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200B1 -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00B1
KR101967200B1 KR1020177012066A KR20177012066A KR101967200B1 KR 101967200 B1 KR101967200 B1 KR 101967200B1 KR 1020177012066 A KR1020177012066 A KR 1020177012066A KR 20177012066 A KR20177012066 A KR 20177012066A KR 101967200 B1 KR101967200 B1 KR 10196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neumatic
carriage
station
acces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814A (ko
Inventor
다니엘 로버트 그로스
데이비드 워렌 패리시
다니엘 존 세라핀
Original Assignee
트랜스로직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스로직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트랜스로직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6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26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18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Pipe or tub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34Two-way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36Other devices for indicating or controlling movements of carriers, e.g. for supervising individual tube sections, for counting carriers, for reporting jams or other operating difficulties
    • B65G51/40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carriers to desired stations
    • B65G51/42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carriers to desired stations according to indications on carriers
    • B65G51/44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carriers to desired stations according to indications on carrier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carriers and con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36Other devices for indicating or controlling movements of carriers, e.g. for supervising individual tube sections, for counting carriers, for reporting jams or other operating difficulties
    • B65G51/40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carriers to desired stations
    • B65G51/46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carriers to desired stations according to separate sign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6RF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캐리어 포트(112)를 가진 회전 캐리지(110)를 가지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 스테이션(16)이 제공된다. 다수의 캐리어 포트(112)에 의해 다수의 캐리어(100)가 수취되거나/수취되고 배송을 위해 다수의 캐리어들(100)가 스테이지될 수 있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100)는, 사용자가 스테이션을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면서 스테이션(16) 내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MULTIPLE DOCK STATION FOR PNEUMATIC TRANSPORT SYSTEM}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0월 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58,781호와 2015년 7월 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89,366호의 출원 일자의 이익을 주장하고, 양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 개시는 공압식 튜브 이송 시스템들에 이용되는 이송 및 수취 스테이션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다수의 들어오는 캐리어(incoming carriers) 및/또는 배송을 위해 스테이지된 캐리어를 홀딩하기 위한 다수의 독들을 포함하는 캐리어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PTS(Pneumatic tube systems)는, 예를 들어 발송지 및 다수의 목적지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재료들의 자동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PTS는 사용자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캐리어를 이송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된 다수의 공압식 튜브를 포함한다. 다양한 공기 공급원들/송풍기 및 이송 유닛들은 시스템 내의 튜브-대-튜브(tube-to-tube)로부터 및 이를 통해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과 경로 제어 수단(force and path control means)을 각각 제공한다. 간단히 말하면, 공기 공급원(들)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의 양 단부 사이에 압력차는 공압식 튜브를 통해 캐리어를 추진시키는데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송 유닛들은, PTS 내의 위치들 또는 스테이션들 간의 공압식 캐리어의 경로 설정을 위해, 제1 공압식 튜브로부터 다수의 추가 공압식 튜브 중 어느 하나로 공압식 캐리어들을 이동시키거나 방향전환시킨다.
PTS에 있어서, 공압식 튜브들은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경로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단일의 공압식 튜브에 의해 네트워크에 상호연결되는 다수의 개별적인 스테이션들을 포함한다. 단일의 공압식 튜브는, 압력과 진공 하에서, 스테이션으로 및 이로부터 캐리어들을 이송하고, 전형적으로 이송 장치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송 장치들에 의해 공압식 캐리어들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공압식 튜브들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캐리어들은 다른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라우팅(routing)될 수 있다. 임의의 배치에 있어서, 스테이션들은, PTS 내의 다른 위치들로의 캐리어 배송을 위한 시설물, 다른 위치들로부터의 캐리어의 수취를 위한 시설물 또는 양자 모두를 위한 시설물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PTS)에 이용되는 캐리어 스테이션들이 제공된다. 캐리어 스테이션들은 PTS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다수의 캐리어들 및/또는 PTS로 전달하기 위해 스테이지된 캐리어들을 안전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캐리어들이 안전하게 홀딩되는 동안, 스테이션은 추가적인 캐리어들을 수취/발송하는데 이용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공압식 튜브 시스템들, 공압식 튜브 스테이션들 및/또는 시스템과 스테이션들(즉, 유틸리티들(utilities))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이들 유틸리티들에 있어서, 다수의 캐리어 독을 가진 캐러셀/캐리지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캐리어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이러한 캐리어 독들은, 예를 들면, 캐리지의 회전축에 대하여 동일한 각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독들은 각각 캐리어를 수취하거나 배송하기 위해 배송/수취 포트(예를 들면,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독들은 스테이션의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캐리어 독이 접근 개구와 정렬되면, 캐리어는 캐리어 독에 삽입되거나 캐리어 독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접근 개구와 공압식 포트는 전형적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즉, 공압식 포트가 제 2 캐리어 독과 정렬되는 동안, 접근 개구는 제 1 캐리어 독과 정렬된다. 또한, 접근 개구는, 인접한 캐리어 독들로부터 캐리어들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한번에 하나의 캐리어 독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캐리어 독들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이 개방됨으로써 캐리지의 측면을 통해 캐리어의 삽입과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분리기들은 캐리어 독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인접한 캐리어 독들로의 접근을 추가적으로 제한한다.
추가적인 배치구조에 있어서, 스테이션은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접근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접근 도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 개구를 덮는 제1 위치와 접근 개구를 노출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접근 도어는 캐리지의 캐리어 독들로부터 캐리어들의 삽입 또는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접근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접근 도어는, 사용자가 접근 개구와 정렬되는 캐리지의 캐리어 독으로부터 캐리어들을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캐리어 독들 각각은 일반적으로 공압식 캐리어를 수취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공간을 형성한다. 전형적으로, 원통형 독들의 장축은 캐리지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예를 들면, 캐리어 독은 캐리지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캐리어 독은 개방된 상단부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하단부를 포함한다. 각 캐리어 독의 개방 단부는 공압식 캐리어가 이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개방 단부들은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캐리지의 상부 림을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임의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각 캐리어 독의 개방 단부는 공압식 캐리어들을 공압식 튜브 시스템에 발송하고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부터 공압식 캐리어들을 수취하기 위해 공압식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캐리어들은 캐리어 독들의 개방 단부를 통해 발송되고 수취된다. 대조적으로, 사용자들은 캐리지 측면을 통해 캐리어 포트들로부터 캐리어들을 삽입하고 제거한다. 캐리지의 측면으로부터 캐리어들의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캐리어 독들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들(즉, 회전축과 관련된 것)은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추가적인 배치구조에 있어서, 스테이션은 캐리지 아래의 위치로부터 공압식 포트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조절되는 선형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형 엑추에이터는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는 캐리어 독을 통해 연장된다. 