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957B1 -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957B1
KR101966957B1 KR1020170034430A KR20170034430A KR101966957B1 KR 101966957 B1 KR101966957 B1 KR 101966957B1 KR 1020170034430 A KR1020170034430 A KR 1020170034430A KR 20170034430 A KR20170034430 A KR 20170034430A KR 101966957 B1 KR101966957 B1 KR 10196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jig
cutting means
cutting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111A (ko
Inventor
최영채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주)산수유케미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산수유케미컬 filed Critical (주)산수유케미컬
Publication of KR2018007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 장치나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컴프레셔를 보다 쉽게 분해할 수 있게 한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나 에어콘 등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를 절단 및 분해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장치로, 컴프레셔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절개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따라 절단수단이 접촉되게 하는 지그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프레셔 재활용장치{recycling equipment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난방기나,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컴프레셔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한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프레셔는 기체를 압축하여 압축된 기체를 방출하거나 그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작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장고, 에어컨, 보일러 등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된다.
컴프레셔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기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냉난방기기나 냉장고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컴프레셔를 필요로 하는 장치나 기기들이 많이 사용됨에 따라 컵프레셔의 소비가 늘고 있고, 이렇게 컴프레셔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폐기 처리되는 컴프레셔의 양도 늘고 있다.
컴프레셔는 기체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에 견뎌야함에 따라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고강도 재질로 만들어진 컴프레셔를 폐기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장비와 작업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컴프레셔를 재활용하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느 문제가 있다.
한편,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업용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장치들의 일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재생수지인 저밀도 폴리에틸렌70중량% ~ 90중량%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10% ~ 30%을 혼합하여 필름수지를 구비하고, 구비된 필름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수지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1 ~ 10 중량부, 안료 0.1 ~ 5 중량부를 혼합하며, 필름수지를 열분해 용융 압출장치에 투입한 후 필름수지를 겔 상태로 용융시키면서 이송시켜 공기가 공급되는 블로우압출금형의 블로우 다이스를 통해 원통형의 필름을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기술이고,
특허문헌 2는 젤리 케이블, 에나멜 동선, 불용 케이블 등의 케이블, 커넥터 및 고분자 수지 몰딩 케이스의 복합재료 폐기물이 열유체와 반응하여 유가자원과 고분자 수지로 분리되는 반응기와, 반응기에 복합재료 폐기물이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분리된 유가자원이 배출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밸트와, 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반응기에 열유체를 공급하는 열유체 공급탱크와, 반응기에 공급된 복합재료 폐기물과 열유체를 혼합하는 혼합기로 이루어진 복합재료 폐기물 분리장치와 관련된 기술이고,
특허문헌 3은 롤형태의 원재료인 다층 코팅필름지가 장착되고, 모터가 구비되어 소정의 이송속도로 다층 코팅필름지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필름공급부에서 이송 공급되는 다층 코팅필름지에 소정의 작업온도로 열원을 제공하여, 코팅필름지를 각각 낱장의 필름층으로 분리시키는 다층필름 분리부와; 다층필름 분리부에서 각각 낱장의 필름으로 분리되어 이송되는 필름지를, 각각 별도 롤형태로 저장하는 필름저장부와; 필름공급부의 공급이송속도와, 다층필름 분리부에 공급되는 열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층 코팅필름지의 재활용장치에 관련된 기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산업 또는 생활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컴프레셔를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없어 컴프레셔의 재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16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60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4546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컴프레셔를 보다 쉽게 분해하여 재질별로 재활용할 수 잇게 한 컴프레셔 재활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는 냉장고나 에어콘 등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를 절단 및 분해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장치로, 컴프레셔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절개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따라 절단수단이 접촉되게 하는 지그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홈을 갖는 다수의 고정치구;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상단이 관통하는 치구관통홀이 형성된 커버판; 상기 고정치구에 형성된 나선홀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조임핸들이 설치되어 조임핸들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치구들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하는 양방향나선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은 플라즈마절단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수단의 일측에는 절단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선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절단수단이 고정설치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트류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그회전수단은 지지선반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그 상단에 상기 고정지그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의 일측에는 일단이 고정막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수단에 연결된 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컴프레셔가 절단되는 동안 절단수단의 단부가 컴프레셔 측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당겨지는 절단수단이 고정지그의 회전 중심 이상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제한막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장치는 밀폐공간에 설치되고, 공간의 도어를 닫은 것이 감지되면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는 컴프레셔를 쉽게 절개하여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컴프레셔의 반구형 캡 부분과 원통형 또는 사각형 몸통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을 용이하게 절단하여 내부의 내장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수단을 플라즈마절단기로 구성하고, 재활용장치를 밀폐된 공간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플라즈마절단기가 작동하는 동안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의 