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892A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3892A KR20150133892A KR1020140060226A KR20140060226A KR20150133892A KR 20150133892 A KR20150133892 A KR 20150133892A KR 1020140060226 A KR1020140060226 A KR 1020140060226A KR 20140060226 A KR20140060226 A KR 20140060226A KR 20150133892 A KR20150133892 A KR 201501338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caster
- frame
- caster frame
- main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의 구성은 복수개의 레그(12)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상단부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20); 상기 링크부재(20)의 하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하측에는 복수개의 캐스터(32)가 구비된 캐스터 프레임(30);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강시키는 제1페달(40);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페달(40)이 하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회동되어 있다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보다 더 위로 상승시키는 제2페달(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와 레그가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작업대의 레그가 캐스터보다 지면에서 위로 올라가 있다가 지면에 접촉되는 고정 모드로 전환시 레그가 지면에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리성 등을 높인 새로운 구조의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부품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작업, 부품 내지 물품 가공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많이 이용된다. 작업대에 구비된 상판에 기계 장치의 부품을 올려놓고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작업, 부품 가공 작업 등의 여러 가지 필요한 제반 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작업대를 필요한 장소까지 끌고 가서 사용할 수 있도록 캐스터가 장착된 이동식 작업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작업대는 상판을 구비한 메인 프레임에 캐스터가 장착되어 캐스터를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를 필요한 장소로 옮겨서 쓰게 된다. 이때, 메인 프레임의 각 레그는 실린더에 의해 신축되도록 구성되고,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는 각 레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캐스터가 장착된다. 즉, 메인 프레임에는 레그가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는 링크부재와 실린더 등의 승강 작동수단에 의해 메인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캐스터 프레임이 장착되며, 캐스터 프레임에 캐스터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 이동식 작업대가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의 각 레그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각 레그를 신장시켜 상기 레그의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식 작업대를 지면에 설치한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대의 상판에 부품 등을 올려놓고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캐스터가 장착된 캐스터 프레임 부분을 메인 프레임의 레그 하단부보다 너 낮추어서 캐스터는 지면에 닿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그는 지면 위로 뜨도록 한 상태에서 캐스터에 의해 이동식 작업대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린더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레그를 축소시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므로, 작업대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작업대의 경우, 메인 프레임의 각 레그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레그마다 실린더가 장착되기 때문에, 유압펌프의 용량이 커져야 하고, 부품수가 많이 들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나아가 제품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와 레그가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작업대의 레그가 캐스터보다 지면에서 위로 올라가 있다가 지면에 접촉되는 고정 모드로 전환시 레그가 지면에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리성 등을 높인 새로운 구조의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레그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상단부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그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하측에는 복수개의 캐스터가 구비된 캐스터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레그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강시키는 제1페달;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페달이 하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회동되어 있다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 상기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레그 하단부보다 더 위로 상승시키는 제2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페달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페달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하는 제1중간 힌지부와, 상기 제1페달의 선단부를 상기 하판에 연결하는 제1프론트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패달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페달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상기 하판에 연결하는 제2중간 힌지부와, 상기 제2페달의 선단부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제2프론트 힌지부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타단부를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하는 링크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페달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은 하강된 상태이고, 상기 제2페달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는 타단부가 상기 링크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2페달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절첩 상태이며, 상기 캐스터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판 쪽으로 상승하여 상기 캐스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레그의 하단부보다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의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1페달의 상기 프론트 힌지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하판의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페달의 상기 제2중간 힌지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제1페달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은 하강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1페달을 밟아서 하강시키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있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된 링크부재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레그의 하단부보다 상기 캐스터가 더 아래로 내려오고, 상기 제2페달은 상기 제1페달과 반대되는 상부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아래 위치로 들어가서 상기 제2페달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하판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구비된 상기 캐스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레그 하단부보다 더 위로 상승할 때에 완충 작용을 하는 쇽업 쇼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페달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은 하강된 상태이고, 상기 제2페달의 선단부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링크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2페달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절첩 상태이며, 상기 쇽업 쇼버는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상기 하판에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 선단부에서 인출되는 쇽업 샤프트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하판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페달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은 상승된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과 이에 장착된 캐스터는 상기 하판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도록 내려와서 상기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그는 지면 위로 뜨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페달의 선단부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와 상기 제2페달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를 기준으로 절첩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레그 하단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페달이 상승하고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의 상면이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저면이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페달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벌어진 각도는 180°를 초과하여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의 선단부가 상기 제2페달의 상면에 눌려진 상태로 상기 제2페달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페달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쇽업 쇼버홀을 통과하여 상기 쇽업 쇼버가 결합되어 상기 쇽업 쇼버의 기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하판 저면의 제2브라켓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 선단부의 상기 쇽업 샤프트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쇽업 쇼버가 상기 제2페달의 경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페달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페달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페달은 상기 한 쌍의 페달 아암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2중간 힌지부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 및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에 의해 상기 하판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의 저면에는 한 쌍의 나란한 제1페달 장착편을 구비한 제2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페달 장착편에는 쇽업 쇼버의 기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 선단부의 쇽업 샤프트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페달은 상기 제2중간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하향 브라케편에 연결된다.
