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34B1 -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34B1
KR101965534B1 KR1020180081531A KR20180081531A KR101965534B1 KR 101965534 B1 KR101965534 B1 KR 101965534B1 KR 1020180081531 A KR1020180081531 A KR 1020180081531A KR 20180081531 A KR20180081531 A KR 20180081531A KR 101965534 B1 KR101965534 B1 KR 101965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nker
alarm
emergency
fi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주 filed Critical 박용주
Priority to KR102018008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경보 발신기에 관한 것으로, 화재경보 발신기에 비상조명등과 비상조명 스위치를 구비하여 비상시 안내를 돕거나 평상시 작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윙커전원선을 연결하여 화재경보 발신기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인출시킨 후 끝단에 윙커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잭을 구성한 것으로, 안전을 강화하고, 특히 화재발생 경보와 연동작용으로 대피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Multi-function fire alarm transmitt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통로 주변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버튼을 누르게 되면 경보음과 경보등이 작동하도록 된 화재경보 발신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재경보 발신기에 호스 형태의 윙커(winker; 윙카라고도 함)를 연결하여 화재발생 및 정전시 연동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안전경보 기능과 대피유도 기능을 강화하고, 더불어 지진경보 및 비상조명장치로도 사용 가능한 등 여러 기능을 가진 화재경보 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경보 발신기는 금속재의 케이스 내부로 전원이 입력되고 외부에 발신스위치를 구비하여 발신스위치의 작동으로 경보음이 울리는 경종과 경보등이 점등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화재경보 발신기는 단순히 빛과 소리를 통해 화재 사실을 알려 주는 기능에 국한되어 있고, 그 외에 사람의 대피에 도움을 주는 기능이 없어서 야간이나 현장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한 후 어두운 현장에서 조명이 꺼지거나 야간인 경우 대피할 통로를 찾지 못하여 위험한 상황을 맞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피로를 안내하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비하기도 하지만, 통상의 경우 건축물의 일반 전원으로 점등되도록 설치되므로 화재로 인한 정전시 대피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배터리를 이용한 비상전원으로 조명을 점등하더라도 사람들이 안전한 방향으로 대피하는 것을 유도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또한, 호스형태의 윙커는 일반적인 작업현장에서 안전을 위한 출입통제나 사람 및 차량의 유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긴급 상황 시 사람의 대피를 유도하도록 작동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서 화재현장에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일부 현장에 설치되어 화재에 사용된다 하더라도 대피를 유도하는 기능이 없고 화재발생 경보와 연동되는 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비상시 대피를 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나아가 만약 화재로 인한 정전이나, 폭발사고의 발생, 위험물의 누출 등으로 긴급히 외부로 대피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둠 속에서 대피로를 안내하거나 유도하는 기능이 없어서 이러한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화재경보 발신기의 기능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또, 일반적인 화재경보 발신기는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화재시에만 경보와 비상조명을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는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어서 일반적인 정전상태를 대비한 별도의 비상조명장치를 구비하여야 했던 것이다.
실용신안공개공보 20-2017-0000043(2017년01월03일)
상기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되어 경보음과 경고 조명을 발생하기 위한 화재경보 발신함을 개선하여, 윙커호스를 연결하여 점등 및 점멸이 가능토록 하고, 아울러 화재경보 발생시 윙커호스를 연동되게 작동토록 하면서 대피 방향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윙커에는 엘이디의 점멸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점멸을 반복할 수 있는 구성과 기능을 부가하여 안전사고시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이동과 대피를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일반적인 정전상황 시에도 비상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토록 하여 정전대비 비상조명장치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지진경보 기능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화재경보 발신기는 직사각 형태의 캐비닛 형태이고 전면에 문짝이 구비되며, 경보스위치와 경종 및 비상구 표시부를 구성하며, 내부에는 전원공급부와 배터리가 구성되어 있고 제어회로부가 구성되어 평상시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경종과 비상구 표시부를 위한 조명의 전원으로 사용되다가 정전시에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조명등과 비상조명 스위치를 구비하여 비상시 안내를 돕거나 평상시 작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윙커전원선을 연결하여 화재경보 발신기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인출시킨 후 끝단에 윙커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잭을 구성하며, 아울러 상기 윙커는 경보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점등되는 연동작용을 하고, 윙커스위치를 구성하여 비상시가 아니더라도 필요시에는 점등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윙커호스는 내부의 엘이디 윙커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윙카호스를 따라 이동하거나 흐르는 것처럼 연출을 함으로써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동사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진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 윙커에 의한 안전유도 접근금지 등의 필요가 있을 시 화재경보 발신함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윙커를 작동토록 함으로써 안전한 작업환경을 이룩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여 경보음 발신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경보음과 경고조명의 작동과 함께 윙커호스가 대피를 돕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를 유도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윙커램프의 불빛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듯이 제어함에 의해 작업장의 구조를 잘 모르는 작업자나 어두운 상황이 되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정전시에도 비상조명등을 점등하여 정전에 대비한 작업이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비상조명장치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지진발생시 지진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기능도 부가되어 지진에 대응하는 대피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매우 실용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윙카호스에 대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윙카호스에 대한 회로연결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윙카호스에 대한 점멸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재경보 발신기는 직사각 형태의 캐비닛 형태의 본체(1)를 갖고 전면에 문짝(2)이 구비된 것으로, 문짝(2)에는 중앙에 비상구 표시부(30)을 구성하여 그 내부에 설치한 조명에 의해 비치면서 식별이 잘 되도록 하였으며, 일측에는 파손이 용이한 플라스틱 커버 내에 내장된 경보스위치(10)를 구비하였고, 다른 일측에는 경종(20)이 내장된 부분의 문짝(2)에는 통공(4)을 구비하여 소리가 외부로 울리도록 구성하였다.
