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090B1 - 차륜위치 특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륜위치 특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090B1
KR101967090B1 KR1020177036716A KR20177036716A KR101967090B1 KR 101967090 B1 KR101967090 B1 KR 101967090B1 KR 1020177036716 A KR1020177036716 A KR 1020177036716A KR 20177036716 A KR20177036716 A KR 20177036716A KR 101967090 B1 KR101967090 B1 KR 10196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ransmitter
difference
pulse count
cou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355A (ko
Inventor
야스히사 츠지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 B60C23/0416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allocating a corresponding wheel position on vehicle, e.g. front/left or rear/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60C23/0488Movement sensor, e.g. for sensing angular speed, acceleration or centripetal fo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4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수신 컨트롤러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면,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의 펄스 카운트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이전에 취득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역치와 비교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와 역치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각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Description

차륜위치 특정장치
본 발명은, 차륜위치 특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타이어의 상태를 운전자가 차실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무선방식의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는, 복수의 차륜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송신기와, 차체에 탑재되는 수신기를 구비한다. 각 송신기는 타이어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또한, 각 송신기는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부터 무선송신으로 출력한다.
수신기는, 각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타이어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차실 내에 설치된 표시기에, 필요에 따라 표시되도록 한다.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복수의 타이어 중 어느 타이어에 설치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었는지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수신기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관련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은, 각 송신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에서 송신기는 차륜의 회전각도를 무선신호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수신기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차륜의 회전각도를 취득한다.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회전각도와 송신기로부터 회전각도를 수신한 때에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한 회전각도와의 상대각도의 변화를 감시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상대각도의 변화가 가장 적은 차륜을, 무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으로 특정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10-122023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서는 차륜위치 특정을 위하여, 2개의 회전각도의 상대각도의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고도의 총계처리가 필요하여, 차륜위치 특정장치의 부하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처리에 따른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차륜위치 특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의하면,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위치를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며, 복수의 차륜 각각에 송신기가 설치되고, 각 송신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차륜의 회전위치가 일정위치일 때에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송신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차륜의 회전위치를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와 이전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의 차이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차이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역치로서, 수신한 송신신호가 일정위치에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적산역치가 설정된다. 특정부는,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으로 판정된 횟수, 또는 적산역치 미만으로 판정된 횟수를 적산하여, 적산에 의해 얻어진 적산값으로부터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에 의하면,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위치를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며, 복수의 차륜의 각각에 송신기가 설치되고, 각 송신기가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회전위치가 일정위치일 때에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송신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차륜의 회전위치를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와 이전에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의 차이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차이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역치로서, 미리 결정된 범위가 설정된다. 특정부는,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을 적산하며, 적산에 의해 얻어진 적산값으로부터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축과 차륜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회전 센서 유닛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검출기에 발생하는 펄스와 펄스의 카운트 태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송신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좌전차륜이 송신신호를 송신할 때의 각 차륜의 회전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ID 1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송신신호를 수신한 때의 각 회전 헨서 유닛의 펄스 카운트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해 차이가 적산역치 이상으로 판정된 횟수의 적산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한 적산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륜위치 특정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은 ABS(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 Anti-lock Brake System)(20) 및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30)를 탑재한다. ABS(20)는, ABS 컨트롤러(25)와, 차량(10)의 4개의 차륜(11)에 각각 대응하는 회전 센서 유닛(21~24)을 구비한다. 