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81B1 -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81B1
KR101963681B1 KR1020180019987A KR20180019987A KR101963681B1 KR 101963681 B1 KR101963681 B1 KR 101963681B1 KR 1020180019987 A KR1020180019987 A KR 1020180019987A KR 20180019987 A KR20180019987 A KR 20180019987A KR 101963681 B1 KR101963681 B1 KR 10196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auce
tungtung
deoxy
sa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814A (ko
Inventor
김득회
양영규
이강덕
조은아
홍다영
하윤경
권미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01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Potas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4Sod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 이를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당원이나 부재료의 첨가없이 100%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한 후 가수분해시켜 기능성 폴리페놀 및 감칠맛의 글루탐산 함량을 강화시킬 수 있고, (b) 가수분해 산물을 정제하여 이미, 이취의 제거, 탈색 등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c) 감압농축 방법으로 감칠맛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소금을 첨가하지 않아도 조미 소스로서의 충분한 염미(鹽味)를 동시에 갖는, 즉 관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폴리페놀 화합물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ACE 저해활성이 탁월한 5-deoxy-irilin B가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과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고, 퉁퉁마디 유래의 다량의 미네랄, 아미노산, 효소 등의 유기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유용성이 높다.

Description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5-deoxy-irilin B Having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 이를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퉁퉁마디(Salicornia SPP.)는 염기(鹽氣)가 높은 토양에서 자라는 염생식물(Halophyte)로 바닷가 갯벌, 간척지, 염전 주변 등 토양의 염분 농도가 높아 일반 육상식물이 자랄 수 없는 지역에서 자란다. 퉁퉁마디는 전세계에 걸쳐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의 갯벌 지역에 그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퉁퉁마디는 세포 안에 많은 염분를 함유하여 섭취하였을 때 그 맛이 매우 짜며,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나트륨(Na) 성분을 비롯한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인(P) 등 갖가지 미네랄과 미량원소 등을 흡수하여 체내에 축적하고, 아미노산, 효소, 식이섬유 등의 유기 영양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퉁퉁마디는 또한 항고혈압, 항당뇨, 항고지혈증, 멜라닌 형성 억제기능,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퉁퉁마디는 나트륨(Na), 칼륨(K)을 비롯한 염을 함유하고 있어 염미를 낼 뿐만 아니라, 감칠맛을 내는 성분인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등과 같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정제 공정을 통하여 조미 소스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조미 소스는 식품의 조리시 풍미 증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염미(鹽味)와 감칠맛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조미 소스는 정제염, 천일염 등의 소금이 다량 첨가되어 소금의 과다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33868호(함초를 이용한 불고기 및 생선 소스 제조방법 및 조성물) 및 제10-2007-0109798호(함초를 이용한 전복 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복장)는 함초 원료를 추출한 추출액을 간장이나 기타 소스에 일부 혼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함초 유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제한적이고, 100% 퉁퉁마디 유래의 소스가 아니며, 관능성 및 기능성 또한 없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048077호는 퉁퉁마디를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후 한외여과한 여과액을 건조하여 제조한 소금 대체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은 건조 과정을 거친 '고체상'의 소금 대체물로서,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이미 및 이취가 발생하고, 한외여과법을 사용하고 있어 제조비용이 많이 들며, 한외여과의 여과 과정 중에 영양성분 및 기능성분 등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1-0083037호는 염생 식물을 추출한 후 압착하여 제조한 액상 식물성 소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은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이미 및 이취가 발생하고, 색이 지나치게 어두울 뿐만 아니라, 농축에 의한 당화(saccharification)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감미 성분이 낮아 관능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액상 식물성 소금은 NaCl 함량이 '80중량% 이상으로서, 지나치게 NaCl의 함량이 높아 소스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퉁퉁마디를 이용한 발효물 제조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36016호는 퉁퉁마디 원료에 미생물의 발효 영양원으로서 포도당, 설탕 등의 인위적인 당원을 첨가하여 45개월 이상의 장기간 발효시키는 방법을 개시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61호는 퉁퉁마디 원료에 35중량% 이상의 포도당 또는 설탕을 첨가하여 5개월 이상 발효한 발효액에 다시 마늘, 생강, 양파, 다시마, 디포리, 기타 한약재 등의 부재료를 혼합시킨 함초 진간장을 개시하였으나, 외부로부터 설탕과 포도당 등의 당원과 소금(천일염 또는 정제염)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100% 퉁퉁마디만을 원료로 하여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퉁퉁마디 유래 순수 염미 소스 형태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는 현재까지 없었다.
