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17B1 -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 Google Patents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17B1
KR101965617B1 KR1020170063984A KR20170063984A KR101965617B1 KR 101965617 B1 KR101965617 B1 KR 101965617B1 KR 1020170063984 A KR1020170063984 A KR 1020170063984A KR 20170063984 A KR20170063984 A KR 20170063984A KR 101965617 B1 KR101965617 B1 KR 10196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rotary shaft
power
rot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633A (ko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7006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Abstract

작업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모듈은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메인 회전축부,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동력 전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엔진 모듈에서 제공된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회전축, 및 상기 메인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회전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는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작업기 연결부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이 상기 작업기 회전축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는 상기 작업기를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에 동일한 방향으로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CULTIVATOR AND CULTIVATOR HAV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본 발명은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작업기와 같은 다른 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농기계는 농작업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하는 기계 장치이다. 이러한 농기계에는, 어느 하나의 개별 농작업을 수행하는 전용 농기계가 있을 수 있고, 반면 다양한 농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농기계가 있을 수 있다.
범용 농기계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트랙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트랙터는 다양한 농작업, 예를 들어 경운, 파종, 정식, 수집 등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기들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랙터는 그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비용 또한 고가여서 중소형 면적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민에 입장에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범용 농기계의 다른 케이스로, 관리기 또는 경운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리기 또는 경운기는 트랙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와 결합되어 다양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기 또는 경운기는 그 부피가 작고 비용 또는 저렴한 편이어서 중소형 면적의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관리기 또는 경운기가 임의의 농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와 결합되어야 한다. 여기서, 관리기 또는 경운기가 해당 작업기와 결합될 경우, 해당 관리기 또는 관리기의 엔진 자체에서 생성된 동력이 해당 작업기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당 관리기 또는 경운기는 엔진의 동력을 차제의 측면에 배치된 풀리(pulley)를 통해 벨트를 회전시켜 해당 작업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기 또는 경운기가 풀리 및 벨트를 통해 작업기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을 원하는 작업기와 연결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작업기의 무게가 일반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미숙련 농민 또는 여성 농민의 입장에선, 연결을 원하는 작업기를 관리기 또는 해당 경운기에 장착시키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을 갖는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력 전달 모듈은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메인 회전축부,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동력 전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엔진 모듈에서 제공된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회전축, 및 상기 메인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회전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는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작업기 연결부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작업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마주하는 작업기측 하우징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1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연결 결합부, 및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2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작업기 연결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작업기의 몸체 일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는 작업기 동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주행 회전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된 제3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외곽 회전축,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곽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4 기어, 및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제5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회전축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차도록 배치된 주행 회전축, 상기 주행 회전축의 좌측단에 장착된 좌측 바퀴 연결부, 상기 주행 회전축의 우측단에 장착된 우측 바퀴 연결부, 및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행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주행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제3 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는 주행 동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는 엔진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 모듈, 및 상기 엔진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작업기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메인 회전축부,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동력 전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회전축, 및 상기 메인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회전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는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작업기 연결부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작업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마주하는 작업기측 하우징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제1 연결 결합부 및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결합부는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1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결합부는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2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작업기 연결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작업기의 몸체 일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주행 회전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된 제3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외곽 회전축, 제4 기어 및 제5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회전축은 상기 메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곽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제5 기어는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부로 전달한다.
상기 주행 회전축부는 주행 회전축, 좌측 바퀴 연결부, 우측 바퀴 연결부 및 주행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회전축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차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측 바퀴 연결부는 상기 주행 회전축의 좌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좌측 바퀴와 연결된다. 상기 우측 바퀴 연결부는 상기 주행 회전축의 우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우측 바퀴에 연결된다. 상기 주행 기어는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행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에 따르면, 동력 전달 모듈의 동력 전달 결합부가 작업기에 포함된 작업기 연결부와 연결될 때,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는 제1 연결 방법과, 동력 연결 유닛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방법 중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방법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서로 맞물려 직접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모듈로 전송된 엔진 회전 동력이 직접 상기 작업기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방법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의 제1 연결 결합부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의 제2 연결 결합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 전달 모듈로 전송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동력 연결 유닛를 통해 상기 작업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방법들의 공통된 핵심 특징은 '동력 전달 회전축, 연결 회전축 및 작업기 회전축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 상기 연결 회전축 및 상기 작업기 회전축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리기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상기 작업기를 상기 동력 전달 모듈에 동일함 방향으로 직접 또는 상기 동력 연결 유닛에 의해 간접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 및 작업기를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 및 작업기를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 및 동력 연결 유닛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 및 동력 연결 유닛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관리기 중 동력 전달 모듈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관리기 중 동력 전달 모듈의 동력 연결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관리기 중 작업기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도 2는 도 1의 관리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 및 작업기를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관리기는 임의의 농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10)과 연결되어 해당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엔진 모듈(100), 동력 전달 모듈(200),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300),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400), 좌측 바퀴(500), 우측 바퀴(600), 관리기 몸체(700), 관리기 제어 모듈(800) 및 몸체 커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기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10)와 결합되어 다양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형 다목적 농기계로써, 보행용 트랙터의 하나인 경운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우선, 상기 엔진 모듈(100)은 상기 작업기(10)를 동작시키는 작업기 동력 또는 상기 관리기의 주행을 위한 주행 동력으로 변경될 수 있는 엔진 회전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진 모듈(100)은 상기 작업기의 맨 앞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은 상기 엔진 모듈(100)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상기 작업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은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동력으로 변경하여 상기 관리기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은 메인 회전축부(210), 엔진 연결부(220), 동력 전달 회전축부(230), 동력 전달 결합부(240), 동력 연결 유닛(250), 주행 회전축부(260) 및 모듈 하우징(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27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 상기 엔진 연결부(220),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230),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 및 상기 주행 회전축부(260)를 수용하여 외부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겠다.
