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429A -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429A
KR20170017429A KR1020150111308A KR20150111308A KR20170017429A KR 20170017429 A KR20170017429 A KR 20170017429A KR 1020150111308 A KR1020150111308 A KR 1020150111308A KR 20150111308 A KR20150111308 A KR 20150111308A KR 20170017429 A KR20170017429 A KR 2017001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tary
body frame
trave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평
Original Assignee
지앤씨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씨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지앤씨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429A/ko
Publication of KR2017001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휴대형 예초기를 그대로 스스로 주행가능한 로터리 장치에 착탈식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주말 농장, 가정의 텃밭 경작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지면을 구르는 주행바퀴가 구비된 주행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토양을 가는 로터리날이 구비된 로터리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에 장착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 및 상기 로터리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회전축을 갖는 소형엔진과, 상기 소형엔진이 지지되는 엔진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형 예초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휴대형 예초기가 상부로 안착될 수 있는 예초기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엔진지지프레임이 일측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예초기착탈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POWER ATTACHABLE TYPE SMALL SIZE ROTARY DEVICE}
본 발명은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휴대형 예초기를 그대로 스스로 주행가능한 로터리 장치에 착탈식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주말 농장, 가정의 텃밭 경작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를 짓기 전에 토양 분쇄 및 토양 고르기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를 통상 로터리 작업이라고 하며, 트랙터와 같은 농경장치의 전후방에 다양한 작업기를 작업자가 용도에 맞게 바꾸어가며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경운, 제초, 수확, 운반 등 여러 가지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트랙터는 고가이기 때문에 소규모 농가에서 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고가의 트랙터보다 보다 저렴한 농기계로 다방면에 활용되는 경운기가 있으며, 경운기에 보조장치로 로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경운기에 장착하는 로터리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경운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므로 트랙터보다 훨씬 경제적이다.
하지만, 상기 경운기의 경우에도 개인이 주말농장이나 가정의 텃밭 경작용으로 활용하기에는 고가이고,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72882호(공고일자: 2014.03.14.)에는 "예초기 엔진을 이용한 로타리기"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 엔진을 이용한 로타리기는 일 측 하부에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휠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고정되며 동력축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예초기 엔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축과 연동하는 회전축이 양측으로 돌출된 기어박스;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는 로타리 블레이드; 및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며 상ㅇ하로 이동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고설 재배법을 통해 재배되는 각종 작물의 생육을 위해 사용되는 배양토를 로터리치기 위한 장치로서, 그 특성상 레일을 따라 이동해야 하는 등 활용 분야에 한계가 있고, 장치의 주행은 동력이 아닌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휴대형 예초기를 그대로 스스로 주행가능한 로터리 장치에 착탈식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주말 농장, 가정의 텃밭 경작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지면을 구르는 주행바퀴가 구비된 주행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토양을 가는 로터리날이 구비된 로터리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에 장착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 및 상기 로터리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회전축을 갖는 소형엔진과, 상기 소형엔진이 지지되는 엔진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형 예초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휴대형 예초기가 상부로 안착될 수 있는 예초기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엔진지지프레임이 일측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예초기착탈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소형엔진의 동력회전축이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주행부 및 상기 로터리부가 연결되는 출력축과,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져 소정 감속비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상호 연결하는 감속기어열과,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감속기어열이 내부로 내장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되는 감속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출력축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커버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전단부에 상기 주행부의 주행회전축이 제1기어박스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며, 후단부에 상기 로터리부의 로터리회전축이 제2기어박스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휴대형 예초기가 상기 예초기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회전축과 상기 입력축이 상호 직결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감속기커버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주행회전축 및 상기 로터리회전축은 각각 상기 출력축과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박스는, 상기 출력축의 전단부에 구비된 나사형 웜과, 상기 주행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형 웜에 치합되며 