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114A -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114A
KR20120024114A KR1020100086816A KR20100086816A KR20120024114A KR 20120024114 A KR20120024114 A KR 20120024114A KR 1020100086816 A KR1020100086816 A KR 1020100086816A KR 20100086816 A KR20100086816 A KR 20100086816A KR 20120024114 A KR20120024114 A KR 20120024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unit
connection
mower body
driven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재
Original Assignee
이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재 filed Critical 이운재
Priority to KR102010008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4114A/ko
Publication of KR2012002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4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05Arrangements of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제초기 본체와, 제초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제초작업을 하는 커터유닛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연결되는 종동 커플러부와, 종동커플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커터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유닛과, 제초기 본체를 상기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 및 종동 커플러를 기준으로 제초기 본체와 상기 커터유닛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WEEDER}
본 발명은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장착하여 운행하면서 제초작업을 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농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각종 농기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에서 대표적이 것에 제초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제초장치는 경운기, 트랙터 등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시에 경운기,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초장치를 경운기,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단시간 내에 많은 면적의 제초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넓은 밭이나, 과수원 등에서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트랙터용 제초장치의 경우에는, 트랙터와의 동력연결은 물론, 동력이 연결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연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초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가능한 낮은 높이에서 트랙터와 연결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제초장치를 트랙터에 연결시 낮은 위치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쉽게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된 구성을 가지는 제초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트랙터에 대해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제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초장치는, 제초기 본체와; 상기 제초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제초작업을 하는 커터유닛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연결되는 종동 커플러부와; 상기 종동커플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상기 커터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제초기 본체를 상기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 및 상기 종동 커플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초기 본체와 상기 커터유닛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제초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구동시 상기 피스톤을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연결유닛 및 종동커플러부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트랙터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한 쌍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의 타단에는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는 제1연결축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의 일단에는 제2연결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축과 상기 트랙터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초장치에 따르면,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트랙터에 연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낮은 자세로 안정감 있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력 전달을 위한 종동 커플러부도 트랙터에 대해 위치 고정된 상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제초기 본체만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제초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제초장치와 트랙터의 연결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초장치의 커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제초기 본체를 수평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장치(100)는, 제초기 본체(110)와, 제초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커터유닛(120)와, 트랙터(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연결되는 종동 커플러부(130)와, 상기 커플러(130)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상기 커터유닛(12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유닛(140)과, 상기 커터유닛(120)과 제초기 본체(110)를 함께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유닛(150)과, 상기 제초기 본체(110)를 트랙터(2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160)을 구비한다.
상기 제초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커터유닛(120)이 설치된다. 상기 커터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의 외주에 설치되는 다수의 커터날(123)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커터유닛(120)은 상기 동력전달유닛(140)을 통해 트랙터(2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제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커터유닛(120)은 일 예에 불과하며, 공지의 다양한 커터유닛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종동 커플러부(130)는 트랙터(20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서, 기어박스(131)와, 기어박스(131)에 연결되는 종동 커플러(132)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 커플러(1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200)에 연결되는 구동 커플러(10)와 커플링 결합되어, 트랙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31) 내부로 종동 커플러(132)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131)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유닛(140)을 통해 커터유닛(120)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140)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31) 내에 설치되는 베벨기어들(141,142)과, 종동축(143)과, 상기 종동축(143)과 상기 회전축(121)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기어(144,146,145)를 구비한다. 상기 베벨기어(141)는 종동 커플러(132)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다른 베벨기어(142)와 기어 연결되어 종동축(143)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종동축(143)은 베벨기어(142)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며, 제초기 본체(110)의 수평 이동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베벨기어(142)의 회전 중심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축(143)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기어(144)가 설치되어 종동축(143)과 함께 회전되며, 연결기어(144)의 동력을 다른 연결기어들(146)을 통해서 회전축(121)에 설치된 연결기어(145)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121)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들(144,145,146)은 제초기 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47)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게 않도록 덮인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 이동유닛(150)은 한 쌍의 실린더(151)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151) 각각에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153)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153)은 제초기 본체(110)의 양측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11)에 양단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설치된 피스톤(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실린더(151)가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151)에 유압을 발생시켜 구동시키게 되면, 피스톤(143)이 실린더(151)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제초기 본체(110)를 실린더(151)와 연결유닛(160)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유닛(160)은 제초장치(100)를 트랙터(200)에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151)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61)과, 상기 지지브라켓(16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되어 트랙터(200)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61)은 실린더(151)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161)에는 상기 기어박스(131)가 탑재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161)에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즉, 트랙터(200)의 연결부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은 상기 기어박스(131)를 기준을 하여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 각각에는 트랙터(200)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제1연결축(164,165)과, 후술할 제1 및 제2연결부재(168,169)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축(16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축(164,165)은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의 끝단부에 설치되고, 제2연결축(167)은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의 지지브라켓(161)과의 연결단부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축(164,165) 각각은 트랙터(200)에 마련되는 소정의 체결브라켓(20,30)에 구비된 체결부분(21,31)에 각각 연결되며, 미도시된 체결핀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자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분(21,31) 안쪽으로 제1연결축(164,165)을 밀어 넣고, 체결부분(21,31)에 형성된 핀공으로 체결핀(미도시)을 체결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을 트랙터(200)에 1차로 연결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축(167)과 트랙터(200)를 보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연결부재(168,169)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제1 및 제2연결부재(168,169)는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16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랙터(200)에 구비되는 소정의 체결브라켓(40,5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연결부재(168,169)은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62,163) 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트랙터(200)에 연결됨으로써, 제초장치(100) 전체를 트랙터(200)에 대해 안정감 있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유닛(160)과 종동 커플러부(130)가 트랙터(200)에 대해 고정설치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장치(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제조장치(100)의 연결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초기 본체(100)만을 종동 커플러부(130)와 연결유닛(160)에 대해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초기 본체(100)를 보다 용이하게 수평이동시켜서 작업하기 쉽지 않거나, 트랙터(200)가 이동하기 어려운 지역에서의 제초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160) 같은 구성을 구비하게 되면, 제초장치(10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트랙터(200)에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장치(100)는 트랙터(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트랙터(200)에 연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낮은 자세로 안정감 있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력 전달을 위한 종동 커플러부(130)도 트랙터(200)에 대해 위치 고정된 상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제초기 본체(110)만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제초장치(10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100..제초장치 110..제초기 본체
120..커팅유닛 130..종동 커플러부
140..동력전달유닛 150..수평 이동유닛
160..연결유닛

