자재가 경사지게 로딩(loading)되는 경사형 로딩 툴(loading tool); 및 경사형 로딩 툴을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경사 지지하는 툴 브리지(tool bridge)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eed panel}
본 발명은,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원자재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패널(construction panel)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 또는 인테리어 작업 시 칸막이의 용도로 사용되는 내외장 제품 혹은 벽체를 일컫는다.
다양한 종류와 구조의 건축용 패널이 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암면 등의 충진재를 철판에 적층시킨 후, 양측에 외판을 부착시켜 일정한 두께로 제조한 건축용 패널, 예컨대 샌드위치 패널이라 불리는 건축용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구조상 재료비가 많이 들고 고중량임에도 불구하고 강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소위, 스피드 패널(speed panel)이 각광받고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스피드 패널에 석고 보드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스피드 패널을 모듈화된 건축용 석고 보드 경량벽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스피드 패널은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된 골조 프레임의 양면에 제1 및 제2 석고 보드(board)를 각각 배치한 다음, 제1 및 제2 석고 보드와 골조 프레임을 나사로 조립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골조 프레임 내의 빈 공간에는 단열재 등이 충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스피드 패널은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된 골조 프레임이 중심 뼈대를 잡고 있는 상태임에도 그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건축용 패널보다 가벼우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높으며, 또한 단열, 방음, 흡음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서 기능성 패널로서의 제품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스피드 패널은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골조 프레임과 제1 및 제2 석고 보드의 나사 조립에 의해 제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스피드 패널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수단, 다시 말해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가 개발되거나 적용되지 않아 스피드 패널의 제조작업이 매우 번거롭거나 불편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 설명한다. 스피드 패널의 제조를 위해 종래에는 골조 프레임을 바닥에 놓고 그 일측에 제1 석고 보드를 배치하여 골조 프레임과 제1 석고 보드를 나사로 1차 조립한 후, 제1 석고 보드가 조립된 골조 프레임을 뒤집어 골조 프레임의 타측에 제2 석고 보드를 배치한 다음, 골조 프레임과 제2 석고 보드를 나사로 2차 조립한 이후에 최종적으로 제조 완료된 스피드 패널을 바닥에서 세워 여러 명이 들고 다른 장소로 옮겨야 했다.
이처럼 종래에는 골조 프레임과 제1 및 제2 석고 보드의 원자재를 바닥에 둔 상태로 뒤집거나 세우면서 나사 조립으로 스피드 패널을 제조해야 했기 때문에 원자재를 뒤집거나 세우는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스피드 패널의 제조작업이 번거롭거나 불편하여 작업효율이 감소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스피드 패널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0-001449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전처럼 원자재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원자재가 스피드 패널로 조립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하되 다수의 상기 원자재가 경사지게 로딩(loading)되는 경사형 로딩 툴(loading tool); 및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을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경사 지지하는 툴 브리지(tool brid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원자재가 로딩되는 면을 형성하며,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다수의 후방 작업홀이 형성되는 판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및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와 교차되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상기 원자재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 저지용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기 이탈 저지용 벽체와 교차되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상기 원자재의 작업 기준위치를 가이드하는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원자재의 폭 조절을 위하여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폭 조절용 이동 벽체; 및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와 연결되어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를 구동시키는 이동 벽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벽체 구동부는,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에 형성되는 구동 가이드홀; 및 상기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와 연결되는 구동용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loading)되는 상기 원자재 또는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서 언로딩(unloading)되는 상기 스피드 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 유닛은, 상기 원자재 또는 상기 스피드 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후방 작업홀에 이웃된 위치의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의 노출을 허용하는 롤러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배후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일체로 탑재되는 롤러 탑재용 프레임;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을 피봇 지지하는 피봇 지지부; 및 상기 피봇 지지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과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의 접근 또는 이격 정도를 탄성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 연결부일 수 있다.