상기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300)은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달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작업기(10)로 전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30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달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작업기(10)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400)은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달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주행 동력으로 변경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40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달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주행 동력으로 변경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300) 및 상기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400)은 서로 이웃하여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바퀴(500)는 상기 주행 회전축부(260)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바퀴(600)는 상기 주행 회전측부(260)의 우측단에 결합된다. 그 결과,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이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동력으로 변경할 때, 상기 주행 동력에 의해 상기 좌측 바퀴(500) 및 상기 우측 바퀴(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기 몸체(700)는 상기 모듈 하우징(27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리기 제어 모듈(800)은 상기 관리기 몸체(7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관리기 운전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기 제어 모듈(800)은 운전대, 변속레버, 가속레버, 클러치 등을 포함하여 상기 엔진 모듈(100) 및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커버(900)는 상기 관리기 몸체(700) 및 상기 관리기 제어 모듈(8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을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 커버(900)는 상기 관리기 몸체(700)의 상부 및 상기 관리기 제어 모듈(800)의 상부를 각각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 및 작업기를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 및 동력 연결 유닛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관리기 중 모듈 하우징 및 동력 연결 유닛을 제외한 동력 전달 모듈을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관리기 중 동력 전달 모듈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는 메인 회전축(211) 및 제1 기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211)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상기 메인 회전축(211)은 상기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211)은 상기 엔진 모듈(100)로부터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212)는 상기 메인 회전축(211)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211)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엔진 연결부(220)는 상기 메인 회전축(211)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 모듈(100)에서 생성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메인 회전축(211)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엔진 모듈(100) 및 상기 메인 회전축(211)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기 엔진 모듈(100)과 마주하는 엔진측 하우징부가 상기 엔진 모듈(100)이 상기 메인 회전축(211)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230)는 동력 전달 회전축(231), 제2 기어(232) 및 작업기 동력 제어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은 상기 메인 회전축(211)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기어(232)는 상기 제1 기어(212)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211)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기 동력 제어부(233)는 상기 제2 기어(232)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3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232)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300)은 상기 작업기 동력 제어부(233)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이동에 의해 상기 작업기 동력 제어부(23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는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2)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기(10)에 포함된 작업기 연결부(12)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기 연결부(12)는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 및 상기 작업기 연결부(12)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하우징(270)은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과 마주하는 작업기측 하우징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가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은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회전축부(260)는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어, 상기 좌측 바퀴(500) 및 상기 우측 바퀴(6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230)는 제3 기어(234) 및 주행 동력 제어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어(234)는 상기 제2 기어(232)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에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에 장착된다. 상기 주행 동력 제어부(235)는 상기 제2 기어(232) 및 상기 제3 기어(23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232)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제3 기어(234)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400)은 상기 주행 동력 제어부(235)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한 이동에 의해 상기 주행 동력 제어부(23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는 외곽 회전축(213), 제4 기어(214) 및 제5 기어(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회전축(213)은 상기 메인 회전축(211)이 관통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외곽 회전축(213)은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회전축(211)과 별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어(214)는 상기 제3 기어(234)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곽 회전축(213)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곽 회전축(213)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제5 기어(215)는 상기 외곽 회전축(213)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213)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외곽 회전축(213)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회전축부(260)는 주행 회전축(261), 좌측 바퀴 연결부(262), 우측 바퀴 연결부(263) 및 주행 기어(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회전축(261)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차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측 바퀴 연결부(262)는 상기 주행 회전축(261)의 좌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좌측 바퀴(500)와 연결된다. 상기 우측 바퀴 연결부(263)는 상기 주행 회전축(261)의 우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우측 바퀴(600)에 연결된다. 