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95B1 -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95B1
KR101966395B1 KR1020147011499A KR20147011499A KR101966395B1 KR 101966395 B1 KR101966395 B1 KR 101966395B1 KR 1020147011499 A KR1020147011499 A KR 1020147011499A KR 20147011499 A KR20147011499 A KR 20147011499A KR 101966395 B1 KR101966395 B1 KR 10196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torage element
solid electrolyte
electrolyte battery
electrolyt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316A (ko
Inventor
카르스텐 슈
토마스 졸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6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1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1Sintered carriers
    • H01M4/803Sintered carriers of only powder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uel Cell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Hybrid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함께 산화환원 커플(redox couple)을 형성하는 입자들(12)이 임베딩되는 다공성의 세라믹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스토리지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입자들(12)은 라멜라(lamellar)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고체 전해질 배터리(solid electrolyte battery)를 위한 스토리지 엘리먼트, 그리고 또한, 특허 청구항 제 10 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러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고체 전해질 배터리들은, 배터리로서의 이용을 위해 부가적인 세라믹 스토리지 바디(body)들에 의해 보강되는 고체 전해질 연료 전지(fuel cell)의 원리에 기초한다.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이 이들 스토리지 바디들의 세라믹 매트릭스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추출(draw)하기 위해, 금속 입자들은, 산소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산화물들로 전기화학적으로 전환되며, 이러한 경우, 방출되는 에너지는 배터리의 탭핑 극(tapping pole)들에서 전기 에너지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와 동등한 배터리의 컴포넌트 부분들이 전기분해(electrolysis) 모드로 동작되어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금속 산화물들을 다시(back) 대응하는 금속들로 환원할 수 있는 수소를 형성한다.
포함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 그리고 또한 그들의 활성 표면적(surface area)의 액세스가능성(accessibility)은, 이러한 배터리의 용량, 그리고 또한 충전 및 방전 특징들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현재, 10㎛ 미만의 중앙 입도(median grain size) d50을 갖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또는 타원형의 금속 입자들이 공통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입자들은 높은 반응성, 따라서 고체 전해질 배터리의 높은 동작 온도들에서 급속한 상호간의 소결(mutual sintering)을 향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러한 소결에 의해, 입자들의 활성 표면적의 대부분이 손실되고, 결국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배터리의 스토리지 엘리먼트들은 급속한 노화를 보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명시하는 목적에 기초하고, 상기 스토리지 엘리먼트는 특히 높은 스토리지 용량, 우수한 방전 특징들, 그리고 동시에, 충전/방전 사이클 및 대기 모드 양측 모두에서의 장기간 안정성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허 청구항 제 10 항의 전제부에 따른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 청구항 제 1 항의 피쳐들을 갖는 스토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그리고 또한 특허 청구항 제 10 항의 피쳐들을 갖는 프로세스에 의해 달성된다.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이러한 유형의 스토리지 엘리먼트는, 함께 산화환원 쌍(redox pair)을 형성하는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입자들이 포함되는 다공성의(porous) 세라믹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들이 박판-형(thin plate-like) 형태를 갖는 것이 제공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입자들의 구형의 또는 타원형의 형상과 대조적으로, 박판-형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은, 특히 유익한 표면적 대 볼륨 비율(surface area to volume ratio)을 갖는다. 이는, 특히 높은 팩킹 밀도들, 결국 특히 높은 스토리지 용량들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박판-형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볼륨의 구형의 입자들과 비교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위한 침투(penetration)에 대해 특히 낮은 입간 깊이(intragranular depth)에 의해 차별화되고, 이는, 이러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갖는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및 방전 동작 동안의 반응 속도론(reaction kinetics)을 상당히 개선한다. 납작해진(flattened) 입자 형상은 부가적으로, 개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의 상호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는 동작 동안, 이들 입자들의 상호간의 소결을 감소시킨다. 이는,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이용가능 용량, 그리고 또한 상기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장기간 안정성 양측 모두를 개선한다.