상기 툴 브리지는,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숏 브리지 파트(short bridge part);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숏 브리지 파트보다 길게 형성되는 롱 브리지 파트(long bridge part); 및 상기 숏 브리지 파트와 상기 롱 브리지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숏 브리지 파트와 상기 롱 브리지 파트를 보강하는 파트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원자재는,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골조 프레임; 및 상기 골조 프레임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석고 보드(boar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석고 보드가 상기 골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피드 패널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골조 프레임 내의 빈 공간에는 충전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원자재가 스피드 패널로 조립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하되 다수의 상기 원자재가 경사지게 로딩(loading)되는 경사형 로딩 툴(loading tool)과,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을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경사 지지하는 툴 브리지(tool bridge)를 구비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원자재를 상기 경사형 로딩 툴 상에 경사지게 로딩시키는 원자재 경사 로딩단계; 및 상기 경사형 로딩 툴 상의 작업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원자재를 나사 조립해서 상기 스피드 패널로 제조하는 원자재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자재 경사 로딩단계의 수행 시 상기 원자재는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이탈 저지용 벽체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탈이 저지되는 한편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에 접촉되어 작업 기준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자재 조립단계의 수행 후, 상기 툴 브리지 상에서 제조 완료된 상기 스피드 패널을 언로딩시키는 스피드 패널 언로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드 패널 언로딩단계의 수행 시 상기 경사형 로딩 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스피드 패널이 가이드되면서 언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원자재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스피드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폭 조절용 이동 벽체가 이동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이동 가이드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경사형 로딩 툴에 원자재가 로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원자재에 대한 나사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경사형 로딩 툴 상에서 스피드 패널이 제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스피드 패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스피드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먼저 참조하여 스피드 패널(1)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스피드 패널(1)은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 또는 인테리어 작업 시 칸막이의 용도로 사용되는 벽체로서, 일부에서는 모듈화된 건축용 석고 보드 경량벽체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스피드 패널(1)의 제조를 위해 원자재(10,21,22)로서 골조 프레임(10)과, 골조 프레임(10)의 외벽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 board)가 사용된다.
골조 프레임(10)은 금속, 예컨대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골조 프레임(10)은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의 둘레와 중심의 일부에만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를 지지하면서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와 조립된다.
따라서 골조 프레임(10)은 대다수의 공간이 빈 공간(11)을 이루는데, 이러한 골조 프레임(10)의 빈 공간(11)에 단열재, 흡음재 등이 충전될 수 있다. 물론, 단열재, 흡음재 등이 반드시 충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단열재, 흡음재 등이 충전되면 단열 기능, 흡음 기능 등의 기능성이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골조 프레임(10)이 완전히 막힌 구조가 아닌 빈 공간(11)을 갖는 구조라는 점에서 골조 프레임(10)의 재료비가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이 줄어든다. 특히, 골조 프레임(10)의 중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스피드 패널(1)의 전체적인 중량 역시 감소될 수 있다. 즉 스피드 패널(1)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스피드 패널(1)이 경량화되더라도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적용될 수 있는 골조 프레임(10)이 중심 골조를 이루면서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를 지지하는 형태라서 스피드 패널(1)의 강성은 우수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는 골조 프레임(10)의 양면에 배치되어 스피드 패널(1)의 외벽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는 골조 프레임(10)보다 얇은 판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는 골조 프레임(10)과 각각 나사(B)로 조립(결합)된다.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는 동일한 소재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골조 프레임(10)을 준비한 후, 그 양면에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를 각각 배치한 다음,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와 골조 프레임(10)을 나사(B)로 조립함으로써 스피드 패널(1)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와 골조 프레임(10)을 나사(B)로 조립할 경우, 제1 석고 보드(21)와 골조 프레임(10)을 나사(B)로 조립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2 석고 보드(22)가 조립된 골조 프레임(10)을 세워 뒤집은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어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거나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를 사용해서 스피드 패널(1)을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뒤집거나 세우는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보다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스피드 패널(1)의 제조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폭 조절용 이동 벽체가 이동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이동 가이드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9는 경사형 로딩 툴에 원자재가 로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원자재에 대한 나사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2는 경사형 로딩 툴 상에서 스피드 패널이 제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스피드 패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는 종전처럼 원자재(10,21,22, 도 1 참조)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1, 도 3 참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경사형 로딩 툴(110, loading tool)과, 지면에 대하여 경사형 로딩 툴(11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툴 브리지(180, tool b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경사형 로딩 툴(110)은 다수의 원자재(10,21,22)가 스피드 패널(1)로 조립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한다.
