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016A -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016A
KR20190068016A KR1020170167979A KR20170167979A KR20190068016A KR 20190068016 A KR20190068016 A KR 20190068016A KR 1020170167979 A KR1020170167979 A KR 1020170167979A KR 20170167979 A KR20170167979 A KR 20170167979A KR 20190068016 A KR20190068016 A KR 20190068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speaker
unit
lc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to KR102017016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8016A/ko
Publication of KR2019006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화재발생시 진화를 위해 사용하는 소화기(10); 상기 소화기(10)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터치기능을 택일하여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영상데이터로 출력하는 LCD창(20); 상기 LCD창(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함께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음성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피커(30); 및 상기 LCD창(20)과 스피커(30)를 전기ㅇ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스피커(30)의 음성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도록 담당하는 제어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사용하는 소화기 상에 LCD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긴급상황에서 소화기의 사용초보자나 당황하여 사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LCD의 시각적 알림, 스피커의 음성알림과 같은 지시에 따라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의 초기대응이 원활하여 주변의 인명ㅇ재산피해 및 2차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Intelligent fire extinguish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발생시 사용하는 소화기 상에 LCD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긴급상황에서 소화기의 사용초보자나 당황하여 사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LCD의 시각적 알림, 스피커의 음성알림과 같은 지시에 따라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의 초기대응이 원활하여 주변의 인명ㅇ재산피해 및 2차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끌 수 있도록 운반 가능하게 마련된 기구를 말한다. 사용하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는 포말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이 있다.
한편, 화재의 특성상 초기 대응에 실패할 경우, 연소물질이 제거될 때까지 진화가 어려워 인적, 물적 피해가 커지므로, 개인의 소화기를 이용한 화재의 초기 진압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화재 발견자는 흥분한 상태로 일정한 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찾기 힘들 뿐만 아니라, 발생한 화재가 진전될수록 비치된 소화기를 찾기는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3463호에 따르면 "소화기가 설치되는 소화기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가 장착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화재센서나 소화전의 작동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경보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출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경보스피커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광과 함께 소화기 표시가 전방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메인표시등과, 상기 본체에 다수로 마련되며, 광과 함께 방향표시를 위한 기호가 전방으로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보조표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표시등은, 방향표시를 위한 기호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로 소화전 또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전송받아 소화기 받침대의 위치를 전파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서는 화재시 소화기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안내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에 의하면, 건물의 소화기 위치를 숙지하지 않은 사람도 화재 즉시 쉽게 소화기의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소화기의 위치 안내를 위한 기능이 화재감지센서나 소화전의 작동만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조작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장치의 설치 및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에 의하면, 화재시 대피 안내 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예방하거나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화기 받침대는 화재 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그 쓰임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뿐더러, 일정 규모의 건물에는 화재 감지기 및 소화전을 비롯한 화재 감지 시스템이 구비되어 화재 발생 시, 초기대응을 할 수 있으나, 단독 주택 또는 창고와 같은 장소에는 소방법에 의해 소화기만이 비치된 상태로 거주자나 사용자가 소화기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화재현장을 보고 당황하여 화재진압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리면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더라도 화재의 조기진압을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할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3463호 "소화기 받침대"(2013.02.0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사용하는 소화기 상에 LCD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긴급상황에서 소화기의 사용초보자나 당황하여 사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LCD의 시각적 알림, 스피커의 음성알림과 같은 지시에 따라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의 초기대응이 원활하여 주변의 인명ㅇ재산피해 및 2차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진화를 위해 사용하는 소화기; 상기 소화기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터치기능을 택일하여 소화기의 사용법을 영상데이터로 출력하는 LCD창; 상기 LCD창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LCD창의 영상데이터와 함께 소화기의 사용법을 음성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LCD창과 스피커를 전기ㅇ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치하고, LCD창의 영상데이터와 스피커의 음성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도록 담당하는 제어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메인컨트롤부, LCD창과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LCD부, 스피커와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음성부, LCD창과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LCD창과 스피커를 작동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버튼, 외부에 저장된 영상ㅇ음성데이터를 제어하고 담당하는 외장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제어시스템을 기능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네트워크, 저장연결장치, GPS, 음성인식, 마이크, 화재경보센서를 