한편,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신장병 및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35%, 허혈성 심장질환에 기여하는 정도는 21%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인구집단 전체가 정상혈압을 유지할 수 있다면 뇌혈관질환과 허혈성 심장질환을 각각 35%와 21%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지속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혈압상승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가중시키므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항고혈압제 복용과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많은 항고혈압제가 개발되었는데, 작용기전과 작용점에 따라 이뇨제, 교감신경계 작용약물(α,2-아드레날린성 길항제, β-아드레날린성 길항제), 혈관확장제, 칼슘 채널 길항제(calcium channel blockers),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제 등으로 분류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는 데카펩타이드 (decapeptide)인 안지오텐신 Ⅰ로부터 다이펩타이드(dipeptide, His-Leu)를 절단함으로서 혈관 수축 작용을 갖는 안지오텐신 Ⅱ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의해 생성된 안지오텐신 Ⅱ의 증가는 강한 혈압 상승작용과 항이뇨 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하여 순환 혈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압을 일으키게 한다.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는 혈관 이완작용을 하는 브레디키닌(bradykinin)을 분해하여 불활성화 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압상승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수축을 막아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고혈압 치료제 또는 예방물질로 개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관능성 및 기능성이 강화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소스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퉁퉁마디를 가수분해시킨 후 정제시킬 경우 관능성과 항고혈압 활성(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향상된 소금 무첨가 염미 소스를 제조할 수 있으며, 항고혈압 활성 본체가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퉁퉁마디로부터 유래되어 다량의 미네랄과 아미노산, 효소 등의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소금을 첨가하지 않아도 조미 소스로서의 충분한 염미(鹽味)와 감칠맛을 부여함과 동시에 관능성 및 항고혈압 기능성이 향상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퉁퉁마디로부터 분리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이 우수한 화합물, 이들의 분리 방법 그리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함유하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17888386-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염화나트륨(NaCl) 함량이 6.0~39중량%이거나 나트륨 함량이 2.4~15.8중량%이고, 칼륨(K)에 대한 나트륨(Na)의 중량비가 1:1~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퉁퉁마디를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d) 퉁퉁마디의 가수분해 산물을 착즙 또는 추출하는 단계; (e) 가수분해된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 및 (f) 퉁퉁마디 정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퉁퉁마디를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착즙 또는 추출하는 단계; (d)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 및 (e) 퉁퉁마디 정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은 염미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이후에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는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 방법은 소수성 흡착제, 양이온교환 수지 및 활성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정제액의 농축은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고형분 함량이 16~54중량%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퉁퉁마디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퉁퉁마디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및 HPLC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추출물은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제조한 퉁퉁마디 유래 염미소스의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당원이나 부재료의 첨가 없이 100%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한 후 가수분해시켜 기능성 폴리페놀 및 감칠맛의 글루탐산 함량을 강화시킬 수 있고, (b) 가수분해 산물을 정제하여 이미, 이취의 제거, 탈색 등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c) 감압농축 방법으로 감칠맛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소금을 첨가하지 않아도 조미 소스로서의 충분한 염미(鹽味)를 동시에 갖는, 즉 관능성 및 기능성이 우수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단계 없이 소수성 흡착제, 이온교환수지, 활성탄 등을 이용한 정제와 감압농축을 통해서도 관능성이 우수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퉁퉁마디 체내에 함유된 염화나트륨 등의 짠맛을 내는 성분과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 등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른 식품첨가물의 첨가 없이 염미와 감칠맛을 내는 식품의 조리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폴리페놀 화합물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ACE 저해활성이 탁월한 5-deoxy-irilin B가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과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고, 퉁퉁마디 유래의 다량의 미네랄, 아미노산, 효소 등의 유기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유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퉁퉁마디 유래 염미 소스'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억제효과(Anti-ACE activity)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의 소금섭취 유발 혈압 상승에 대한 억제 효능을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에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수축기(systolic)혈압, B: 이완기(Diastolic) 혈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 염미 소스 메탄올 추출물의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로부터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된 ACE 저해활성 획분인 EDS-LH-7로부터 순수분리한 유효성분 화합물 A(Compound A)의 분석 및 분취 용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A: EDS-LH-7의 분석용 HPLC 크로마토그램, B: EDS-LH-7의 분취용 HPLC 크로마토그램, C: 순수분리한 EDS-LH-7b (Compound 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로부터 ACE 저해활성 유효성분의 정제과정 중의 수득된 주요 활성 획분들의 ACE 저해활성을 비교 그래프이다(EDS-M: 염미 소스의 메탄올 추출물, EDS-MEA: EDS-M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EDS-HP-3: EDS-MEA의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EDS-SC-3: PS-HP-3의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EDS-LH-7: EDS-SC-3의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EDS-LH-7a 및 EDS-LH-7b: EDS-LH-7 획분으로부터 순수분리된 화합물).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화합물 A(Compound A)을 Positive 및 Negative 모드로 스캔한 ESI-M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화합물 A(Compound A)의 핵자기공명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A: 1 H-NMR 스펙트럼; B: HMBC-NMR 스펙트럼; C: 1H-13C HMBC 이차원핵자기공명 분석을 통한 5-deoxy-irilin B(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의 구조결정).