도 9 내지 도 11처럼 경사형 로딩 툴(110) 상에서 원자재(10,21,22)들을 조립해서 도 12처럼 스피드 패널(1)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원자재(10,21,22)들을 세우거나 뒤집을 필요 없이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전술한 것처럼 다수의 원자재(10,21,22)란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11)이 형성되는 골조 프레임(10)과, 골조 프레임(10)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석고 보드(2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처럼 원자재(10,21,22)들이 경사형 로딩 툴(110)에 로딩될 때는 제1 석고 보드(21), 골조 프레임(10) 및 제2 석고 보드(22)의 순으로 로딩될 수 있다.
한편, 반복해서 설명하는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원자재(10,21,22)들은 경사형 로딩 툴(110)에 수평 상태가 아닌 경사진 상태로 로딩된다.
따라서 도 10처럼 원자재(10,21,22)들의 전방에서 전동 공구(P)를 이용해서 골조 프레임(10)과 제2 석고 보드(22)를 나사(B)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도 11처럼 원자재(10,21,22)들을 뒤집을 필요 없이 원자재(10,21,22)들의 후방에서 전동 공구(P)를 이용해서 골조 프레임(10)과 제1 석고 보드(21)를 나사(B)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여러 명이 원자재(10,21,22)들을 세워야 하는 작업상의 로스(loss)를 없앨 수 있다.
이러한 경사형 로딩 툴(110)은 실질적으로 원자재(10,21,22)들이 경사지게 로딩되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와,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둘레에 배치되는 이탈 저지용 벽체(130),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 및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는 툴 브리지(180) 등의 구조로 인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원자재(10,21,22)들이 경사지게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후방 작업홀(121)이 형성된다. 후방 작업홀(121)들은 도 11처럼 원자재(10,21,22)들의 후방에서 전동 공구(P)를 이용해서 골조 프레임(10)과 제1 석고 보드(21)를 나사(B)로 조립할 때, 전동 공구(P)의 일부가 삽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때, 후방 작업홀(121)들의 개수와 간격은 원자재(10,21,22)들이 조립될 때, 사용되는 나사(B)의 개수 및 나사(B)들 간의 간격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후방 작업홀(121)들의 개수 또는 간격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탈 저지용 벽체(130)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하부를 이룬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탈 저지용 벽체(130)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하부에서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와 교차되게 마련되는 고정 구조물이다.
이러한 이탈 저지용 벽체(130)는 경사 배치되는 원자재(10,21,22)들 또는 스피드 패널(1)이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측부에서 이탈 저지용 벽체(130)와 교차되게 마련되는 역시, 고정 구조물이다.
이러한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는 원자재(10,21,22)들을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시키기 위해 원자재(10,21,22)들을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으로 밀어 넣을 때, 원자재(10,21,22)들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되는 원자재(10,21,22)들의 작업 기준위치를 가이드한다.
작업자는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까지 원자재(10,21,22)들을 밀어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원자재(10,21,22)들을 로딩시키면 그 위치가 원자재(10,21,22)들의 작업 기준위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로딩작업이 훨씬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되는 원자재(10,21,22)의 폭 조절을 위하여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벽체이다.
즉 이탈 저지용 벽체(130)와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구조물인 반면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는 도 6 및 도 7처럼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되는 원자재(10,21,2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폭이 좁은 원자재(미도시)가 사용될 때는 도 6처럼 이탈 저지용 벽체(130)를 내려 폭을 줄인 다음에 사용하면 된다.
이탈 저지용 벽체(1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에는 이동 벽체 구동부(160)가 갖춰진다. 이동 벽체 구동부(160)는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와 연결되어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 벽체 구동부(160)는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에 형성되는 구동 가이드홀(161)과,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의 외측에서 구동 가이드홀(161)을 통해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와 연결되는 구동용 핸들(162)을 포함한다. 이에, 도 7처럼 구동용 핸들(162)을 점선에서 실선처럼 이동시키면 이의 작용으로 도 6처럼 폭 조절용 이동 벽체(15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용 핸들(162)에는 구동용 핸들(162)의 임의 이동을 구속시키는 핸들 브레이크(163)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브레이크(163)는 나사식 구조로써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140)에 구동용 핸들(162)을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에는 이동 가이드 유닛(170)이 더 갖춰질 수 있다.