입자들은 바람직하게, 10을 초과하는 종횡비(aspect ratio) ― 즉, 상기 입자들의 긴 및 짧은 메인 축들의 길이들에 관한 비율 ― 를 갖고, 결국 특히 우수한 볼륨 대 표면적 비율(volume to surface area ratio)이 달성될 수 있다.
이용되는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입자들의 중앙 입도 d50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20㎛이다. 이러한 경우, 입도 d90 ― 즉, 입자들 중 90%가 초과하지 않는 크기 ― 은 바람직하게, 60㎛ 미만이다.
더욱이, 특히 조밀한(dense) 팩킹 및 소결을 향한 완만한 경사도(low inclination)를 달성하기 위해, 입자들이 선호 방향(preferential direction)에 관하여 배향된다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에서, 입자들은, 철 및/또는 철 산화물, 특히 운모상 철 산화물(micaceous iron oxide)로 형성된다. 운모상 철 산화물의 이용이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상기 운모상 철 산화물의 결정 구조 때문에, 복잡한 머시닝 없이 원하는 박판-형 형상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지 엘리먼트 그 자체의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 편의상 1㎛ 미만의 중앙 입도 d50을 갖는 소결된 세라믹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세라믹 입자들이 금속 입자들보다 상당히 더 작은 형태를 갖기 때문에, 금속 입자들이, 큰 영역에 걸쳐 세라믹 입자들에 의해 코팅되고, 결국 금속 입자들 그 자체들 사이의 접촉 ― 이는 나중에 소결로 이어질 수 있음 ― 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시에, 금속 입자들의 표면적은 실질적으로 액세스가능하게 유지되고, 결국 반응성 표면적이 거의 손실되지 않는다.
세라믹 입자들은 바람직하게, 산화환원-비활성(redox-inert) 재료, 특히 Al2O3, MgO 또는 ZrO2로 이루어진다. 다른 산화물 세라믹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탄화물 또는 질화물 기반의 세라믹들 ― 이들이 고체 전해질 배터리의 전기화학 컨디션들 하에서 산화환원 반응들로 향하는 경향이 없는 경우 ― 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함께 산화환원 쌍을 형성하는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입자들 및 세라믹 입자들의 슬립(slip)이 제공되고, 그린 바디(green body)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그린 바디가 그 후에 소결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박판-형 입자들이 이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지 엘리먼트와 관련하여 이미 개요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박판-형 입자들은, 동일한 볼륨의 구형의 또는 타원형의 입자들보다 산화환원 반응을 위한 침투에 대해 더 낮은 입간 깊이를 초래하고, 그 결과, 반응 속도론이, 통상의 스토리지 엘리먼트들과 비교하여 상당히 개선된다. 동시에, 개별 금속/금속 산화물 입자들의 상호간의 분리가, 이러한 입자 형상에 의해 상당히 더욱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고, 결국 소결로 향하는 경향(tendency)이 감소되고, 장기간 안정성이 증가된다. 더욱이, 구형의 입자들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유리한 표면적 대 볼륨 비율이 달성되고, 이는 차례로, 스토리지 바디에서의 금속 입자들의 더욱 높게 달성가능한 팩킹 밀도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또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들의 큰-스케일의, 재생가능하고(reproducible), 유연하고, 저렴한 생성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린 바디는 압출(extrusion) 또는 프레싱(pressing)에 의해 형상화된다. 이는, 그린 바디의 특히 단순하고 신속한 생성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린 바디를 형상화하기 위해, 첫 번째로, 그린 시트(green sheet)가, 시트 캐스팅(sheet casting)에 의해 지지부 상에 생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그 후에, 그린 시트로부터 제거되고, 복수의 그린 시트 부분들이, 그린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스택되고, 그 후에 라미네이팅(laminated) 및 디바인더링(debindered)된다. 개별 시트 부분들로부터의 그린 바디의 레이어링된(layered) 구조는, 예를 들어, 개별 그린 시트 부분들에 대해 상이한 슬립 조성(slip composition)들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의-텍스처링된(further-textured) 구조들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그린 바디의, 결국 결과적인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화학적 조성 또는 입도, 포어(pore) 밀도, 포어 크기의 그레디언트들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내지 20㎛의 중앙 입도 d50 및 60㎛ 미만의 입도 d90, 그리고 또한 10을 초과하는 종횡비를 갖는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이,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입자들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높은 장기간 안정성과 결합된, 스토리지 바디의 전체적인 볼륨과 활성 표면적 사이에서 특히 우수한 비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 미만의 중앙 입도 d50을 갖는 Al2O3, MgO 또는 ZrO2의 입자들이 바람직하게, 세라믹 입자들로서 이용된다. 세라믹 입자들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보다 상당히 더 작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들이 세라믹에 의해 안정화되고,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결국 이들은 서로 거의 소결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세라믹 입자들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들의 활성 표면적을 상당히 제한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다.
