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969B1 -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969B1
KR101964969B1 KR1020180121166A KR20180121166A KR101964969B1 KR 101964969 B1 KR101964969 B1 KR 101964969B1 KR 1020180121166 A KR1020180121166 A KR 1020180121166A KR 20180121166 A KR20180121166 A KR 20180121166A KR 101964969 B1 KR101964969 B1 KR 10196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worker
virtual account
ti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포
Priority to KR102018012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은, 고용주 단말로부터 고용주 계좌 정보,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계좌 정보 입력부와, 총 근로일, 총 근무 시간, 시급, 지급 예정 급여를 포함하는 근로 조건을 상기 고용주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근로 조건 입력부를 포함하는 기초 정보 입력 모듈; 금융 서버와 연동되어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하는 가상계좌 요청부를 포함하는 가상계좌 생성 모듈;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 상기 총 근무시간과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비교한 후 상기 시급 및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하는 급여 산출 모듈; 상기 가상계좌에 입금된 상기 지급 예정 급여에서 상기 급여만큼을 상기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상기 금융 서버에 요청하는 급여 이체 요청부를 포함하는 급여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TIME-BASED PAY SETTLEMENT SYSTEM THROUGH VIRTUAL ACCOUNT}
본 발명은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용주로부터 금융 서버를 통해 생성된 가상계좌에 지급 예정 급여를 미리 입금받은 후 근로자의 실제 근로 시간과 시급을 기반으로 근로자가 받을 급여를 산출하여 가상계좌로부터 근로자의 계좌로 급여를 이체함으로써 고용주가 별도로 급여 정산을 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할 수 있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업원, 아르바이트생과 같은 계약직 근로자의 급여 명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명부가 사전 준비되어야 했고, 근로자가 실질적으로 근로한 시간을 시계 또는 타임시트 등에 의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근로자의 질병, 지각, 연장근무, 조퇴 등 때문에 근로자 명부에 등록된 근무 시간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타임시트에 기록되거나 직접 수기로 근로 시간을 작성하는 방법은 고용주에게 전달되어 결재된 다음에 급여 처리를 위하여 급여 관리 부서에게 제공되는데, 이는 근로자의 근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 감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대한 양의 데이터 입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원활한 급여 정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49566호(발명의 명칭 : POS시스템과 연계한 급여관리 방법 및 장치)에서는 소상공인과 아르바이트생, 계약직, 정규직 등을 포함하는 점포직원들을 위한 급여 관리를 위해, POS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근태관리(시급/일급/월급) 및 자동급여 정산과 급여지급이 가능한 모바일 앱 서비스로서, POS에 근태정보만 입력하면 급여가 자동으로 직원들의 계좌로 이체되게 하는 POS시스템과 연계한 급여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구체적으로 직원 이동 단말기가 접근하면 POS단말이 직원의 근태정보를 저장한 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직원의 근태정보를 이용하여 설정시간 동안의 직원들의 급여를 계산하고, 계산된 직원의 급여정보를 점포사장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점포사장 이동 단말기가 급여 정보에 따른 급여이체를 금융기관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금융기관 서버가 전달받은 급여정보에 따라 직원들의 계좌로 급여를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073146호(발명의 명칭 : IT를 활용한 자동근태 체크 및 급여계산)에서는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의 출입에서 퇴근까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모든 수기 문서와 실무자에게 과중한 업무 부담을 주던 근태 확인업무 처리를 모두 전산화해 자료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여, 단방향적으로 실무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쌍방향 시스템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는 본인의 출근 및 퇴근을 시스템 접속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근태와 급여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구체적으로 전화번호,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업종, 업무일정이 포함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갖는 직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직원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입 및 출근 인증을 승인하는 출입데이터를 생성하는 출입관리 장치(비콘)와,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상기 출입데이터로 출입 및 근태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출입 및 근태관리 데이터 및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서 업종, 업무일정을 소프트웨어에 등록하는 근태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발명은 근로자가 실제로 근무한 시간을 특정 장치를 통해 파악한 후 급여를 산출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용주가 미리 가상계좌에 근로자와 계약한 급여를 입금하면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시간(hour) 단위로 급여를 산출하여 정산(즉, 가상계좌에서 근로자의 계좌로 급여를 이체)하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융 서버를 통해 가상계좌를 생성하여 고용주로부터 가상계좌에 지급 예정 급여를 입금받은 후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시간 단위로 급여를 산출 및 정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용주 및 근로자가 온라인상에서 출퇴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채팅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로자에게 제시어를 제공하고 이를 동일하게 입력할 것을 요청하여 근로자가 실제로 출근을 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은, 