상기 레그는 교차되는 한 쌍의 레그편을 구비한 단면 형상의 바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의 상기 한 쌍의 레그편은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그편에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하판의 코너부가 결합되어 상기 레그편을 관통하는 체결구로 고정된다.
상기 레그편의 하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레벨러 서포트편이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 서포트편에 볼트식 회전 승하강 구조의 레벨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시 모드와 정지 작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캐스터가 지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와 레그가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레그마다 실린더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없고, 유압 펌프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경우도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기존에 비하여 들어가는 부품수도 많이 줄어들고 구조 자체도 기존에 비하여 많이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의 레그가 캐스터보다 지면에서 위로 올라가 있다가 지면에 접촉되는 정지 작업 모드(고정 모드)로 전환시에는 쇽업 쇼버에 의해 완충 기능함으로써 레그가 지면에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리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페달과 제2페달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페달과 제2페달에 의해 각각 정지 모드와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페달과 제2페달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페달과 제2페달에 의해 각각 정지 모드와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에 링크부재(20)를 매개로 캐스터 프레임(30)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페달(40)과 제2페달(5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와 캐스터 프레임(30)의 캐스터(32)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전환되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위쪽의 상판(14)과 아래쪽의 하판(16)에 복수개의 레그(12)에 의해 연결된 육면체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상판(14)은 네 코너부가 있는 사각판 형상이다. 본 발명에서 상판(14)의 저면에는 상판 서포트 프레임이 구비된다. 상판 서포트 프레임은 상면이 상판(14)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판(14)의 저면에 고정되거나 용접 등으로 상판(14)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판 서포트 프레임이 사각판 구조의 서포트판의 둘레부에 하향으로 테두리부가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서포트판의 아래에서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를 상판(14)의 저면에 체결함으로써 상판(14)의 저면에 상판 서포트 프레임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판(14)의 네 코너부 위치에는 레그(12)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레그(12)는 교차되는 한 쌍의 레그편(12a)을 구비한 단면 기역자 형상의 바아 구조이다. 한쪽 레그편(12a)과 다른 쪽 레그편(12a)은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어서, 레그(12)가 한 쌍의 레그편(12a)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된 단면 기역자 바아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레그(12)의 각 레그편(12a)의 안쪽면이 상판(14)의 저면에 구비된 상판 서포트 프레임의 코너부의 서로 인접된 한 쌍의 직교하는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나 용접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판 서포트 프레임의 전후 좌우 테두리부의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테두리부 외표면에 레그(12)의 각 레그편(12a)의 안쪽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구나 용접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판(14)의 네 코너부에 인접한 아래 위치에 네 개의 레그(12)가 각각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하판(16)은 네 코너부가 있는 사각판 형태로서, 하판(16)의 네 코너부의 한 쌍의 서로 직교하는 면이 레그(12)의 각 레그편(12a)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나 용접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하판(16)은 하판(16) 패널의 네 군데 둘레부에 전후 좌우 테두리부가 하향 연장된 판 구조로서, 전후 좌우 테두리부의 서로 직교하는 한 쌍의 테두리부 외표면이 레그(12)의 각 레그편(12a)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나 용접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레그(12)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레그(12)의 한 쌍의 레그편(12a)은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그편(12a)에 메인 프레임(10)(10)에 구비된 하판(16)(16)의 코너부가 결합되어 레그편(12a)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된다. 따라서, 레그(12)를 기준으로 상부측의 상판(14)과 하부측의 하판(16)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의 메인 프레임(10)이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0)은 레그(12)와 상판(14) 및 하판(16)에 의해 육면체 틀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레그(12)는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레벨러 서포트편(12b)이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 서포트편(12b)에 볼트식 회전 승하강 구조의 레벨러(13)가 결합되어 있다. 레벨러의 상면 중심부에 구비된 볼트가 레그(12)의 레벨러 서포트편에 나사 회전식으로 결합되어, 레벨러가 레그(12)의 레벨러 서포트편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하판(16)에는 링크부재(20)의 상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하판(16)의 좌우 양쪽 측단부에 링크부재(20)의 상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링크부재(20)가 상단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하판(16)의 좌우 양쪽 측면부에 전후 좌우 두 개씩의 링크부재(20)의 상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네 개의 링크부재(20)가 하판(16)의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힌지부를 매개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판(16)의 측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링크부재(20)가 상단부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링크부재(20)의 하단부에는 힌지부(62)에 의해 캐스터 프레임(30)이 연결되어 있다. 캐스터 프레임(3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과 마주하는 위치에 수평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캐스터 프레임(30)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 바아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캐스터 프레임(30)이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 프레임 바아보다 더 앞쪽에 위치됨과 동시에 더 아래쪽에 배치된 캐스터 프레임 승강 지지바아가 구비된다. 