일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 의해 컴프레셔를 분해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서 이동제한막대의 유무에 따른 절단수단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지그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컴프레셔의 일예의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컴프레셔를 보다 쉽게 분해하여 내부에 설치된 구성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컴프레셔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재질별로 구분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셔 재활용장치는 냉장고나 에어콘 등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를 절단 및 분해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장치로, 컴프레셔(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0);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절개하는 절단수단(20); 및 상기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따라 절단수단이 접촉되게 하는 지그회전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지그(10)는 컴프레셔(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치구(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지그(10)는 고정치구(12)들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게 함에 따라 다른 크기의 다양한 컴프레셔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고정지그(10)는 도 6에 분해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홈(12s)을 갖는 다수의 고정치구(12);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상단이 관통하는 치구관통홀(13h)이 형성된 커버판(13); 상기 고정치구에 형성된 나선홀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조임핸들(14h)이 설치되어 조임핸들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치구들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하는 양방향나선축(14)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지그(10)는 조임핸들(14h)를 회전시키되, 고정치구(12)들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치구들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치구들 사이에 컴프레셔(100)를 올린 후, 조임핸들(14h)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치구들 사이가 좁혀지게 함에 의햐 고정치구들 사이에 컴퓨레셔(100)가 끼인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지그(10)를 구성하는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상기 치구관통홀(13h)은 각 고정치구의 상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두개씩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는 상단에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각각의 치구관통홀의 상부로 돌출되는 두개의 지지돌기(12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셔는 두 고정치구(12) 사이에 고정되고, 고정치구가 평평한 판으로 만들어질 경우 원통형인 컴프레셔와 고정치구 상이의 접촉면은 하나가 되며, 이렇게 고정치구와 컴프레셔 사이의 접촉점이 적을 경우 컴프레셔가 고정치구에 의해 경고하게 고정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고정치구(12)의 상단을 둘로 분리하여 두개의 지지돌기(12s)를 형성할 경우, 하나의 고정치구에 형성된 두개의 지지돌기 사이에 컴퓨레셔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두개의 고정치구 각각에 형성된 지지돌기들이 각각 컴프레셔의 외주면에 접촉됨에 따라 컴프레셔와 고정치구 사이의 접촉점이 많아져 컴프레셔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치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단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컴퓨레셔를 회전시켜 원통형 본체부(100b)로부터 캡부(100c)를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지그(10)가 회전한다.
상기 고정지그(10)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상기한 지그회전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그회전수단(30)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한 일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선반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모터(31)와; 그 상단에 상기 고정지그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저속 큰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수단(20)은 컴프레셔의 하우징을 절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절단수단(20)은 컴프레셔의 다양한 부분을 절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컴프레셔의 본체부(100b)와 반구형 캡부(100c) 사이의 용접부(100w)를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수단(20)은 다양한 절단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플라즈마절단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플라즈마절단기는 전극과 노즐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고, 그 가운데로 가스를 공급하면 공급된 가스가 고온으로 되어 가스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유리되어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를 노즐을 통해 고속으로 분출하여 금속은 물론 비금속을 고속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대상물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20)은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컴프레셔는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고, 크기의 차이는 상하 길이의 차이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컴프레셔의 길이가 달라질 경우, 상기 절단수단(2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으면 절단되는 부분이 본체부와 캡부 사이의 용접부(100w)가 아닌 다른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엉뚱한 부분을 절단할 경우, 컴프레셔의 내부에 설치된 다른 구성 부품들이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와 캡부 사이의 용접부를 절단하는 것이고, 이렇게 용접부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높이조절수단(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선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에 상기 절단수단(20)이 고정설치된 스크류축(21s)과, 상기 스크류축(21s)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1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21s)의 상단에 상기 절단수단(20)이 설치되어 회전손잡이(21h)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절단수단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단수단(20)의 일측에는 일단이 고정막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수단(20)에 연결된 스프링(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컴프레셔가 절단되는 동안 절단수단(20)의 단부가 컴프레셔 측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수단으로는 플라즈마절단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즈마절단기의 경우 접점이 피 절단물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플라즈마가 발생하여 절ㄷ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스프링(40)을 설치하여 절단수단의 단부가 항상 컴프레셔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컴프레셔 측으로 당겨주는 것이다.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전달이 종료되는 컴프레셔의 본체부(100b)와 캡부(100c)가 분리됨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당겨지는 절단수단(20)이 스프링의 인장ㄹ혁에 의해 고정지그의 회전 중심을 지나 회전할 수 있고, 이렇게 절단수단(20)이 지나치게 당겨지면 절단수단이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접촉되어 절단수단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프레셔의 절단이 종료된 상태에서 절단수단이 지나치게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수단의 일측에는 이동제한막대(50)를 더 설치하였다.