제1회전 센서 유닛(21)은 좌전차륜(FL)에 대응하고, 제2회전 센서 유닛(22)은 우전차륜(FR)에 대응한다. 제3회전 센서 유닛(23)은 좌후차륜(RL)에 대응하고, 제4회전 센서 유닛(24)은 우후차륜(RR)에 대응한다. 각 차륜(11)은, 차량용 휠(12)과, 차량용 휠(12)에 장착된 타이어(13)로 구성된다. ABS 컨트롤러(2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회전 센서 유닛(21~24)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 차륜(11)의 회전위치(회전각도)를 구한다. 또한, 차량(10)에는 엔진의 시동이나 정지 등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14)가 탑재된다. 제어장치(14)에는 운전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이그니션 스위치(15)가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위치 검출부로서의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은, 차륜(11)과 일체로 회전하는 치차(26)와, 치차(26)의 외주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검출기(27)로 이루어진다. 치차(26)의 외주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8개)의 기어가 같은 각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검출기(27)는 치차(26)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를 검출한다. ABS 컨트롤러(25)는 각 검출기(27)에 유선접속된다. ABS 컨트롤러(25)는 각 검출기(27)의 펄스의 카운트값(이하, '펄스 카운트값'이라 기재)에 기초하여, 각 차륜(11)의 회전위치를 구한다. 구체적으로 검출기(27)는 치차(26)의 1회전마다, 기어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ABS 컨트롤러(25)는 검출기(27)에 발생한 펄스를 카운트한다. 차륜(11)이 1회전(360도)하는 사이에 검출기(27)에 발생한 펄스 수로 360도를 나누면, 펄스 카운트 1당 치차(26)가 몇 도 회전하였는지, 환언하면, 차륜(11)의 회전위치(회전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S 컨트롤러(25)는 펄스의 상승 및 하강에 기초하여 0~95까지 카운트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상태 감시장치(30)는 4개의 차륜(11)에 각각 설치된 송신기(31)와, 차체에 설치되는 수신기(50)를 구비한다. 각 송신기(31)는 차량용 휠(12)에 설치된 타이어(13)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각 송신기(31)는 대응하는 타이어(13)의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각 송신기(31)는 타이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송신으로 출력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송신기(31)는 압력 센서(32), 온도 센서(33), 가속도 센서(34), 컨트롤러(35), 송신회로(36), 배터리(37), 및 송신 안테나(39)를 구비한다. 송신기(31)는 배터리(37)로부터의 공급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컨트롤러(35)는 송신기(31)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압력 센서(32)는 대응하는 타이어(13) 내의 압력(타이어 공기압)을 검출한다. 온도 센서(33)는 대응하는 타이어(13) 내의 온도(타이어 내 온도)를 검출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34)는 송신기(31)의 위치가 차륜(11)의 최상위치(혹은 최하위치)일 때, 검출축(34a)이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가속도 센서(34)는 검출축(34a)을 따라 설치된 검출부(예를 들면, 다이어프램)의 변형량을 전압으로써 출력한다. 검출축(34a)은 차륜(11)의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원심가속도)를 검출한다. 가속도 센서(34)가 검출축(34a) 이외의 검출축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검출축 각각에 작용하는 가속도가 개별로 검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는 검출축(34a)에 의해 검출되는 가속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35)는, CPU(35a), 기억부(35b)(RAM이나 ROM 등) 및 타이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35b)는 각 송신기(31)에 고유의 식별정보인 ID를 기억한다. ID는 수신기(50)가 복수의 송신기(31) 각각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컨트롤러(35)는 압력 센서(32)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공기압, 온도 센서(33)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내 온도, 및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를 미리 정해진 취득빈도로 취득한다. 또한, 컨트롤러(35)는 타이어 공기압 데이터, 타이어 내 온도 데이터, 및 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회로(36)에 출력한다. 송신회로(36)는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송신신호를 송신 안테나(39)로부터 무선송신으로 출력한다.
송신신호는 차륜(11)의 회전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을 때 송신된다. 컨트롤러(35)는 송신기(31)의 위치가 차륜(11)의 최하위치일 때에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34)는 검출한 가속도로부터 송신기(31)가 최하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속도 센서(34)는 검출부의 변형량을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을 포함하는 전압으로 출력한다. 직류성분이 원심가속도를 나타내고, 교류성분이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컨트롤러(35)는 가속도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중력가속도가 +1G일 때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컨트롤러(35)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하위치(일정위치)에 위치할 때에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50)는 수신 컨트롤러(51), 수신회로(52) 및 수신 안테나(56)를 구비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표시기(57)에 접속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ABS 컨트롤러(25) 및 제어장치(14)에 접속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수신회로(52)로부터의 송신신호에 기초하여 송신원인 송신기(31)에 대응하는 타이어(13)의 상태, 예를 들면, 타이어 공기압 및 타이어 내 온도를 파악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타이어 공기압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기(57)에 표시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CPU(54) 및 기억부(55)(ROM이나 RAM 등)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55)는 수신기(5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수신회로(52)는 각 송신기(31)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수신 안테나(56)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회로(52)는 각 송신기(31)로부터의 송신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컨트롤러(51)에 보낸다.