캐스터 프레임 승강 지지바아의 양단부측 상면이 캐스터 프레임(30)의 좌우 양쪽 프레임 바아 저면에 용접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물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캐스터 프레임 승강 지지바아가 캐스터 프레임(30)의 좌우 양쪽 프레임 바아에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사각틀 형태의 캐스터 프레임(30)의 양쪽 측면부가 링크부재(20)의 하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서 캐스터 프레임(30)이 링크부재(20)를 기준으로 상기 하판(16)의 아래에서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스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좌우 양쪽의 프레임 바아에 링크부재(20)의 하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0)를 기준으로 캐스터 프레임(3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에 근접되거나 하판(16)에서 멀어지도록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측면에서 볼 때에 캐스터 프레임(30)이 링크부재(20)와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하판(16)쪽으로 올라가면 링크부재(20)는 상하단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접혀지고, 캐스터 프레임(30)이 링크부재(20)와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하판(16)쪽에서 아래로 내려오면 링크부재(20)는 상하단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펼쳐진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저면에는 캐스터(32)가 장착된다. 캐스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전후 두 개의 프레임 바아 저면에 볼트와 브라켓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캐스터 프레임(30)의 전후 프레임 바아 저면에 장착된 구조이다. 캐스터 프레임(30)의 저면에 전후 좌우 네 개의 캐스터(3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캐스터 프레임(30)이 하판(16)과의 연결체인 링크부재(20)와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하판(16)쪽으로 상승하면 캐스터(32)도 상승하고 캐스터 프레임(30)이 링크부재(20)와 힌지부들을 기준으로 하판(16)쪽에서 아래로 하강하면 캐스터(32)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캐스터 프레임(30)에는 힌지부에 의해 제1페달(40)이 연결되는데, 제1페달(40)은 메인 프레임(10)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에 캐스터 프레임(30)과 캐스터(32)를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는 제1브라켓(62)이 구비된다. 제1브라켓(62)은 하판(16)의 저면에 고정된 연결 브라켓편(CB)과, 이 연결 브라켓편(CB)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하향 연장된 한 쌍의 나란한 페달 장착편(PS)을 구비한다. 제1브라켓(62)의 연결 브라켓편(CB) 상면이 용접 등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제1브라켓(62)이 대략 역 유자형으로 배치된다. 즉, 제1브라켓(62)의 연결 브라켓편(CB)은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고정되고, 두 개의 나란한 페달 장착편(PS)은 하판(16)의 저면에서 아래로 더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판(16)의 전면측 저면에 제1브라켓(6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페달(40)은 두 개의 나란한 페달 아암(PA)과, 이 페달 아암(PA)의 기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페달판을 포함한다. 제1페달(40)을 상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페달 아암(PA)이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페달판은 두 개의 페달 아암(PA) 기단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제1페달(4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페달 아암(PA)은 기단부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하향 연장된 경사 페달 아암(PA)부와, 이 경사 페달 아암(PA)부에 이어져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페달 아암(PA)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페달(40)은 힌지부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과 캐스터 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페달(40)의 힌지부는 제1페달(4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제1중간 힌지부(42)와, 상기 제1페달(40)의 선단부를 하판(16)에 연결하는 제1프론트 힌지부(44)(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간 힌지부(42)는 캐스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전방의 프레임 바아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 프레임 바아 전면으로 축결합편이 구비되고, 축결합편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페달(40)의 페달 아암(PA)은 대략 중간 부분(즉, 경사 페달 아암(PA)부와 수평 페달 아암(PA)부가 이어진 부분)에 축지지편이 구비되고, 축지지편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측의 축결합편의 구멍과 제1페달(40)측의 축지지편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결합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축지지편과 축결합편의 구멍들과 볼트에 의해 제1페달(40)의 제1중간 힌지부(42)가 구성된다. 제1페달(40)이 제1중간 힌지부(42)를 기준으로 캐스터 프레임(30)에 장착(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에 장착)된 구조를 가지면서 동시에 제1중간 힌지부(42)를 기준으로 제1페달(4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론트 힌지부(44)는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구비된 제1브라켓(62)에 제1페달(40)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브라켓(62)의 양쪽 나란한 페달 장착편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페달(40)의 양쪽 나란한 페달 아암(PA)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62)측의 구멍과 제1페달(40)측의 페달 아암(PA)의 선단부측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결합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62)과 제1페달(40)의 구멍들과 볼트에 의해 제1페달(40)의 제1프론트 힌지부(44)가 구성된다. 제1페달(40)이 제1프론트 힌지부(44)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에 제1브라켓(62)과 제1프론트 힌지부(44)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면서 제1페달(40)의 제1프론트 힌지부(44)는 메인 브라켓의 하판(16)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제2페달(50)은 힌지부와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과 캐스터 프레임(3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페달(50)의 힌지부는 제2페달(50)의 대략 중간 부분과 하판(16) 사이를 연결하는 제2중간 힌지부(52)와,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와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제2프론트 힌지부(54)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제2페달 연결링크 힌지부(58)를 포함한다.