즉, 선형 엑추에이터는 정렬된 캐리어 독의 하부 표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캐리어 독이 공압식 포트와 정렬될 때, 선형 엑추에이터는 공압식 포트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들어오는 캐리어와 맞물려 캐리어를 캐리어 독 내에 하강시킬 수 있다. 캐리어를 발송할 때, 선형 엑추에이터는 캐리어 독의 바닥 단부에서 공압식 캐리어와 맞물려 캐리어를 공압식 포트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형 엑추에이터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의 캐리어의 발진(launching)을 용이하게 하는 추진력(momentum)을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가 후퇴하면, 선형 엑추에이터는 캐리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추가적인 배치구조에 있어서, 공압식 포트는, 캐리어 독들과 캐리지를 통해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인/배출하거나(즉, 접근 개구에서 공기를 흡인하고 접근 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함) 별도의 공기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스테이션의 내부를 통해 공기를 흡인/배출할 수 있게 하는 직렬 밸브(in-line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공기 공급원은, 예를 들면, 덕트(ducting)나 다른 공압식 연결물들을 이용하여 스테이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지로부터 격리될 수 있는 스테이션의 내부를 통해 공기를 흡인/배출할 때, 공기는 필터 또는 다른 위생 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추가적인 배치구조에 있어서, 유틸리티들은, 스테이션에 의해 수취하고/수취하거나 캐리어 독들에 의해 홀딩되는 공압식 캐리어들 내에 또는 상에 위치된 기계-판독가능 식별 정보/표지(machine-read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indicia)를 판독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RFID, 바코드(bar code) 또는 다른 AIDC(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AIDC 시스템들은, 비한정적으로, 자기 스트라이프들(Magnetic stripes) 및/또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캐리어 내의 내용물 및/또는 캐리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식별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전형적으로 스테이션 내에 합체되거나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제어기(예를 들면, 공압식 튜브 시스템 제어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기는, 스테이션 및/또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캐리어의 내용물 및/또는 캐리어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캐리어 및/또는 그들의 내용물과 관련된 식별 정보/표지를 획득하는 능력에 의해 다양한 제어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식별 정보는 캐리어 및/또는 캐리어의 내용물을 위해 저장된 트랜잭션 기록과 상호관련될 수 있다. 즉, 식별 정보는 캐리어 및/또는 캐리어의 내용물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트랜잭션 기록에 접근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트랜잭션 기록은 캐리어 및/또는 캐리어의 내용물로부터 판독된 식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식별 정보 및/또는 트랙잭션 기록은, 사용자가 스테이션 내의 캐리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전에 인증 정보(authorized credential)를 제공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캐리어가 수취되면, 스테이션은 캐리어를 '보안된 캐리어'로 식별할 수 있고 캐리어를 홀딩하는 캐리어 독을 접근 불가능한 위치(즉, 접근 개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회전시키거나 이동/회전시키고 접근 개구를 덮는 접근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 내에 합체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인증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캐리어 독을 식별하고 캐리어 독을 접근 개구로 회전시키고/회전시키거나 보안된 캐리어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접근 도어를 개방한다. 인증된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는 캐리어를 홀딩하는 동안, 유틸리티들은 캐리어로의 접근을 방지하면서 (예를 들면, 나가거나 들어오는) 추가적인 캐리어들을 처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제어 기능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각 캐리어에 대한 이송 정보의 제공과 함께 스테이션의 캐리어 독들 내에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삽입할 수 있다. 일단 캐리어 및 캐리어의 목적지 정보가 수취되고/수취되거나 저장되면, 캐리어를 홀딩하는 캐리어 독은 차후의 이송을 위해 접근 불가능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캐리어를 공압식 튜브로 즉시 이송시키는 대신, 차후의 이송을 위해 캐리어는 캐리어 스테이션 내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공압식 이송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공압식 이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공압식 이송 시스템의 선행 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멀티-독 캐리어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 후방 사사도 및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멀티-독 캐리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6c 및 도 6d는 멀티-독 캐리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6e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멀티-독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멀티-독 캐리어 스테이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멀티-독 캐리어 스테이션을 통해 공기의 이송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스테이션을 통해 공기의 이송 방향을 전화시키는데 이용되는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캐리어를 수용하거나 배출하는데 이용되는 선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멀티-독 캐리어 스테이션과 함께 이용되는 분할 코어 RFID 판독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들의 여러 관련 특징점들을 설명하는데 적어도 도움을 주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목적으로 제시된다. 또한, 그 설명은 본 발명들의 개시된 실시예들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들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관련 기술의 아래의 교시들, 기술 및 지식에 상응하는 변형들 및 수정들은 제시된 발명의 범위 내이다.
도 1에는 예시적인 공압식 이송 시스템이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공압식 이송 시스템(10)은 여러 사용자 스테이션(16, 18) 사이에 공압식 캐리어들을 이송시키고, 이러한 이송 작동의 각각은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참조된다. 사용자 스테이션들(16, 18) 각각에서, 사용자는 캐리어를 삽입하고 목적지 주소/식별 및 트랜잭션 우선순위를 선택/입력할 수 있고, 이후 캐리어를 이송한다. 시스템은 캐리어를 이송하기 위해 최적 경로를 결정하고 시스템을 통해 캐리어를 안내하기 시작한다.
상이한 스테이션(16, 18)으로부터 상이한 튜브들을 통해 단일의 공압식 튜브에 도달하는 캐리어들에 명령하는 이송 유닛(20)은 예시적인 시스템(10)의 각 스테이션(16, 18)에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공압식 튜브는 캐리어의 이동을 위한 구동 공압력을 제공하는 송풍기(22) 및 진공 우회 이송 유닛(vacuum by-pass transfer unit)(21)(즉, 전환 이송 유닛(turnaround transfer unit))와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송풍기로부터의 압력/진공은 공압식 튜브들 내에 배치된 캐리어를 가로질러 차등하는 압력을 생성시키도록 작동하고 공압식 튜브들을 통해 캐리어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송풍기(22), 이송 유닛들 및 공압식 튜브들은, 시스템(10) 내의 제1 및 제2 지점들 사이에서 캐리어들을 이송하는데 이용되는 공압식 영역(zone) 또는 서킷(circuit)을 생성한다. 이송 유닛들(12)을 이용하여 연결된 다수의 상이한 영역들은 공압식 이송 시스템(10)을 전체적으로 정의한다. 시스템(10) 내에서, 그들의 선택된 목적지들에 캐리어들을 정렬하고 라우팅하는(ordering and routing)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채용될 수 있다. 일 유형의 디바이스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수용하며 임시 저장하며 방출하기 위해 채용가능한 TCU(traffic control unit)(14)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공압식 튜브로부터 다른 공압식 튜브로(예를 들면, 상이한 영역들 사이 또는 단일 영역에서의 튜브들 사이) 캐리어들을 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 MTUs(multi-linear transfer units)가 시스템(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들은 도 2의 전기 시스템 다이어그램에 개시된 그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SCC(system central controller)(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SCC(30)는 전체적인 공압식 캐리어 시스템(10)을 위한 중앙 제어를 제공하고 디지털 프로세서 및 메모리/어치브(memory/achieve)(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32)은 SCC(3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스템 사용자는 시스템의 작동을 모니터하고/모니터하거나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커맨드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시스템(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추가하여, SCC(30)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비한정적으로, 시스템(10) 내의 캐리어들의 식별을 고려할 수 있는 식별 디바이스들/안테나 판독기들(identification devices/antenna readers)(40)의 이용 및 외부 시스템들(35)과의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독기들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내용물들 또는 캐리어들에 부착된 RFID 요소들 또는 바코드들(bar codes)과 같은 식별 요소들을 판독할 수 있다. 공압식 캐리어 시스템 내의 RFID 식별을 위한 시스템은, "공압식 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 식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07년 7월 10일 등록된 미국 특허 제7,243,002호에 개시되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된다.