본 발명에서는 퉁퉁마디의 세절물 또는 마쇄물을 가수분해시킨 후, 가수분해 산물을 정제 및 농축시킬 경우, 우수한 관능성 및 기능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퉁퉁마디를 세절 및 마쇄시킨 후 미생물, 효소 또는 산/알카리를 처리하여 가수분해 시켰다. 그 결과, 유리 아미노산 등의 조미 성분의 함량과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기능성 성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 산물을 소수성 흡착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유용한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강화하고, 활성탄을 이용하여 정제시켰다. 그 결과, 퉁퉁마디 고유의 쓴맛과 이취가 제거되고, 탈색되어 맛, 향 및 색상 등의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퉁퉁마디 정제액을 감압농축 시켰다. 그 결과, 영양성분이 더욱 증가하였고, 감칠 맛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소금을 첨가하지 않아도 염미 소스로서의 충분한 염미(鹽味)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 효소 또는 산/알카리를 처리하여 가수분해로 제조된 염미 소스가 가수분해 전 염미 소스 보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에 대한 저해효과와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SHR)에서 고혈압 억제 효능이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항고혈압 활성이 가장 우수한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로부터 ACE 저해 유효성분을 정제 및 순수분리하고 구조를 분석하여,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 (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함유하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17888386-pat00002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염화나트륨(NaCl) 함량이 6.0~39중량%이거나 나트륨 함량이 2.4~15.8중량%이고, 칼륨(K)에 대한 나트륨(Na)의 중량비가 1:1~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글루탐산을 포함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특히 상기 글루탐산의 함량은 400mg/100g ~ 1,800mg/100g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퉁퉁마디는 특별한 제한없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퉁퉁마디(Salicornia)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1년생 염생식물이다. 일반 작물은 생육하기 힘든 갯벌이나 바닷가 고염지역에서 자라며 서식지는 한국, 유럽, 북미 등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퉁퉁마디는 줄기에 마디가 많으며,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키는 20 내지 40㎝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중 첫 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은 (a) 퉁퉁마디를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d) 퉁퉁마디의 가수분해 산물을 착즙 또는 추출하는 단계; (e) 가수분해된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 및 (f) 퉁퉁마디 정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은 가수분해 단계를 생략한 것으로서, (a) 퉁퉁마디를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착즙 또는 추출하는 단계; (d)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 및 (e) 퉁퉁마디 정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퉁퉁마디를 세척하는 단계는 퉁퉁마디에 묻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며, 퉁퉁마디는 생초와 건초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는 세척된 퉁퉁마디를 잘게 세절하거나 분쇄기로 마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제조 방법은 기능성 및 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세척된 퉁퉁마디를 세절 또는 마쇄하는 단계 이후에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는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가수분해 방법으로는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단백질 분해효소, 셀룰로스 분해효소, 베타-글루칸 분해효소, 전분 분해효소 등을 분비하는 미생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식품 가공용으로 인정된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로는 바실러스속 세균(Bacillus sp.), 아스퍼질러스 속 세균(Aspergillus sp.),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Lactobacillus sp.), 루코노스탁(Leuconostoc sp.)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퉁퉁마디 마쇄물의 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은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최적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퉁퉁마디 마쇄물의 염도에 따라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거나 생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가수분해를 위한 퉁퉁마디 마쇄물의 염도 및 pH를 미생물의 최적 생장 조건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소에 의한 퉁퉁마디 마쇄물의 가수분해에 사용 가능한 효소는 퉁퉁마디 마쇄물을 가수분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식품 가공용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백질 분해효소(proteolytic enzyme, endopeptidase, papain), 전분 분해효소(alpha-amylase, gluco-amylase), 셀룰라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펙티나제(pectinas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반응하는 효소를 이용할 경우, 외부의 미생물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적 가수분해 방법으로는 산 또는 알카리를 이용할 수 있다. 