상기 제2페달(50)은 두 개의 양쪽 페달 아암(PA)의 기단부측에 페달판이 구비된 구조인데, 제2페달(50)의 두 개의 양쪽 페달 아암(PA)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페달(5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쇽업 쇼버홀(50SH)이 구비된다.
상기 제2중간 힌지부(52)는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구비된 제2연결 브라켓에 제2페달(50)의 대략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2브라켓(64)의 양쪽 나란한 페달 장착편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페달(50)의 양쪽 나란한 페달 아암(PA)에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64)측의 구멍과 제2페달(50)측의 페달 아암(PA)의 대략 중간 부분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결합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64)과 제2페달(50)의 구멍들과 볼트에 의해 제2페달(50)의 제2중간 힌지부(52)가 구성된다. 제2페달(50)이 제2중간 힌지부(52)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의 제2브라켓(64)과 제2중간 힌지부(52)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면서 제2페달(50)의 제2중간 힌지부(52)는 메인 브라켓의 하판(16)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고정된 제2브라켓(64)은 양쪽 페달 장착편이 제1페달(40)의 양쪽 두 개의 페달 아암(PA) 내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페달(50)의 양쪽 페달 아암(PA)은 제2브라켓(64)의 양쪽 페달 장착편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는 제2페달(50)의 선단부와 캐스터 프레임(30)의 기단부측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좌우 양쪽 한 쌍의 링크 연결편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측에는 두 개의 좌 양쪽 페달 아암(PA)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링크 연결편 사이에 제2페달(50)의 양쪽 두개의 페달 아암(PA)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 연결편의 구멍과 제2페달(50)의 양쪽 페달 아암(PA)에 형성된 구멍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볼트를 결합하고, 볼트에는 너트를 체결하여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형성한다. 즉,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기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제2페달(50)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구멍 및 이러한 구멍들에 동시에 결합된 볼트가 제2페달(50) 선단부의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구성한다.
상기 제2페달 연결링크 힌지부(58)는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전방의 프레임 바아 후면에 제2페달 연결링크 힌지부(58)가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 프레임 바아 후면으로 링크 결합편이 구비되고, 링크 결합편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에는 양쪽 두 개의 나란한 링크 힌지부 연결편이 구비되고, 링크 힌지부 연결편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측의 링크 결합편의 구멍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측의 링크 힌지부 연결편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를 결합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링크 결합편과 링크 힌지부 연결편의 구멍들과 볼트에 의해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제2페달 연결링크 힌지부(58)가 구성된다.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가 제2페달 연결링크 힌지부(58)를 기준으로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기 제2패달 연결링크 힌지부와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페달(40)이 제2페달(50)보다 위쪽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페달(50)은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동되어 있는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제2페달(50) 연결링크는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대략 대칭되는 위치에서 선단부측이 아래로 내려가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페달(50)에 제2중간 힌지부(52)를 통해서 연결된 제2브라켓(64)과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는 힌지부를 통해서 쇽업쇼버가 연결되어 있다. 쇽업 쇼버(70)는 제2페달(5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길이 방향의 길다란 장공 형태의 쇽업 쇼버홀(50SH)을 관통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쇽업 쇼버(70)의 기단부는 양면으로 연통된 구멍과 상기 제2페달(50)의 양쪽 레버 장착편에 형성된 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에 의해 상기 제2브라켓(6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쇽업 쇼버(70)의 기단부는 양면으로 연통된 구멍과 상기 제2페달(50)의 양쪽 레버 장착편에 형성된 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가 쇽업 쇼버(70) 기단부측 힌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쇽업 쇼버(70)의 선단부로 인출되는 쇽업 샤프트는 양측으로 연통된 구멍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구비된 쇽업 연결 지지편의 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쇽업 샤프트는 양측으로 연통된 구멍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구비된 쇽업 연결 지지편의 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가 쇽업 쇼버(70) 선단부측 힌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쇽업 쇼버(70)는 제2페달(50)의 쇽업 쇼버홀(50SH)을 관통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제2페달(50)의 길이 방향과 대략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페달(40)이 제2페달(50)보다 위쪽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페달(50)은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동되어 있는 상태이고 동시에 상기 제2페달(50) 연결링크는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대략 대칭되는 위치에서 선단부측이 아래로 내려가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쇽업 쇼버(70)가 제2페달(50)과 대략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는 탄성체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제2페달(50)의 대략 중간부에 구비된 스프링 연결핀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캐스터 프레임(30)의 전방에 구비된 프레임 바의 저면에는 볼트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2페달(50)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은 쇽업 쇼버(70)와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가 지면에 닿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판(14)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고소 작업과 같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동할 때에는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를 지면 위로 들어올리고 캐스터(32)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이동시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데에 주요 특징이 있는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식 작업대를 정지 작업시 모드와 이동시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가 지면에 닿아서 지지되어 있는 정지 작업 모드인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정지 작업 모드>