수신 컨트롤러(51)는 수신회로(52)로부터 타이어(13)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렇게 수신 컨트롤러(51)는 송신원인 송신기(31)에 대응하는 타이어 상태를 파악하고, 타이어 공기압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기(57)에 표시한다. 또한, 취득부로서의 수신 컨트롤러(51)는 ABS 컨트롤러(25)로부터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의 펄스 카운트값(검출값)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D 1의 송신기(31)가 좌전차륜(FL)에 장착되고, ID 2의 송신기(31)가 우전차륜(FR)에 장착되며, ID 3의 송신기(31)가 좌후차륜(RL)에 장착되고, ID 4의 송신기(31)가 우후차륜(RR)에 장착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ID 1의 송신기(31)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최하위치를 통과하는 시각 t1, t2, t3, t4에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즉, ID 1의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회전위치는, 시각 t1, t2, t3, t4에서 모두 동일하다. 한편, 각 차륜(11)의 회전수는 디퍼런셜 기어 등의 영향에 의해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ID 2, ID 3, ID 4의 송신기(31)가 설치된 각 차륜(11)의 회전위치는 시각 t1, t2, t3, t4에서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수신회로(52)가 ID 1의 송신기(31)로부터 송신된 송신신호를 수신한 때에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에 의해 검출되는 펄스 카운트값을 검출하면, 도 6의 사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전차륜(FL)에 대응하는 제1회전 센서 유닛(21)에 의해 검출되는 펄스 카운트값의 편차가 가장 작다. 이와 같이,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에서의 펄스 카운트값의 편차로부터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용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의 스텝 S11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이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산출한다. 산출부로서의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1회 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이하,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이라 기재)의 차이(이하, '차이'라 기재)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펄스 카운트값 56과 펄스 카운트값 38의 차이의 절대값은 18이고, 펄스 카운트값 41과 펄스 카운트값 82의 차이의 절대값은 41이다.
스텝 S12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사용되는 역치인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의 판정결과가 긍정인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스텝 S13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 S12의 판정결과가 부정인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S14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3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 경우의 횟수를 적산한다. 상세하게는, 기억부(55)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 횟수를 기억한다.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일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기억부(55)에 기억된 횟수에 1을 더한다. 이렇게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 횟수가 적산된다. 적산역치는, 송신기(31)나 수신기(50)의 각 부재의 공차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적산역치는 송신기(31)가 차륜(11)의 일정위치를 통과하여 송신신호를 송신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펄스 카운트값의 어긋남의 허용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적산역치로서, 예를 들면 펄스 카운트 10이 설정된다. 수신한 송신신호를 ID 마다 분류하면, 송신신호를 수신한 때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편차가 작은 회전 센서 유닛이 존재한다. 도 8은, ID 마다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카운트값을 취득한 때,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적산역치 이상으로 판정된 횟수의 적산값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이 되는 횟수는,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에 대하여 가장 적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4에 있어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가 특정된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이 새로이 취득될 때 상기 일련의 처리를 행한다. 차륜(11)의 위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특정된다. 우선, 수신 컨트롤러(51)는 ID 마다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적산역치 이상이 되는 때의 적산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1특정부로서의 수신 컨트롤러(51)는 적산값이 가장 적은 회전 센서 유닛(21~24)에 대응하는 차륜(11)을 특정하고, 그 차륜(11)에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된 것으로 판정한다. 도 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제1회전 센서 유닛(21)의 적산값이 가장 적다. 따라서, 제1회전 센서 유닛(21)에 대응하는 좌전차륜(FL)에 ID 1의 송신기(31)가 설치되었다고 특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는 각 차륜(11)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회전위치의 차이로부터,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가 특정된다. 각 차륜(11)의 회전수의 차이가 커지는 경우로서, 차량(10)이 선회할 때나, 기복이 큰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10)이 평활한 노면을 직진하는 경우는, 각 차륜(11)의 회전수에 차이가 발생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우후차륜(RR)과 같이, 시간경과에 따라 펄스 카운트값이 작아지지만, 취득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2회분의 펄스 카운트값만으로는 편차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용함으로써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의 스텝 S21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취득된 펄스 카운트값 - 전회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를 산출한다.