본체(1) 상면에는 두개의 비상조명등(40)이 설치되어 비상시 점등되도록 하는데, 정전시에는 자동으로 점등되어 작업이나 생활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나 비상시에는 대피를 돕도록 하는데, 각각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조사각도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화재경보 발신기 내부에는 전원공급부(71)와 배터리(72)가 구성되어 평상시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경종(20)과 비상구 표시부(30)를 위한 조명 및 비상조명등(40)의 전원으로 사용되다가 정전시에는 배터리(72)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작용은 모두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경보스위치(10)를 작동하면 그 신호를 경종(20)에 전달하여 신호음을 울리게 하고, 경종(20)과 비상구 표시부(30), 비상조명등(40)의 전원을 전원공급부(71)와 배터리(72)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회로부(70)에는 지진감지기(15)를 연결구성하여 지진감지기(15)가 지진을 감지하면 경보스위치(10)를 작동한 것과 동일하게 제어되도록 하였다.
본체(1) 상부에는 손잡이(3)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발신기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비상조명장치나 기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제어회로부(70)에 별도의 윙커전원선(50)을 연결하여 제어회로부(7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화재경보 발신기 양측으로 각각 연결잭(51)을 인출시킨 후 끝단에 윙커호스(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잭(51) 부근에는 윙커스위치(52)를 구성하여 비상시가 아니더라도 윙커호스(100)를 연결 후 필요시에 점등 가능하게 한다.
모든 장치는 제어회로부(70)에 의해 제어되는데, 평상시에는 비상구 표시부(30)만 점등되고 나머지는 대기상태가 되고, 비상조명등(40)은 별도의 비상조명 스위치를 구성하여 필요시에 점등하여 작업용 등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일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자동으로 배터리(72)의 전원을 사용토록 전환시킨다.
경보스위치(10)를 누르게 되면, 제어회로부(70)는 경종(20)을 울림과 동시에 비상조명등(40)이 소등상태이더라도 강제로 비상조명등(40)을 점등하게 되며, 윙커스위치(52)가 켜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라도 강제로 윙커전원선(50)을 통해 윙커호스(100)를 점등 작동시키며, 특히 상기와 같이 경보스위치(10)에 의한 점등인 경우에는 윙커 점등 상태를 제어하여 윙커호스(100) 내부의 LED를 순차적인 점등시켜 대피하여야 하는 방향으로 조명 빛이 움직이듯 보이게 함으로써 긴급상황시 사람들이 윙커호스(100)의 조명 빛으로 인해 대피방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면서 대피가 가능하도록 제어되게 한 것이다. 지진감지기(15)가 지진을 감지할 때도 상기 경보스위치(10)를 누를 때와 같이 제어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윙커호스(100)는 내부의 엘이디 윙커램프(101)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빛이 윙커호스(100)를 따라 이동하거나 흐르는 것처럼 연출을 함으로써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윙커호스(100)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측 끝단에 비상조명장치의 커넥터(1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커넥터(102)가 구성되고, 연결커넥터(102)에는 전원이 입력되는 두 개의 입력선(103)이 구성된다. 윙커호스(100)의 내부에는 작은 크기의 기판(104)이 설치되어 입력선(103)이 연결되고, 입력선(103)과 연결되는 연결선(105)이 접속되어 윙커호스(100)의 반대측 끝단까지 연결되어 반대측 끝단에 구성되는 커넥터(110)에 직접 연결된다.