산으로는 염산(HCl)을 사용할 수 있고, 염기로는 가성소다(NaOH)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산 또는 가성소다는 최종 농도가 0.1M~5M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염산을 처리할 경우 최종 가수분해액의 pH가 2가 되도록, 가성소다를 처리할 경우 최종 가수분해액의 pH가 11이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가수분해는 1~5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가수분해가 완료된 산 및 알칼리를 포함하는 가수분해물은 산 또는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pH가 7이 되도록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미생물, 효소 및 화학적 가수분해를 수행할 경우, 최종 생성물인 '퉁퉁마디 유래의 조미 소스'의 영양 및 기능성을 높여 줄 뿐 아니라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퉁퉁마디의 가수분해 산물을 착즙 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세절 또는 마쇄된 퉁퉁마디를 착즙 또는 추출하는 단계는 고형물과 액상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착즙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할 수 있고, 추출은 무기용매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여과나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물 추출의 경우, 사용되는 물의 양은 퉁퉁마디 1kg당 0.5 내지 5ℓ로 조절할 수 있다. 추출은 압력(최대 130℃), 무압력(100℃), 저온 추출(70 내지 90℃), 상온 추출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각각의 추출 방법에 따라 30분 내지 6시간내에서 추출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는 소수성 흡착제, 이온교환 수지 및 활성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먼저 소수성 흡착제 또는 이온교환 수지로 정제시킨 다음, 활성탄으로 정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퉁퉁마디의 착즙액 또는 추출액을 소수성 흡착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Chromatography) 또는 활성탄으로 정제를 하면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기능성 물질을 강화시키고, 이미 이취를 제거하고 탈색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퉁퉁마디 착즙액과 추출액(원액)은 맛과 향이 써 식용 소스로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소수성 흡착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Chromatography) 또는 활성탄으로 정제시킴으로써 쓴맛과 이미, 이취를 제거하고 탈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활성탄 정제시 활성탄의 함량은 퉁퉁마디 착즙액 또는 추출액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의 4~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활성탄의 함량이 4중량% 미만인 경우, 이미 이취 제거 및 탈색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용 성분이 제거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활성탄 정제 단계 전에 원심분리, 필터프레스, 여과 등의 전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 활성탄 정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퉁퉁마디 정제액을 농축하는 단계는 퉁퉁마디 정제액을 염미 소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염미, 감칠 맛 그리고 영양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감압농축, 진공농축, 박막농축, 증발농축, 동결농축 등의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퉁퉁마디 추출물(원액)은 염화나트륨(NaCl) 함량이 2~4중량%로 매우 낮으므로 소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지만, 상기와 같이 농축 단계를 거치면 염미, 감칠 맛 그리고 영양성분 함량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퉁퉁마디 정제액의 농축은 상기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16~54중량%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16중량% 미만일 경우 기능성 및 관능성을 나타내는 고유 성분의 함량이 낮아 기능성 및 관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4중량%를 초과할 경우 소스의 유동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17888386-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은 퉁퉁마디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및 HPLC를 수행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퉁퉁마디 추출물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제조한 퉁퉁마디 유래 염미소스의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소스,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먼저, 퉁퉁마디의 수분, 조회분, 탄수화물,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수분(%) 조회분(%) 탄수화물(%) 조지방(%) 조단백(%)
78 6.2
(NaCl 4.54)
12.8 0.26 2.8
다음으로, 퉁퉁마디에 대한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단위: mg/100g)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147.60 트레오닌(Threonine) 74.0
세린(Serine) 78.3 알라닌(Alanine) 88.9
글루탐산(Glutamic acid) 182.3 프롤린(Proline) 64.6
글리신(Glycine) 93.4 시스테인(Cysteine) 3.7
히스티딘(Histidine) 55.9 티로신(Tyrosine) 3.6
트립토판(Tryptophan) 187.3 발린(Valine) 97.9
아르기닌(Arginine) 56.7 메티오닌(Methionine) 32.9
타우린(Taurine) 22.2 라이신(Lysine) 189.6
이소루신(Isoleucine) 104.3 루신(Leucine) 114.0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68.1 합계 1,665.3
다음으로, 퉁퉁마디에 대한 미네랄 함량(단위: mg/100g)을 측정하고,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아연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구리 망간
60.83 15.13 139.13 1,816.1 51.00 710.43 2.10 4.70
실시예 1: 퉁퉁마디 세절, 마쇄 및 열수추출
1-1: 퉁퉁마디 세절 및 마쇄
한국의 전남 신안에서 9월에 채취한 퉁퉁마디를 깨끗한 물로 2회 세척하여 흙,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절단기로 2~10㎜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물에 세절물의 중량 대비 1.5배의 물을 첨가하고 절단 칼날이 부착된 마쇄기(회전 칼날의 분당 회전수: 200~1,000)로 5분간 마쇄시켜 퉁퉁마디 마쇄물을 제조하였다.