상기 주행 기어(264)는 상기 제5 기어(215)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행 회전축(261)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213)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261)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기어(215)는 나사형 웜(worm)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기어(264)는 웜 휠(worm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은 상기 엔진 모듈(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작업기 동력 전달 경로 및 주행 동력 전달 경로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메인 회전축(211)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기어(212)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1 기어(212)은 상기 제2 기어(232)를 회전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2)의 회전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를 함께 회전시켜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으로 작업기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2)의 회전은 상기 제3 기어(234)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3 기어(234)는 상기 제4 기어(214)를 회전시켜 상기 외곽 회전축(213)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5 기어(215)도 함께 회전시키며, 상기 제5 기어(215)는 상기 주행 기어(264)를 회전시켜 상기 주행 회전축(26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2의 관리기 중 동력 전달 모듈의 동력 연결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관리기 중 작업기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은 연결 회전축(251), 제1 연결 결합부(252) 및 제2 연결 결합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회전축(251)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회전축(251)은 도 8과 같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결합체일 수 있지만, 하나의 구성요소로 형성된 단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는 상기 연결 회전축(251)의 제1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듈 하우징(270)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는 상기 연결 회전축(251)의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작업기측 하우징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3)는 상기 연결 회전축(251)의 제2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25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 연결부(12)를 노출시키는 상기 작업기(10)의 몸체 일부(14)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을 통해 상기 작업기(10)를 상기 관리기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우선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 중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를 상기 모듈 하우징(270) 중 작업기측 하우징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251) 및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3)를 상기 작업기 연결부(12) 및 상기 작업기(10)의 몸체 일부(14)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모듈 하우징(270)에 결합된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를 상기 작업기(10)에 결합된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3)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연결 회전축(251)의 제1 단부를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는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3) 내로 삽입된 후 고정봉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가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3) 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경우, 상기 연결 회전축(251)의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에 자동으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작업기(10)와의 결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의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가 상기 작업기(10)에 포함된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와 연결될 때,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와 직접 연결되는 제1 연결 방법과,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방법 중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방법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와 서로 맞물려 직접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로 전송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직접 상기 작업기(10)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방법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240)가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의 상기 제1 연결 결합부(252)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의 상기 제2 연결 결합부(254)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12)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으로 전송된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이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에 의해 상기 작업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방법들의 공통된 핵심 특징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 상기 연결 회전축(251) 및 상기 작업기 회전축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에 포함된 상기 메인 회전축(211),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 및 상기 연결 회전축(251)이 상기 작업기 회전축과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231), 상기 연결 회전축(251) 및 상기 작업기 회전축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리기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상기 작업기를 상기 동력 전달 모듈(200)에 동일한 방향으로 직접 또는 상기 동력 연결 유닛(250)에 의해 간접적으로 보다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작업기 12 : 작업기 연결부
14 : 작업기의 몸체 100 : 엔진 모듈
200 : 동력 전달 모듈 210 : 메인 회전축부
211 : 메인 회전축 212 : 제1 기어
213 : 외곽 회전축 214 : 제4 기어
215 : 제5 기어 220 : 엔진 연결부
230 : 동력 전달 회전축부 231 : 동력 전달 회전축
232 : 제2 기어 233 : 작업기 동력 제어부
234 : 제3 기어 235 : 주행 동력 제어부
240 : 동력 전달 결합부 250 : 동력 연결 유닛
251 : 연결 회전축 252 : 제1 연결 결합부
253 : 제2 연결 결합부 260 : 모듈 하우징
261 : 주행 회전축 262 : 좌측 바퀴 연결부
263 : 우측 바퀴 연결부 264 : 주행 기어
270 : 모듈 하우징 300 : 작업기 동력 전달 제어 유닛
400 : 주행 동력 전달 제어 유닛 500 : 좌측 바퀴
600 : 우측 바퀴 700 : 관리기 몸체
800 : 관리기 제어 모듈 900 : 몸체 커버

Claims (17)

  1.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에 있어서,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엔진 모듈에서 제공된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회전축, 및 상기 메인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메인 회전축부;
    상기 메인 회전축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회전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작업기 연결부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주행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된 제3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외곽 회전축;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곽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4 기어; 및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제5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작업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마주하는 작업기측 하우징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1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연결 결합부; 및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2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작업기 연결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작업기의 몸체 일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는 작업기 동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회전축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차도록 배치된 주행 회전축;