즉, 도 5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제한막대(50)를 설치할 경우, 컴프레셔의 절단이 종료된 상태에서 절단수단(20)의 회동이 제한되어 절단수단의 단부가 조임핸들과 접촉되지 않으나, 이동제한막대가 없을 경우에는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수단(20)이 회동되어 절단수단의 단부가 조임핸들과 접촉됨에 따라 절단수단이 송상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활용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절단기로 절단수단을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플라즈마절단기로 구성할 경우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질소산화물이 발생하는 등 인체에 유해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유해환경에 작업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재활용장치를 밀폐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공간을 출입하기 위한 도어에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장치가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고정지그
11: 하우징 11a: 수용공간
12: 고정치구 12s: 나선홀
13: 커버판 13h: 치구관통홀
14: 양방향나선축 14h: 조임핸들
20: 절단수단
21: 높이조절수단 21s: 스크류축
21h: 회전손잡이
30: 지그회전수단
31: 구동모터
32: 회전축
40: 스프링
50: 견인제한막대
60: 이동제한막대
100: 컴프레셔 100b: 본체부
100c: 캡부 100w: 용접부

Claims (9)

  1. 냉장고나 에어콘 등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를 절단 및 분해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장치로, 컴프레셔(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0); 상기 고정지그에 고정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절개하는 절단수단(20); 및 상기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컴프레셔의 외주면을 따라 절단수단이 접촉되게 하는 지그회전수단(30)을 포함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홈(12s)이 형성된 두개의 고정치구(12);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상단이 관통하는 치구관통홀(13h)이 형성된 커버판(13); 및 상기 고정치구에 형성된 나선홀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조임핸들(14h)이 설치되어 조임핸들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고정치구들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하는 양방향나선축(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치구관통홀(13h)은 각 고정치구의 상단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두개씩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는 상단에 상기 커버판에 형성된 각각의 치구관통홀의 상부로 돌출되는 두개의 지지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20)은 플라즈마절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20)의 일측에는 절단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21)이 더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지지선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절단수단(20)이 고정설치된 스크류축(21s)과,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1h)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회전수단(30)은 지지선반의 저면에 설치된 구동모터(31)와;
    그 상단에 상기 고정지그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20)의 일측에는 일단이 고정막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절단수단(20)에 연결된 스프링(40)을 더 구비하여 컴프레셔가 절단되는 동안 절단수단의 단부가 컴프레셔 측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2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40)에 의해 당겨지는 절단수단이 고정지그의 회전 중심 이상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인제한막대(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20)은 컴프레셔(100)의 본체부(100b)와 캡부(100c) 사이의 용접부(100w)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장치는 밀폐공간에 설치되고, 공간의 도어를 닫은 것이 감지되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KR1020170034430A 2016-12-28 2017-03-20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KR101966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85 2016-12-28
KR20160180685 201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11A KR20180078111A (ko) 2018-07-09
KR101966957B1 true KR101966957B1 (ko) 2019-08-14

Family

ID=6291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30A KR101966957B1 (ko) 2016-12-28 2017-03-20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9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004A (ja) * 2004-02-23 2005-09-02 Flex Easy:Kk 工作機械のテーブ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91B1 (ko) 2007-05-22 2007-12-03 이영상 재활용 봉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95149B1 (ko) * 2008-04-25 2010-11-18 주식회사 엔케이 금속튜브 절단용 플라즈마 절단기
KR20130076034A (ko) 2011-12-28 2013-07-0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복합재료 폐기물 재활용 장치
KR101454682B1 (ko) 2013-01-07 2014-10-27 곽동명 다층 코팅필름지의 재활용장치
KR101711720B1 (ko) * 2015-02-02 2017-04-04 주식회사 우리산업 냉동용 컴프레서 절단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004A (ja) * 2004-02-23 2005-09-02 Flex Easy:Kk 工作機械のテーブ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11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veying and radio frequency processing of dielectric materials
CN106573405A (zh) 被供与颗粒和/或液体的3d打印机头的颗粒和/或液体流量调节装置
CA2370949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cycling synthetic plastics material
KR101966957B1 (ko) 컴프레셔 재활용장치
JPH0776395A (ja) 粉体供給用ホッパー
CN211762763U (zh) 一种pe管道生产用快速加热设备
CN114907636B (zh) 具有高延展性的抗菌型pe保鲜膜的吹塑方法及吹塑设备
CN207014604U (zh) 一种汽车电脑外壳专用塑料颗粒冷却装置
CN104191618A (zh) 一种3d打印机挤出机
CN103878373A (zh) 一种基于无机粉末的双螺杆造粒机
EP3129214A1 (en) Method for compacting thermoplastic materials intended for recycling, compactor apparatus and related assembly
US7579431B2 (en) Method for treating extremely small particl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KR101892512B1 (ko) 실링재 테이프 제조장치
CN210791766U (zh) 一种高发泡聚乙烯片材生产用发泡剂注入装置
CN204036859U (zh) 一种3d打印机挤出机
CN206733557U (zh) 一种拆卸式双螺杆挤出机
CN207874814U (zh) 一种新型双螺杆挤出机
CN206937932U (zh) 一种新型橡胶合金挤出成型机
CN206718425U (zh) 一种改进式塑料挤出机
CN206984990U (zh) 一种预热式螺旋给料机
CN114076521B (zh) 一种非金属矿物制品煅烧设备及其工艺
CN216181876U (zh) 一种用于tpr双螺杆挤出机的预热系统
JP2003268119A (ja) 粉体の製造方法
WO2023181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redding of lithium-ion batteries
CN110901031A (zh) 一种高效节能环保的吹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