1-2: 퉁퉁마디 열수추출
세절된 퉁퉁마디 10kg에 물 15ℓ를 넣고, 105℃에서 5시간 동안 초고속 진공 저온 농축 추출기(경서E&P, COSMOS660)를 이용하여 열수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퉁퉁마디 마쇄물의 가수분해
2-1: 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
바실러스 속 세균(Bacillus sp.)(Bacillus subtilis, KCTC No, 1021),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niger, KCTC, No, 6971, Aspergillus oryzae, KCTC No, 6095)을 영양배지(Nutrient broth 또는 Nutrient agar) 및 potato dextrose 배지(potato dextrose agar 또는 potato dextrose broth)에 접종하고, 37℃ 및 28℃에서 18~24시간 배양한 다음, 그 배양액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마쇄물에 마쇄물 총 중량 대비 1중량%를 첨가하고 진탕 항온기(37℃)에서 24∼120 시간동안 발효시켜 퉁퉁마디 가수분해 산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가수분해 산물을 착즙기(Hurom HVS-STF14)로 착즙하여 가수분해액을 획득하였다. 또한 가수분해산물을 여과포(Filter cloth)로 1차 여과를 실시하고 20∼70㎛ 구경의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2-2: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단백질 분해효소(proteolytic enzyme, endopeptidase, papain)(Dupont 사, 비전바이오켐), 전분 분해효소(alpha-amylase, gluco-amylase)(Genencor 사), 셀룰라제(cellulase)(AB enzyme),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AB enzyme사, Danisco사),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AB enzyme) 및 펙티나제(pectinase)(비전바이오켐사)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마쇄물에 처리하여 가수분해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각의 효소들은 pH 2.5∼7.5의 범위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반응 온도에서는 40∼70℃의 온도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였다. 퉁퉁마디의 단백질 성분의 분해에 사용된 효소는 호열성 효소로서 최적의 작용 pH가 6.0∼7.5이며, 최적 반응 온도인 50∼60℃의 조건에서 분해를 실시하였으며 효소의 역가가 110,000PC(세균 단백질 분해효소 량, 분당 1.5㎍/㎖의 L-티로신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g인 것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의 사용량은 퉁퉁마디 중의 단백질의 함량이 100g 당 18.35%임을 감안하여 1.66g/100㎖의 효소를 투여하였다. 전분 분해효소인 α-amylase(스페자임)는 Bacillus subtilis 유래의 배양물에서 얻어진 효소로 비전바이오켐 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효소 작용 최적 pH는 6.2∼7.0으로 바람직하게는 pH 7.0, 작용 최적 온도는 70℃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효소의 첨가량은 퉁퉁마디 마쇄물중의 전분질의 함량을 고려하여 첨가하였다.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베타-글루카나제의 활성을 가지는 복합효소인 로하멘트 씨엘을 사용하였으며, 작용 최적 온도 및 pH는 60℃, pH 5로 조정하여 실시하였으며, 기질인 퉁퉁마디 마쇄물 중의 셀룰로스 및 글루칸의 함량을 고려하여 첨가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획득된 가수분해산물을 원심분리(12,000rpm, 20분)하여 가수분해액을 획득하였다.
2-3: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한 가수분해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마쇄물에 pH가 2가 될 때까지 염산(HCl)을 첨가하고, 3~4시간 가수분해시킨 다음 가성소다(NaOH)을 첨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켜 퉁퉁마디 가수분해 산물을 획득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마쇄물에 pH가 11이 될 때까지 가성소다(NaOH)을 첨가하고, 3~4시간 가수분해시킨 다음 염산(HCl)을 첨가하여 pH 7이 되도록 중화시켜 퉁퉁마디 가수분해 산물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가수분해 산물을 착즙기(Hurom HVS-STF14)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액을 얻었다. 또한 가수분해 산물을 여과포(Filter cloth)로 1차 여과를 실시하고 20∼70㎛ 구경의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정제
3-1: 소수성 흡착제를 이용한 정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기능성을 강화하고 이미, 이취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가수분해액 및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열수추출액을 각각 스티렌(styrene)과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을 중합시켜 제조된 다공성 흡착제인 소수성 흡착제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즉, 소수성 흡착제를 증류수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정도 방치하여 충분하게 수분을 공급한 후 컬럼(column, 30(구경) × 400(길이) ㎜)에 충진 시키고, 수세하였다. 정제를 위한 충진제는 HP-20(미쯔비시 케미칼 사) 및 SP-850(미쯔비시 케미칼 사)를 사용하였다. 50% 에칠 알코올을 사용하여 2∼3BV(Bad Volumn)을 SV5(Space Velocity)로 통액시켜 수지공극(void) 및 세공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치환시키고 50% 에칠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액으로 12시간 정도 방치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충진제 및 컬럼중의 알코올 성분을 치환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컬럼의 상층부에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가수분해액 및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열수추출액 각각을 충진제의 충진량과 동일한 양으로 투입하고 증류수를 2∼3 BV로 통액시켜 퉁퉁마디 정제액을 획득하였다.
3-2: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정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가수분해액을 이온교환수지(미쯔비시 케미칼, 일본)로 정제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DIAON WK60L(미쯔비시 케미칼 사, 일본)을, 음이온교환수지로는 DIAON WA20(미쯔비시 케미칼 사, 일본)를 사용하였다.
먼저, 양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은 35% HCl를, 음이온 교환수지의 경우 95% NaOH를 사용하여 재생 처리하였다. 처리한 재생액의 농도는 1mol로, 양이온 교환수지의 경우 35% HCl을 볼륨(volume)단위로 약 1:11배 희석하여 수행하였고, 음이온 교환 수지의 경우 95% NaOH 40g을 순수 증류수 1리터에 녹여 사용하였다. 재생된 이온교환수지는 증류수로 이온교환 수지중의 염산 및 가성소다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컬럼에 충진하였다. 이온교환수지 정제를 위한 컬럼은 30(내경)mm, 400(길이)mm의 유리 재질의 것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컬럼에 재생 및 수세된 약산성 양이온교환 수지 및 약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충진하고 증류수로 컬럼을 세척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컬럼의 상층부에 가수분해액을 이온교환수지의 충진량과 동일한 양을 투입하고 이온교환수지량의 3∼5 BV(Bed volume)의 증류수로 통액시켜 퉁퉁마디 정제액을 획득하였다.