기판(104)의 상기 입력선(103)이 연결된 반대측에는 각각 3개씩의 '+'선과 '-'선이 연결되는데, 각 1번'+'선(106-1), 2번'+'선(106-2), 3번'+'선(106-3) 그리고 1번'-'선(107-1), 2번'-'선(107-2), 3번'-'선(107-3)이다. 상기 3개의 '-'선은 합쳐서 하나의 선으로 구성하여도 작용을 동일하다.
그리고 순서대로 1번'+'선(106-1)과 1번'-'선(107-1) 사이에 엘이디로 된 윙커램프(101)를 연결하고, 그 다음에는 2번'+'선(106-2)과 2번'-'선(107-2) 사이에 윙커램프(101)를 연결하며, 연이어 3번'+'(106-3)선과 3번'-'선(107-3) 사이에 윙커램프(101)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연결이 윙커호스(100) 끝까지 반복되도록 윙커램프(101)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기판(104)에서는 제어를 통하여 1번'+'선(106-1)과 1번'-'선(107-1), 2번'+'선(106-2)과 2번'-'선(107-2) 및 3번'+'선(106-3)과 3번'-'선(107-3)을 순서대로 통전하여 윙커램프(101)가 순차적으로 점등을 반복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차적인 점등으로 첫번째와 네번째 윙커램프(101-1)가 먼저 점등되고 이러한 점등이 소등됨과 동시에 두번째와 5번째 윙커램프(101-2)가 점등되고, 소등과 동시에 세번째 및 6번째 윙커램프(101-3)가 점등되는 작용을 반복하여 윙커램프(101)의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과 작동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전원이 유입되는 상태가 되면, 비상구 표시부(30)에만 조명이 점등되어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비상조명 스위치(41)를 이용하여 비상조명등(40)을 점등함으로써 작업용이나 기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윙커스위치(52)를 이용하여 윙커호스(100)를 점등시켜 조명이 밝지 않은 작업장에서 이동 통로를 잘 인식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비상상황이 되면 화재 발견자가 경보스위치(10)를 누르게 되는데, 이러한 경보스위치(10)의 작동과 동시에 경종(20)이 울려 부근의 인원들에게 화재사실을 인지시키게 되며, 동시에 비상조명등(40)이 켜지지 않은 상태이면, 비상조명등(40)을 강제로 점등하여 대피에 안전을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보스위치(10)의 작동에 의해 즉시 윙커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윙커호스(100)가 윙커스위치(52)에 의해 점등되지 않은 상태이면 강제로 윙커호스를 점등시키도록 제어되고, 이미 점등된 상태이더라도 대피방향을 알려주는 점등상태로 변환되어 대피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야간이나 정전에 의해 대피로가 잘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도 윙커의 작동으로 안전한 대피를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윙커호스에 구성되는 윙커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등을 반복하면서 빛이 흘러가는 연출을 하게 됨에 따라 정전이나 사고시 긴급히 대피하여야 할 때, 시야가 잘 확보되지 않는 상황이거나, 내부 구조나 통로가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도 윙커램프의 점등방향을 따라 대피나 이동을 하면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 있게 된다.