도 3에는 공압식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비한정적인 일 유형의 캐리어(100)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캐리어(100)는 화물 선적을 위한 개방 위치와 이송을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하다. 캐리어(100)는, 시스템(10)을 통해 화물을 수송하는데 이용되는 포위된 공간(enclosed space)(미도시)을 전체적으로 형성하는 제1 쉘 부재(34) 및 제2 쉘 부재(36) (예를 들면, 클램쉘들(clamshells))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쉘 부재(34, 36)은, 단면에 있어서, 시스템(10)의 대응하는 원통형 공압식 튜브(100)에 이용되기 위하여 전반적으로 원통형이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 부재는 개방 구성 및 폐쇄 구성 사이의 이동을 위해 제1 및 제2 쉘 부재(34, 36)를 피봇가능하게 상호연결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래치(latch)(28)에 의해 폐쇄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쉘 부재(34, 36)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모 밴드(wear band)(44)와 제2 마모 밴드(48)는 시스템(10)의 공압식 튜브들의 내측 표면 내에 밀착되도록 끼워맞춤되는 크기를 가지며 캐리어(100)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캐리어(100)를 가로지른 공기의 통로를 실질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제1 및 제2 마모 밴드(44, 48)는 시스템(10)의 공압식 튜브들을 통해 캐리어(100)을 밀고 당기는, 캐리어(100)를 가로질러 차등하는 압력을 생성한다. 비록 측면-개구 캐리어(side-opening carrier)가 설명되었지만, 상이하게 구성된 캐리어들(예를 들면, 단부-개구(end-opening))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별 요소(50)가 캐리어(100)에 부착된다. 식별 요소(50)는 RFID 칩(RFID chip), 바코드(bar code) 또는 다른 기계 판독가능한 요소일 수 있다. 사용 중에, 식별 디바이스들/안테나 판독기들(identification devices/antenna readers)(40)은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 요소를 판독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면, SCC(30)는 식별 요소로부터의 식별자/표지(identifier/indicia)를 저장된 트랜잭션 기록과 상호관련시킨다. 예를 들면, 이러한 트랜잭션 기록은, 캐리어가 제한된 내용물들을 가지고 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캐리어가 특정 접근 정보(예를 들면, PINs, 접근 카드 등) 수신 전에 시스템 내에 고정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RFID 요소들의 경우, 이러한 RFID 요소들은 캐리어 내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캐리어 내용물에 부착됨).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공압식 캐리어 시스템(10)에서 채용가능한 종래 기술의 스테이션(16)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16)은 스테이션(16)으로부터 및 스테이션(16)으로 캐리어들(100)을 이송하고 전달하기 위해 채용 가능한 공압식 튜브(56)에 연결된 배송기(dispatcher)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채용할 수 있는 다수의 인터렉티브 장치들(interactive devices)을 가진 제어 패널(38)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가 스테이션(16)과 함께 포함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시스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시스템 상황 및 트랜잭션 관련 메세지들을 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42)를 포함한다.
스테이션의 배송기(60)는 스테이션에 위치된 캐리어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시스템 사용자가 홀더(62) 상에 캐리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캐리어 홀더(62)는 배송기(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되고, 제어 패널(32)을 통해 목적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일단 모든 적절한 정보가 입력되면, 배송기(60)는 선택된 목적지로의 이송을 위해 공압식 튜브(56) 내로 캐리어(66)를 이동시킬 것이다. 유사하게, 스테이션(16)에 의해 캐리어(100)가 수용되면, 캐리어는, 홀더(62)에 의해 정지할 때까지, 전형적으로 중력하에서 배송기(60)를 통해 스테이션 내로 하강한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사용자는, 스테이션이 추가적인 캐리어를 수용하거나 캐리어를 이송하기 전까지, 홀더(62)로부터 캐리어를 물리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헬스케어 산업에서, 집중식 배출 도는 수집 지점으로부터 이용 또는 분석 지점으로 환자 샘플들과 약물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공압식 튜브 이송 시스템들이 자주 이용된다. 예를 들면, 중앙 조제실(central pharmacy)이 의사의 명령들을 수신하며 공압식 튜브를 통해 복수의 스테이션으로, 이후 스테이션들 가까이에 위치된 간호사들을 통해 환자 자신들으로의 분배를 위해 약물을 배출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 있어서, 스테이션들은 상당한 트래픽(traffic)과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스테이션이 다른 캐리어를 수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스테이션으로부터 각 캐리어를 제거하는 요구에 의해 스테이션의 처리량의 저하가 초래된다. 즉, 단일 캐리어 수용 능력은 시스템의 병목지점(system bottleneck)을 생성한다.
스테이션으로부터 캐리어의 물리적 제거의 필요에 의해 생성되는 병목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부 시스템은 수용통(receiving bin)을 가진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캐리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홀더로 하강시키는 대신에, 캐리어는 직접적으로 수용통으로 낙하한다. 사용자 개입 없이 다수의 캐리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이러한 스테이션들은 많은 단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일부 트랜잭션의 탑재량에 손실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금전 트랜잭션들들과 의약/약품 이송 트랜잭션들 목적 스테이션으로의 이송 이후 미승인된 제거(unauthorized removal)를 당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트랜잭션들은 비밀 또는 기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수령은 권한을 받은 수령자들에 한정되어야 한다.
공압식 튜브 시스템 제조사들은, 이송측 보안(delivery side security)(예를 들면, 접근 제어 방법들)을 향상시키는 몇 가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도난 문제(pilfering issue)에 대응하였다. 제1의 가장 간단한 방법은 스테이션 자진들에 물리적 방어수단 및 장벽들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이송된 캐리어들과 수령자들 사이의 도어(door) 또는 장벽(barrier)을 포함한다. 도어는 투명하거나 불투명일 수 있으며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권한을 받은 사람만이 이송된 캐리어들에 대한 접근권을 갖도록 보장함으로써 적당한 수순의 물리적 보안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다른 시스템들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입력을 필요로 하거나 수령자가 '보안된 캐리어(secureed carrier)'를 회수하도록 권한을 받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드 판독기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적절한 ID를 받은 후에만 스테이션에 의해 홀딩된 캐리어에 접근을 허용한다. 효과적이긴 하지만, 수령자가 그들의 캐리어를 회수할 때까지 스테이션은 자주 이용될 수 없게 된다.