3-3: 활성탄을 이용한 정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이미, 이취를 제거하여 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가수분해액 및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열수추출액 각각을 활성탄(입자크기 1~150 마이크론(micron)의 분말탄 CGSP, Noritz Co., USA)을 이용하여 정제시켰다. 이때 활성탄은 가수분해액 또는 열수추출액이 함유하는 고형분 함량의 4~8중량%를 첨가하였고, 80℃에서 30분 동안 정제하였다. 정제가 완료된 후, 여과 방식 또는 필터프레스 방식으로 활성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일반적으로 퉁퉁마디 추출물은 식물 특유의 이미와 이취를 가지고 있어 관능적으로 식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지만, 활성탄을 이용한 정제를 통하여 이미, 이취 및 색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농축
실시예 3-1에서 수득된 '가수분해액의 소수성흡착 정제액'을 수조(bathtub)의 온도가 40~60℃인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이 30~40중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관능성 평가
실시예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관능성 평가를 위해 색차계를 이용한 색도 및 관능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4,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색차 분석은 Hunter Color Differne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 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백색 100~0 검정색), 적색도 (적색 100~-80 녹색), 황색도(황색 70~-80 검정색)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백관의 색도는 L값이 94.70, a값이 -0 .61, b값이 4.04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표 4에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관능성 평가는 연구원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매우 나쁘다 1점, 조금 나쁘다 2점, 보통이다 3점, 조금 좋다 4점, 매우 좋다 5점으로 표기하였다.
Variety L a b
실시예 1-2(퉁퉁마디 열수추출액) 32.20±0.09 10.45±0.12 14.19±0.16
실시예 2-1(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액) 31.98±0.02 10.55±0.02 12.41±0.01
실시예 3-1(가수분해액의 소수성흡착 정제액) 42.88±0.13 7.60±0.16 16.30±0.49
실시예 3-3(열수추출액의 활성탄 정제액) 41.94±0.41 5.30±0.04 18.15±0.32
실시예 4(농축액) 36.34±0.55 4.08±0.17 21.15±0.17
시판 조미 소스 34.06±0.30 4.48±0.21 18.85±0.16
Variety Procedure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Flavor Sour Bitter Salty

퉁퉁마디 추출물
실시예 1-2
(퉁퉁마디 열수 추출액)
1.9±0.4 1.8±0.7 2.0±0.4 1±0.1 1.5±0.1
실시예 2-1
(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액)
2.8±0.2 2.7±0.4 3.5±0.4 1.5±0.6 1.8±0.5
실시예 3-1
(가수분해액의 소수성흡착 정제액)
4.2±0.3 4.3±0.1 3.7±0.1 4.4±0.4 2.2±0.4
실시예 3-3
(열수추출액의
활성탄 정제액)
4.1±0.1 4.2±0.5 3.6±0.4 4.3±0.5 2.3±0.1
실시예 4
(농축액)
4.8±0.2 4.8±0.3 4.3±0.3 4.5±0.1 4.3±0.1
시판 조미 소스 3.3±0.1 3.0±0.2 3.8±0.1 3.4±0.6 4.2±0.1
표 4, 5 및 도 2로부터, 실시예 1-2의 '퉁퉁마디 열수추출액'은 염미가 지나치게 낮고 쓴맛이 강하며 어두운 색상 등으로 인해 소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1의 '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액'과 실시예 3-1의 '가수분해액의 소수성흡착 정제액'에 대한 관능성을 비교해 보면 소수성흡착 정제에 의해 퉁퉁마디 추출액 특유의 쓴맛과 이취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2의 '퉁퉁마디 열수 추출액'과 실시예 3-3의 '열수추출액의 활성탄 정제액'에 대한 관능성을 비교해 보면 활성탄 정제에 의해 퉁퉁마디 추출액 특유의 쓴맛과 이취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실시예 4의 농축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와 시판 조미소스(요리가 맛있는 이유, 신송식품)의 관능성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염미 소스로서의 충분한 염미를 가지면서 시판 조미소스에 비해 맛과 향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퉁퉁마디 유래 염미 소스의 성분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염화나트륨(NaCl), 미네랄, 수분 및 아미노산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6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Specification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Sodium Chloride (NaCl) 10~24%(w/v)
Minerals K 1,567~2,340mg/100g
Mg 150~201mg/100g
Ca 380~495mg/100g
Water Content 67~70%(w/v)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의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염화나트륨을 10~24 중량% 함유하여 염미 소스로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칼륨(K) 함량이 1,567~2,340mg/100g, 마그네슘(Mg) 함량이 150~201mg/100g, 칼슘(Ca) 함량이 380~495mg/100g으로 표 3의 일반 퉁퉁마디에 비하여 미네랄의 함량이 매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653.5 트레오닌(Threonine) 297.8
세린(Serine) 259.5 알라닌(Alanine) 402.3
글루탐산(Glutamic acid) 1,587.6 프롤린(Proline) 246.2
글리신(Glycine) 312.2 시스테인(Cysteine) 10.9
히스티딘(Histidine) 143.2 티로신(Tyrosine) 11.2
아르기닌(Arginine) 213.1 발린(Valine) 367.9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189.6 메티오닌(Methionine) 126.2
루신(Leucine) 309.8 라이신(Lysine) 681.2
이소루신(Isoleucine) 346.1 합계 7,017.0
표 7로부터, 본 발명의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는 표 2의 일반 퉁퉁마디에 비하여 글루탐산을 비롯하여 다른 아미노산들의 함량(단위: mg/100g)이 매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기능성 평가
