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4347A -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347A
KR20200114347A KR1020190035943A KR20190035943A KR20200114347A KR 20200114347 A KR20200114347 A KR 20200114347A KR 1020190035943 A KR1020190035943 A KR 1020190035943A KR 20190035943 A KR20190035943 A KR 20190035943A KR 20200114347 A KR20200114347 A KR 2020011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friction members
interlocking
clutch pa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형
김중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4347A/ko
Publication of KR2020011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7/00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or motor by resistance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9Drive shafts, output shafts or propeller shafts
    • B60Y2400/795Power take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취출클러치부; 상기 취출클러치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에 결합되고, 후방작업기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취출축;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을 선택적으로 연동(連動)시키는 후방연동부;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 각각에 결합되고, 중간작업기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취출부; 및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중간취출부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중간연동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Power Take-off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된 작업기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필요에 따라 작업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된 작업기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농업용 작업차량은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작업기에 전달하는 동력취출장치(PTO)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되는 다양한 작업기를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잔디깎기(Mower), 로터리(Rotary) 등과 같은 작업기가 장착된 상태로,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동력취출장치를 통해 복수개의 작업기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동을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작업기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취출클러치부; 상기 취출클러치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에 결합되고, 후방작업기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취출축;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을 선택적으로 연동(連動)시키는 후방연동부;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취출축 각각에 결합되고, 중간작업기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취출부; 및 상기 취출클러치부와 상기 중간취출부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중간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복수개의 작업기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작업기들 각각에 구동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하는 작업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필요에 따라 작업기(10)에 전달하는 동력취출기능을 구현한다. 예컨대, 상기 작업기(10)는 잔디깎기(Mower), 로터리(Rotary)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취출클러치부(2), 후방작업기(11)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취출축(3),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후방연동부(4), 중간작업기(12)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취출부(5), 및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중간연동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1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컨대 로터리(Rotary) 등일 수 있다. 상기 중간작업기(1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중간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컨대 잔디깎기(Mower) 등일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키면,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후방작업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면,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취출축(3) 및 상기 후방작업기(11)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상기 후방작업기(11)에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후방작업기(1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키면,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중간작업기(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면,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중간취출부(5) 및 상기 중간작업기(1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상기 중간작업기(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중간작업기(1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후방연동부(4)와 상기 중간연동부(6)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작업기(11)와 상기 중간작업기(1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작업기(11, 12)들 각각에 구동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하는 작업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상기 엔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유압트랜스미션(HST, Hydrostatic Transmission)을 통해 상기 엔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입력축(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입력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축(20)은 상기 엔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20)은 상기 유압트랜스미션의 유압펌프축일 수도 있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클러치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본체(21)는 상기 엔진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클러치본체(21)는 상기 입력축(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엔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본체(21)에는 수용공간(211,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복수개의 제1후방마찰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상기 클러치본체(21)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1)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복수개의 제1중간마찰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클러치본체(21)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1)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취출축(3)은 상기 후방작업기(11)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취출축(3)의 일측은 베어링, 부싱 등을 매개로 하여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은 샤프트(Shaft)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일부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중첩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취출축(3)은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은 타측이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의 타측에는 상기 후방작업기(1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동부(4)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킨 경우,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후방작업기(11)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작업기(11)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취출축(3)의 타단에는 연결기구(3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1)는 상기 후방작업기(11)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기구(31)는 직접 상기 후방작업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1)는 추가적인 동력전달기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후방작업기(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후방연동부(4)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키면,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방작업기(11)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면,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클러치부(2)가 상기 중간작업기(12)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하더라도,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후방작업기(11)는 동작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연동부(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방연동부(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는 복수개의 제2후방마찰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상기 취출축(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이 회전하면, 상기 취출축(3)은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이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마찰에 의해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취출축(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면,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축(3)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의 사이에는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와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가 교대로 복수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는 후방연동본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본체(42)는 상기 취출축(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취출축(3)은 상기 후방연동본체(4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본체(42)에는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은 상기 후방연동본체(42)를 통해 상기 취출축(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는 후방연동기구(43,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기구(43)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다. 작동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기구(43)가 후방유압실(미도시)에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유압을 증가시키면,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동기구(43)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기구(43)가 상기 후방유압실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켜서 유압을 감소시키면,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동기구(43)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유압실은 상기 후방연동본체(4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중간작업기(12)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기어로 구현되어서 기어 결합을 통해 상기 중간작업기(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와 상기 중간작업기(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어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작업기(12)는 상기 차량본체(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축(3)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베어링, 부싱 등을 매개로 하여 상기 취출축(3)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취출부(5)와 상기 취출축(3)은 서로 간에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축(3)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간연동부(6)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키면,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중간작업기(12)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면,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클러치부(2)가 상기 후방작업기(11)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하더라도,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간작업기(12)는 동작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연동부(6)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연동부(6)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와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복수개의 제2중간마찰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중간취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이 회전하면,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이 서로 접촉되면,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마찰에 의해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중간취출부(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이 서로 이격되면,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취출부(5)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의 사이에는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와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가 교대로 복수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중간연동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상기 중간취출부(5)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중간연동본체(6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본체(62)에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중간연동본체(62)를 통해 상기 중간취출부(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삽입공(621, 도 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621)은 상기 중간연동본체(6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621)에는 상기 취출축(3)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이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상기 중간취출부(5)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취출부(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 및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본체(62) 및 상기 중간취출부(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중간연동기구(63,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기구(63)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다. 작동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기구(63)가 중간유압실(미도시)에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유압을 증가시키면,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동기구(63)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기구(63)가 상기 중간유압실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켜서 유압을 감소시키면,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연동기구(63)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유압실은 상기 중간연동본체(6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다음과 같이 상기 후방작업기(11)와 상기 중간작업기(12) 각각에 구동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11)와 상기 중간작업기(12) 모두에 구동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킨 상태이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킨 상태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11)에만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입력축(20), 상기 취출클러치부(2), 상기 후방연동부(4), 및 상기 취출축(3)을 거쳐 상기 후방작업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중간연동부(6)와 상기 중간취출부(5)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간작업기(12)에는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중간작업기(12)에만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입력축(20), 상기 취출클러치부(2), 상기 중간연동부(6), 및 상기 중간취출부(5)을 거쳐 상기 중간작업기(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후방연동부(4)와 상기 취출축(3)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후방작업기(11)에는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11)와 상기 중간작업기(12) 모두에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과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입력축(20), 상기 취출클러치부(2), 상기 후방연동부(4), 및 상기 취출축(3)을 거쳐 상기 후방작업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과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킨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은 상기 입력축(20), 상기 취출클러치부(2), 상기 중간연동부(6), 및 상기 중간취출부(5)을 거쳐 상기 중간작업기(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2 : 취출클러치부
3 : 취출축 4 : 후방연동부
5 : 중간취출부 6 : 중간연동부
21 : 클러치본체 22 : 제1후방마찰부재
23 : 제1중간마찰부재 31 : 연결기구
41 : 제2후방마찰부재 42 : 후방연동본체
43 : 후방연동기구 61 : 제2중간마찰부재
62 : 중간연동본체 63 : 중간연동기구