연결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컨트롤부는 LCD부, 음성부, 전원부, 버튼, 외장 메모리부, 확장부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LCD부와 음성부를 통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버튼의 작동유무에 따라 LCD창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튼은 구비개수와 터치횟수를 통한 LCD창과 스피커의 작동방법 및 기능의 구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사용하는 소화기 상에 LCD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긴급상황에서 소화기의 사용초보자나 당황하여 사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LCD의 시각적 알림, 스피커의 음성알림과 같은 지시에 따라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의 초기대응이 원활하여 주변의 인명ㅇ재산피해 및 2차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의 적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서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서 작동방법을 나타낸 작동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련되며, 소화기(10), LCD창(20), 스피커(30), 제어부(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10)는 화재발생시 진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에 상용화하는 대부분의 소화기(10)에 해당한다. 통상적으로 소화기(10)의 형태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본 발명은 원형의 소화기(10)에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형상이 극히 상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LCD창(20)은 상기 소화기(10)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터치기능을 택일하여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영상데이터로 출력한다. LCD창(20)은 그 크기가 소화기(10)의 구성 상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가장 효과적인 설치위치는 소화기(10)의 몸체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LCD창(20)은 소화기(10) 상에 구비할 수 있도록 일체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부착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LCD창(20)의 후면에 부착물을 추가하여 소화기에 설치한다든지, LCD창(20)의 테두리에 탈부착장치를 구비하고 이와 연계하는 소화기(10) 상에도 탈부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암수방식의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LCD창(20)은 소화기(10)의 사용방법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장치로서 후술하는 제어부(40)의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에 해당한다. LCD창(20)의 전면패널에 터치를 인식하여 작동하도록 구성을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기본적으로 LCD창(20)의 출력방법에는 후술하는 제어부(40)의 버튼(45)을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디스플레이의 기능적인 개발 및 사용의 용이성에 중점을 두면 LCD창(20)에 터치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터치기능은 사용용도 및 최종제품의 판매가격을 결정하는 경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종합적인 사용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택일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30)는 상기 LCD창(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함께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음성데이터로 출력한다. 스피커(30)는 상술한 LCD창(20)과 연계하여 사용하도록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고, LCD창(20)으로 출력하는 영상데이터와 함께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음성데이터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듣고 따라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음성출력장치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서, LCD창(20)은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사용자가 시각적인 영상데이터로 접하여 직접 보면서 따라할 수 있는 영상출력장치이고, 스피커(30)는 LCD창(20)과 함께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사용자가 청각적인 음성데이터로 접하여 직접 듣는 것으로 따라할 수 있는 음성출력장치에 해당하여 이들 구성을 서로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소화기(10)의 사용법을 모르는 초보사용자나 화재상황에 당황하여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정보공유로 인하여 화재현장을 올바르게 직시하도록 정신을 잡아주어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우미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상기 LCD창(20)과 스피커(30)를 전기ㅇ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스피커(30)의 음성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도록 담당한다. LCD창(20)과 스피커(30)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LCD창(20)과 스피커(30)를 작동하고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알려주기 위한 초기구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일련의 진행과정을 전기ㅇ전자적으로 제어하면서 영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LCD창(20)과 스피커(30)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시각적, 청각적인 정보로 출력하는 것이 중요하고, 다수개의 소화기(10) 상에 이들 구성을 시간대비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일체로 형성하면서 단순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기에 LCD창(20)과 스피커(30)의 후단부에 일정한 공간과 구성으로 제어부(40)를 구비하는 것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LCD창(20)과 스피커(30)를 제어부(40)와 하나의 구성으로 결합하여 소화기(10) 상에 탈부착하는 것으로 구성의 일체화된 결합에 따라 설치시간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소화기(10)의 설치공간 또한 최소화하는 이점을 가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40)는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메인컨트롤부(41), LCD창(20)과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LCD부(42), 스피커(30)와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음성부(43), LCD창(20)과 스피커(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4), LCD창(20)과 스피커(30)를 작동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버튼(45), 외부에 저장된 영상ㅇ음성데이터를 제어하고 담당하는 외장 메모리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40)의 구성으로는 크게 메인컨트롤부(41), LCD부(42), 음성부(43), 전원부(44), 버튼(45), 외장 메모리부(46)를 포함하고 있는데, 메인컨트롤부(41)는 제어부(40)의 모든 구성의 작동에 따른 명령을 직접 해독하고, 작동상태에 따라 도출하는 결과값을 산술, 논리적으로 연산하며,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처리유무를 직접 담당하여 관리 및 제어하는 메인구동부 즉, 중앙처리장치에 해당한다. 이외에 프로그램 카운터, 각종레지스터, 타이밍 발생회로, 음성제어와 같은 전반적인 쌍방향 처리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장치이다.
LCD부(42)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LCD창(20)으로의 정보제공에 대한 명령을 담당하는 장치로, LCD창(20)의 ON/OFF, LCD창(20)의 화면구동, LCD창(20)의 구동횟수에 대한 제어와 같은 LCD창(20) 및 영상데이터 출력에 관한 모든 작업 및 명령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이다.