정지 작업 모드에서는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12)의 하단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닿아 있어서 작업자가 메인 프레임(10)의 상판(14) 위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된다. 정지 작업 모드에서는 제1페달(4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을 기준으로 더 위쪽으로 올라가 있고, 제2페달(50)은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을 기준으로 더 아래로 내려가 있다. 즉, 제1페달(40)은 위로 올라간 상태이고 제2페달(50)은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이다. 제1페달(40)의 선단부가 제1프론트 힌지부(44)(44)에 의해 연결된 제1페달(40) 연결용 제1브라켓(62)은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수직 배치되어 있고, 제1페달(40)의 대략 중간부는 힌지부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아래의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2페달(50)의 선단부에는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매개로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타단부는 캐스터 프레임(30)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절첩 상태이다. 그리고, 쇽업 쇼버(70)는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하판(16)에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70) 선단부에서 인출되는 쇽업 샤프트(72)는 힌지부에 의해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는데, 캐스터 프레임(30)과 캐스터(32)가 하판(16) 쪽으로 올라가서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가 지면에 닿아있는 정지 작업 모드에서는 상기 쇽엽 샤프트가 쇽업 쇼버(70)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축소되어 있는 상태)이다. 캐스터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는 수평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 연결된 탄성체는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2페달(50)이 아래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동시 모드>
정지 작업시 모드에서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올라가 있는 제1페달(40)이 제1중간 힌지부(42)와 제1프론트 힌지부(44)(44)를 기준으로 아래로 회동되어 내려가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아래에 있는 캐스터 프레임(30)과 캐스터(32)는 메인 프레임(10)과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된 링크부재(20)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12)의 하단부보다 캐스터(32)가 더 아래로 내려오는 한편, 상기 제2페달(50)은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저면에 제2브라켓(64)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제2중간 힌지부(52)를 기준으로 제1페달(40)이 내려오는 방향과 반대되는 올라가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와 캐스터 프레임(30)과의 연결 부분인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상향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상태)가 되고, 이처럼 제2페달(50)과 함께 펼쳐진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측 아래로 제2페달(50)의 선단부측이 들어가면서 상기 제2페달(50)과 프레임 연결 링크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과 캐스터 프레임(3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0)가 그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캐스터 프레임(30)과 이에 장착된 캐스터(32)가 하판(16)에서 밑으로 내려와서 캐스터(32)는 지면에 접촉되고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는 위로 뜬 상태로 전환된다. 제1페달(40)을 작업자가 발로 밟아서 아래로 회동시켜 밀어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2페달(50)이 제2중간 힌지부(52)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올라가고,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는 제2페달(50)과의 연결 부분인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동되어 펼쳐짐으로써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서로 벌어지는 펼침 상태(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데,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펼쳐진 각도가 다시 아래로 접혀지는 임계 각도 범위를 넘어가기 때문에,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향 회동되어 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처럼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향 회동되어 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캐스터 프레임(30)과 캐스터(32)가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12)의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와서 캐스터(32)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펼쳐진 각도가 다시 아래로 접혀지는 임계 각도(즉,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다시 펼쳐지도록 하는 임계 각도)는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일직선으로 펼쳐진 180°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펼쳐진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를 넘어가서 펼쳐지기 때문에,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시 모드에서는 쇽업 쇼버(70)에 구비된 쇽업 샤프트(72)는 쇽업 쇼버(70)의 선단부에서 인출된 상태이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이에 장착된 캐스터(32)가 상기 링크부재(20)와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판(16)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선단부의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쇽업 샤프트(72)도 쇽업 쇼버(70)의 선단부에서 길게 인출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 연결된 탄성체는 늘어나서 자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임계 각도 이상의 각도(즉,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서로 나란하게 펼쳐진 180°보다 더 큰 각도)로 벌어져서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가 지면에서 뜬 상태로 유지될 때에 상기 탄성체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2페달(50)을 아래로 당겨줌으로써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기 임계 각도 이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2페달(50)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기 임계 각도 이상 벌어진 상태를 탄성체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함으로써 제2페다려50)을 발로 밟아서 아래로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캐스터 프레임(30)이 내려와서 캐스터(32)가 지면에 닿고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는 지면 위로 떠 있는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정지 작업 모드로의 재전환>
