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91B1 -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4291B1 KR101964291B1 KR1020170143465A KR20170143465A KR101964291B1 KR 101964291 B1 KR101964291 B1 KR 101964291B1 KR 1020170143465 A KR1020170143465 A KR 1020170143465A KR 20170143465 A KR20170143465 A KR 20170143465A KR 101964291 B1 KR101964291 B1 KR 101964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omposite material
- fiber reinforced
- manufacturing
- tetramethylpiperid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Hard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89중량%, 내충격제 10~60중량%,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이소프탈아미드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89중량%, 내충격제 10~60중량%,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이소프탈아미드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아마이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보강재가 투입된다.
또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단일 소재 사용이 아닌 보강재가 함유된 복합소재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보강재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나, 가격 및 성능 측면에서 유리섬유(GF)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GF 강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경우 기계적인 강도와 내열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를 하나, 전체적인 흐름성(M.I)을 저하시켜 실제 제품 성형시 미성형(불량) 제품의 발생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제품의 표면에 GF 돌출로 인하여 외관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GF 강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가공시 투입되는 첨가제가 개발이 되어 있기는 하나, 일정 수준 이상 투입시 기본적인 물성이 유지되기 힘들어 상용화되고 있지가 아니하다.
또한, 폴리아마이드-GF 복합소재는 크게 2 분류로 나누어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는 장섬유를 활용한 복합소재(LFT)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단섬유 복합소재 기술이다.
더하여, LFT는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 구조재 금속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투자비 및 공정가공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일반 중소기업에서 기술개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777446호에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분자쇄절단(chain scission) 첨가제 0.1 내지 0.4 중량%; (a1)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nylon 6,6) 50~70.2중량% 및 (a2) 폴리카프로락탐(nylon 6) 29.8~5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69 중량%; 및 (b) 유리섬유 30 내지 69중량%; 를 포함하되, 상기 (a1)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nylon6,6)는 25 ℃에서 포름산 85 %에 용해시켜 측정한 상대점도가 2.0내지 3.8 cp이며, 수평균 분자량(Mn)이 16,000 내지 200,000 g/mol이고, 상기 (a2) 폴리카프로락탐 (nylon6) 25 ℃에서 포름산 85 %에 용해시켜 측정한 상대점도가 2.0 내지 3.8cp이며, 수평균 분자량(Mn)이 16,000 내지 200,000 g/mol이며, 상기 (b)유리섬유는 아미노실란계 커플링제를 유리섬유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지조성물은, 목표로 하는 유동성을 구현하기 위해 다량의 첨가제 투입으로 소재 물성이 저하되고, 유동성의 저하로 수율의 향상을 가져오기가 힘들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소재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핵심소재 국산화 기술개발로 복합소재 가격경쟁력 확보 및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유동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온도를 높혀 고온에서 핸들링 되는 복합소재의 가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89중량%, 내충격제 10~60중량%,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이소프탈아미드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는 PA6가 사용되며, 상기 내충격제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Isophthaloly chloride(이소프탈아미드 염화물) 1몰에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테트라메틸피페리딘) 2몰을 THF(용매)에 첨가하여 25℃에서 반응 시켜 합성되는 1,3-benzene dicarboxamide, N,N'-bis(2,2,6,6,-teramethyl-4-piperdinyl)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99 중량%, 내충격제 10~60중량%,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의 혼합물을 사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사출기는 240~250℃의 온도, 스크류 400~500RPM, 스크류의 형상은 SERK 20개 이면서 KB 8이하, 투입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측면에서 유리섬유가 투입토록 하는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소재의 물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하고, 핵심소재 국산화 기술개발로 복합소재 가격경쟁력 확보 및 수입대체 효과를 달성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유동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하고, 작업온도를 높여 고온에서 핸들링 되는 복합소재의 가공에 적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의 사출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의 사출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수지 조성물의 사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의 사출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100)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205)와 내충격제(201) 및 유동성첨가제(205)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89중량%, 내충격제 10~60중량%,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는 PA6(Polyamide 6)이며, 상기 내충격제는 유리섬유가 사용되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이소프탈아미드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Isophthaloly chloride(이소프탈아미드 염화물) 1몰에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테트라메틸피페리딘) 2몰을 THF(용매)에 첨가하여 25℃에서 반응 시켜 합성되는 1,3-benzene dicarboxamide, N,N'-bis(2,2,6,6,-teramethyl-4-piperdinyl)이며,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화학식
이다.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소재(100)는 스크류(210)가 부착되는 사출기(200)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사출기(200)의 호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복합소재(100)는 사출기가 240~250℃의 온도, 스크류 400~500RPM, 스크류의 형상은 SE 20개 이면서 KB 8이하의 조합이고, 투입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측면에서 유리섬유가 투입토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혼합물 특성을 설명한다.
도1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같은 복합소재(100)은, 유리섬유 투입량별 물성을 아래의 표1에서와 같은 물성표를 도출하였다.
[표1].
유동성첨가제의 투입조건에 따른 물성변화표(wt %)
또한, 상기 유동성첨가제의 투입함량 별 도크를 살표보면 표2와 같다.
[표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유동성첨가제는, 투입량이 2%이상일 때 흐름이 너무 좋아져 사출상의 조건을 제어하기 힘들어 졌음은 물론 유동성첨가제의 함량이 높을 수록 토크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0.1~2중량%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소재는, 사출기(200)에서 제조시 일정한 조건하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출기(200)는, 사출기가 240~250℃의 온도, 스크류 400~500RPM, 스크류의 형상은 SE 20개 이면서 KB 8이하의 조합이고, 투입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측면에서 유리섬유가 투입토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사출기는 아래의 표3과 같이 복합소재를 투입할 때 일정한 조건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3]
이때, 상기 사출기의 온도는 PA6로 이루어진 수지의 안정화를 위하여 240~250℃의 온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출기의 스크류 회전속도는 표4와 같다.