고용주 단말로부터 고용주 계좌 정보,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계좌 정보 입력부와, 총 근로일, 총 근무 시간, 시급, 지급 예정 급여를 포함하는 근로 조건을 상기 고용주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근로 조건 입력부를 포함하는 기초 정보 입력 모듈; 금융 서버와 연동되어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하는 가상계좌 요청부를 포함하는 가상계좌 생성 모듈;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 상기 총 근무시간과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비교한 후 상기 시급 및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하는 급여 산출 모듈; 상기 가상계좌에 입금된 상기 지급 예정 급여에서 상기 급여만큼을 상기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상기 금융 서버에 요청하는 급여 이체 요청부를 포함하는 급여 정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계좌 생성 모듈은, 상기 가상계좌에 상기 지급 예정 급여가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가상계좌 입금 파악부와, 상기 금융 서버에 상기 가상계좌의 동결을 요청하는 동결 요청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정산 모듈은, 상기 급여가 산출된 후 상기 금융 서버에 상기 가상계좌의 동결 해지를 요청하는 동결 해지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급여 정산 모듈은, 상기 급여가 상기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된 후 남은 잔금을 상기 고용주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상기 금융 서버에 요청하는 잔금 이체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는,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대화를 입력받는 대화 입력 공간과 상기 대화가 기록되어 표시되는 대화창을 포함하는 온라인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챗 제공 모듈과,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상기 대화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키워드가 입력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출퇴근 여부를 파악하는 출퇴근 여부 파악 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입력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근무 시간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은,
1) 시간 단위로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급여 정산이 가능하고,
2) 온라인상에서도 근로자의 출퇴근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용주가 근로자의 근태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3) 제시어 입력을 통한 근로자의 출근 진위 여부 파악을 통해 근로자의 급여 정산과 함꼐 근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은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직접 급여를 정산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가상계좌를 통해 근로자에게 급여를 정산하는 시스템으로서, 근로자가 실제로 근로를 수행한 시간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급여를 계산하여 정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근로자라 함은 근로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정규직, 비정규직, 계약직 등 다양한 형태로 고용주와 근로 계약을 맺은 사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급여를 정산받기 위해서는 계약직, 시간제 근로 계약을 맺은 근로자인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고용주 단말(20), 근로자 단말(30), 메인 서버(10)로 이루어진다.
고용주 단말(20)은 고용주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고용주 단말(2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는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고용주 단말(20)을 통해 고용주는 근로일, 근무시간을 포함하는 근로조건을 입력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에게 급여를 정산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30)은 고용주로부터 고용된 근로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이는 고용주 단말(20)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근로자 단말(30)을 통해 근로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 근로행위에 대한 보상인 급여를 정산받을 수 있다.
메인 서버(10)는 본 발명의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용주로부터 근로 조건을 입력받은 후 근로자의 근무 시간에 따라 급여를 산출하여 근로자에게 급여를 정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금융 서버(40)와 연동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에게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하고, 고용주로부터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 급여를 가상계좌에 미리 입금 받으면 가상계좌의 동결 처리를 금융 서버(40)에 요청함으로써 고용주가 일일이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않더라도 근로자의 실제 근무시간에 따라 급여를 산출하여 가상계좌로부터 근로자의 계좌로 급여를 송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메인 서버(10)는 급여 정산을 위해 고용주 단말(20) 및 근로자 단말(30)에 마련된 인터넷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고용주 단말(20) 및 근로자 단말(3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은 상호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스템은 근로자 및 고용주로부터 입력받은 계좌 정보와 고용주로부터 입력받은 근로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하되,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에 따라 시간 단위로 급여를 정산함으로써 근로자가 실제 근무 시간에 대해 정확한 급여를 정산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서버라 함은 통신부, RAM, ROM, CPU, 하드웨어 및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후술할 본 발명의 시스템의 모듈은 이러한 서버 또는 서버의 조합체로서 메인 서버(1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한 기본 구성 및 세부 구성을 후술할 도 2 및 도 3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기초 정보 입력 모듈(100), 가상계좌 생성 모듈(200),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 급여 산출 모듈(400), 급여 정산 모듈(500)로 이루어진다.