다음, 스텝 S22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사용되는 역치인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미리 결정된 범위는 양(正)의 값과 음(負)의 값에 걸쳐있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범위는 펄스 카운트 -2~+2이다.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미리 결정된 범위는, 이 범위를 중심으로 하여 펄스 카운트값이 양의 방향으로 어긋나는지 음의 방향으로 어긋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적산역치보다 작게 설정된다.
그리고,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밖인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을 가산한다.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은 경우, 스텝 S23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기억부(55)에 기억된 적산값에 -1을 가산한다. 또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 스텝 S24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기억부(55)에 기억된 적산값에 +1을 가산한다.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인 경우, 스텝 S25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가산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송신기(31)로부터 송신신호가 송신되는 위치는 일정위치를 중심으로 편차를 나타낸다. 이 경우, 차륜(11)의 회전위치가 일정위치에 이르기 전에 송신되는 송신신호의 횟수는 차륜(11)의 회전위치가 일정위치를 넘어선 후에 송신되는 송신신호의 횟수와 가까워지기 쉽다. 따라서,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에서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횟수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은 횟수와 가까워지기 쉽다. 여기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클 때, 수신 컨트롤러(51)는 적산값에 +1을 가산한다.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을 때, 수신 컨트롤러(51)는 적산값에 -1을 가산한다. 따라서,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적산값이 다른 차륜(11)의 적산값에 비하여 가장 0에 가까워진다.
스텝 S26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고, 그 후,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이 새로이 취득될 때에 상기 일련의 처리를 행한다. 차륜(11)의 위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특정된다. 우선, 수신 컨트롤러(51)는 ID마다 적산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2특정부로서의 수신 컨트롤러(51)는 적산값이 가장 0에 가까운 회전 센서 유닛(21~24)에 대응하는 차륜(11)에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되었다고 특정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제1회전 센서 유닛(21)에 의해 검출되는 적산값이 가장 O에 가깝다. 따라서, 제1회전 센서 유닛(21)에 대응하는 좌전차륜(FL)에 ID 1의 송신기(31)가 설치되었다고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용함으로써,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이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행하여 행하고,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차륜(11)과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특정된 차륜(11)이 일치하는 경우에,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이라 특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ID 마다 분류하여 적산값을 산출하고,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ID 마다 분류하여 적산값을 산출하여,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과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을 적산할 수도 있다.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기 설치된 차륜(11)에서는,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산출된 적산값과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산출된 적산값의 합계값이 가장 0에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는 이그니션 스위치(15)가 온(On)되면 개시된다. 또한, 제1 및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는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가 특정되면 종료된다. 펄스 카운트값은 이그니션 스위치(15)가 오프(Off) 될 때마다 리셋된다. 이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이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은, 이그니션 스위치(15)가 온 된 후로부터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이고, 이그니션 스위치(15)가 온 되기 이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신기(50)가 차륜위치 특정장치이다.
다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륜위치 특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면 각 회전 센서 유닛(21~24)의 펄스 카운트값을 취득한다.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 횟수(적산값)로부터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한다.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양의 값을 적산하거나 음의 값을 적산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적산값으로부터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한다.