아래에서,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생성 동안의 시트 캐스팅 단계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생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박판-형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의 부분에 대한 세라믹 입자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또는 지르코늄 산화물의 슬립(10)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세라믹 입자들의 입도 d50은 바람직하게 대략 1㎛이고,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의 중앙 입도 d50은 10 내지 20㎛이다. 운모상 철 산화물의 결정 구조 때문에, 운모상 철 산화물은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박판-형 입자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유익한 표면적 대 볼륨 비율을 갖고, 결국 특히 높은 활성 금속 표면적을 갖는 스토리지 바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 시트(18)에 걸쳐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시트 캐스팅 장치(14)에 의해, 첫 번째로, 그린 시트(20)가 슬립으로부터 생성된다. 프로세스에서, 슬립은, 시트 캐스팅 장치(14)의 방출 갭(22)을 통해 시트 표면 상으로 진행한다. 시트 캐스팅 장치(14)와 지지부 시트(18)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으로 인해, 시트 표면 상에 형성되는 슬립 필름에서 화살표(24)의 방향으로 전단력(shear force)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단(shearing)으로 인해,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은 선호 방향으로 배향된다.
시트 캐스팅 후에, 그린 시트(20)가 지지부(18)로부터 분리(detach)되어, 대응하는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린 시트 부분들은 그 후에,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될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그린 바디를 형성하도록 스택된다. 이러한 시트 스택은 그 후에, 라미네이팅 및 디바인더링되고, 그 다음으로 소결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슬립(10)의 세라믹 입자들은 특히 함께 소결되고, 프로세스에서,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을 분리한다. 그러나, 동시에, 충분한 수의 포어들이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세라믹 매트릭스에서 유지되어서, 사실상, 포함된 박판-형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의 전체 표면적이 반응 가스들에 액세스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특히 높은 활성 표면적을 갖고, 결국 특히 우수한 충전 및 방전 속도론을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스토리지 엘리먼트이다.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의 박판-형 형상 때문에, 상기 운모상 철 산화물 입자들(12)은 매트릭스에서 서로 분리되고, 결국 이러한 스토리지 엘리먼트를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의 동작 동안 함께 소결되는 경향이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장기간 안정성, 그리고 또한 스토리지 용량 양측 모두는 특히 우수하다.