회전되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주행회전축과 상기 로터리회전축의 회전수의 비가 1 : 5~7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박스와 상기 제2기어박스의 감속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바디프레임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부가 지지되는 전방바디와, 상기 로터리부가 지지되는 후방바디로 분할되어 구성되되,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는 바디착탈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바디착탈수단은,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에 구비된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판을 상하로 커버하며 상기 끼움판이 삽입 결합되는 끼움소켓과, 상기 끼움소켓 및 상기 끼움판을 상호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높이조절봉과,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높이조절핸들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부에 체결되되 지면에 맞닿아 구르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바퀴부와; 상기 로터리부의 상부, 측부 및 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에 장착되는 로터리커버와; 사용자에 의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바디프레임 또는 상기 로터리커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운전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동력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기존의 휴대형 예초기를 본연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 장치에 착탈식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주말 농장, 가정의 텃밭 경작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축에 주행부와 로터리부를 연결하여 스스로 주행하면서 로터리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바디프레임의 분리가 가능하여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바디프레임(10)과, 주행부(20)와, 로터리부(30)와, 동력부(40)와, 동력전달부(50)와, 보조바퀴부(60)와, 로터리커버(70)와, 운전핸들(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전후 일정 길이를 갖고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의 뼈대가 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주행부(20)가 지지되는 전방바디(10a)와, 로터리부(30)가 지지되는 후방바디(10b)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바디(10a)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바디(10b)의 전단부는 바디착탈수단(13)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디착탈수단(13)은 끼움판(131)과, 끼움소켓(132)과, 결합볼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판(131)은 상기 전방바디(10a)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10b)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및 결합의 용이를 위해 상기 후방바디(10b)의 전단부에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끼움소켓(132)은 상기 끼움판(131)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전방바디(10a)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10b)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전방바디(10a)의 후단부에 상기 끼움판(131)을 상하로 커버하며 상기 끼움판(13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이중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결합볼트(133)는 상기 전방바디(10a) 및 상기 후방바디(10b)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상기 끼움소켓(132) 및 상기 끼움판(131)을 상호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바디프레임(10)의 분리 구조 및 바디착탈수단(13)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0)은 동력부(40)로서의 휴대형 예초기(40a)가 상부로 안착될 수 있는 예초기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동력부(40)로서의 휴대형 예초기(40a), 예초기안착부(11) 및 예초기착탈블럭(12)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장치는 기존의 휴대형 예초기를 본연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 장치에 주행바퀴(21)의 구동 및 로터리날(31)의 회전을 위한 착탈식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주말 농장, 가정의 텃밭 경작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행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장치의 주행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전방측에 지지되고, 상기 동력부(40) 및 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회전축(22)이 회전되며 지면을 구르는 주행바퀴(21)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부(30)는 본 장치에서 토양 분쇄 및 토양을 고르기 위한 구성ㅇ,로,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부(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부(40) 및 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로터리회전축(32)이 회전되며 토양을 가는 로터리날(31)이 구비된다.
상기 동력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장치의 동력원이 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동력회전축(411)을 갖는 소형엔진(41)과, 상기 소형엔진(41)이 지지되는 엔진지지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형 예초기(40a)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초기착탈블럭(12)의 일측으로 상기 엔진지지프레임(42)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안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동력부(40)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20) 및 상기 로터리부(3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입력축(51)과, 출력축(52)과, 감속기어열(53)과, 감속기커버(54)와, 제1기어박스(55)와, 제2기어박스(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축(51)은 상기 소형엔진(41)의 동력회전축(411)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형 예초기(40a)가 상기 예초기안착부(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회전축(411)과 상기 입력축(51)이 직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축(52)은 상기 주행부(20) 및 상기 로터리부(3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중앙에 중앙출력축(521)이 감속기커버(54)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출력축(521)의 일측단에서 상기 주행부(20)를 향하여 전방출력축(522)이 연장 연결되며, 상기 중앙출력축(521)의 타측단에서 상기 로터리부(30)를 향하여 후방출력축(523)이 연장 연결된다.