기초 정보 입력 모듈(100)은 고용주 및 근로자의 계좌 정보와 총 근로일, 총 근무 시간, 지급 예정 급여를 포함하는 근로 조건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계좌 정보 입력부(110)와 근로 조건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계좌 정보 입력부(110)는 고용주로부터 고용주 계좌 정보, 근로자로부터 근로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고용주 및 근로자의 명의로 된 계좌번호 및 은행 정보를 계좌 정보로서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근로 조건 입력부(120)는 총 근로일, 총 근무 시간, 시급, 지급 예정 급여를 포함하는 근로 조건을 고용주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때 총 근로일이라 함은 근로 시작일로부터 근로 종료일까지의 일수에서 주말 및 공휴일을 제한 근로일수를 의미하고 총 근무 시간은 총 근로일 동안 근로를 수행한 총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하루에 8시간 씩 30일 동안 일하기로 하였다면 총 근로일은 30일이고 총 근무 시간은 240시간이 된다.
이때 근로 조건은 고용주 단말(20)을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나,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근로 계약서를 입력받은 후 근로 조건이 기재된 영역을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가상계좌 생성 모듈(200)은 금융 서버(40)와 연동되어 가상계좌를 생성한 후 고용주로부터 지급 예상 급여를 입금받는 것으로서, 이는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급여를 정당하게 지급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가상계좌를 생성하여 가상계좌에 지급 예정 급여를 입금받은 후 근로자에게 정산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금융 서버(40)라 함은 기존의 은행, VAN, 가상화폐 거래소 등을 아우르는 금융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받아 가상계좌를 생성하는 주체이다. 이러한 금융 서버(40)는 상술한 메인 서버(10)와 그 개념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상계좌 생성 모듈(200)은 가상계좌 요청부(210), 가상계좌 입금 파악부(220), 동결 요청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계좌 요청부(210)는 금융 서버(40)와 연동되어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이때 가상계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개인 혹은 업체) 명의로 생성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용주로부터 입금받는 지급 예정 급여를 일괄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고용주 명의로 가상계좌를 생성하도록 금융 서버(40)에 가상계좌 생성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용주의 가상계좌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계좌 입금 파악부(220)는 가상계좌에 지급 예정 급여가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때 지급 예정 급여의 입금은 고용주로부터 입금 받는다.
동결 요청부(230)는 금융 서버(40)에 가상계좌의 동결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요청 이후 금융 서버(40)에 의해 지급 예정 급여가 입금된 가상계좌가 동결되면 고용주가 급여를 임의로 입출금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급 예정 급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출퇴근 관리 장치를 통해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고용주와 근로자의 직접 대면을 통해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소유한 사원증의 인식 여부(출근 시, 그리고 퇴근 시에 사원증이 인식된 시간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를 통해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는 근로자 단말(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근로자로부터 출퇴근 여부를 입력받음에 따라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구비된 출퇴근 버튼 및 근무 중단 버튼을 근로자가 클릭함으로써, 고용주는 근로자의 출퇴근 버튼 및 근무 중단 버튼이 클릭된 시간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합의가 성립된 경우 근로자가 전체 근무 시간을 모두 이행하지 않았더라도 고용주는 전체 급여를 근로자에게 정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별도로 근로 합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장치 및 방법으로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급여 산출 모듈(400)은 총 근무시간과 실제 근무 시간을 비교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총 근무시간과 실제 근무 시간이 동일할 경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는 지급 예정 급여와 동일할 것이고, 실제 근무 시간이 총 근무시간보다 작은 경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는 (실제 근무 시간)x(시급)으로 산출될 것이다.