음성부(43) 또한 LCD부(42)와 마찬가지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30)로의 정보제공에 대한 명령을 담당하는 장치로, 스피커(30)를 통한 음성출력에 대한 채널수, 볼륨조정과 같은 스피커(30) 및 음성데이터 출력에 관한 모든 작업 및 명령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이다.
전원부(44)는 LCD창(20)과 스피커(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원공급의 종류가 AC, DC에 따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과 전원 ON/OFF의 제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을 구동하는 전원에 대한 모든 작업 및 명령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이다.
버튼(45)은 LCD창(20)과 스피커(30)에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개폐기 역할을 한다. 버튼(45)을 작동함에 따라 제어부(40)의 구성인 전원부(44)의 전기가 인가하여 LCD창(20)과 스피커(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장치를 작동시킨다. 버튼(45)은 하나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기능의 추가적인 부분까지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으로 다양한 작동방법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45)의 추가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니 이하 생략한다.
외장 메모리부(46)는 LCD부(42)와 음성부(43)가 아닌 외부장치에 저장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LCD창(20)과 스피커(3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담당하는 구성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을 실행하여 작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출력과정 전체 또는 일요부에 대한 정보 및 사용패턴과 같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알고리즘이나 출력방법)을 백업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소 역할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40)는 제어시스템을 기능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네트워크, 저장연결장치, GPS, 음성인식, 마이크, 화재경보센서를 연결하는 확장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기(10)의 제어시스템을 내부구성만으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외부로의 연결에 따른 기능적 확대를 추가하고자 제어부(40) 상에 확장부(47)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확장부(47)의 구성으로 외부장치들과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데이터값 및 내부구성들간의 연결관계(상태)를 저장하는 저장연결장치, 소화기(10)의 위치검색을 위한 GPS, 목소리로 제어시스템을 작동 및 제어하는 음성인식,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30) 기능과 반대로 인식한 음성을 받아들이는 입력작업과 동시에 외부로 내보내는 출력작업을 모두 사용하는 마이크, 화재발생시 발화열, 연기와 같은 화재의 원인을 조기에 인식하여 알려주는 화재경보센서와 같은 외부기능을 구비하여 소화기(10)의 사용자나 연계된 외부자(소방서, 경찰서 등)와 연결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의 확산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인 구성이고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컨트롤부(41)는 LCD부(42), 음성부(43), 전원부(44), 버튼(45), 외장 메모리부(46), 확장부(47)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LCD부(42)와 음성부(43)를 통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버튼(45)의 작동유무에 따라 LCD창(20)과 스피커(3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40)의 구성 중 메인컨트롤부(41)는 다른 구성인 LCD부(42), 음성부(43), 전원부(44), 버튼(45), 외장 메모리부(46), 확장부(47)와 서로 연동하여 쌍방향으로 제어하면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출력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구비하고, LCD부(42)와 음성부(43)를 통하여 저장 및 제어하고 있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버튼(45)의 작동유무에 따라 전원부(44)의 전기를 인가받아 LCD창(20)과 스피커(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인 방법으로 직접 알려주는 정보제공 및 학습실행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버튼(45)은 구비개수와 터치횟수를 통한 LCD창(20)과 스피커(30)의 작동방법 및 기능의 구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시스템을 구동하는 개폐기인 버튼(45)은 기능에 따라 사용하는 구비개수, 터치에 따라 사용하는 터치횟수를 통하여 LCD창(20)과 스피커(30)의 작동방법 및 기능의 구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본적인 소화기(10)의 제어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고,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제어부(40) 및 이와 연계된 LCD창(20)과 스피커(30)의 출력과정이나 주요부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45)을 1개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한 번 터치하여 LCD창(20)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영상데이터가 출력되고, 스피커(30)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시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버튼(45)을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는 LCD창(20)과 스피커(30)로의 전원공급, LCD창(20)과 스피커(30)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출력작업, 제어부(40)의 다른 구성을 추가적으로 실행하여 구성별 특수 기능을 사용하는 작동과 기능의 구현을 다양하면서도 다르게 설정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 적합한 요소만을 사용할 수 있게끔 변환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시된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을 실제 사용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작성한 것이다. 버튼(45)을 눌러 LCD창(20)과 스피커(30)를 작동시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소화기(10)의 작동법을 사용자가 직접 보고 들을 수 있게 구현한다. 버튼(45)을 한번 누름으로 LCD창(20)과 스피커(30)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다시 한번 누름으로 LCD창(20)과 스피커(3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설정한다. 버튼(45)의 누름에 따라 LCD창(20), 스피커(30)의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는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받도록 조치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 버튼(45)을 작동하여 LCD창(20)과 스피커(30)를 가동한다. LCD창(20)과 스피커(30)가 연계하여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함께 출력하여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순서대로 알려준다. 처음에는 잠금상태의 소화기(10)를 보여주면서 소화기(10)의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소화기(10)의 잠금핀을 해제하는 방법을 LCD창(20)과 스피커(30)로 출력하여 알려준다. 그리고 소화기(10)의 호스를 화재방향으로 향하게 손으로 잡는다. 마지막으로 손잡이의 레버를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면 호스를 통하여 소화액이 분사하면서 화재를 진화하는 영상과 음성을 LCD창(20)과 스피커(30)로 출력하여 알려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사용하는 소화기 상에 LCD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긴급상황에서 소화기의 사용초보자나 당황하여 사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소화기의 사용방법을 LCD의 시각적 알림, 스피커의 음성알림과 같은 지시에 따라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재발생의 초기대응이 원활하여 주변의 인명ㅇ재산피해 및 2차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소화기 20 : LCD창