1: 본체
2: 문짝
3: 손잡이
4: 통공
10: 경보스위치
15: 지진감지기
20: 경종
30: 비상구 표시부
40: 비상조명등
50: 윙커전원선
51: 연결잭
52: 윙커스위치
70: 제어회로부
71: 전원공급부
72: 배터리
100: 윙커호스 101: 윙커램프
102: 연결커넥터 103: 입력선
104: 기판 105: 연결선
106-1: 1번'+'선 106-2: 2번'+'선
106-3: 3번'+'선 107-1: 1번'-'선
107-2: 2번'-'선 107-3: 3번'-'선
110: 커넥터

Claims (3)

  1. 직사각 형태의 캐비닛 형태이고 전면에 문짝(2)이 구비되며, 전원공급부 또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보스위치(10)와 경종(20) 및 비상구 표시부(30) 비상조명등(40) 구성한 후, 평상시 비상구 표시부(30)가 점등되고 경보스위치 작동에 의해 경종이 울리고, 비상조명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비상조명등이 점등되도록 구성되며, 제어회로부에 의해 평상시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경종(20)과 비상구 표시부(30)를 위한 조명의 전원으로 사용되다가 정전시에는 배터리(72)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화재경보 발신기에 있어서,
    비상조명등은 본체의 상부에 두 개 설치하여 각각 회전 및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각각 다른 방향을 동시에 비출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점등하거나 정전시 또는 화재경보시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제어회로부(70)에 별도의 윙커전원선(50)을 연결하여 화재경보 발신기 양측으로 각각 인출시킨 후 끝단에 윙커호스(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윙커연결잭(51)을 구성하고, 윙커스위치(52)를 구성하여 평상시 윙커호스를 점등시켜 사용할 수도 있거나, 또는 경보스위치(1)의 작동에 의해서도 제어회로부(70)가 윙커전원선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윙커호스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윙커호스(100)는 비상조명장치의 커넥터(1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커넥터(102)가 구성되고, 연결커넥터(102)에는 전원이 입력되는 두 개의 입력선(103)이 구성되고, 윙커호스(100)의 내부에는 작은 크기의 기판(104)이 설치되어 입력선(103)이 연결되고, 입력선(103)과 연결되는 연결선(105)이 접속되어 윙커호스(100)의 반대측 끝단까지 연결되어 반대측 끝단에 구성되는 커넥터(110)에 직접 연결되며,
    기판(104)의 상기 입력선(103)이 연결된 반대측에는 각각 3개씩의 '+'선과 '-'선이 연결되는데, 각 1번'+'선(106-1), 2번'+'선(106-2), 3번'+'선(106-3) 그리고 1번'-'선(107-1), 2번'-'선(107-2), 3번'-'선(107-3)이며,
    순서대로 1번'+'선(106-1)과 1번'-'선(107-1) 사이에 엘이디로 된 윙커램프(101)를 연결하고, 그 다음에는 2번'+'선(106-2)과 2번'-'선(107-2) 사이에 윙커램프(101)를 연결하며, 연이어 3번'+'(106-3)선과 3번'-'선(107-3) 사이에 윙커램프(101)를 설치하며,
    기판(104)에서는 제어를 통하여 1번'+'선(106-1)과 1번'-'선(107-1), 2번'+'선(106-2)과 2번'-'선(107-2) 및 3번'+'선(106-3)과 3번'-'선(107-3)을 순서대로 통전하여 윙커램프(101)가 순차적으로 점등을 반복토록 하여 윙커램프(101)의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지진감지기를 구성하고 제어회로부에 연결하여 지진이 감지되면 화재경보 발신과 동일하게 제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KR1020180081531A 2018-07-13 2018-07-13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KR101965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31A KR101965534B1 (ko) 2018-07-13 2018-07-13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31A KR101965534B1 (ko) 2018-07-13 2018-07-13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34B1 true KR101965534B1 (ko) 2019-04-03

Family

ID=6616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531A KR101965534B1 (ko) 2018-07-13 2018-07-13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7890A (zh) * 2019-09-23 2020-02-18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逃生路线引导的智慧消防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74Y1 (ko) * 2006-08-28 2006-11-13 디씨엑스(주)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20170000043U (ko) 2015-06-24 2017-01-03 (주)데코엘 식별력을 높인 위치정보와 도달거리확인이 가능한 피난유도기
KR101755342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KR101841761B1 (ko) * 2017-09-06 2018-03-23 최대규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74Y1 (ko) * 2006-08-28 2006-11-13 디씨엑스(주)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20170000043U (ko) 2015-06-24 2017-01-03 (주)데코엘 식별력을 높인 위치정보와 도달거리확인이 가능한 피난유도기
KR101755342B1 (ko) * 2016-05-31 2017-07-07 김태영 차량의 안전경고등 및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캠핑 레저겸용 조명장치
KR101841761B1 (ko) * 2017-09-06 2018-03-23 최대규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7890A (zh) * 2019-09-23 2020-02-18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逃生路线引导的智慧消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466B2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CN205174056U (zh) 多功能消防应急灯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US10208901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KR20110002622A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20180019979A (ko)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KR101965534B1 (ko)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20190093380A (ko) 안전 기구함
KR20170079122A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00023593A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KR20190068016A (ko)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20140021930A (ko) 비상구 유도등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JP6523754B2 (ja) 光警報装置
JP2014170348A (ja) 警報器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80035303A (ko) 휴대용 랜턴
JPH09319317A (ja) 避難誘導灯装置
JP200205048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