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221B1 -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21B1
KR101967221B1 KR1020170047800A KR20170047800A KR101967221B1 KR 101967221 B1 KR101967221 B1 KR 101967221B1 KR 1020170047800 A KR1020170047800 A KR 1020170047800A KR 20170047800 A KR20170047800 A KR 20170047800A KR 101967221 B1 KR101967221 B1 KR 10196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raved
plate
transparent
cell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462A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늘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늘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늘조경
Priority to KR102017004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에 관렴되며, 이때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은 디자인 문양을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조각셀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S1),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판재(100) 이면 가공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Method of arranging design cell of guide panel and signs for both main and night using it}
본 발명은 안내패널의 독립 조각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 문양을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조각셀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간판, 표지판, 입체액자, 마감판넬 등에 사용되는 디자인패널은 채색을 이용한 평면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수요자들은 평면디자인의 제한된 디자인 표현으로 인해 쉽게 실증을 느끼면서 보다 다양하고 독특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게시된 등록특허 10-1238899호에서, 적어도 일 면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면 발광체와, 전면에 샌드 블라스트 가공되어 나뭇결 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면 발광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면 발광체를 노출시키는 천공부가 형성된 목재 패널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 블록과, 상기 면 발광체가 밀폐되도록 상기 면 발광체가 삽입된 상기 수용홈 내부에 채워져 상기 면 발광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목재 패널에 천공부를 형성하여 간접 조명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부 발광체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기술이나, 천공부가 따내기 형성되는 특성상 빛이 투과되는 영역 디자인이 제한되는 실정이다.
즉, 종래기술의 자전거 바퀴와 같이 링형 천공부를 가지는 디자인의 경우, 바퀴모양으로 따내기 제거후 바퀴 내부에 존재하는 원형판이 어디에도 고정되지 못하는 독립된 조각셀로 존재하므로, 이후 조각셀을 정위치에 재배치하는 까다로운 작업이 수반되고, 특히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는 경우 초기 도안과 천공부를 가공후 디자인이 상이하여 디자이너 또는 수요자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디자인 문양을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조각셀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면서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판재(100) 이면에 투광부(20)와 양각부(12) 단면이 노출되도록 가공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수지접착제는 투명 또는 투명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의 색상을 음각부(14) 영역별 및 음각부(14)에 복층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100) 전면에는 디자인 문양(10)을 포함하는 확장된 영역을 가지면서 음각부(14) 대비 얕은 깊이로 마감홈부(18)를 형성되어 투명 수지접착제가 코팅되는 마감코팅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100) 어느 일면에는 투광부(20)를 통하여 광원이 발산되도록 백라이트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이용한 주, 야간 겸용 표지판은,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음각부(14);
상기 음각부(14)의 미가공 두께에 의해 판재(100) 바닥에서 양각부(1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바닥판부(16);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도록 구비되는 투광부(20);
상기 판재(100) 이면으로 투광부(20)와 양각부(12) 단면이 노출되도록 바닥판부(16)를 제거하고, 판재(100)의 어느 일면에 백라이트부(30)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자인 문양을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조각셀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의 투광부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의 마감홈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의 백라인트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에 관렴되며, 이때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은 디자인 문양을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조각셀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S1),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판재(100) 이면 가공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은, 나무결이 표현되는 목판으로 형성되는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가공하여 바닥판부(16)를 남기고 음각부(14)를 형성하고, 음각부(14)에 의해 판재(100)와 독립된 조각셀(200)이 형성되며, 조각셀(200) 내에는 음각부(14)를 가공후 남은 양각부(12)에 의해 디자인 문양(10)이 양각라인(11)으로 형성되는 단계(S1),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판재(100), 조각셀(200),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면서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판재(100) 이면에 투광부(20)와 양각부(12) 나무결 단면이 노출되도록 바닥판부(16)를 가공하여 제거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S3)단계에서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기 전까지 바닥판부(16)에 의해 조각셀(200)이 판재(100)에 연결되고, 바닥판부(16)를 제거 후에는 투광부(20)에 의해 조각셀(200)이 판재(100)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판재(100) 어느 일면에는 투광부(20)를 통하여 광원이 발산되도록 백라이트부(30)가 구비되어, 양각라인(11)의 나무결이 디자인 문양(10)으로 표현되고, 야간 표지판으로 이용시 백라이트부(30)의 광원이 발산되는 투광부(20)를 통하여 주간의 디자인 문양(10)과 상이한 디자인 문양이 표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S1)
본 발명에 따른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S1)는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음각부(1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판재(100)는 나무, 금속, 수지, 석재를 포함하는 가공가능한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바, 본원에서는 일실시예로서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자연친화적인 무늬가 표현되는 목판을 이용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판재(100)는 양면이 평면가공되거나, 적어도 후술하는 바닥판부(16)가 형성되는 이면이 평면가공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면이 이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전면에 양각부(14)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음각부(14)와 함께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자인 문양(10)은 도 2에서 단순한 원형 조각셀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도 6 내지 7과 같이 복수개의 조각셀이 배치되는 복잡한 장미 디자인으로 형성하더라도,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음각부(14)에 의해 판재(100) 바닥에 미가공된 바닥판부(16)가 독립 배치된 양각부(12)들을 지지하여 초기 디자인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 상기 판재(100) 전면에는 디자인 문양(10)을 포함하는 확장된 영역을 가지면서 음각부(14) 대비 얕은 깊이로 마감홈부(18)를 형성되어 투명 수지접착제가 코팅되는 마감코팅층(40)이 더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판재(1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 표층을 단일 구획으로 마감처리하도록 마감홈부(18)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에서 마감홈부(18)에 수지접착제를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판재(100) 전면이 비, 바람,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판재(100)를 내수성이 약한 목판으로 형성하더라도 수명이 장구히 유지된다.