급여 정산 모듈(500)은 가상계좌의 동결을 해지한 후 산출된 급여를 가상계좌로부터 근로자의 계좌로 송금을 금융 서버(40)에 요청하여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고용주가 근로자의 급여를 정산하는 방법으로는 계좌이체, 카드 결제, 가상화폐 지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산할 수 있다. 특히 급여 정산 모듈(500)은 근로자의 근로 시간에 따른 급여를 정확하게 정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급여 이체 요청부(520), 동결 해지 요청부(510), 급여 이체 요청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여 이체 요청부(520)는 가상계좌에 입금된 지급 예정 급여에서 급여만큼을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금융 서버(40)에 요청하는 것으로서,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만큼 산출된 급여를 근로자에게 정산하기 위해 은행에 급여 이체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결 해지 요청부(510)는 금융 서버(40)에 가상계좌의 동결 해지를 요청하는 것으로서, 근로자에게 급여를 정산하기 위해 가상계좌의 동결 해지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급여 이체 요청부(520)는 가상계좌가 동결 해지 처리될 시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상계좌로부터 근로자의 계좌 정보로의 계좌 이체를 금융 서버(40)에 요청할 수 있다.
잔금 이체 요청부(530)는 실제 근무 시간이 총 근무시간보다 작을 시 가상계좌에 보관된 잔금을 고용주의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금융 서버(40)에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시급이 10,000원일 때 총 근무시간이 10시간이고 실제 근무시간이 7시간이라 하면 가상계좌에 보관된 지급 예정 급여는 총 100,000원이고 실제 근무 시간에 의해 근로자의 계좌로 이체된 급여는 70,000원이다. 이에 따라 가상계좌에는 잔금 30,000원이 남게 되는데, 잔금 이체 요청부(530)는 이 잔금을 다시 고용주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은행에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통해 고용주는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되고, 그에 따른 급여를 직접 산출하지 않아도 되어 고용주의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으며, 나아가 근로자는 자신의 실제 근무 시간에 따라 합당한 급여를 안정적으로 정산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의 대면을 통해 파악하는데, 더 나아가 온라인상에서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근로자에게 온라인 챗(online-chat)을 제공하여 근로자의 출퇴근 여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도 3과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고용주와 근로자의 대면 방식(이때 대면 방식은 고용주와 근로자가 직접 얼굴을 보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원증 인식,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등 오프라인 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을 통해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파악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대면 방식에서 더 나아가 온라인에서도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파악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프리랜서나 별도의 작업 공간에서 근로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경우 고용주가 편리하게 근무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온라인챗 제공 모듈(310), 출퇴근 여부 파악 모듈(320), 근무 시간 산출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챗 제공 모듈(310)은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대화를 입력받는 온라인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에서 사용하는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
출퇴근 여부 파악 모듈(320)은 온라인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대화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후 키워드가 입력된 시간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출근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근무 시간 산출 모듈(330)은 키워드의 입력 시간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출근 키워드의 입력 시간과 상기 퇴근 키워드의 입력 시간의 차를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출근 키워드가 09시 30분에 입력되었고 퇴근 키워드가 18시 30분에 입력되었다면 근로자의 근무 시간은 9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여 산출 모듈(400)은 총 근무 시간과 산출된 실제 근무 시간을 비교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용주는 온라인상에서 근로자의 출근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편리하게 알 수 있다.
나아가, 근로자가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허위로 출퇴근 여부를 입력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로자에게 제시어를 제공하여 재입력을 요청함으로써 유저의 출근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300)는 출근 진위 파악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출근 진위 파악 모듈(340)은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시어를 제공한 후 근로자 단말(30)을 통해 제시어를 다시 입력받아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제시어와 근로자 단말(30)로부터 입력받은 제시어의 동일 여부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출근 진위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때 근로자에게 제공될 제시어를 수집하기 위해 단어 데이터베이스(34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데이터베이스(341)는 기존의 단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단어는 사전을 통해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단어 데이터베이스(341)가 구비되면 출근 진위 파악 모듈(340)은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제시어로 선정하여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제시어 제공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시어가 제공되는 시점은 근로자가 근무하는 중 어느 한 시점인 것이 근로자의 출근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시어가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면, 출근 진위 파악 모듈(340)은 근로자 단말(30)로부터 해당 제시어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근로자 단말(30)에 제공하는 제시어 입력 요청부(343)를 포함할 수 있고, 근로자 단말(30)로부터 입력된 입력 제시어가 제공된 제시어와의 동일 여부를 파악하는 