Claims (16)

  1. 고체 전해질 배터리(solid electrolyte battery)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로서,
    함께 산화환원 쌍(redox pair)을 형성하는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입자들(12)이 포함되는 다공성 세라믹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들(12)은 박판-형(thin plate-like) 형태를 갖고,
    상기 입자들(12)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12)은 10을 초과하는 종횡비(aspect ratio)를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12)은 10 내지 20㎛의 중앙 입도(median grain size) d50을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12)은 60㎛ 미만의 입도 d90을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12)은 철 및 철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는 소결된 세라믹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들은 1㎛ 미만의 중앙 입도 d50을 갖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들은 산화환원-비활성(redox-inert)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10.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함께 산화환원 쌍을 형성하는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입자들(12) 및 세라믹 입자들의 슬립(slip)(10)이 제공되고, 그린 바디(green body)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그린 바디는 그 후에 소결되고,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박판-형 입자들(12)이 이용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바디는 압출(extrusion) 또는 프레싱(pressing)에 의해 형상화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바디를 형상화하기 위해, 첫 번째로, 그린 시트(green sheet)(20)가 시트 캐스팅(sheet casting)에 의해 지지부(18) 상에 생성되고,
    상기 지지부(18)는 그 후에 제거되고,
    복수의 그린 시트 부분들이 상기 그린 바디를 형성하도록 스택되고, 그 후에 라미네이팅(laminated) 및 디바인더링(debindered)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20㎛의 중앙 입도 d50 및 60㎛ 미만의 입도 d90, 그리고 또한 10을 초과하는 종횡비를 갖는 운모상 철 산화물(micaceous iron oxide) 입자들이, 상기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입자들(12)로서 이용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미만의 중앙 입도 d50을 갖는 Al2O3, MgO 또는 ZrO2의 입자들이 세라믹 입자들로서 이용되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12)은 철 및 운모상 철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들은 Al2O3, MgO 또는 ZrO2로 이루어지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를 위한 전해질 저장 소자.
KR1020147011499A 2011-09-27 2012-09-03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KR10196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3537A DE102011083537A1 (de) 2011-09-27 2011-09-27 Speicher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1083537.7 2011-09-27
PCT/EP2012/067106 WO2013045208A1 (de) 2011-09-27 2012-09-03 Speicher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316A KR20140069316A (ko) 2014-06-09
KR101966395B1 true KR101966395B1 (ko) 2019-04-05

Family

ID=468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499A KR101966395B1 (ko) 2011-09-27 2012-09-03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5282B2 (ko)
EP (1) EP2721670B1 (ko)
JP (1) JP5968446B2 (ko)
KR (1) KR101966395B1 (ko)
CN (1) CN103828097B (ko)
DE (1) DE102011083537A1 (ko)
WO (1) WO2013045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1328A1 (de) * 2012-06-29 2014-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icherstruktur einer elektrischen Energiespeicherzelle
DE102013008659A1 (de) * 2013-05-18 2014-11-20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Elektrochemisches Speichermaterial und elektrochemische Speichereinrichtung zur Speicherung elektrischer Energie, umfassend ein solches Speichermaterial
CN104103873B (zh) * 2014-06-25 2017-05-10 华中科技大学 一种固态电解质膜、其制备方法及应用
KR20200122904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고체 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710A (ja) * 1999-04-27 2000-11-07 Kyocera Corp 固体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5760A (en) * 1969-04-14 1971-10-26 Bell Telephone Labor Inc Calcium oxide-aluminum oxide-silicon dioxide ceramic substrate material for thin film circuits
DE3868089D1 (de) * 1987-03-11 1992-03-12 Tayca Corp Glimmerartige, mit titandioxid ueberzogene eisenoxidpigmen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4118861A (ja) 1990-09-10 1992-04-20 Fuji Electric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05000A (en) 1996-09-03 1999-05-18 Nanomaterials Research Corporation Nanostructured ion conducting solid electrolytes
EP1148563B1 (en) * 1997-03-13 2004-08-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03001617A2 (en) * 2001-06-25 2003-01-03 Celltech Power, Inc. Electrode layer arrangements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US6827800B2 (en) * 2003-01-30 2004-12-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he constrained sintering of asymmetrically configured dielectric layers
US6991875B2 (en) * 2002-08-28 2006-01-31 The Gillette Company Alkaline battery including nickel oxyhydroxide cathode and zinc anode
US20050069756A1 (en) 2003-09-05 2005-03-31 Sulzer Hexis Ag High temperature fuel cell