이들 또는 다른 염려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배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스테이지하거나/스테이지하고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수취하여 안전하게 홀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수취/배송 독을 가진 공압식 튜브에 관한 것이다. 즉,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에 의해 수취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안정하게 홀딩하는 동안, 외부로 나가는 캐리어를 배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이션(16)은 스테이션 하우징(104) 내에 배치된 다수의 캐리어 독을 가진 캐러셀(carousel) 또는 캐리지(carriage)(1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4)은 캐리지의 단일의 캐리어 독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도어(120) 및/또는 접근 개구(118)를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라. 단일의 캐리어 독이 접근 캐구(118)과 정렬되는 경우, 캐리지의 다른 독들이 접근 가능하지 않게 유지되는 동안, 캐리지는 정렬된 캐리지 독으로부터 제거되거나 그 내부에 로딩(loading)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기하는 권한받은 회수(retrieval)(예를 들면, PIN 입력 등)가 접근 개구(118)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는 독(들) 내에 유지될 수 있는 동안, 스테이션에 의해 보안된 캐리어(들)가 홀딩된다. 이것은, 스테이션(16)의 계속적 이용을 허용하면서, 스테이션(16)으로부터 보안된 캐리어의 제거를 방지한다. 또한, 스테이션은, 멀티 송풍 사이클(multiple blower cycles), 공통 송풍 사이클(common blower cycle) 동안 및/또는 사전결정된 시간 스케줄(time schedule)에 따라 PTS 내로 발진될 수 있는 다수의 캐리어를 스테이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는 멀티-독 캐리어 스테이션(16)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 후방 사시도 및 전방 분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된다. 앞서의 스테이션들과 마찬가지로, 스테이션(16)은 공압식 튜브/포트(56)를 통해 공압식 튜브 시스템에 연결가능하고, 이를 통해 공압식 캐리어들은 단일의 공압식 튜브를 통해 스테이션(16)으로 들어가고 그로부터 나온다. 유사하게, 캐리어 시스템(16)은, 사용자가 캐리어들을 이송하기 위한 목적지 정보 및/또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부터 캐리어들을 받기 위한 보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3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스테이션의 능동 부품들을 하우징하는 내부 인클로저를 제공하는 스테이션 하우징(104)의 전방 패널(102)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2)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접근 개구(118)은 전방 패널(102)에 제공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테이션에 캐리어들을 로딩하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캐리어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스테이션(16)은 캐리어 내용물들 및/또는 캐리어들에 부착된 식별 요소들/장치들을 판독하는 안테나/판독기들(4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리어 독(112A~112F)(이하, 특정적으로 참조되지 않는 한 '112'라 함)을 가진 캐러셀 또는 캐리지(110)는 하우징(104) 내에 배치된다. 다수의 캐리어 독(112)은, 여전히 스테이션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배송하는데 이용되도록 허용하면서, 스테이션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수용하고 홀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지(110)는 6개의 캐리어 독(112A~112F)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그 초과 또는 미만의 독이 이용될 수 있다. 캐리지(110)는 중심 액슬/축(axel/axis)(1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116)은 하우징(104) 내에서 캐리지(110)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액추에이터는 다수의 캐리어 독(112) 중 어느 하나를 캐리지 스테이션(16)의 공압식 포트(56)와 정렬되도록 캐리지(110)를 제어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캐리어 독(112) 중 어느 하나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부터/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 캐리어를 수용하도록/배송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압식 포트(56)은 하우징(104)의 후방부에 있다. 즉, 공압식 포트(56)로부터 캐리지(110)의 캐리어 독에 의해 수용된 캐리어는, 스테이션(16)의 전방 패널 상의 접근 개구(118)과 초기에 정렬되지 않는다. 일단 캐리어가 캐리지(110)의 캐리어 독(112)에 의해 수용되면, 수용된 캐리어를 홀딩하는 독이 스테이션의 전방 패널(102)에서의 전방 개구(118)와 정렬되도록 액추에이터(116)에 의해 캐리지가 회전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전방 패널의 접근 개구를 통해 캐리어 독 내에 로딩된 캐리어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의 배송 이전에 공압식 포트(56)와 정렬되도록 회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근 개구(118)은 캐리지(110)의 단일 캐리어 독(112)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즉, 접근 개구는 캐리지(110)의 단일 캐리어 독(112)으로 접근을 제한하는 폭을 가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인접한 캐리어 독으로 접근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일단 원하는/권한받은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지는 로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잠재적인 병목 구간들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 동안, 제시된 실시예는, 캐리지가 이동 중에 있을 때, 접근 개구(118)를 덮는 접근 도어/패널을 이용한다.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근 도어(120)는 접근 개구(118)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 아치형 패널 부재이다. 폐쇄 위치에서, 접근 도어는 회전되어 접근 개구를 덮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회전을 제공하기 위해, 접근 도어는 캐리지(110)의 축(1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비록 회전하는 접근 도어가 이용되었지만, 다른 접근 도어의 구성들도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예를 들면 선형 슬라이드(slide), 스윙(swinging) 등) 본 발명의 범주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도어(120)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도록 작동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캐리지(110)의 정렬된 캐리어 포트(112)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접근 개구(118)가 노출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 도어(120)는 폐쇄 위치로 회전하도록 추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접근 개구가 덮여진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를 위해 임의의 잠재적인 병목 지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접근 개구에 의해 회전하는 임의의 캐리어 독으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서 캐리지(110)를 회전시키기 전에 접근 도어(120)가 폐쇄될 것이다. 또한, 캐리지(110) 내의 모든 독이 보안된 캐리어를 홀딩하고 있다면, 스테이션이 권한을 받은 수령자들을 기다리는 동안 접근 도어는 폐쇄될 것이다.
도 7에는 멀티-독 캐리지(1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지(110)은 6개의 개구들 또는 구멍들(136)을 가지며 캐리어 독(112)이 상단부를 형성하는 상부 림(upper rim)(130)을 포함한다. 하부 림(lower rim)(132)은 상부 림의 개구들과 정렬되는 6개의 리세스(recess)(138)를 가지며 캐리어 독(112)의 하단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캐리어 독(112)의 후방 부분(즉, 캐리지의 회전 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부분)은 상부 림(130)과 하부 림(132) 사이에 연장되는 아치형 측벽을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캐리어 독들의 전방 부분들은 상부 림(130)과 하부 림(13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개구되어 있다. 즉, 캐리어 독들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은 상부 림(130)과 하부 림(132) 사이에서 개구되고, 이에 따라 캐리어들은 캐리어 독들의 개구된 측벽 부분 밖에서 측벽 부분 안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부 림(130)과 하부 림(132) 사이의 거리는 캐리어의 길이보다 작다. 이와 관련하여, 캐리어의 상부는 상부 림(130)의 개구 내에 배치되며 캐리어의 하부는 제2 림(132)의 리세스에 배치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진공을 통해)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 배송될 때까지 또는 캐리어가 개구된 측벽을 통해 제거될 때까지 캐리어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후자의 경우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리세스 밖으로 캐리어의 하단부를 상승시키고(즉, 상단부를 상부 림의 개구로 추가로 전진시킴), 캐리어의 몸체를 기울이고, 캐리어 독 밖으로 캐리어를 후퇴시킬 수 있다. 로딩은 반대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캐리어에 의해 홀딩된 인접한 캐리어들에의 사용자의 접근 능력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분리기/분리벽(134)이 인접한 캐리어 독들(예를 들면, 독들(112A, 112B))의 각 쌍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캐리어 독들의 아치형 후방 표면들은 독들 사이에 분리벽(134)을 형성한다. 즉, 분리기들은 캐리어 독들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다른 실시예들은 가요성 분리기들을 포함한 별개로 형성된 분리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독이 접근 개구와 정렬되면, 분리벽(134)은 인접한 독으로의 접근을 방지한다. 이와 다르게 설명하면, 특정 캐리어 독이 접근 개구(118)와 정렬될 때까지 이러한 정렬되지 않은 캐리어 독으로부터의 캐리어의 제거가 방지된다.