이동시 모드에서는 제1페달(40)이 아래로 내려온 상태이고 제2페달(50)은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즉, 제1페달(40)은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을 기준으로 아래로 더 내려가 있고 제2페달(50)은 상기 하판(16)을 기준으로 위로 더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상기 이동시 모드에서 위로 올라가 있는 제2페달(5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에 제2브라켓(64)을 매개로 연결된 제2중간 힌지부(52)를 기준으로 아래로 회동되어 내려가면, 제2페달(50)의 선단부에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매개로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캐스터(32) 연결 링크가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다시 접혀지고 동시에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타단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캐스터 프레임(30)에 대해 회동되는 한편,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10)의 하판(16)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부재(20)는 그 힌지부를 기준으로 다시 위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어서 캐스터 프레임(30)이 상기 하판(16)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동시에 상기 하판(16) 위로 다시 올라가므로, 캐스터 프레임(30)에 장착된 캐스터(32)가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 하단부보다 더 위로 올라가서 지면에서 뜨게 된다. 이때, 상기 쇽업 쇼버(70)의 길게 인출되어 있던 쇽업 샤프트(72)는 캐스터 프레임(30)이 다시 원래 위치로 후진하면서 상승함에 따라 다시 쇽업 바디의 선단부에서 쇽업 바디 내부로 후퇴하므로, 쇽업 쇼버(70)의 내부로 쇽업 샤프트(72)가 서서히 들어가면서 완충 작용을 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10)과 레그(12)가 급속하게 하강하여 레그(12) 하단부가 지면에 큰 충력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쇽업 쇼버(70)의 쇽업 샤프트(72)가 서서히 쇽업 바디로 들어가면서 완충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에 정지 작업 모드로의 재전환시에 메인 프레임(10)과 레그(12)가 급속하게 하강하지 않고 부드럽게 내려오기 때문에, 상기 레그(12)의 하단부가 지면에 쾅하고 부딪히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작업대는 이동시 모드와 정지 작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캐스터(32)가 지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와 레그(12)가 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 메인 프레임(10)의 각 레그(12)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레그(12)마다 실린더가 장착되기 때문에, 유압펌프의 용량이 커져야 하고, 부품수가 많이 들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나아가 제품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 레그(12)마다 실린더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없고, 유압 펌프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경우도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기존에 비하여 들어가는 부품수도 많이 줄어들고 구조 자체도 기존에 비하여 많이 간단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가 캐스터(32)보다 지면에서 위로 올라가 있다가 지면에 접촉되는 정지 작업 모드(고정 모드)로 전환시에는 쇽업 쇼버(70)에 의해 완충 기능함으로써 레그(12)가 지면에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리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레그(12)가 지면에 너무 심하게 부딪히면 이동식 작업대 자체에 충격이 가해져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 위에 올려놓은 물건이 작업대 밑으로 떨어지게 되어 파손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레그(12)가 지면에 너무 심하게 쾅하고 부딪히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상판 위에 올려놓은 물건이 지면으로 떨어져서 소손이 생기는 경우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쇼버는 작업대 자체의 충격도 방지하고 작업대 위의 물건이 떨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메인 프레임
12. 레그
12a. 레그편 12b. 레벨러 서포트편
13. 레벨러 14. 상판
16. 하판 20. 링크부재
30. 캐스터 프레임 32. 캐스터
40. 제1페달 42. 제1중간 힌지부
44. 제1프론트 힌지부 50. 제2페달
52. 제2중간 힌지부 54. 제2프론트 힌지부
56.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 58. 링크 힌지부
62. 제1브라켓 64. 제2브라켓
70. 쇽업 쇼버 72. 쇽업 샤프트
12a. 레그편 12b. 레벨러 서포트편
13. 레벨러 14. 상판
16. 하판 20. 링크부재
30. 캐스터 프레임 32. 캐스터
40. 제1페달 42. 제1중간 힌지부
44. 제1프론트 힌지부 50. 제2페달
52. 제2중간 힌지부 54. 제2프론트 힌지부
56.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 58. 링크 힌지부
62. 제1브라켓 64. 제2브라켓
70. 쇽업 쇼버 72. 쇽업 샤프트
Claims (14)
- 복수개의 레그(12)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10);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상단부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20);
상기 링크부재(20)의 하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하측에는 복수개의 캐스터(32)가 구비된 캐스터 프레임(30);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보다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강시키는 제1페달(40);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페달(40)이 하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회동되어 있다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보다 더 위로 상승시키는 제2페달(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판(16)이 구비되고,