이동 가이드 유닛(170)은 다수의 가이드 롤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유닛(170)의 가이드 롤러(171)들은 도 9처럼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loading)되는 원자재(10,21,22) 또는 도 12처럼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서 언로딩(unloading)되는 스피드 패널(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동 가이드 유닛(170)이 반드시 갖춰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처럼 이동 가이드 유닛(170)이 갖춰지면 원자재(10,21,22)들을 경사형 로딩 툴(110)의 작업위치로 로딩시키거나 경사형 로딩 툴(110) 상에서 제조 완료된 스피드 패널(1)을 언로딩시키기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작업자 혼자서도 원자재(10,21,22)들을 로딩시키거나 스피드 패널(1)을 언로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171)들은 후방 작업홀(121)에 이웃된 위치의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는 롤러 노출부(17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롤러 노출부(172)는 가이드 롤러(171)에 하나씩 대응되게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는 구멍(hol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71)들은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에 일체로 탑재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은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배후에 배치된다. 이러한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 가이드 유닛(170)에는 피봇 지지부(174)와 연결부(175)가 마련된다.
피봇 지지부(174)는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의 일단부와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연결되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을 피봇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봇 지지부(174)는 일종의 힌지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175)는 피봇 지지부(174)의 반대편에서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과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75)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롤러 탑재용 프레임(173)의 접근 또는 이격 정도를 탄성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 연결부(175)로 적용된다.
이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가이드 롤러(171)들은 원자재(10,21,22)들 또는 스피드 패널(1)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원자재(10,21,22)들 또는 스피드 패널(1)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도 8의 (a)처럼 가이드 롤러(171)들이 롤러 노출부(172)를 통해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도 10 및 도 11처럼 나사(B)로 원자재(10,21,22)들을 조립할 때는 원자재(10,21,22)들이, 특히 제일 아래에 위치되는 제1 석고 보드(21)가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의 표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때는 도 8의 (b)처럼 가이드 롤러(171)들이 노출되지 않게끔 롤러 노출부(172)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재 연결부(175), 예컨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탄성부재 연결부(175)가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 롤러(171)를 구비하는 전술한 구조의 이동 가이드 유닛(170)은 직선운동 베어링인 LM 가이드(미도시) 방식으로 변경 적용될 수도 있다.
LM 가이드는 직선형상의 레일을 접촉점이 한 점으로 된 볼이 구르면서 레일 상에 결합되는 블록(block)을 레일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가리킨다. 볼의 직경이 클수록 큰 힘을 견디고 내충격성도 강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LM 가이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도 9처럼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로딩(loading)되는 원자재(10,21,22) 또는 도 12처럼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서 언로딩(unloading)되는 스피드 패널(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LM 가이드 방식이 적용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툴 브리지(180)는 경사형 로딩 툴(110)을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경사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툴 브리지(180)는 경사형 로딩 툴(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숏 브리지 파트(181, short bridge part)와, 경사형 로딩 툴(11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숏 브리지 파트(181)보다 길게 형성되는 롱 브리지 파트(182, long bridge part)를 포함한다.
이때, 숏 브리지 파트(181)와 롱 브리지 파트(182)에는 파트 보강부(183)가 연결된다. 파트 보강부(183)로 인해 숏 브리지 파트(181)와 롱 브리지 파트(182)를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를 이용해서 스피드 패널(1)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와 같은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100)를 준비한 후, 경사형 로딩 툴(110)의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120) 상에 원자재(10,21,22)들을 로딩시킨다(S110).
도 9처럼 원자재(10,21,22)들이 경사형 로딩 툴(110)에 로딩될 때는 제1 석고 보드(21), 골조 프레임(10) 및 제2 석고 보드(22)의 순으로 로딩될 수 있다. 골조 프레임(10)의 빈 공간(11)에 단열재, 흡음재 등이 충전될 수도 있다.