2.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본 발명에 따른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는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면서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수지접착제는 액상으로 음각부(14)에 투입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후 고체형태로 경화되는 에폭시, FRP 등을 사용하고, 야간 표지판으로 이용시 백라이트부(30)의 광원이 용이하게 발산되도록 빛투과율이 우수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지접착제는 음각부(14)를 메우는 충진재 기능과, 각각의 양각부 측면에 접착되어 독립된 조각셀을 고정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백라이트부(30) 광원을 투과시키는 투광부(20)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지접착제는 투명 또는 투명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의 색상을 음각부(14) 영역별 및 음각부(14)에 복층 코팅된다. 도 2에서 수지접착제는 단일종의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투광부(20)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장미 디자인의 꽃잎영역 음각부(14) 바닥층에 빨강, 잎새영역 음각부(14)에 초록 색상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부층에 투명 수지접착제를 코팅처리한 상태를 도시한다.
3.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는 단계(S3)
본 발명에 따른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는 단계(S3)는 상기 판재(100) 이면에 투광부(20)와 양각부(12) 단면이 노출되도록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에서 코팅처리된 수지접착제가 경화된 후에 판재(100) 저면에 바닥판부(16)를 절삭제거하는바, 이때 바닥판부(16)가 제거된 후에는 음각부(14)를 경계로 독립된 조작셀들이 투광부(20)에 접착되어 최초 디자인 도안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는 단계(S3)를 거치기 전까지 바닥판부(16, 미가공부)에 의해 조각셀들이 지지되고, 바닥판부(16)를 제거 후에는 투광부(20)에 의해 조각셀 위치가 고정되므로, 디자인 문양(10)이 복잡하고 복수의 조각셀이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가공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 어느 일면에는 투광부(20)를 통하여 광원이 발산되도록 백라이트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도 5 (a)처럼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는 단계(S3)를 거쳐 형성되는 안내패널 일면에 백라이트부(30)를 배치하거나, 도 5 (b)와 같이 2개의 안내패널 사이에 백라이트부(30)를 배치하여 양면 표식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백라이트부(30)가 ON작동되면 광원이 판재(100) 영역에서는 차폐되고, 투광부(20)를 통하여 국부적으로 외부로 발산되므로 야간에 표지판으로 고급스러운 심미감이 표현되고, 특히 주간에는 판재(10) 고유의 질감(나무결)이 표현되는 이점이 있다.
도 6 내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이용한 주,야간 겸용 표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을 이용한 주, 야간 겸용 표지판은,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음각부(14); 상기 음각부(14)의 미가공 두께에 의해 판재(100) 바닥에서 양각부(1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바닥판부(16);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도록 구비되는 투광부(20); 및 상기 판재(100) 이면으로 투광부(20)와 양각부(12) 단면이 노출되도록 바닥판부(16)를 제거하고, 판재(100)의 어느 일면에 백라이트부(3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도 6 에서, 상기 바닥판부(16)가 제거된 판재(100) 이면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지판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바, 이때 판재(100) 이면은 투광부(20)와 양각부(12) 단면이 평면상에 노출되면서 조각셀로 배치되는 양각부(12)의 나무무늬가 일체성을 가지는 자연스러운 디자인이 표현된다.
도 7은 상기 바닥판부(16)를 제거후 판재(100)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지판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바, 이때 판재(100) 전면은 투명 수지접착제가 채워져 투광부(20)를 형성하므로 양각부(12) 상면의 나무무늬, 투광부(20)에 의해 이격 배치된 조각셀 디자인이 표현되고, 특히 양각부(12) 측단면까지 노출되면서 디자인 문양의 입체감이 부각된다.