[표4]
이때, 상기 사출기의 스크류 조건은 RPM이 상승할 수록 유동성은 증가하나 분해등의 이유로 400~500RPM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스크류는 KB 엘리먼트의 수가 증가할 수록 유동성은 좋아지나 반대로 토크가 상승되어 KB의 갯수는 8개 이하가 바람직하며, 8개 이상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리섬유를 포함한 복합소재(100)의 사출조건은 반드시 유리섬유를 측면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특성은 표5와 같다.
[표5]
즉, 상기와 같이 유리섬유를 측면에서 투입하여야만 물성의 저하를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100...수지 조성물
200...사출기
210...스크류
200...사출기
210...스크류
Claims (3)
- 삭제
- 삭제
- PA6가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38~89 중량%, 유리섬유가 사용되는 내충격제 10~60중량%, 이소프탈아미드와 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동성첨가제 0.1~2.0중량%의 혼합물을 사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사출기는 240~250℃의 온도, 스크류 400~500RPM, 스크류의 형상은 SE 20개 이면서 KB 8의 조합이고, 투입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의 측면에서 유리섬유가 투입토록 하는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여기에서,
상기 유동성첨가제는, Isophthaloly chloride(이소프탈아미드 염화물) 1몰에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테트라메틸피페리딘) 2몰을 THF(용매)에 첨가하여 25℃에서 반응 시켜 합성되는 1,3-benzene dicarboxamide, N,N'-bis(2,2,6,6,-teramethyl-4-piperdinyl)이며,
화학식
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465A KR101964291B1 (ko) | 2017-10-31 | 2017-10-31 |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465A KR101964291B1 (ko) | 2017-10-31 | 2017-10-31 |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4291B1 true KR101964291B1 (ko) | 2019-07-31 |
Family
ID=6747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3465A KR101964291B1 (ko) | 2017-10-31 | 2017-10-31 |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42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45871A (zh) * | 2022-11-18 | 2023-03-07 | 江苏极易新材料有限公司 | N,n`-双(2,2,6,6-四甲基-4-哌啶基)-1,3-苯二甲酰胺的合成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710A (ja) * | 1996-11-18 | 1998-06-02 | Unitika Ltd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てなる自動車用部品 |
JP2005506428A (ja) * | 2001-10-20 | 2005-03-03 | クラリアント・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ワックス及びポリマー添加剤を含む混合物 |
KR20140129174A (ko) * | 2013-01-11 | 2014-11-06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성형품 |
KR101740687B1 (ko) * | 2016-01-25 | 2017-05-26 | 한국화학연구원 |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3465A patent/KR10196429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710A (ja) * | 1996-11-18 | 1998-06-02 | Unitika Ltd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てなる自動車用部品 |
JP2005506428A (ja) * | 2001-10-20 | 2005-03-03 | クラリアント・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ワックス及びポリマー添加剤を含む混合物 |
KR20140129174A (ko) * | 2013-01-11 | 2014-11-06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성형품 |
KR101740687B1 (ko) * | 2016-01-25 | 2017-05-26 | 한국화학연구원 |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45871A (zh) * | 2022-11-18 | 2023-03-07 | 江苏极易新材料有限公司 | N,n`-双(2,2,6,6-四甲基-4-哌啶基)-1,3-苯二甲酰胺的合成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7449B2 (en) | Polyamide piece reinforced with long fibers | |
DE502006003349D1 (de) | Mit flachen Glasfasern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sowie daraus hergestellte Spritzgussteile | |
CN103012794B (zh) | 聚酰胺酰亚胺共聚物的制备方法 | |
KR101289522B1 (ko) |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 |
CN104130570A (zh) | 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法和在制备汽车门把手中的应用 | |
US20060247363A1 (en) | Polyamide molding material, molded articles that can be produced therefrom and the use thereof | |
JPH0423863A (ja) | 高強度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 |
KR101964291B1 (ko) | 자동차용 섬유강화 고내열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03937148A (zh) | 聚甲醛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8912673A (zh) | 一种高强度高耐磨性的聚酰胺模塑组合物 | |
CN105062071A (zh) | 一种pps-pa6-短玻璃纤维高分子塑胶合金及其制备方法 | |
KR102375504B1 (ko) | 하이퍼브랜치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유동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497304A (zh) | 高流动性高温尼龙树脂、纤维增强尼龙及其制备方法 | |
CN109790376B (zh) | 聚合物组合物、模塑部件及其制备方法 | |
CN112646333B (zh) | 一种改性pet材料及其制备方法 | |
JP6250339B2 (ja)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を成形して得られ、かつ、中空部分がある成形体の、内面平滑性を向上させる方法 | |
KR20050021509A (ko) |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 |
JP7440996B2 (ja) |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 |
KR101740687B1 (ko) |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 |
CN108707279A (zh) | 一种低熔接痕无流痕免喷涂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CN105733132A (zh) | 一种高效导热塑料及其制备方法 | |
CN106496922A (zh) | 聚酰胺作为流动促进剂在提高增强abs组合物光泽度的用途 | |
CN106380813A (zh) | 一种用于打螺孔的刚韧平衡的pc‑abs合金及其制备方法 | |
JPS59155427A (ja) | テレフタル酸とヘキサメチレンジアミンとトリメチルヘキサメチレンジアミンからの結晶性コポリアミド | |
KR101795675B1 (ko) | 고리형 화합물이 첨가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아미드계 복합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