즉, 상기 출력축(52)은 상기 중앙출력축(521), 전방출력축(522) 및 후방출력축(523)의 결합에 의해 상기 바디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커버(54)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 전단부에 상기 주행부(20)의 주행회전축(22)이 제1기어박스(55)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며, 후단부에 상기 로터리부(30)의 로터리회전축(32)이 제2기어박스(56)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장치는 하나의 출력축(52)으로 상기 주행부(20) 및 상기 로터리부(30)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속기어열(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져 소정 감속비로 상기 입력축(51)과 상기 출력축(52)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장치는 동력원이 휴대형 예초기(40a)에 사용하는 소형엔진(41)인 것을 감안하여 상기 입력축(51)과 상기 출력축(52)의 회전수의 비가 9.5~10 : 1 정도가 되도록 상기 감속기어열(53)의 감속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기커버(54)는 상기 입력축(51) 및 출력축(52)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감속기어열(53)이 내부로 내장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형 예초기(40a)가 상기 예초기안착부(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회전축(411)과 상기 입력축(51)이 상호 직결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바디프레임(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주행회전축(22) 및 상기 로터리회전축(32)은 각각 상기 출력축(52)과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이렇게 직교한 상태에서의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제1기어박스(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52)의 전단부에 구비된 나사형 웜(551)과, 상기 주행회전축(22)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형 웜(551)에 치합되며 회전되는 웜휠(5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나사형 웜(551)과 웜휠(55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출력축(52)과 상기 주행회전축(22)은 안정적으로 큰 감속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출력축(52)과 상기 주행회전축(22)의 회전수의 비는 12 : 1 정도가 되도록 구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기어박스(56) 또한 상기 제1기어박스(55)와 마찬가지로 상기 출력축(52)과 상기 로터리회전축(32)이 상호 직교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직교한 상태에서의 동력전달을 위해 나사형 웜(미도시)과 웜휠(미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고, 베벨기어(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상기 로터리날(31)은 상기 주행바퀴(21)보다는 빨리 회전되어야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기어박스를 통한 상기 출력축(52)과 상기 로터리회전축(32)의 회전수의 비는 2 : 1 정도가 되도록 구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출력축(52)의 회전에 따른 상기 주행회전축(22)과 상기 로터리회전축(32)의 회전수의 비가 1 : 5~7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박스(55)와 상기 제2기어박스(56)의 감속비를 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출력축(52)으로부터 상기 주행회전축(22)과 로터리회전축(3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한 주행회전축(22)과 로터리회전축(32)의 회전수의 비는 주행속도와 로터리 작업 속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채택된 최적의 값이라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축(52)의 회전속도가 통상 700~740rpm가 되는 경우, 상기 제1기어박스(55)를 통해 상기 주행회전축(22)의 회전속도는 61rpm로 감속되며, 상기 제2기어박스(56)를 통해 상기 로터리회전축(32)의 회전속도는 370rpm로 감속된다.
상기 보조바퀴부(60)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20)의 주행을 보조하며 로터리 작업 중 상기 로터리날(31)이 토양에 파고 드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높이조절봉(61)과, 높이조절핸들(62)과, 보조바퀴(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봉(61)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이다.
상기 높이조절핸들(62)은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봉(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봉(61)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보조바퀴(63)는 지면에 맞닿아 구르는 구성으로 상기 높이조절봉(61)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로터리커버(70)는 상기 로터리부(30)의 상부, 측부 및 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10)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로터리커버(70)의 구성에 의해 로터리 작업 중인 토양이 작업자에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전핸들(80)은 일단이 상기 바디프레임(10) 또는 상기 로터리커버(70)에 지지되고, 타단이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운전핸들(80)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장치를 운전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바디프레임
10a 전방바디
10b 후방바디
11 예초기안착부
12 예초기착탈블럭
13 바디착탈수단
131 끼움판
132 끼움소켓
133 결합볼트
20 주행부
21 주행바퀴
22 주행회전축
30 로터리부
31 로터리날
32 로터리회전축
40 동력부
40a 휴대형 예초기
41 소형엔진
411 동력회전축
42 엔진지지프레임
50 동력전달부
51 입력축
52 출력축
521 중앙출력축
522 전방출력축
523 후방출력축
53 감속기어열
54 감속기커버
55 제1기어박스
551 나사형 웜
552 웜휠
56 제2기어박스
60 보조바퀴부
61 높이조절봉
62 높이조절핸들
63 보조바퀴
70 로터리커버
80 운전핸들

Claims (8)