원자재(10,21,22)들의 로딩 시 경사형 로딩 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171)들의 작용으로 인해 원자재(10,21,22)들이 가이드되면서 로딩될 수 있기 때문에 로딩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다음, 경사형 로딩 툴(110) 상의 작업위치에서 원자재(10,21,22)들을 나사(B) 조립해서 스피드 패널(1)로 제조한다(S120).
즉 도 10처럼 원자재(10,21,22)들의 전방에서 전동 공구(P)를 이용해서 골조 프레임(10)과 제2 석고 보드(22)를 나사(B)로 조립한 후, 도 11처럼 원자재(10,21,22)들의 후방에서 전동 공구(P)를 이용해서 골조 프레임(10)과 제1 석고 보드(21)를 나사(B)로 조립함으로써 스피드 패널(1)을 제조한다.
이때는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원자재(10,21,22)들을 뒤집을 필요 없이 후방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원자재(10,21,22)들을 뒤집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다.
그런 다음, 툴 브리지(180) 상에서 제조 완료된 스피드 패널(1)을 언로딩시킨다(S130). 이때 역시, 경사형 로딩 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171)들의 작용으로 인해 스피드 패널(1)이 가이드되면서 언로딩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작업 역시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원자재(10,21,22)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200) 역시,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220)를 구비하는 경사형 로딩 툴(210)과, 지면에 대하여 경사형 로딩 툴(21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툴 브리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다수의 후방 작업홀(221)이 원형이 아닌 장공의 형태를 취한다. 단변 측의 후방 작업홀(221)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취한다.
이럴 경우, 폭이 달라서 나사(B, 도 3 참조)의 체결 위치가 사이한 여러 종류의 원자재(미도시)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원자재(10,21,22)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1, 도 3 참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300) 역시,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320)를 구비하는 경사형 로딩 툴(310)과, 지면에 대하여 경사형 로딩 툴(31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툴 브리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4의 실시예와 달리 단변 측의 후방 작업홀(321)이 하나의 홀(hole)로 연결된 상태를 취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400) 역시, 경사형 로딩 툴(110)과, 지면에 대하여 경사형 로딩 툴(110)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툴 브리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툴 브리지(180)의 단부에는 스토퍼(491)를 구비하는 휠(492)이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400)를 원하는 작업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킨 후,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처럼 원자재(10,21,22)를 뒤집거나 세우는 불필요한 작업 없이도 스피드 패널(1, 도 3 참조)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이 종전보다 월등히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스피드 패널 10 : 골조 프레임
21,22 : 제1 및 제2 석고 보드 100 :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110 : 경사형 로딩 툴 120 :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121 : 후방 작업홀 130 : 이탈 저지용 벽체
140 :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 150 : 폭 조절용 이동 벽체
160 : 이동 벽체 구동부 161 : 구동 가이드홀
162 : 구동용 핸들 163 : 핸들 브레이크
170 : 이동 가이드 유닛 171 : 가이드 롤러
172 : 롤러 노출부 173 : 롤러 탑재용 프레임
174 : 피봇 지지부 175 : 연결부
180 : 툴 브리지 181 : 숏 브리지 파트
182 : 롱 브리지 파트 183 : 파트 보강부

Claims (15)

  1. 다수의 원자재가 스피드 패널로 조립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하되 다수의 상기 원자재가 경사지게 로딩(loading)되는 경사형 로딩 툴(loading tool); 및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을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경사 지지하는 툴 브리지(tool bridge)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원자재가 로딩되는 면을 형성하며,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다수의 후방 작업홀이 형성되는 판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및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loading)되는 상기 원자재 또는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서 언로딩(unloading)되는 상기 스피드 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배후에 배치되며, 상기 원자재 또는 상기 스피드 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일체로 탑재되는 롤러 탑재용 프레임; 및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과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되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의 접근 또는 이격 정도를 탄성적으로 조절하는 탄성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와 교차되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상기 원자재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 저지용 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기 이탈 저지용 벽체와 교차되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상기 원자재의 작업 기준위치를 가이드하는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로딩되는 원자재의 폭 조절을 위하여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게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폭 조절용 이동 벽체; 및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와 연결되어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를 구동시키는 이동 벽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벽체 구동부는,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에 형성되는 구동 가이드홀; 및