상기 제1페달(40)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페달(4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제1중간 힌지부(42)와, 상기 제1페달(40)의 선단부를 상기 하판(16)에 연결하는 제1프론트 힌지부(44)(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패달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페달(5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상기 하판(16)에 연결하는 제2중간 힌지부(52)와,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를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제2프론트 힌지부(54)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타단부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하는 링크 힌지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달(4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50)은 하강된 상태이고,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는 타단부가 상기 링크 힌지부(58)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2페달(5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절첩 상태이며,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판(14) 쪽으로 상승하여 상기 캐스터(32)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12)의 하단부보다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6)의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1브라켓(6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페달(40)의 상기 프론트 힌지부가 상기 제1브라켓(62)에 연결되고, 상기 하판(16)의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브라켓(64)이 구비되고, 상기 제2페달(50)의 상기 제2중간 힌지부(52)는 상기 제2브라켓(64)에 연결되며,
상기 제1페달(4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50)은 하강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1페달(40)을 밟아서 하강시키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있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는 상기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된 링크부재(20)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12)의 하단부보다 상기 캐스터(32)가 더 아래로 내려오고, 상기 제2페달(50)은 상기 제1페달(40)과 반대되는 상부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아래 위치로 들어가서 상기 제2페달(5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장착된 상기 캐스터(32)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하판(16)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구비된 상기 캐스터(32)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보다 더 위로 상승할 때에 완충 작용을 하는 쇽업 쇼버(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하판(16)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페달(4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50)은 하강된 상태이고,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타단부는 상기 링크 힌지부(58)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2페달(5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절첩 상태이며,
상기 쇽업 쇼버(70)는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상기 하판(16)에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70) 선단부에서 인출되는 쇽업 샤프트(72)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하판(16)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페달(4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50)은 상승된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이에 장착된 캐스터(32)는 상기 하판(16)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도록 내려와서 상기 캐스터(32)가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레그(12)는 지면 위로 뜨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페달(50)의 선단부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양단부가 연결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와 상기 제2페달(50)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절첩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30)과 상기 캐스터(32)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기 레그(12) 하단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페달(50)이 상승하고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페달(50)의 상면이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저면이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를 기준으로 상기 제2페달(50)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벌어진 각도는 180°를 초과하여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의 선단부가 상기 제2페달(50)의 상면에 눌려진 상태로 상기 제2페달(5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페달(5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쇽업 쇼버홀(50SH)을 통과하여 상기 쇽업 쇼버(70)가 결합되어 상기 쇽업 쇼버(70)의 기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하판(16) 저면의 제2브라켓(64)에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70) 선단부의 상기 쇽업 샤프트(72)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상기 쇽업 쇼버(70)가 상기 제2페달(50)의 경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달(40)은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양쪽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페달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페달(50)은 상기 한 쌍의 페달 아암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2중간 힌지부(52)와 상기 제2프론트 힌지부(54) 및 상기 캐스터 프레임 연결링크(56)에 의해 상기 하판(16)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0)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6)의 저면에는 한 쌍의 나란한 제1페달 장착편(PS)을 구비한 제2브라켓(64)이 구비되고, 상기 제2브라켓(64)의 상기 제2페달 장착편(PS)에는 쇽업 쇼버(70)의 기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쇽업 쇼버(70) 선단부의 쇽업 샤프트(72)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 프레임(30)에 연결되며, 상기 제2페달(50)은 상기 제2중간 힌지부(52)에 의해 상기 제2하향 브라케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12)는 교차되는 한 쌍의 레그편(12a)을 구비한 단면 형상의 바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12)의 상기 한 쌍의 레그편(12a)은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그편(12a)에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구비된 하판(16)의 코너부가 결합되어 상기 레그편(12a)을 관통하는 체결구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편(12a)의 하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레벨러 서포트편(13)이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 서포트편(13)에 볼트식 회전 승하강 구조의 레벨러(13)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226A KR101582889B1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식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226A KR101582889B1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식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3892A true KR20150133892A (ko) | 2015-12-01 |