멀티-독 스테이션(16)의 주요 기능들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캐리어가 스테이션 그 자체 내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동안, 캐리어들을 수취하는 능력이다. 즉, 권한을 받은 수령자를 기다리면서 하나 이상의 '보안된 캐리어(secured carrier)'는 스테이션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권한을 받은 수령자는, 그들의 관심영역으로 배달된 캐리어에 접근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2)에 PIN을 입력하고 접근 카드, 생체 인식 식별(biometric identification) 등(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확인된 정보)을 대어야 할 것이다. 확인된 권한을 수신하면, 스테이션은 접근 도어를 폐쇄하고 보안된 캐리어를 회전시켜 접근 개구(118)와 정렬시키고 접근 도어(120)를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이때, 권한을 받은 수령자는 캐리어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안된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스테이션이 그에 하나 이상의 보안된 캐리어들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캐리지가 권한을 받은 접근을 기다리는 제1 및 제2 보안된 캐리어들을 수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권한을 수신할 때까지,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위치들에 보안된 캐리어들(S1, S2)이 유지된다. 비록 2개의 보안된 캐리어들(S1, S2)이 캐리어 독들 중 2개 내에서 유지되고 있지만, 다른 캐리어 독들은 캐리어를 배송하고 수취하는데 이용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10)은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개방된 캐리어 독을 회전시키고,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의 배송을 위한 캐리어(C1)를 수취하기 위해 접근 도어(120)를 개방할 수 있다. 캐리어(C1)에 대한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접근 도어는 폐쇄되고 캐리어(C1)가 공압식 배송 포트 아래에 위치될 때까지 캐리지가 회전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때, 공압식 튜브 시스템은 캐리지 밖으로, 그리고 시스템으로 캐리어를 끌어당긴다. 유사하게, 도 6a 및 도 6b의 프로세스가 반대로 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캐리지의 개방된 캐리어 독은 캐리어를 수취할 수 있고, 캐리어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접근 코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음), 캐리지는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수취된 캐리어를 회전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 내지 도 6e에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보안된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300)가 도시된다. 처음으로, 하나 이상의 캐리어(예를 들면, S1, S2)를 수취하고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의 방출 이전에 사용자 식별/보안 정보를 요구하여 식별한다(302). 보안된 캐리어(들)은 접근 가능하지 않은 위치 내에서 회전된다(304). 도 6a를 참조하라. 이후, 사용자 식별은 예를 들면 보안된 캐리어들을 홀딩하는 스테이션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사용자 식별은 보안된 캐리어들을 위해 저장된 정보(예를 들면, 트랜잭션 기록들)과 비교된다. 사용자 식별/보안 정보가 보안된 캐리어들 중 하나의 보안 요건들과 부합하는지가 확인되면(예를 들면, 사용자가 권한을 받을 것으로 확인되면), 대응하는 캐리어(예를 들면, S2)를 포함한 캐리어 독이 회전되어 접근 개구(118)와 정렬된다. 도 6c를 참조하라. 만일 접근 도어(120)가 접근 개구(118)를 덮고 있다면, 접근 도어(120)는 이동하여 접근 개구(118)를 노출시켜 권한을 받은 수령자가 보안된 캐리어(S2)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6d를 참조하라.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스테이션의 본 실시예는 여전히 캐리어들을 배송하고 수취할 수 있는 동안 5개의 보안된 캐리어들까지 수취하고 홀딩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은 배송을 위해 다수의 캐리어들을 스테이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공압식 튜브 시스템이 즉시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들은, 각각의 캐리어들을 대한 이송 정보의 입력과 함께 캐리어 스테이션(16)으로 다수의 캐리어들(예를 들면, 6개까지)을 스테이지할 수 있다. 각 캐리어에 대한 배송 정보(예를 들면, 배송 목적지) 및 캐리지(예를 들면, 독) 내에서의 그의 위치는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유지된다. 공압식 튜브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게 된 경우, 스테이지된 캐리어들은 제 위치로 회전되고,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그들의 저장된 목적지들로의 배송을 위해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 발진된다.
멀티 독 스테이션(16)은 여러 다른 구성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포트/튜브(56)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조립체(slide plate assembly)에 연결된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 plate)(70)가 제공되어 캐리어 스테이션의 공압 경로(pneumatic path) 내에 또는 외에 위치된다. 엑추에이터(72)는 공압 경로 안으로 또는 밖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7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도착하는 캐리어들의 속도를 줄이는 공기 쿠션(air cushion)을 제공하기 위해 포트(56)를 통한 공기 흐름을 감소시키거나 방해한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여러 공압식 튜브 시스템 기능을 위해 스테이션 위에 캐리어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제8,721,23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트래픽(traffic) 관리 목적으로 스테이션 위에 캐리어를 세워 두는 능력을 포함하고, 그 특허의 내용들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의 편입된다. 대안적으로, 캐리어 아이디들은 스테이션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확인될 수 있다. 만일 캐리어가 다른 방향으로 향하여 부정확한 위치에 있다면, 캐리어는 추적적인 처리를 위해 시스템으로 복귀할 수 있다. 스테이션(16)의 전방 패널(102)은, 여분의 캐리어들이 사용 전에 저장될 수 있는 캐리어 저장통들(carrier storage bins)(1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다수의 수취/배송 독들을 가진 공압식 튜브 스테이션(16)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8 및 도 9의 스테이션(16)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스테이션과 많은 특징점들을 공유한다. 공통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여러 차이점들을 가진다. 이들 차이점들 중에서, 스테이션(16)의 이러한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5c의 아치형 패널(120) 대신에 슬라이딩 구동 도어(124)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구동 도어(124)는 스테이션(216)의 접근 개구(1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아래로 이동한다. 그러나, 접근 개구(118)을 전체적으로 폐쇄하는 대신, 슬라이딩 구동 도어(124)는 접근 개구를 부분적으로만 폐쇄한다. 즉, 수직 구동 도어는, 폐쇄 위치에서, 접근 개구(118)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고 캐리어 독들(112)로부터 캐리어들의 삽입 또는 제거를 방지할 수 있는 크기로 접근 개구(118)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특징점에 의해 스테이션에 대한 병목 지점의 가능성을 제거한다. 즉,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도어를 가지는 것은, 작동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이 폐쇄된 도어 내에 있게 될 가능성을 제거한다. 캐리지(110)가 회전할 때, 사용자가 곤란하게 될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캐리지(110)는 캐리지의 상부 또는 하부 림과 맞물리는 고무 휠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캐리지와 하우징 사이에 물체가 끼워지게 되는 경우, 고무 휠이 미끄러질 것이다. 이러한 미끄러짐은 상당한 힘이 물체(예를 들면, 손이나 손가락)에 작용되기 전에 발생한다.
도 8 및 도 9의 다른 측면은 PTS의 작동이 시스템 위치들(예를 들면,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공압식 캐리어들 및 그들의 내용물들을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시설물에서의 여러 위치들 사이에서 공기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즉, 제1/원래의 스테이션에 있는 캐리어에 공기 압력(예를 들면, 진공)이 작용될 때,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의 공기는, 예를 들면 캐리어가 회전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PTS 내로 흡인되고, 그 위치에서 캐리어는 정지된다. 일단 PTS가 공압식 캐리어의 최종 목적지를 향하는 공압 경로를 제공하도록 재정렬되면, 공기 흐름(예를 들면, 정압의 공기압)이 공압식 캐리어를 회전 위치로부터 그의 최종 목적지를 향해 추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캐리어가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사이에서 이송될 뿐만 아니라, PTS 내로 흡인되는 공기의 부분은 PTS를 통해 제2 스테이션에서 방출될 수 있다. 공기로 운반되는 병원체들(pathogens)의 경우에 있어서,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의 위험이 존재한다. 교차 오염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8 및 도 9의 스테이션(216)은 필터(180)와 역류 밸브(200)를 포함한다.
도 8, 도 9 및 도 10a에 다양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즉, 예시적인 측단면도, 스케일되지 않음), 캐리지(110)는 스테이션(16)의 하우징(104) 내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플랜넘들/실드들(plenums/shields)(190)은, 그것이 하우징 내에 배치될 때, 캐리지(110)를 둘러싼다. 이와 관련하여, 캐리지(110)은 하우징의 내부(192)의 나머지로부터 격리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192)의 나머지는 외부 공기 공급원(air source)(194)과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 공급원은, 스테이션이 위치되는 실내(room)로부터 격리된 외기 공급원 또는 공기 공급원일 수 있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 나머지는 실내 하우징 위의 천정에서의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유체 연결은, 하우징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필터(180)을 통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작동에 있어서, 밸브(200)는 선택적으로 하우징(104)의 내부(192)로부터 및 내부(192)로 방향전환시키도록 개방되고 폐쇄되며, 이후 배송 동안 필터(180)을 통해 공압식 캐리어가 수취된다. 예시로서, 캐리어가 스테이션으로 들어오면, 공기 밸브(200)는 개방될 수 있고(도 10a 참조), 이에 따라, 스테이션에 연결된 공압식 튜브를 통과하는 공기는 스테이션의 전방 표면을 통하지 않고 스테이션(16)의 내부(192)로 유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는 스테이션을 하우징하는 실내 내로 이동하지 않는다. 캐리어가 도착하면, 캐리어는 밸브를 통과하여 캐리지(110) 내로 들어간다. 배송 동안, 공압식 튜브(56) 아래의 독(112)에 위치된 캐리어에 진공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밸브(200)는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고(도 10b 참조), 이에 따라 캐리지가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가 캐리지 내로 흡인된다. 센서는, 캐리지가 시스템으로 진입하여 밸브 너머로 통과하는 것을 확인한다. 캐리지가 밸브(200)를 통과하였다면, 밸브는 외부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필터(180)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도록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있어서, 매우 한정된 양의 공기는 스테이션을 하우징하는 실내로부터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 또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부터 스테이션을 하우징하는 실내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2b에는 밸브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도시된 실시예는 내부 슬리브(inner sleeve)(210)의 외측 표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외부 슬리브(outer sleeve)(220)를 가진 로터리 밸브 조립체(rotary valve assembly)이다. 내부 슬리브(210)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의 공압식 이송 튜브들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공압식 튜브 단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슬리브(210)의 내부 보어(bore)는 시스템의 공압식 튜브들과 공통의 직경을 공유한다. 즉, 내부 슬리브(210)의 내부 직경은 그것을 통해서 공압식 캐리어의 통로를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부 슬리브 또는 회전식 슬리브(220)는 내부 슬리브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슬리브(220)는, 조립된 경우, 내부 슬리브(210)의 외측 표면 주위에 배치된다.