    상기 작업 기준위치 가이드 벽체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폭 조절용 이동 벽체와 연결되는 구동용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 유닛은,
    상기 후방 작업홀에 이웃된 위치의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의 노출을 허용하는 롤러 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 유닛은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로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롤러 탑재용 프레임을 피봇 지지하는 피봇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연결부는 상기 피봇 지지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브리지는,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숏 브리지 파트(short bridge part);
    상기 경사형 로딩 툴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숏 브리지 파트보다 길게 형성되는 롱 브리지 파트(long bridge part); 및
    상기 숏 브리지 파트와 상기 롱 브리지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숏 브리지 파트와 상기 롱 브리지 파트를 보강하는 파트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원자재는,
    스터드 경량 철골류로 형성되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골조 프레임; 및
    상기 골조 프레임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석고 보드(boar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석고 보드가 상기 골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피드 패널이 제조되며,
    상기 골조 프레임 내의 빈 공간에는 충전재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141735A 2018-11-16 2018-11-16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KR10196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35A KR101969322B1 (ko) 2018-11-16 2018-11-16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35A KR101969322B1 (ko) 2018-11-16 2018-11-16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322B1 true KR101969322B1 (ko) 2019-04-17

Family

ID=6628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735A KR101969322B1 (ko) 2018-11-16 2018-11-16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492U (ko) 1989-01-18 1990-08-01 김홍래 젓가락 포장기용 절단롤러
JPH0569348A (ja) * 1991-03-12 1993-03-23 Misawa Homes Co Ltd 木製パネル用面材貼付設備
KR20030005612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품 위치결정장치
JP2003311658A (ja) * 2002-04-24 2003-11-05 Nec Kagoshima Ltd 作業台
KR20150064323A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경사 이송 시스템
KR20150133892A (ko) * 2014-05-20 2015-12-01 (주)태진이엔지 이동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492U (ko) 1989-01-18 1990-08-01 김홍래 젓가락 포장기용 절단롤러
JPH0569348A (ja) * 1991-03-12 1993-03-23 Misawa Homes Co Ltd 木製パネル用面材貼付設備
KR20030005612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품 위치결정장치
JP2003311658A (ja) * 2002-04-24 2003-11-05 Nec Kagoshima Ltd 作業台
KR20150064323A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경사 이송 시스템
KR20150133892A (ko) * 2014-05-20 2015-12-01 (주)태진이엔지 이동식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476A (en) Transportable building form
KR1011543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모듈유닛의 바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모듈유닛의 시공방법
KR101969322B1 (ko)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WO1999033743A1 (en) Elevator car
CN112095875B (zh) 钢筋结构建筑叠合楼板的快速支撑体系及其施工工艺
JP2005315031A (ja) 階段
OA12524A (en) Formwork for precast concrete panels.
EP0404509B1 (en) Process for forming concrete wall
CN215099132U (zh) 一种组合式拼装预制楼板减震运输装置
JP2002357015A (ja) 制振装置
US3129481A (en) Device for constructing and erecting building walls
KR101798538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JP2000255954A (ja) マンコンベアのトラス支持装置
AU2015100168A4 (en) Precast Rebar Concrete Structure
JP2019078130A (ja) 免震建築物
CN218432759U (zh) 预制墙板运输固定装置
JP2002357045A (ja) 移動式パネルにおける支持構造
KR102655242B1 (ko) 거푸집용 서포트 장치
KR200283908Y1 (ko) 슬라이딩 도어의 포켓 프레임 구조
JP7491607B2 (ja) 運搬台車
JP7199439B2 (ja) 建造物建設方法
CN110206323B (zh) 钢筋骨架成型系统及其使用方法
JP4824979B2 (ja) 建物
US5799447A (en) Apparatus for moving a wall form assembly
JP3858078B2 (ja) パネル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