3-1: 기능성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가수분해 염미 소스들과 실시예 1의 가수분해 전 염미 소스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Folin-Davis 방법을 수정하여 96-well microplate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가수분해 전 염미 소스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가수분해 염미 소스를 70% 메탄올로 추출하고 건조시킨 시료를 다양한 농도로 증류수에 녹인 시료액 20㎕에 250㎕의 2% sodium carbonate을 혼합하고, 15㎕의 50% Folin-ciocalteau (Sigma Co., USA) 용액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Microreader기(Bio-RAD, x-Mark, USA)로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 0~500㎍/㎖의 tannic acid(Sigma Co., USA) 용액을 시료 대신 반응시켜 얻은 검량곡선으로부터 추출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은 Abdel-Hameed 방법을 수정하여 96-well microplate에서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가수분해 전 염미 소스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퉁퉁마디 가수분해 염미 소스를 70% 메탄올로 추출하고, 건조시킨 시료를 다양한 농도로 증류수에 녹인 시료액 30㎕에 90% diethylene glycol 200㎕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5㎕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Microreader 기(Bio-RAD, x-Mark,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0~500㎍/㎖의 rutin(Sigma Co., USA)을 사용하여 시료대신 반응시켜 얻은 검량곡선으로부터 추출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을 계산하였다.
퉁퉁마디 유래 가수분해 전후 염미 소스 mg/100g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열수추출 염미 소스(실시예 1-2) 1980.4 489.7
미생물 가수분해 염미 소스(실시예 2-1) 2872.0 897.6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실시예 2-2) 3591.2 1276.8
산, 알칼리 가수분해 염미 소스(실시예 2-3) 2354.9 685.1
표 8로부터, 퉁퉁마디 가수분해 염미 소스에서 식물의 주요 기능성 성분들인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가수분해 전의 염미 소스에 비하여 매우 증가되었으며, 특히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가 미생물 및 산, 알칼리 가수분해 염미 소스들보다 기능성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3-2: ACE 저해활성 평가
표 8의 결과에서 퉁퉁마디 가수분해 염미 소스들이 가수분해 전 염미 소스에 비하여 기능성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고, 항고혈압 활성의 지표가 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평가하되, 시험시료는 염도 14로 조정한 각 염미 소스들을 1~5㎕/㎖의 농도로 반응액에 첨가한 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의해 생성된 안지오텐신 Ⅱ의 증가는 강한 혈압 상승작용과 항이뇨 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하여 순환 혈액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압을 일으킨다. 따라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ACE(안지오텐신 전환효소,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50㎕에 Rabbit lung aceone powder(Sigma Col) 1g을 10㎖의 0.3M NaCl를 함유하는 0.1M 붕산염 소디움 버퍼(sodium borate buffer) 용액에 용해한 ACE 상등액 25㎕(2.5 unit)와 0.3M NaCl를 함유하는 0.1M sodium borate buffer(pH 8.3) 50㎕, 다양한 농도(0.25, 0.5 및 1.0㎎/㎖)의 시료 용액 25㎕을 혼합하여 37℃ 온도 하에서 10분간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시켰다. 여기에 기질로서 Hip-His-Leu 용액 50㎕를 가한 후, 다시 37℃ 온도 하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N 염산(HCl) 100㎕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을 가하여 1분간 볼텍싱(vortexing)한 다음, 3,000g로 15분간 원심분리 후,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상층액(추출물) 0.8㎖를 취하였다. 이 상층액을 후드 내에서 가온시켜며 완전히 휘발시킨 뒤, 동일조건의 붕산염 소디움 버퍼(sodium borate buffer) 1㎖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2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CE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도 3으로부터, 1㎕/㎖의 농도에서 가수분해 전의 퉁퉁마디 염미 소스는 약 16.5%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미생물, 효소 및 산알칼리를 이용한 화학적 가수분해 염미 소스들은 모두 2배 이상의 향상된 ACE 저해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가수분해 퉁퉁마디 염미 소스는 항고혈압 기능성이 현저히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표 7의 가수분해 후 염미 소스에서 증가된 기능성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3-3: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에서 항고혈압 효능 평가
도 3에서 특히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에서 가장 강력한 ACE저해 활성을 나타남을 확인하고, 실시예 1-2의 퉁퉁마디 열수추출 염미 소스와 실시예 2-2의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의 ACE저해 활성을 무처리군(control), 염미 소스와 동일 농도의 NaCl 용액 투여군(SHR-NaCl Solution)을 시험 대조군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염미 소스 투여 시험군은 6주령의 고혈압 랫트(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에서 실시예 1-2의 퉁퉁마디 열수추출 염미 소스와 실시예 2-2의 퉁퉁마디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를 8주 반복 투여하고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비교 측정하였다.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는 오리엔트 바이오社에서 구입하였으며, 이들의 평균체중은 200g ± 20%이었다.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는 20℃의 온도조건, 상대습도 50% 내지 60%의 습도조건 및 조명주기 12시간의 조명조건으로 사육하였으며, 물과 사료(제조사: ㈜카길애그리퓨리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자연발증 고혈압 랫트는 입주 후 7일 간 적응시킨 후 체중을 측정하여 각각의 실험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시험군은 랫트 10마리씩으로 구성하였다.