즉,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 및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그 차이와 역치를 비교하는 역치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와 역치의 비교에 기초하여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수신 컨트롤러(51)는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용함으로써,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일 경우의 횟수를 적산한다. 이 때문에,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시간으로는 회전수가 조금밖에 변동하지 않는 다른 차륜(11)이 존재하는 경우, 차륜(11)의 위치의 특정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상세히 말하면, 이러한 경우에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해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함에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예를 들면 5회 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로부터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즉, 단시간으로는 펄스 카운트값이 조금밖에 변동하지 않아도, 장시간이라면 펄스 카운트값이 적산역치 이상 변화한다고 추측하여 상기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이 경우,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나, 차륜(11)의 위치의 특정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반면, 단시간에 펄스 카운트값이 조금밖에 변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라면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는,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아지는 횟수가,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커지는 횟수와 우연히 가까워 질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반면,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는 상기한 경우라도,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를 병용함으로써, 서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단시간에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수신 컨트롤러(51)는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한다. 수신 컨트롤러(51)에 의한 상기 일련의 처리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산출과,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와 역치와의 비교, 및 비교결과에 따른 적산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고도한 총계처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신 컨트롤러(51)의 부하가 경감된다. 수신 컨트롤러(51)의 부하가 클 경우 송신신호에 포함된 공기압 데이터의 취득에 누락이 발생하거나, 공기압 데이터의 취득에 장시간을 요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신 컨트롤러(51)의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2)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 횟수를 적산한다. 송신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펄스 카운트값을 ID마다 분류하면,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에 대응하는 회전 센서 유닛의 펄스 카운트값의 편차가 가장 작다. 이 때문에, 펄스 카운트 값의 차이도 가장 작다. 따라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3)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을 적산한다. 송신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펄스 카운트값을 ID마다 분류하면,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커지는 횟수는, 펄스 카운트 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아지는 횟수와 가까워지기 쉽다. 따라서,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클 때와,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을 때에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을 가산한다. 이로써,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ㆍ 제1 및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있어서, 전회의 펄스 카운트값으로서 복수회 전(예를 들면, 2회 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복수회 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에 따른 적산값만을 사용하여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복수회 전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에 따른 적산값과,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과 전회에 취득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에 따른 적산값으로부터 개별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의해 특정된 차륜(11)의 일치성(다수성)에 따라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ㆍ 차륜위치 특정장치는, 제1 및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추가로, 이들과는 다른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사용하여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차륜위치 특정장치는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추가로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와는 다른 방식의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륜위치 특정장치는 차륜(1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추가로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와는 다른 방식의 차륜위치 특정처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ㆍ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있어서,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밖인 경우에 가산되는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에 +2를 가산하고,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2를 가산할 수도 있다. 가산되는 값으로서 양음의 서로 다른 동일한 값(절대값이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에 +2를 가산하고,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1를 가산할 수도 있다.
ㆍ 제2차륜위치 특정처리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범위는 양음에 걸쳐있지 않을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범위는 양으로 치우친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범위는 펄스 카운트 0~+2나, 펄스 카운트 +1~+3등일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범위는 음으로 치우친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범위는 펄스 카운트 -2~+0나, 펄스 카운트 -1~-3등일 수 있다. 이들의 경우,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하면,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커지는 횟수와,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작아지는 횟수 사이에 치우침이 발생한다. 환언하면,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양음의 서로 다른 값을 가산하면 적산값의 양 또는 음으로의 치우침이 커진다(절대값이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 송신기(31)가 복수의 차륜(11) 중 어느 차륜(11)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항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적산값이 양 또는 음으로 치우침으로써 차륜(11)의 위치 특정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미리 결정된 범위로서 양 또는 음으로 치우친 범위를 채용하는 경우, 치우침 보정계수를 적산값에 가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우침 보정계수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치우침에 기인한 적산값의 치우침을 보정하는 계수이다. 치우침 보정계수는 미리 경절된 범위에 따라 산출된 값이다. 치우침 보정계수는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된 차륜(11)에 대응하는 회전 센서 유닛(21~24)의 적산값의 절대값이 0에 근접하도록 설정된다.
실시형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신 컨트롤러(51)는 수신한 송신신호를 ID마다 분류하여 적산값을 산출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 횟수(스텝 S22의 처리횟수)에 치우침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적산값에 더한다. 그리고, 수신 컨트롤러(51)는 ID 마다 분류하여 보정 적산값을 산출한다. 수신 컨트롤러(51)는 ID마다 분류된 보정 적산값 중에서 가장 절대값이 작은(0에 가까운) 회전 센서 유닛(21~24)에 대응하는 차륜(11)의 당해 ID의 송신기(31)가 설치되었다고 특정한다.