  1.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지면을 구르는 주행바퀴가 구비된 주행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방측에 지지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토양을 가는 로터리날이 구비된 로터리부와; 상기 바디프레임에 장착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 및 상기 로터리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회전축을 갖는 소형엔진과, 상기 소형엔진이 지지되는 엔진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형 예초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휴대형 예초기가 상부로 안착될 수 있는 예초기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엔진지지프레임이 일측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예초기착탈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소형엔진의 동력회전축이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주행부 및 상기 로터리부가 연결되는 출력축과,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져 소정 감속비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상호 연결하는 감속기어열과,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감속기어열이 내부로 내장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되는 감속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출력축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커버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전단부에 상기 주행부의 주행회전축이 제1기어박스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며, 후단부에 상기 로터리부의 로터리회전축이 제2기어박스를 통해 일정 감속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예초기가 상기 예초기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회전축과 상기 입력축이 상호 직결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감속기커버가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회전축 및 상기 로터리회전축은 각각 상기 출력축과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박스는, 상기 출력축의 전단부에 구비된 나사형 웜과, 상기 주행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형 웜에 치합되며 회전되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주행회전축과 상기 로터리회전축의 회전수의 비가 1 : 5~7이 되도록 상기 제1기어박스와 상기 제2기어박스의 감속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부가 지지되는 전방바디와, 상기 로터리부가 지지되는 후방바디로 분할되어 구성되되,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는 바디착탈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착탈수단은,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에 구비된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전방바디의 후단부 또는 상기 후방바디의 전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판을 상하로 커버하며 상기 끼움판이 삽입 결합되는 끼움소켓과, 상기 끼움소켓 및 상기 끼움판을 상호 상하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높이조절봉과,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봉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높이조절핸들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부에 체결되되 지면에 맞닿아 구르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바퀴부와;
    상기 로터리부의 상부, 측부 및 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에 장착되는 로터리커버와;
    사용자에 의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바디프레임 또는 상기 로터리커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운전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KR1020150111308A 2015-08-06 2015-08-06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KR20170017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08A KR20170017429A (ko) 2015-08-06 2015-08-06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08A KR20170017429A (ko) 2015-08-06 2015-08-06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29A true KR20170017429A (ko) 2017-02-15

Family

ID=5811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308A KR20170017429A (ko) 2015-08-06 2015-08-06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4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6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밭 일굼 및 넝쿨 파쇄가 가능한 복합 로터리 장치
KR102447037B1 (ko) * 2021-12-03 2022-10-27 오대영 과수원용 제초기
KR102547624B1 (ko) * 2022-10-14 2023-06-28 한국농기계 (주) 다목적 양손 예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46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밭 일굼 및 넝쿨 파쇄가 가능한 복합 로터리 장치
KR102447037B1 (ko) * 2021-12-03 2022-10-27 오대영 과수원용 제초기
KR102547624B1 (ko) * 2022-10-14 2023-06-28 한국농기계 (주) 다목적 양손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0124A (zh) 一种地面仿形果园割草机
KR20170017429A (ko) 동력 착탈식 소형 로터리 장치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JP2018183079A (ja) 防除作業車
KR1008091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CN201629953U (zh) 多功能微型耕作机
CN110199673A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CN103477737A (zh) 轴传动除草松土机
JP2013034432A (ja) 農用作業機
CN210444892U (zh) 带有旋耕机的联合收割设备
CN103477738A (zh) 链传动除草松土机
JP6821123B2 (ja) 防除作業車
US20060070749A1 (en) Turf maintenance device for aeration and vertical cutting of soil
KR101254943B1 (ko) 농용트랙터 3점히치 장착형 암식 작업장치
CN201207800Y (zh) 多功能农田作业装置
KR200387593Y1 (ko) 트랙터용 제초기
CN102696291A (zh) 多功能锄地机
JP3892596B2 (ja) 縦軸ロータリ式耕耘機
KR20120024114A (ko) 트랙터 장착용 제초장치
KR101160767B1 (ko)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회전식 제초기
US20090008107A1 (en) Stalk and root eliminator
KR200486652Y1 (ko)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JP3928008B2 (ja) 隔離栽培用耕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