30 : 스피커 40 : 제어부
41 : 메인컨트롤부 42 : LCD부
43 : 음성부 44 : 전원부
45 : 버튼 46 : 외장 메모리부
47 : 확장부

Claims (5)

  1.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진화를 위해 사용하는 소화기(10);
    상기 소화기(10) 상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터치기능을 택일하여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영상데이터로 출력하는 LCD창(20);
    상기 LCD창(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함께 소화기(10)의 사용법을 음성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피커(30); 및
    상기 LCD창(20)과 스피커(30)를 전기ㅇ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치하고, LCD창(20)의 영상데이터와 스피커(30)의 음성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도록 담당하는 제어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메인컨트롤부(41), LCD창(20)과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LCD부(42), 스피커(30)와 관련된 명령을 담당하는 음성부(43), LCD창(20)과 스피커(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4), LCD창(20)과 스피커(30)를 작동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버튼(45), 외부에 저장된 영상ㅇ음성데이터를 제어하고 담당하는 외장 메모리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제어시스템을 기능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네트워크, 저장연결장치, GPS, 음성인식, 마이크, 화재경보센서를 연결하는 확장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부(41)는 LCD부(42), 음성부(43), 전원부(44), 버튼(45), 외장 메모리부(46), 확장부(47)가 서로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LCD부(42)와 음성부(43)를 통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버튼(45)의 작동유무에 따라 LCD창(20)과 스피커(3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45)은 구비개수와 터치횟수를 통한 LCD창(20)과 스피커(30)의 작동방법 및 기능의 구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20170167979A 2017-12-08 2017-12-08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20190068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79A KR20190068016A (ko) 2017-12-08 2017-12-08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79A KR20190068016A (ko) 2017-12-08 2017-12-08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16A true KR20190068016A (ko) 2019-06-18

Family

ID=6710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979A KR20190068016A (ko) 2017-12-08 2017-12-08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80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1191A1 (en) 2019-06-10 2020-12-16 SL Corporation Vehicle lamp
WO2021048668A1 (en) * 2019-09-12 2021-03-18 Carrier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KR20210091451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63B1 (ko) 2010-11-16 2013-02-14 이성 소화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63B1 (ko) 2010-11-16 2013-02-14 이성 소화기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1191A1 (en) 2019-06-10 2020-12-16 SL Corporation Vehicle lamp
WO2021048668A1 (en) * 2019-09-12 2021-03-18 Carrier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US11844970B2 (en) 2019-09-12 2023-12-19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user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KR20210091451A (ko) 2020-01-14 2021-07-2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016A (ko) 지능형 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1233463B1 (ko) 소화기 받침대
JP6546490B2 (ja) 消防用設備
MX2014002863A (es) Control de gestos para dispositivos de seguridad electronicos.
US20160284174A1 (en) Emergency System Textual Notification Device with Alert Mechanism
JP4624772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及び防災監視用操作表示装置
US202302891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video conferencing status with visual status indicator
JP3134806U (ja) 家庭用小型地震計
JP2023075316A (ja) 発信機、及び信号発信方法
JP2007080098A (ja) ガス漏れ警報器及びガス漏れ警報遮断システム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200017949A (ko) 소화기 사용법에 대한 안내가 영상으로 표시되는 소화기
KR101965534B1 (ko) 다기능 화재경보 발신기
JPH09313635A (ja) 消火器載置台
JP7465082B2 (ja) 受信機
JP2019023904A (ja) 防災受信機
KR20150069116A (ko) 화재 대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266485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
JP2006343910A (ja) タスクテーブル
EP35776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s with life safety systems
TWI524263B (zh) 移動存儲設備
JP2000112558A (ja) 着用式の情報処理端末、情報管理装置、指揮・支援システム
KR200320874Y1 (ko) 다중 설정 시간 타이머 장치
JP2002251679A (ja) 防災監視盤
JP4799301B2 (ja) 緊急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