제시어 파악부(344)를 통해 근로자가 제시어를 올바르게 입력하였는지를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통해 근로자가 실제로 근무를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에게 제시어를 제공할 시에는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근로자에게 제시어를 입력받는 것은 근로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받음으로써 근로자가 허위로 제시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어 데이터베이스(341)로부터 선정된 제시어를 변조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제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근로자에게 유희성을 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출근 진위 파악 모듈(340)은 제시어 변조부(34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어로 ‘전화기’가 선정되었다면, ‘수화기’, ‘소화기’와 같이 유의미한 단어들로 제시어가 변조되거나, ‘주화기’, ‘초화기’, ‘갉화기’와 같이 무의미한 단어들로 변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시어 변조부(345)는 구체적으로 제시어에 포함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음절을 변조 처리하여 변조 제시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제시어가 텍스트인 점을 고려하여 제시어에 포함된 음절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다른 음절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변조 제시어를 생성하거나, 혹은 제시어에 포함된 특정 음절을 반복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조 제시어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시어 제공부(342)는 이러한 변조 제시어를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제시어 입력 요청부(343)는 근로자에게 변조 제시어를 입력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시어 파악부(344)는 근로자로부터 입력받은 변조 제시어와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변조 제시어의 동일 여부를 파악하여 근로자의 출근 진위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구성에서는 변조 제시어의 생성 구조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조 제시어의 생성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시어 변조부(345)는 음절 후보어 지정파트(346),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347), 반복 후보어 생성파트, 반복 제시어 생성파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절 후보어 지정파트(346)는 제시어를 구성하는 음절로부터 연속된 2음절 이상의 음절값을 추출하여 음절 후보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시어가 “전화기” 인 경우 ‘전화’, ‘화기’가 음절 후보어로 지정될 수 있다.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347)는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필터링하여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화기’가 음절 후보어로 지정되는 경우 ‘수화기’, ‘소화기’ 등이 변조 제시어로 지정될 수 있다.
반복 제시어 생성파트(350)는 음절 후보어를 2회 이상 반복 처리한 반복 제시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화’가 음절 후보어로 지정되는 경우 ‘전화전화’ 등이 반복 제시어로 지정된다. 이때 음절 후보어를 2회 이상 반복 처리할 시 무의미한 반복 제시어가 생성되더라도 무관하다.
이에 따라 제시어 제공부(342)는 연관 제시어 및 반복 제시어를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제시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다양한 제시어를 통해 근로자에게 유희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시어 변조부(345)에 포함될 수 있는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347)는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필터링하여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상세 구성으로서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347)는 변조 제시어 후보 지정수단(348)과 연관 제시어 산출수단(349)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 제시어 후보 지정수단(348)은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변조 제시어 후보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다시 설명하면 단어에 포함된 제시어 중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것을 변조 제시어 후보로 지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관 변조 제시어 산출수단은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단어의 입력 빈도수를 기반으로 변조 제시어 후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단어의 입력 빈도수가 반영된 입력점수를 산출한 뒤, 입력점수의 고저에 따라 변조 제시어 후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 제시어로 지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2
는 입력점수,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3
는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인덱스로서 1 이상의 정수,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4
은 전체 변조 제시어 후보의 개수,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5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6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선호 가중치,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7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8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단어의 입력 빈도수,
Figure 112018100158312-pat00019
는 입력 빈도 가중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수학식 2에 대해 살펴보면,
Figure 112018100158312-pat00020
는 전체 변조 제시어 후보의 개수 대비
Figure 112018100158312-pat00021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선호 가중치를 나타내며, 이때 선호 가중치라 함은 특정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선호 가중치로서, 이를 위해서는 근로자에 해당하는 로그 분석을 통한 선호도 분석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더불어 수학식 2의 뒷부분을 차지하는
Figure 112018100158312-pat00022
Figure 112018100158312-pat00023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단어의 입력 빈도수에서
Figure 112018100158312-pat00024