이처럼, 디자인 문양(10)을 음각부로 반가공 후 독립된 조각셀로 이격되는 양각부(12)들을 수지코팅으로 접착고정하고, 이후 미가공부인 바닥판부(16)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양각부(12) 위치를 결정하므로, 복수의 조각셀이 복잡하게 존재하더라도 제작이 쉽고 제작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대량생산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10: 문양 11: 양각라인
12: 양각부 14: 음각부
16: 바닥판부 18: 마감홈부
20: 투광부 30: 백라인트부
40: 마감코팅층 100: 판재
200: 조각셀

Claims (5)

  1. 나무결이 표현되는 목판으로 형성되는 판재(100) 전면에 디자인 문양(10)의 양각부(12)를 남기고 여백을 제거하여 판재(100) 두께 대비 얕은 깊이로 가공하여 바닥판부(16)를 남기고 음각부(14)를 형성하고, 음각부(14)에 의해 판재(100)와 독립된 조각셀(200)이 형성되며, 조각셀(200) 내에는 음각부(14)를 가공후 남은 양각부(12)에 의해 디자인 문양(10)이 양각라인(11)으로 형성되는 단계(S1);
    상기 음각부(14)에 수지접착제를 코팅하여 판재(100), 조각셀(200), 양각부(12)를 서로 접착하면서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판재(100) 이면에 투광부(20)와 양각부(12) 나무결 단면이 노출되도록 바닥판부(16)를 가공하여 제거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S3)단계에서 판재(100) 이면을 가공하기 전까지 바닥판부(16)에 의해 조각셀(200)이 판재(100)에 연결되고, 바닥판부(16)를 제거 후에는 투광부(20)에 의해 조각셀(200)이 판재(100)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판재(100) 어느 일면에는 투광부(20)를 통하여 광원이 발산되도록 백라이트부(30)가 구비되어, 주간에는 양각라인(11)의 나무결이 디자인 문양(10)으로 표현되고, 야간 표지판으로 이용시 백라이트부(30)의 광원이 발산되는 투광부(20)를 통하여 주간의 디자인 문양(10)과 상이한 디자인 문양이 표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2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수지접착제는 투명 또는 투명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의 색상을 음각부(14) 영역별 및 음각부(14)에 복층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100) 전면에는 디자인 문양(10)을 포함하는 확장된 영역을 가지면서 음각부(14) 대비 얕은 깊이로 마감홈부(18)를 형성되어 투명 수지접착제가 코팅되는 마감코팅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7800A 2017-04-13 2017-04-13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KR10196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00A KR101967221B1 (ko) 2017-04-13 2017-04-13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00A KR101967221B1 (ko) 2017-04-13 2017-04-13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62A KR20180115462A (ko) 2018-10-23
KR101967221B1 true KR101967221B1 (ko) 2019-04-09

Family

ID=6410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00A KR101967221B1 (ko) 2017-04-13 2017-04-13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37A2 (ko)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539A (ja) * 2001-06-18 2002-12-26 Dainippon Jochugiku Co Ltd El発光スイッチ装置
JP2005195765A (ja) * 2004-01-06 2005-07-21 Kenwood Corp 光源により照明されるクリアつまみ
JP2014079884A (ja) 2012-10-12 2014-05-08 Tokai Rika Co Ltd 金属加飾品製造方法及び金属加飾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495A (ko) * 2006-06-12 2007-12-17 유창현 소방 안전 유도 표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8899B1 (ko) * 2011-04-22 2013-03-06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조광부를 갖는 목재 표지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11730B1 (ko) * 2014-01-03 2020-05-15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 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539A (ja) * 2001-06-18 2002-12-26 Dainippon Jochugiku Co Ltd El発光スイッチ装置
JP2005195765A (ja) * 2004-01-06 2005-07-21 Kenwood Corp 光源により照明されるクリアつまみ
JP2014079884A (ja) 2012-10-12 2014-05-08 Tokai Rika Co Ltd 金属加飾品製造方法及び金属加飾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62A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794B1 (ko) 다층 구조체 및 관련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JP5946450B2 (ja) 光パネル
JP3110475U (ja) 受光式発光サインボード
ATE354705T1 (de) Verbund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829098B1 (ko) 입체형 도광판을 갖는 led 조명기구
WO2019161698A1 (zh) 一种石质装饰板
US20100101126A1 (en) Reflective Material for Signage, Buildings and Vehicles
US11351695B2 (en) Decorative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member
KR101967221B1 (ko) 안내패널의 디자인셀 배치방법
CN109968543B (zh) 一种可透光石质装饰板的制造方法
KR200449250Y1 (ko) 후면 장식조명을 구비한 간판
CN103105642A (zh) 光引出膜及其生产方法
RU2616096C2 (ru) Трехмерная вывес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FR2974767B1 (fr) Element decoratif surfacique a motif lumineux a projection tridimensionnel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8540390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wall, a ceiling, or a floor
JP5999520B2 (ja) 蓄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973377U (zh) 兼具高对比度及亮度的前光模组
CN220163393U (zh) 透明贝壳装饰板及汽车
US11837111B1 (en) Illuminated sign assembly
KR101297502B1 (ko) 수전금구의 자개문양 가공방법
EP3960954A1 (en) Decorative panel comprising an elastic fabric for the decoration of surfaces
WO2024046480A1 (zh) 透光装饰结构
GB2474894A (en) An illuminated vehicle registration plate with a halo effect
ITVR20120208A1 (it) Pannello luminoso
ITVR20090137A1 (it) Struttura di pannello luminoso con diffusore di luce in materiale lap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