    상기 주행 회전축의 좌측단에 장착된 좌측 바퀴 연결부;
    상기 주행 회전축의 우측단에 장착된 우측 바퀴 연결부; 및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행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주행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한 회전 동력이 상기 제3 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는 주행 동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11. 엔진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 모듈; 및
    상기 엔진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작업기 회전축을 갖는 작업기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엔진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회전축, 및 상기 메인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는 제1 기어를 포함하는 메인 회전축부;
    상기 메인 회전축과 이웃하여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동력 전달 회전축, 및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작업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된 작업기 연결부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엔진 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주행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는
    상기 제2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반대 방향이 되도록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에 장착된 제3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외곽 회전축;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외곽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제4 기어; 및
    상기 외곽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부로 전달하는 제5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 및 상기 작업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가 상기 작업기 연결부와 요철 모양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작업기 회전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 상기 동력 전달 회전축부 및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마주하는 작업기측 하우징부가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가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되도록 오픈(open)되어 있는 모듈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1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동력 전달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연결 결합부; 및
    상기 연결 회전축의 제2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작업기 연결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기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작업기의 몸체 일부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회전축부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교차도록 배치된 주행 회전축;
    상기 주행 회전축의 좌측단에 장착되어 좌측 바퀴와 연결된 좌측 바퀴 연결부;
    상기 주행 회전축의 우측단에 장착되어 우측 바퀴에 연결된 우측 바퀴 연결부; 및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주행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외곽 회전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주행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KR1020170063984A 2017-05-24 2017-05-24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KR10196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84A KR101965617B1 (ko) 2017-05-24 2017-05-24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84A KR101965617B1 (ko) 2017-05-24 2017-05-24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33A KR20180128633A (ko) 2018-12-04
KR101965617B1 true KR101965617B1 (ko) 2019-04-03

Family

ID=646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84A KR101965617B1 (ko) 2017-05-24 2017-05-24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612A (ko) 2019-05-17 2020-11-25 곽병도 작업기 연결용 제2출력부를 구비한 관리기용 체인기어박스
KR20200132611A (ko) 2019-05-17 2020-11-25 곽병도 출력부에 착탈 가능하게 한 관리기용 유압 연결장치
KR102630130B1 (ko) * 2023-02-27 2024-01-29 주식회사 넥스트앤코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 전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858A (ja) * 2001-06-27 2003-01-15 New Delta Ind Co 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176A (ja) * 1997-11-10 1999-05-25 Iseki & Co Ltd 移動農機の動力伝達装置
KR101159481B1 (ko) * 2009-08-11 2012-06-26 손정락 경운기의 다목적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858A (ja) * 2001-06-27 2003-01-15 New Delta Ind Co 管理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612A (ko) 2019-05-17 2020-11-25 곽병도 작업기 연결용 제2출력부를 구비한 관리기용 체인기어박스
KR20200132611A (ko) 2019-05-17 2020-11-25 곽병도 출력부에 착탈 가능하게 한 관리기용 유압 연결장치
KR102630130B1 (ko) * 2023-02-27 2024-01-29 주식회사 넥스트앤코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 전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33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617B1 (ko)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US4492292A (en) Coupling system for power take-off shafts
WO2009082413A1 (en) Rear end for a work machine with ground driven power take-off
WO2002045477A1 (en) Hydraulic drive line and hitching assembly for pull-type implement
US5186271A (en) Swivel hitch with improved mounting of lower gearbox
US4498349A (en) Front power take-off for tractors
JP2009039030A (ja) 移植機
US5099937A (en) Swivel hitch with reorientable lower gearbox
US6523429B2 (en) Multi speed power take off
CN105309094B (zh) 作业机
KR101612874B1 (ko) 동력전달장치
KR20120024114A (ko)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KR101916308B1 (ko) 트랙터의 hst 트랜스미션
KR102262737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102272534B1 (ko) 출력부에 착탈 가능하게 한 관리기용 유압 연결장치
KR102343772B1 (ko) 작업기 연결용 제2출력부를 구비한 관리기용 체인기어박스
KR100646013B1 (ko) 농업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200114347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200352686Y1 (ko) 트랙터 엔진의 피티오축 동력 전달 장치
KR890001134Y1 (ko) 경운기의 츄레라 동력 전달장치
JPS6041043Y2 (ja) ロ−タリ装置に於ける動力取出装置
JPH0414964Y2 (ko)
JP3996519B2 (ja) 部分正逆転ロータリ装置
JP4110321B2 (ja) 農作業車の作業機装着装置
KR20180054418A (ko) 트랙터의 동력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