EP1513214A1 (de) 2003-09-05 2005-03-09 Sulzer Hexis AG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 mit stabilisierter Cermet-Struktur
US20060204830A1 (en) 2005-03-10 2006-09-14 Ovonic Fuel Cell Company, Llc Molten carbonate fuel cell
JP5466408B2 (ja) * 2006-02-28 2014-04-09 プリメット プレシジョン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チウムベースの化合物のナノ粒子組成物および該ナノ粒子組成物を形成する方法
JP5262119B2 (ja) 2008-01-10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負極および電池
JP5289080B2 (ja) * 2008-01-31 2013-09-11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1512010A (ja) * 2008-02-12 2011-04-14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小型バッテリとこれに用いる電極
US20110177407A1 (en) 2008-09-24 2011-07-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Electrochemical rea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chemical reactor, gas decomposing element, ammonia decomposing element, and power generator
US9099738B2 (en) * 2008-11-03 2015-08-04 Basvah Llc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positive electrode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ing
US8673067B2 (en) * 2009-05-21 2014-03-1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Immobilized fluid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US20110033769A1 (en) 2009-08-10 2011-02-10 Kevin Huang Electrical Storage Device Including Oxide-ion Battery Cell Bank and Module Configurations
US8298706B2 (en) * 2010-03-12 2012-10-30 The Gillette Company Primary alkaline battery
JP5631993B2 (ja) * 2010-06-23 2014-11-26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の正極活物質用の板状粒子、リチウム二次電池の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8338025B2 (en) * 2010-08-09 2012-12-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lf-sealed metal electrode fo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CN101908637B (zh) * 2010-08-24 2012-07-25 哈尔滨工业大学 具有双气路通道的无密封固体氧化物燃料电池组
US20120058396A1 (en) * 2010-09-07 2012-03-08 Chun Lu Oxidation-resistant metal supported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and methods to produce the same
DE102011004183A1 (de) * 2011-02-16 2012-08-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ederaufladbare Energiespeichereinheit
US8894722B2 (en) * 2011-06-24 2014-1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struction of planar rechargeable oxide-ion battery cells and stacks using stainless steel housing 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710A (ja) * 1999-04-27 2000-11-07 Kyocera Corp 固体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8097B (zh) 2017-07-21
EP2721670B1 (de) 2015-05-20
JP2014534553A (ja) 2014-12-18
US20140220443A1 (en) 2014-08-07
KR20140069316A (ko) 2014-06-09
WO2013045208A1 (de) 2013-04-04
EP2721670A1 (de) 2014-04-23
US9825282B2 (en) 2017-11-21
CN103828097A (zh) 2014-05-28
JP5968446B2 (ja) 2016-08-10
DE102011083537A1 (de)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86090B (zh) 有序多孔固态电解质结构、具有该结构的电化学装置、制造该结构的方法
US9570782B2 (en) Storage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170155169A1 (en) Ceramic ion conduct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and uses of same
CN109906531B (zh) 二次电池
JP6398647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用アノ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用電解質層−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US20230025406A1 (en) Ion conducting batteries with solid state electrolyte materials
CN101821893A (zh) 电池及其所用的电极
WO2010091075A2 (en)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ionically conductive ceramic membrane and porous multiphase electrode
JP2012099225A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66395B1 (ko) 스토리지 엘리먼트, 및 스토리지 엘리먼트의 생성을 위한 방법
Choi et al.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electrolyte-combined α-LiAlO2 matrices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KR20200057047A (ko) 2차 전지
JP5097867B1 (ja) 燃料電池セル
KR20170015977A (ko) 셀, 셀 스택 장치, 모듈 및 모듈 수용 장치
KR101572477B1 (ko)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지지체를 겸하는 연료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5638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슬러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슬러리
JP5159938B1 (ja) 燃料電池セル
JP2005085758A (ja) 高温型燃料電池
JP2005276683A (ja) 燃料極、電気化学セルおよび燃料極の製造方法
JP5030747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る焼成治具
JP2005085522A (ja) 支持膜式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WO2015045330A1 (ja) 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78039A (ko) 리튬-공기 전지용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 전지
RU252218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вухслойного несущего катода для твердооксидных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JP5412534B2 (ja) 複合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