번째 기준의 입력 빈도수의 합을 제하되, 이에 입력 빈도 가중치를 더 반영한 것이다. 여기서 검색 빈도 가중치라 함은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기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빈도수라 함은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단어가 근로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된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기존에 복수의 근로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시어와 그 제시어가 입력된 횟수를 미리 파악한 과거 입력 파악파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알 수 있는 값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점수 계산을 각각의 변조 제시어 후보가 선호 가중치 및 입력 빈도 가중치를 반영하되, 기본적으로는 입력 빈도수에 기반을 두어 입력점수를 부여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입력점수를 기반으로 입력점수의 고저에 따라 변조 제시어 후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조 제시어로 지정함으로써 변조 제시어 지정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메인 서버 20 : 고용주 단말
30 : 근로자 단말 40 : 금융 서버
100 : 기초 정보 입력 모듈 110 : 계좌 정보 입력부
120 : 근로 조건 입력부 200 : 가상계좌 생성 모듈
210 : 가상계좌 요청부 220 : 가상계좌 입금 파악부
230 : 동결 요청부 300 :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
310 : 온라인챗 제공 모듈 320 : 출퇴근 여부 파악 모듈
321 : 출퇴근 용어 데이터베이스 322 : 후보 키워드 지정부
323 : 위치 벡터 파악부 324 : 공분산 행렬 생성부
325 : 중요도 산출부 326 : 키워드 선정부
327 : 키워드 분류부 330 : 근무 시간 산출 모듈
340 : 출근 진위 파악 모듈 341 : 단어 데이터베이스
342 : 제시어 제공부 343 : 제시어 입력 요청부
344 : 제시어 파악부 345 : 제시어 변조부
346 : 음절 후보어 지정파트 347 :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
348 : 변조 제시어 후보 지정수단 349 : 연관 제시어 산출수단
350 : 반복 제시어 생성파트 400 : 급여 산출 모듈
500 : 급여 정산 모듈 510 : 동결 해지 요청부
520 : 급여 이체 요청부 530 : 잔금 이체 요청부

Claims (12)

  1.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으로서,
    고용주 단말로부터 고용주 계좌 정보,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계좌 정보를 입력받는 계좌 정보 입력부와, 총 근로일, 총 근무 시간, 시급, 지급 예정 급여를 포함하는 근로 조건을 상기 고용주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근로 조건 입력부를 포함하는 기초 정보 입력 모듈;
    금융 서버와 연동되어 가상계좌 생성을 요청하는 가상계좌 요청부를 포함하는 가상계좌 생성 모듈;
    근로자의 실제 근무 시간을 파악하는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
    상기 총 근무시간과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비교한 후 상기 시급 및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하는 급여 산출 모듈;
    상기 가상계좌에 입금된 상기 지급 예정 급여에서 상기 급여만큼을 상기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상기 금융 서버에 요청하는 급여 이체 요청부를 포함하는 급여 정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근무 시간 파악 인터페이스는,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대화를 입력받는 대화 입력 공간과 상기 대화가 기록되어 표시되는 대화창을 포함하는 온라인 채팅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온라인챗 제공 모듈과,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상기 대화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 후 상기 키워드가 입력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출퇴근 여부를 파악하는 출퇴근 여부 파악 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입력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상기 실제 근무 시간을 산출하는 근무 시간 산출 모듈과,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시어를 제공한 후 상기 근로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제시어를 다시 입력받아, 제공된 상기 제시어와 입력받은 상기 제시어의 동일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의 출근 진위 여부를 파악하는 출근 진위 파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근 진위 파악 모듈은,
    기존의 단어를 저장하는 단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시어로 선정하여 상기 근로자가 근무하는 도중 어느 한 시점에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제시어 제공부 및, 상기 근로자에게 상기 제시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상기 근로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시어 입력 요청부와,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제시어가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제시어와의 동일 여부를 파악하는 제시어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근 진위 파악 모듈은, 상기 제시어에 포함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음절을 변조 처리하여 변조 제시어를 생성하는 제시어 변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시어 제공부는, 상기 변조 제시어를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제시어 입력 요청부는, 상기 근로자에게 상기 변조 제시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시어 파악부는,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변조 제시어와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변조 제시어의 동일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제시어 변조부는,
    상기 제시어를 구성하는 음절로부터 연속된 2음절 이상의 음절값을 추출하여 음절 후보어로 지정하는 음절 후보어 지정파트와, 상기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상기 단어를 필터링하여 상기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는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 및, 상기 음절 후보어를 2회 이상 반복 처리한 반복 제시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복 제시어 생성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시어 제공부는, 상기 연관 제시어 및 상기 반복 제시어를 상기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며,
    상기 연관 제시어 지정파트는,
    상기 음절 후보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변조 제시어 후보로 지정하는 변조 제시어 후보 지정수단과, 상기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상기 단어의 입력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변조 제시어 후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는 연관 제시어 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계좌 생성 모듈은,