내부 슬리브 및 외부 슬리브 각각은 다수의 구멍들 또는 유체 유동 포트들(214, 224)을 각각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포트들(214, 224)은 각 슬리브 부재(210, 220)의 측벽을 통해 연장된다. 내부 슬리브(210)의 포트들(214) 및 외부 슬리브(220)의 포트들(224)은 제1 구성에서 정렬되며 제2 구성에서는 정렬되지 않는다. 즉, 밸브는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는 정렬된 구성과 정렬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슬리브들(210, 220)의 단면도가 각각 도시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리브(210) 및 그의 포트들(214)은 외부 슬리브(220)의 포트들(224)과 정렬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 슬리부(210)의 단부들에 연결된 공압식 튜브들을 통과하는 공기가 정렬된 포트들를 통해 배출되거나 흡인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포트들이 정렬되지 않을 때(도 12B 참조), 외부 슬리브의 포트들(224) 사이에 단단한 측벽 부분(즉, 축 방향 측벽 부분)은 내부 슬리브(210)의 포트들(214) 위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2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내부 밸브의 내부 보어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고 밸브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258) 및 연결 조립체(216, 264)는 외부 슬리브(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13a 내지 도 13c에는 상술한 스테이션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측면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a 내지 13c의 스테이션(16)은 멀티 독 캐리어의 예시적 단면도(스케일되지 않음)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션(16)은 캐리지(110)의 아래에 배치된 선형 엑추에이터(240)를 더 포함한다. 선형 엑추에이터(240)의 샤프트(242)는 캐리지(110)의 바닥부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캐리지(110)의 상단부를 통해 및/또는 캐리지(110)의 상단부에 가까운 위치로 연장되도록 작동된다. 전자식, 유압식, 공압식으로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엑추에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임의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형 엑추에이터(240)의 이용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캐리어(100)는 스테이션으로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00)는 스테이션(16)에 의해 수취되고 캐리지(110) 위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선형 엑추에이터(240)의 샤프트(242)는 캐리어(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한 지점까지 캐리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캐리어(100)가 선형 엑추에이터(240)의 샤프트(242)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미도시)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선형 엑추에이터(240)는 캐리지(110) 내의 캐리어(100)를 하강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라. 샤프트(242)는 캐리지(110)의 독 내부에 캐리어가 위치될 때까지 후퇴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라. 또한, 샤프트(242)는 캐리지(11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후퇴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능은 캐리어 및/또는 캐리어의 내용물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형 엑추에이터(242)는 추가적인 중요한 편익(benefit)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선형 엑추에이터는 공압식 튜브 시스템 내로 캐리어(100)를 진입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13a 내지 13c와 관련하여 상술한 프로세스가 반대로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캐리어(100)는 스테이션(16) 내에 로딩될 수 있고 배송 튜브(56)와 정렬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라. 선형 엑추에이터는 샤프트(242)를 연장시켜 캐리어의 바닥부와 맞물리게 하며 도 13b와 13a에 도시된 배송 튜브 내로 캐리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공압식 튜브(56) 내로 중량의 캐리어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전의 시스템은 중량의 캐리어들을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진공력을 갖지 못하였을 수 있다. 또한, 추진력이 캐리어에 가해질 수 있다. 즉, 샤프트와 엑추에이터는 일단 이동이 개시되면 튜브(56)내의 진공이 더 큰 중량의 캐리어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하므로 보다 큰 하중의 운반을 할 수 있도록 공압식 튜브 내로 이동을 시작하기 위해 캐리어에 상당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삽입되고 PTS로부터 수취되는 캐리어를 식별하기 위해, 스테이션(16)은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고, 그것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들은 식별 장치들/안테나 판독기(40)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들 안에 배치되거나(예를 들면, 캐리어 내용물에 부착된) 캐리어들 상의 RFID 칩을 활성화시키도록 동작하는 RFID 센서들/안테나들이다. 회전하는 캐리지(110)의 이용으로 인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공기 변압기들(plit air transformers)(170)이 일 실시예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의 각 캐리어 독은 하프 변압기(half transformer)(172)를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스테이션은 접근 개구 및 공압식 포트에 가깝게 고정 부착된 2개의 추가적인 하프 변압기(172)만을 포함한다. 사용에 있어서, 판독기(40)는, (즉, 공압식 포트 또는 접근 개구를 통해) 캐리어들이 수취될 때 및/또는 수취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접근 개구가 개방되기 전에 또는 캐리어가 공압식 튜브을 통해 배송되기 전에, 캐리어 상에 배치된 식별 요소를 판독하기 위해, 고정형 하프 변압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활성화시키도록 작동된다. 캐리지 변압기(172)가 스테이션 변압기(174)와 정렬되도록 회전될 때, 변압기 사이에는 소형의 에어 갭(air gap)이 존재한다. 에어 갭은 인접한 변압기들 사이에 전자기 유도가 일어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즉, 스테이션 변압기(174)는 캐리어 내의 또는 상의 RFID 요소를 활성화시키는 캐리지 변압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분리형 공기 코어 변압기들의 이용에 의해 부식과 먼지에 영향을 받는 회전하는 접촉 링들을 대체한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캐러셀/캐러지 스테이션들은 캐리지의 배향을 결정하거나/결정하고 원하는 위치에 캐리지를 로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센서 및 록들(lock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들은, 캐리어 독이 비워져 있는지 캐리어에 의해 채워져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캐리어 존재 센서들(carrier presence sensor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독들은 백라이트(backlighting)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멀리서도 스테이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예를 들면, 컬러 코드된(color coded)) 다양한 시각적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변형예에 있어서, 캐리어 독들을 분리시키는 벽들은 사용자를 곤란하게 할 가능성을 보다 감소시키는 가요성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일 배치구조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내부 캐리지 구성요소들은 기존 스테이션의 하우징 내에 끼워맞춤되는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스테이션의 하우징 내에 끼워맞춤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멀티 독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기존의 스테이션을 개조하고 키트를 제공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본 설명은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교시에 상응하는 변형 및 수정, 관련기술의 숙련 및 지식은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다. 상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진 최선의 방법을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한 실시예들의 사용(들) 또는 특정 적용례(들)에 의해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 또는 그러한 다른 실시예들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선행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정도로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9)

  1. 공압식 튜브 시스템을 위한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에 있어서,
    하우징;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 캐리어들을 배송하고 캐리어들을 수취하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공압식 포트;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캐리지로서, 상기 캐리지의 중심축에 대하여 동일한 각 간격(angular spacing)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캐리지 독을 가지며, 공압식 캐리어를 배송하거나 수취하는 상기 공압식 포트에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캐리지;
    상기 공압식 튜브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하나 내에 위치된 공압식 캐리어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된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신호 통신하며, 상기 공압식 튜브 시스템과 상기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의 각각은,
    공압식 캐리어를 홀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 원통형 영역을 형성하는 개방된 상단부 및 폐쇄된 하단부;
    상기 개방된 상단부 및 상기 폐쇄된 하단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반경방향 내부 부분;
    상기 개방된 상단부와 상기 폐쇄된 하단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반경방향 외부 부분; 및