Claims (4)

  1. 제초기 본체와;
    상기 제초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제초작업을 하는 커터유닛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연결되는 종동 커플러부와;
    상기 종동커플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상기 커터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제초기 본체를 상기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 및 상기 종동 커플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초기 본체와 상기 커터유닛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제초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구동시 상기 피스톤을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연결유닛 및 종동커플러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트랙터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며, 한 쌍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의 타단에는 상기 트랙터에 연결되는 제1연결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브라켓의 일단에는 제2연결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축과 상기 트랙터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KR1020100086816A 2010-09-06 2010-09-06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KR20120024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16A KR20120024114A (ko) 2010-09-06 2010-09-06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16A KR20120024114A (ko) 2010-09-06 2010-09-06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14A true KR20120024114A (ko) 2012-03-14

Family

ID=4613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16A KR20120024114A (ko) 2010-09-06 2010-09-06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41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6B1 (ko) 2015-09-02 2016-03-09 이학남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KR102552414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가로수 전정 차량용 전정장치
KR20230157872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밴트랙테크 잔디 슬라이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06B1 (ko) 2015-09-02 2016-03-09 이학남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KR20230157872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밴트랙테크 잔디 슬라이싱장치
KR102552414B1 (ko) * 2022-11-11 2023-07-06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가로수 전정 차량용 전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752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е редукторы для орудия с поворотным дышлом
KR20120024114A (ko)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CN102090163B (zh) 直联式手扶多功能耕整机
CN110199673A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KR101965617B1 (ko)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KR100899002B1 (ko) 접이식 로터베이터
CN210444892U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KR20170017429A (ko)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KR101254943B1 (ko) 농용트랙터 3점히치 장착형 암식 작업장치
CN201976403U (zh) 直联式手扶多功能耕整机
JP2004154011A (ja) ロータリー耕耘装置
KR200374276Y1 (ko) 제초기
EP3176327A1 (en) Snow removing device and snow removing method
EP2250865A1 (en) A Motorised Agricultural Tool
JP2012210176A (ja) 耕耘作業機
KR102272534B1 (ko) 출력부에 착탈 가능하게 한 관리기용 유압 연결장치
JP6901758B2 (ja) 農作業機
KR101427326B1 (ko) 예취날의 좌우기울기 조절가능한 가변형 농산물 수확기
JP6901759B2 (ja) 農作業機
JP2009039004A (ja) 回転作業機
JP6901760B2 (ja) 農作業機
KR102343772B1 (ko) 작업기 연결용 제2출력부를 구비한 관리기용 체인기어박스
RU2624971C1 (ru) Косилка к внедорожному транспортному средству
US20160135355A1 (en) Implement and work vehicle
US20210161068A1 (en) Finger-bar-type m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