ㆍ 제1차륜위치 특정처리에서는,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미만이 되는 횟수를 적산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 카운트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적산역치 미만이 되는 횟수는 송신신호를 송신한 송신기(31)가 설치되는 차륜(11)이 가장 많아진다.
ㆍ 표시기(57)는 차량(1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고,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단말 등을 표시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ㆍ 차량(10)은 복수의 차륜(11)을 갖는 차량(10)이면 되고, 4륜 이외일 수 있다.
ㆍ 펄스의 상승과 하강의 양쪽을 카운트하였으나, 펄스의 상승 또는 하강만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 카운트값은 상승과 하강의 양쪽을 카운트하는 경우의 반이 된다.
ㆍ 치차의 기어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차륜(11)이 1회전함으로써 회전 센서 유닛에 발생하는 펄스 수는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위치를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차륜 각각에 송신기가 설치되며, 각 송신기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로서,
    상기 차륜의 회전위치가 일정위치일 때에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차륜의 회전위치를 상기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위치와 이전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의 차이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차이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설치된 상기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역치로서, 수신한 상기 송신신호가 상기 일정위치에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적산역치가 설정되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적산역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적산역치 이상으로 판정된 횟수, 또는 상기 적산역치 미만으로 판정된 횟수를 적산하며, 적산에 의해 얻어진 적산값으로부터 상기 송신기가 설치된 상기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
  2. 복수의 차륜 각각의 회전위치를 검출값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부를 갖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복수의 차륜 각각에 송신기가 설치되며, 각 송신기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어느 차륜에 설치되었는지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로서,
    상기 차륜의 회전위치가 일정위치일 때에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상기 송신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차륜의 회전위치를 상기 회전위치 검출부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회전위치와 이전에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회전위치의 차이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차이를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송신기가 설치된 상기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역치로서, 미리 결정된 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차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양음(正負)의 서로 다른 값을 적산하며, 적산에 의해 얻어진 적산값으로부터 상기 송신기가 설치된 차륜의 위치를 특정하는,
    차륜위치 특정장치.
KR1020177036716A 2015-05-28 2016-05-25 차륜위치 특정장치 KR101967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723A JP5956021B1 (ja) 2015-05-28 2015-05-28 車輪位置特定装置
JPJP-P-2015-108723 2015-05-28
PCT/JP2016/065511 WO2016190371A1 (ja) 2015-05-28 2016-05-25 車輪位置特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55A KR20180009355A (ko) 2018-01-26
KR101967090B1 true KR101967090B1 (ko) 2019-04-08

Family

ID=5642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716A KR101967090B1 (ko) 2015-05-28 2016-05-25 차륜위치 특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3698B2 (ko)
EP (1) EP3308985B1 (ko)
JP (1) JP5956021B1 (ko)
KR (1) KR101967090B1 (ko)
CN (1) CN107614295B (ko)
WO (1) WO2016190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8270A1 (ja) 2017-04-27 2018-11-01 太平洋工業 株式会社 受信機、及び、送信機ユニット
CN109153297B (zh) 2017-04-27 2020-10-27 太平洋工业株式会社 接收器
US10479148B2 (en) 2017-04-27 2019-11-19 Pacific Industrial Co., Ltd. Receiver and transmitter unit
KR102204322B1 (ko) * 2019-01-04 2021-01-18 씨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위치 식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타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7971A (ja) 2008-09-26 2011-11-10 コンチ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両における少なくとも1つのホイールのロケ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センサ、検出器及びシステム
JP2014031144A (ja) 2012-08-06 2014-02-20 Denso Corp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2014511796A (ja) 2011-04-14 2014-05-19 コンティ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フランス 車両のホイールの位置を特定する方法
JP5590227B2 (ja) 2011-04-15 2014-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JP2015074388A (ja) 2013-10-10 2015-04-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8658A1 (de) * 1996-05-09 1997-11-13 Continental Ag Luftdruckkontrollsystem