    상기 하우징 내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개구는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회전되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단 하나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반경방향 외부 부분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접근 개구와 상기 공압식 포트는 오프셋(offset)되어 상기 캐리지의 제1 및 제2의 상이한 캐리어 독들과 정렬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접근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 도어는 상기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1 위치 및 상기 접근 개구를 보다 완전히 노출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작동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독이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될 때,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반경방향 외부 부분은 상기 캐리어 독의 외부 또는 내부로의 상기 캐리어의 제거 또는 삽입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진,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의 중심축에 대하여 이격된 다수의 개구를 가진 상부 림; 및 상기 캐리지의 중심축에 대하여 이격된 다수의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상부 림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부 림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 각각은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하나의 상기 개방된 상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하나의 상기 폐쇄된 하단부를 형성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독의 각 인접한 쌍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 각각은, 상기 개방된 상단부와 상기 폐쇄된 하단부 사이의 거리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접근 개구의 크기결정(sizing)과 함께,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지 않은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캐리어의 제거를 방지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는 선형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엑추에이터는, 상기 캐리지 아래에서의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로부터 상기 캐리지의 상단부에서 상기 공압식 포트에 근접한 연장 위치(extended position)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선형 엑추에이터는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넘(plenum)으로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적으로 격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넘; 및
    상기 공압식 포트와 직렬로 배치되는 밸브로서, 개방된 구성(open configuration)와 폐쇄된 구성(clos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이동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된 구성에서 상기 공압식 튜브 시스템을 위한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영역을 통해 흡인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이며, 상기 폐쇄된 구성에서 상기 공압식 튜브 시스템을 위한 공기는 상기 접근 개구와 상기 캐리지를 통해 흡인되거나 배출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공압식 포트로부터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제1 캐리어 독으로의 제1 공압식 캐리어의 수취 시 판독됨-;
    상기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전에 사용자 아이디(user identification)의 요구로서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를 식별하고; 그리고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를 가진 상기 제1 캐리어 독이 회전되어 상기 접근 개구 및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에 대하여 권한을 받은 수령자 정보와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아이디가 권한을 받은 수령자와 대응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를 가진 상기 제1 캐리어 독이 회전되어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접근 개구로부터 상기 다수의 캐리어 독 중 하나의 내부로의 캐리어의 수취 시 판독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공압식 캐리어를 위한 목적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및 상기 목적 위치를 저장하고; 그리고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공압식 캐리어를 가진 상기 캐리어 독이 회전되어 상기 접근 개구 및 상기 공압식 튜브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압식 캐리어는 차후의 이송을 위해 저장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공압식 캐리어를 가진 상기 캐리어 독이 회전되어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그리고
    상기 목적 위치로의 이송을 위해 상기 공압식 포트를 통해 상기 공압식 캐리어를 상기 공압식 튜브 시스템으로 발진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를 홀딩하는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 독이 상기 공압식 포트와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는 제2 캐리어 독에서 제2 공압식 캐리어를 수취할 때,
    상기 제어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캐리지가 회전되어,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동안 상기 제2 공압식 캐리어를 홀딩하는 상기 제2 캐리어 독이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를 가진 상기 제1 캐리어 독이 상기 접근 개구와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접근 개구와 정렬되는 제2 캐리어 독에서 제2 공압식 캐리어를 수취할 때,
    상기 제어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캐리지가 회전되어, 상기 제1 공압식 캐리어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동안 상기 제2 공압식 캐리어를 홀딩하는 상기 제2 캐리어 독이 상기 공압식 포트와 정렬되도록 하는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5. 제 13 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적으로, 캐리지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캐리어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접근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접근 도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송 및 수취 스테이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77012066A 2014-10-02 2015-10-02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 KR101967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58781P 2014-10-02 2014-10-02
US62/058,781 2014-10-02
US201562189366P 2015-07-07 2015-07-07
US62/189,366 2015-07-07
PCT/US2015/053832 WO2016054576A1 (en) 2014-10-02 2015-10-02 Multiple dock station for pneumatic transpor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814A KR20170067814A (ko) 2017-06-16
KR101967200B1 true KR101967200B1 (ko) 2019-04-09

Family

ID=5435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66A KR101967200B1 (ko) 2014-10-02 2015-10-02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694992B2 (ko)
EP (1) EP3201110A1 (ko)
KR (1) KR101967200B1 (ko)
CN (1) CN107000947B (ko)
CA (1) CA2964904C (ko)
WO (1) WO2016054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2585A (zh) * 2017-09-08 2017-12-26 湖南三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物料气动输送系统的发送装置
US10913618B2 (en) * 2018-05-16 2021-02-09 Pevco Systems International Inc. ADA-compliant workstation for pneumatic tube delivery system
US10867457B1 (en) * 2018-11-05 2020-12-15 INMAR Rx SOLUTIONS, INC. Pharmaceutical transport system including electronic lock based pharmaceutical transport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US20210299794A1 (en) * 2020-03-30 2021-09-30 Illinois Tool Works Inc. Laser welding enclosure
US11482314B1 (en) * 2021-04-09 2022-10-25 INMAR Rx SOLUTIONS, INC. Pharmaceutical transport system including RFID based lock operation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223A1 (en) * 2001-03-06 2002-10-03 Gerhard Sumetzberger High-security terminal for pneumatic-tube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3026A (en) * 1929-02-25 1929-10-22 Western Union Telegraph Co Automatic selective pneumatic-tube-carrier relay
US1784967A (en) * 1929-09-17 1930-12-16 Western Union Telegraph Co Single selector relay for pneumatic-tube systems
US3030152A (en) 1958-12-08 1962-04-17 Hoshino Kenzo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solidliquid mixture by rotating pipe
NL297376A (ko) * 1962-09-13
US3337159A (en) * 1965-09-24 1967-08-22 Ibm Pneumatic isolation buffer
US3536098A (en) 1968-11-13 1970-10-2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iverter valve for pneumatic conveyance system
US3829042A (en) 1970-01-20 1974-08-13 I Torochkov Installation for pneumatic conveyance of containerized loads through a tube
US3627231A (en) 1970-07-14 1971-12-14 Ibm Article carrier transfer and tracking systems
US3674123A (en) 1970-08-20 1972-07-04 Hydril Co Pig diverter
US3711038A (en) 1970-09-14 1973-01-16 Automatic Tube Co Pneumatic tube system
US3894372A (en) 1973-01-08 1975-07-15 Baltek Corp Cryogenic insulating panel system
US3892372A (en) 1973-08-30 1975-07-01 Mosler Safe Co Pneumatic carrier system with station control
JPS518138A (ja) 1974-07-10 1976-01-22 Kobe Steel Ltd Yosetsusochi
JPS5181378A (ja) * 1975-01-10 1976-07-16 Hitachi Shipbuilding Eng Co Kapuseruyusoshisutemuniokeru kapuserushutsunyubukozo
US4037805A (en) 1975-09-12 1977-07-26 Adolf Moritsovich Alexandrov Assembling and repair station of a plant for pneumatic transportation of goods in containers through a pipeline