    상기 가상계좌에 상기 지급 예정 급여가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가상계좌 입금 파악부와,
    상기 금융 서버에 상기 가상계좌의 동결을 요청하는 동결 요청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정산 모듈은,
    상기 급여가 산출된 후 상기 금융 서버에 상기 가상계좌의 동결 해지를 요청하는 동결 해지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 정산 모듈은,
    상기 급여가 상기 근로자 계좌 정보로 이체된 후 남은 잔금을 상기 고용주 계좌 정보로 이체할 것을 상기 금융 서버에 요청하는 잔금 이체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제시어 산출수단은,
    상기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상기 단어의 입력 빈도수가 반영된 입력점수를 산출한 뒤에 상기 입력점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변조 제시어 후보 중 어느 하나를 변조 제시어로 지정하되,
    상기 입력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8125453508-pat00035

    (여기서,
    Figure 112018125453508-pat00036
    는 입력점수,
    Figure 112018125453508-pat00037
    는 상기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인덱스로서 1 이상의 정수,
    Figure 112018125453508-pat00038
    은 전체 변조 제시어 후보의 개수,
    Figure 112018125453508-pat00039
    Figure 112018125453508-pat00040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한 선호 가중치,
    Figure 112018125453508-pat00041
    Figure 112018125453508-pat00042
    번째 변조 제시어 후보에 대응되는 상기 단어의 입력 빈도수,
    Figure 112018125453508-pat00043
    는 입력 빈도 가중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21166A 2018-10-11 2018-10-11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KR10196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66A KR101964969B1 (ko) 2018-10-11 2018-10-11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66A KR101964969B1 (ko) 2018-10-11 2018-10-11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969B1 true KR101964969B1 (ko) 2019-04-02

Family

ID=6616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66A KR101964969B1 (ko) 2018-10-11 2018-10-11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9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606A1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전자 급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0838A (ko) 2021-09-16 2023-03-23 김형철 급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640390B1 (ko) * 2023-08-30 2024-02-23 김형철 급여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WO2024071864A1 (ko) * 2022-09-30 2024-04-04 (주)잡앤파트너 전자지갑 기반 긱워커 노임 간편 전자결제 및 개인 민감정보 관리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8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업무 중개 시스템
KR20180052948A (ko) * 2016-11-11 2018-05-21 이경석 시간제 및 일용직 고용 및 산재 보험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80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업무 중개 시스템
KR20180052948A (ko) * 2016-11-11 2018-05-21 이경석 시간제 및 일용직 고용 및 산재 보험 안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606A1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전자 급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0838A (ko) 2021-09-16 2023-03-23 김형철 급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24071864A1 (ko) * 2022-09-30 2024-04-04 (주)잡앤파트너 전자지갑 기반 긱워커 노임 간편 전자결제 및 개인 민감정보 관리 제공 방법
KR102640390B1 (ko) * 2023-08-30 2024-02-23 김형철 급여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969B1 (ko) 가상계좌를 통한 시간제 급여 정산 시스템
EP3193293A1 (en) Expense report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KR20020070997A (ko) 종업원 급여지급대장의 관리방법 및 장치
US113930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delivery of accounting and corporate planning services
CN107944851B (zh) 群组资金账户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JP7398522B2 (ja) 社用プリペイドシステム
WO2005109282A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and facilitating a venture
KR102161844B1 (ko)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KR20200033003A (ko)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00030773A (ko) 스마트 근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9075925A (ja) 給与支払い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07762B1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06796675A (zh) 用于专业服务公司的固定费用和临时账单
KR20200032993A (ko) 급여 선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859A (ko) 인력평가시스템
US11593765B2 (en) Application data integration for automatic data categorizations
WO2016176230A1 (en) Report generation using event infrastructure
KR20060123983A (ko) 금융기관의 여신 심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0835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KR20210023116A (ko) 선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59174B1 (ko)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JP7002604B2 (ja) 賃金前払システム
US200402256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uing professional services
AU2021103954A4 (en) METHOD FOR SECURE AND AUTOMATIC PAYROLL SYSTEM USING IoT SENSORS WITH TWO FACTOR AUTHENTICATION
KR102617122B1 (ko) 일자리 매칭 플랫폼 서버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