KR101582889B1 KR101582889B1 (ko) | 2016-01-08 |
Family
ID=5488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0226A KR101582889B1 (ko) | 2014-05-20 | 2014-05-20 | 이동식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889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76U (ko) * | 2017-09-07 | 2019-03-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패널 제작용 지그 |
KR101969322B1 (ko) * | 2018-11-16 | 2019-04-17 | (주)유창 |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
KR20190111201A (ko) | 2018-03-22 | 2019-10-02 | 유수원 | 승강식 캐스터를 구비한 작업발판 |
CN110497370A (zh) * | 2019-09-18 | 2019-11-26 | 昆山市广程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安全工作平台 |
KR200490601Y1 (ko) * | 2018-07-09 | 2019-12-05 | 김슬기 | 교육용 장비 보조 공구대 |
CN110893608A (zh) * | 2019-12-23 | 2020-03-20 |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式钢板开坡口胎架 |
CN111084454A (zh) * | 2019-12-04 | 2020-05-01 | 钟媛媛 | 一种服装加工用充绒机的多功能充绒工作台 |
KR20200070784A (ko) * | 2018-12-10 | 2020-06-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스마트 작업대 |
KR102219439B1 (ko) | 2019-10-15 | 2021-02-23 | 유수원 | 발판 사다리 |
IT202000001027A1 (it) * | 2020-01-21 | 2021-07-21 | Bramac S R L | Struttura per il supporto di macchine per la cucitura di articoli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3601B1 (ko) | 1995-12-27 | 1999-02-18 | 김태구 | 다용도 이동 작업대 |
KR100619877B1 (ko) | 2005-08-04 | 2006-09-06 | (주)태진이엔지 | 수동식 승강작업대 |
KR100655683B1 (ko) | 2006-01-20 | 2006-12-14 | 최재호 | 누름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 |
US20130056610A1 (en) * | 2005-03-31 | 2013-03-07 | Stephen F. Gass | Mobile base for a table saw |
-
2014
- 2014-05-20 KR KR1020140060226A patent/KR101582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3601B1 (ko) | 1995-12-27 | 1999-02-18 | 김태구 | 다용도 이동 작업대 |
US20130056610A1 (en) * | 2005-03-31 | 2013-03-07 | Stephen F. Gass | Mobile base for a table saw |
KR100619877B1 (ko) | 2005-08-04 | 2006-09-06 | (주)태진이엔지 | 수동식 승강작업대 |
KR100655683B1 (ko) | 2006-01-20 | 2006-12-14 | 최재호 | 누름에 의해 이동되는 작업대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76U (ko) * | 2017-09-07 | 2019-03-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패널 제작용 지그 |
KR20190111201A (ko) | 2018-03-22 | 2019-10-02 | 유수원 | 승강식 캐스터를 구비한 작업발판 |
KR200490601Y1 (ko) * | 2018-07-09 | 2019-12-05 | 김슬기 | 교육용 장비 보조 공구대 |
KR101969322B1 (ko) * | 2018-11-16 | 2019-04-17 | (주)유창 | 스피드 패널 제조장치 |
KR20200070784A (ko) * | 2018-12-10 | 2020-06-1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스마트 작업대 |
CN110497370A (zh) * | 2019-09-18 | 2019-11-26 | 昆山市广程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安全工作平台 |
KR102219439B1 (ko) | 2019-10-15 | 2021-02-23 | 유수원 | 발판 사다리 |
CN111084454A (zh) * | 2019-12-04 | 2020-05-01 | 钟媛媛 | 一种服装加工用充绒机的多功能充绒工作台 |
CN110893608A (zh) * | 2019-12-23 | 2020-03-20 |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式钢板开坡口胎架 |
CN110893608B (zh) * | 2019-12-23 | 2024-05-31 |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式钢板开坡口胎架 |
IT202000001027A1 (it) * | 2020-01-21 | 2021-07-21 | Bramac S R L | Struttura per il supporto di macchine per la cucitura di articoli |
EP3854926A1 (en) * | 2020-01-21 | 2021-07-28 | Bramac S.r.l. | A structure for supporting sewing machi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889B1 (ko) | 2016-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2889B1 (ko) | 이동식 작업대 | |
US7712422B2 (en) | Folding table | |
TWI546488B (zh) | 可收折腳架 | |
US9700135B2 (en) | Electric height adjustable desk with synchronous moving mechanical footrest | |
CN109549341A (zh) | 一种折叠桌凳 | |
US5890737A (en) | Pothole protection mechanism for a lifting device | |
KR200475607Y1 (ko) | 다기능 사다리 | |
JP2016540548A5 (ko) | ||
CN209284468U (zh) | 折叠桌凳 | |
GB2606679A (en) | Foldable play yard | |
US9314104B2 (en) | Sleep system mechanism | |
JP2016130150A (ja) | 車両整備用リフト | |
JP6431382B2 (ja) | 車両用リフト装置 | |
KR20140004886U (ko) | 높낮이 조절가능한 상판 | |
KR102370475B1 (ko) |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 |
KR20130084478A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US2922463A (en) | Combination chair-table device | |
JP6391551B2 (ja) | 移動用モニタースタンド | |
CN103040265A (zh) | 一种导演椅 | |
KR101332096B1 (ko) | 테이블 지지장치 | |
JP3156061U (ja) | 昇降調節式作業台 | |
JP6482309B2 (ja) | 昇降機構及び家具 | |
KR102004362B1 (ko) | 농산물 작업용 테이블 | |
KR200410355Y1 (ko) | 트랙터용 써레 | |
KR101552245B1 (ko) |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