US4058274A (en) 1976-09-23 1977-11-15 Ernest Hochradel Pneumatic tube system
US4084770A (en) 1977-03-07 1978-04-18 Warmann Bruno D Pneumatic tube conveyor dispatcher
DE2722865C2 (de) 1977-05-20 1986-06-19 Krupp Polysius Ag, 4720 Beckum Rohrpostförderanlage für Feingutproben
US4437799A (en) 1977-10-04 1984-03-20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JPS5786666A (en) 1980-11-14 1982-05-29 Shigeo Nakajima Flow path change-over mechanism
DE3102248A1 (de) * 1981-01-19 1982-09-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Rohrpoststation zum senden, pneumatisch gebremsten empfangen und durchfahren von rohrpostbuechsen
FR2502229A1 (fr) * 1981-03-20 1982-09-24 Applic Aeronautiques Equipements de distribution de cartouches de billets pour banques et similaires
DE3365195D1 (en) * 1982-02-17 1986-09-18 Siemens Ag Pneumatic tube conveyor comprising a dispatch system of the single tube line type and the connection stations for two lines
US4529335A (en) * 1983-03-22 1985-07-16 Hilbert John J System for transferring carrier from one pneumatic carrier receiving/dispatching station to another
AT393490B (de) * 1990-04-25 1991-10-25 Sumetzberger Walter Rohrpoststation
US5354152A (en) 1990-07-06 1994-10-11 Eolas - The Irish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ice lumps
US5217328A (en) 1991-09-18 1993-06-08 Infotronic Vertriebsgesellschaft Fur Kommunikationssysteme Mbh Pneumatic tube conveyor system
US5192170A (en) * 1991-09-18 1993-03-09 Infotronic Vertriebsgesellschaft Fuer Kommunikationssysteme Mbh Pneumatic tube conveyor station
US5623415A (en) 1995-02-16 1997-04-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Automated sampling and testing of biological materials
US5816443A (en) * 1995-03-15 1998-10-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Product vending system with pneumatic product delivery
US6477442B1 (en) * 1995-08-10 2002-11-05 Fred M. Valerino, Sr. Autoacceptertube delivery system with a robotic interface
US6202004B1 (en) 1995-08-10 2001-03-13 Fred M. Valerino, Sr. Autoacceptertube delivery system with a robotic interface
US20010056311A1 (en) 1997-09-25 2001-12-27 Fred M. Valerino Automatic empty carrier storage, retrieval and distribuition system
US5735644A (en) 1996-03-25 1998-04-07 Diebold, Incorporated Pneumatic tube system and blower assembly
US5864485A (en) 1996-05-20 1999-01-26 Translogic Corporation Gridlock detection and alleviation for pneumatic carrier systems
US6173202B1 (en) 1998-03-06 2001-01-09 Spectr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flux rates of a fluid in a microporated biological tissue
US6146057A (en) 1998-06-25 2000-11-14 Diebold, Incorporated Pneumatic transfer apparatus
US7039495B1 (en) 1998-12-08 2006-05-02 Advance Micro Devices, Inc. Management of multiple types of empty carriers i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s
US6659693B1 (en) 2002-05-21 2003-12-09 Advanced Pneumatic Tubes, Inc. Pneumatic tub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6712561B1 (en) 2002-09-23 2004-03-30 Frederick M. Valerino, Sr. Disposal of sharps in a healthcare environment
US7243002B1 (en) * 2004-03-27 2007-07-10 Translog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rrier identification in a pneumatic tube system
CN101389554A (zh) * 2006-01-13 2009-03-18 Cda集团有限责任公司 气动传送系统及其方法
CN101161573A (zh) * 2006-10-13 2008-04-16 北京银融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远程柜员系统
US8322601B1 (en) * 2007-01-03 2012-12-04 Diebold, Incorporated In wall rotating device for exchanging items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drive-through lane customer
WO2010022291A2 (en) * 2008-08-22 2010-02-25 United States Pharmaceutical Distributors, Inc. Pneumatic container transport system
US8793014B2 (en) * 2008-10-09 2014-07-29 Translogic Corporation Pneumatic transport delivery control
US8382401B2 (en) * 2008-10-09 2013-02-26 Translogic Corporation Variable diameter pneumatic tube brake
US9630787B2 (en) 2008-10-16 2017-04-25 Fredrick M. Valerino, SR. Pneumatic tube carrier routing and tracking system
US8700207B2 (en) * 2008-10-16 2014-04-15 Fredrick M. Valerino, SR. Pneumatic tube carrier tracking system
US8116906B2 (en) * 2008-10-16 2012-02-14 Pevco Systems International, Inc. Pneumatic tube carrier tracking system
CA2703256C (en) * 2009-05-05 2015-02-24 Translogic Corporation Pneumatic tube system recovery
US8029212B2 (en) 2009-07-29 2011-10-04 Pevco System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sealing products in a pneumatic tube carrier
US9309063B2 (en) * 2009-10-02 2016-04-12 Blak & Sørensen Aps Pneumatic transport system
CN201520546U (zh) * 2009-10-21 2010-07-07 万斌 双管移动式气动物流设备工作站的排气结构
US8721231B2 (en) * 2010-08-25 2014-05-13 Swisslog Healthcare Solutions Deadlock alleviation for pneumatic tube systems
US20130279993A1 (en) 2012-04-23 2013-10-24 Translogic Low impact station for pneumatic transport system
US9139383B2 (en) * 2012-09-13 2015-09-22 Translogic Corporation Control of pneumatic carrier system based on carrier or payload identification
WO2014179701A1 (en) * 2013-05-03 2014-11-06 Aeth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 carrier/container for tracking, controlling access, and providing delivery confirmation
US9499354B2 (en) * 2014-03-31 2016-11-22 Aesynt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a pneumatic tube system
US9352914B2 (en) * 2014-04-16 2016-05-31 Ngoc Minh Le Pneumatic tube carri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223A1 (en) * 2001-03-06 2002-10-03 Gerhard Sumetzberger High-security terminal for pneumatic-tube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7184B2 (en) 2019-03-12
CN107000947A (zh) 2017-08-01
WO2016054576A1 (en) 2016-04-07
US20160096691A1 (en) 2016-04-07
CA2964904C (en) 2019-06-25
EP3201110A1 (en) 2017-08-09
US20180134502A1 (en) 2018-05-17
US9694992B2 (en) 2017-07-04
KR20170067814A (ko) 2017-06-16
CA2964904A1 (en) 2016-04-07
CN107000947B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200B1 (ko) 공압식 이송 시스템을 위한 멀티 독 스테이션
US6146057A (en) Pneumatic transfer apparatus
JP5997706B2 (ja) 空気圧式メールシステムと、研究所自動化システムへバイオ製品容器を供給するシステムとの間にあ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3676814B2 (ja) 装置と方法
US92602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torage and withdrawal of products with security restrictions
JP4444986B2 (ja) 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EP0343013B1 (en) Pneumatic cash transfer systems and canisters for use therein
US20080292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neumatic Transport
WO1997031848A1 (en) Cassette based document handling system
JP2019053710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4444985B2 (ja) トレイ又は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US20130199422A1 (en) Device for handling coins
JPH1090277A (ja) 検体搬送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る自動搬送車
JP2008079758A (ja) 景品払出機
US10957142B2 (en) Security cassette, complete device with a security cassette and method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ITRM20090231A1 (it) Sistema pneumatico per la spedizione di capsule portaoggetti
JP7384663B2 (ja) 検体容器の取出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7373396B2 (ja) 検体容器下降装置
RU2000116646A (ru) Электронный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рециклирования валюты
US20220227589A1 (en) Pneumatic tube system with secure carrier storage
WO2023181829A1 (ja) 搬送システム
JP2008305354A (ja) リーダライタ制御装置
DK9300287U3 (da) Indretning til håndtering af emballager, f.eks. flasker
JPH0539105A (ja) 気密収納室に対する物品の自動搬入搬出装置
JPS59221786A (ja) 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