DE19734323B4 (de) * 1997-08-08 2004-05-0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urchführung der Zuordnung der Radposition zu Reifendruckkontrollvorrichtungen in einem Reifendruckkontro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US6396408B2 (en) 2000-03-31 2002-05-28 Donnelly Corporation Digital electrochromic circuit with a vehicle network
US6731205B2 (en) * 2001-08-06 2004-05-04 Donnelly Corporation Self training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FR2844748B1 (fr) * 2002-09-25 2004-11-26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Systeme de controle de la pression des pneumatiques des roues d'un vehicule automobile
US7237433B2 (en) * 2003-11-07 2007-07-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bri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FR2869839B1 (fr) * 2004-05-04 2006-07-07 Johnson Controls Tech Co Systeme de controle de la pression des pneumatiques des roues d'un vehicule automobile
US7334463B2 (en) * 2005-02-11 2008-02-26 Trw Automotive U.S. Llc Tire parameter sensing system having a tire rotation dependent transmission scheme
JP4692068B2 (ja) * 2005-05-06 2011-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US8115613B2 (en) * 2008-07-18 2012-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uto learn algorithm
JP5182030B2 (ja) 2008-11-19 2013-04-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および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方法
US8289144B2 (en) * 2008-11-28 2012-10-16 Silicon Valley Micro C Corp. Tire parameter monitoring system with sensor location using RFID tags
DE102009059788B4 (de) * 2009-12-21 2014-03-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okalisieren der Verbaupositionen von Fahrzeugrädern in einem Kraftfahrzeug
US8498785B2 (en) * 2010-09-07 2013-07-30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re position on a vehicle
US8436724B2 (en) * 2010-11-05 2013-05-07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re condition and location
JP5585595B2 (ja) 2012-01-18 2014-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5585597B2 (ja) 2012-01-27 2014-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US9278590B2 (en) 2013-08-22 2016-03-08 Schrader Electr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loc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arranged with a vehicle wheel using confidence interval analysis and change of wheel direction
US9333814B2 (en) * 2013-08-22 2016-05-10 Schrader Electr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o-location of a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arranged with a vehicle wheel using confidence interval analysis and rollback events
JP2015054545A (ja)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JP2015074387A (ja) 2013-10-10 2015-04-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7971A (ja) 2008-09-26 2011-11-10 コンチ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車両における少なくとも1つのホイールのロケ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センサ、検出器及びシステム
JP2014511796A (ja) 2011-04-14 2014-05-19 コンティ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フランス 車両のホイールの位置を特定する方法
JP5590227B2 (ja) 2011-04-15 2014-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JP2014031144A (ja) 2012-08-06 2014-02-20 Denso Corp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2015074388A (ja) 2013-10-10 2015-04-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イヤ位置判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22058A (ja) 2016-12-28
EP3308985A1 (en) 2018-04-18
CN107614295A (zh) 2018-01-19
EP3308985B1 (en) 2021-06-23
CN107614295B (zh) 2019-11-12
KR20180009355A (ko) 2018-01-26
EP3308985A4 (en) 2019-01-16
JP5956021B1 (ja) 2016-07-20
US20180147899A1 (en) 2018-05-31
WO2016190371A1 (ja) 2016-12-01
US10583698B2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8213B (zh) 车轮位置确定装置
KR101772349B1 (ko) 차륜 위치 특정 장치
KR101967090B1 (ko) 차륜위치 특정장치
KR101790905B1 (ko) 타이어 상태 검출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장치
KR20130136583A (ko)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 시스템
KR102224769B1 (ko) 가속도 검출장치
WO2018198271A1 (ja) 受信機
JP6027265B1 (ja) 車輪位置特定装置
JPWO2013132968A1 (ja)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KR102068577B1 (ko) 수신기, 및 송신기 유닛
WO2013133310A1 (ja)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JP6707635B2 (ja) 受信機、及び、送信機ユニット
JP6407808B2 (ja) 車輪位置特定装置
JP6273739B2 (ja) タイヤ空気圧モニ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