Claims (6)

  1.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취출클러치부(2);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2)에 결합되고, 후방작업기(11)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취출축(3);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連動)시키는 후방연동부(4);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각각에 결합되고, 중간작업기(12)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중간취출부(5); 및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중간연동부(6)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입력축(20)에 결합된 클러치본체(21), 및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후방마찰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축(3)에 결합된 후방연동본체(42), 상기 후방연동본체(42)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후방마찰부재(41), 및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과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후방연동기구(43)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연동기구(43)는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과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을 접촉시켜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과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을 이격시켜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입력축(20)에 결합된 클러치본체(21), 및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중간마찰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중간취출부(5)에 결합된 중간연동본체(62), 상기 중간연동본체(62)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중간마찰부재(61), 및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과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중간연동기구(63)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연동기구(63)는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과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을 접촉시켜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연동시키고,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과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을 이격시켜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 간의 연동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으로 회전하는 입력축(20)에 결합된 클러치본체(21),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후방마찰부재(22), 및 상기 클러치본체(21)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중간마찰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후방마찰부재(41)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중간마찰부재(6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방마찰부재(22)들, 상기 제1중간마찰부재(23)들, 상기 제2후방마찰부재(41)들, 및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은 상기 클러치본체(21)에 형성된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축(3)은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취출부(5)는 상기 취출축(3)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이 결합된 중간연동본체(62)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연동본체(62)는 상기 취출축(3)이 삽입되는 삽입공(621)을 포함하되, 상기 제2중간마찰부재(61)들이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중간취출부(5)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취출부(5)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동부(4)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취출축(3)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동부(6)는 상기 취출클러치부(2)의 내부에서 상기 취출클러치부(2)와 상기 중간취출부(5)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1020190035943A 2019-03-28 2019-03-28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20200114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43A KR20200114347A (ko) 2019-03-28 2019-03-28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943A KR20200114347A (ko) 2019-03-28 2019-03-28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347A true KR20200114347A (ko) 2020-10-07

Family

ID=7288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943A KR20200114347A (ko) 2019-03-28 2019-03-28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4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259B2 (en) Hydraulic transmission for driving and steering wheels
CA1089773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ctor
EP0153196A2 (en) Transmiss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having pto-shafts
US8166837B2 (en) Transmission arrangement of an agricultural or industrial utility vehicle
KR101965617B1 (ko)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KR20200114347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100956704B1 (ko) 농업용 주행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102262737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US6523429B2 (en) Multi speed power take off
KR200456120Y1 (ko) 트랙터의 차속 비례형 전방 pto장치
JP6210802B2 (ja) 水田作業機
US4862988A (en) Four wheel drive working vehicle
US20070246270A1 (en) Quick connect PTO shaft
KR20230064276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1185540B1 (ko) 로타베이터의 구동력을 이용한 유압 장치
EP3659846B1 (en) Work vehicle
US20240044331A1 (en) Torque transfer gear pump
US11560936B2 (en) Shift transmission
KR20180054418A (ko) 트랙터의 동력 인출장치
KR20090057606A (ko) 농업용 주행차량의 동력전달장치
KR10216147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US6443036B1 (en) Mechanical-hydrostatic transmission, particularly for tools and vehicles suitable for gardening, such as lawn-mowers or the like
KR200287475Y1 (ko) 경운기용 유압 공급장치
KR20240011401A (ko) 배속턴 기어 구조가 일체화된 전륜축 구조
KR20220142847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