투여 시험물질의 조제 : NaCl 용액 투여군과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투여군의 투여시험물질의 NaCl 함량을 똑같게 14중량%로 제조하였다. NaCl 용액 투여군의 투여시험물질은 적량의 NaCl을 칭량하여 부형제에 용해시켜 조제하였다. 부형제로는 멸균주사용수(제조사: 대한약품공업)를 사용하였다.
투여량의 설정 : 랫트의 하루 평균 사료 섭취량을 약 20g으로 간주하고 NaCl 4% 함유 사료를 급이할 경우, 랫트는 하루에 약 800mg의 NaCl을 섭취하게 되므로, NaCl 용액 투여군과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투여군에게 하루 800㎎의 NaCl이 섭취되도록 설정하였다.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의 혈압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개시 후 2, 4, 6, 8주째 tail- cuff plethysmography(BP-2000; Visitech Sytem, Apex, North Carolina, USA)로 동물의 수축기(systolic) 및 이완기(diastolic) 혈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NaCl 용액 투여군(SHR-NaCl solution)은 지속적으로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이 상승한 반면,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 투여군(SHR-Salicornia-Derived Salty Sauce)은 NaCl 용액 투여군(SHR-NaCl solution)보다 혈압상승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효소 가수분해 퉁퉁마디 염미 소스(SHR-Enzyme-Digested Salicornia Sauce)에서 가수분해 전의 퉁퉁마디 염미 소스보다 현저한 우수한 혈압상승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가 고혈압을 유발하지 않을 뿐 아니라, '퉁퉁마디 유래의 염미 소스'에 ACE 저해 활성 성분 외에 혈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성 성분이 강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5: 퉁퉁마디 염미 소스로부터 ACE 저해활성 유효성분의 순수분리 및 구조동정
5-1: 퉁퉁마디 염미 소스 메탄올 추출물의 HPLC 분석
표 8의 결과로부터, 활성 성분들의 프로파일을 좀 더 자세히 확인하기 위하여, 열수추출 염미 소스와 미생물, 효소 및 산, 알칼리 화학적 가수분해 염미 소스들을 각각 동결건조한 건조시료 100㎎에 2㎖의 메탄올을 가한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10분간 추출하고 여과한 메탄올 추출액을 0.22㎛의 유기용매용 silling filter로 여과하여 HPLC 분석(기능성 폴리페놀류와 플라보노이드의 자외선 공통 흡수영역대인 300nm/390nm 조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로부터, 열수추출 염미 소스 보다 가수분해를 통해 제조된 퉁퉁마디 염미 소스에서 분석 성분의 종류가 많고, 농도가 더 높게 확인되었으며, 특히 표 8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정량평가와 유사하게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에서 가장 다양한 종류의 물질들이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13.9 분대에 나타나는 피크 성분은 본 발명에서 ACE 저해 유해성분으로 밝힌 5-deoxy irilin B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항고혈압 활성이 가장 강하였던 효소 가수분해 퉁퉁마디 염미 소스에서 5-deoxy-irilin B 화합물이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2: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로부터 ACE 저해활성 유효성분의 정제
효소 가수분해 염미 소스의 메탄올 추출물 (50g)을 1.5ℓ의 증류수에 용해시킨후 3ℓ 부피의 분액깔대기에서 1.5ℓ의 n-헥산과 혼합하여 헥산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였다. 상기 수층에 1.5ℓ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고, 수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고, 최종적으로 수층에 n-부탄올을 1.5ℓ 가하여 부탄올층과 수층으로 2회 분획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각 용매추출액을 감압건조하여 각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헥산 분획물(2.8g), 클로로포름 분획물(1.8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5.4g), 부탄올 분획물(8.6g) 및 물 분획물(28.5g)을 수득하였다. 유기용매 분획물 중 AC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DS-MEA) (5.4g)을 100㎖의 증류수(pH 5)에 용해시켜 흡착성 디아이온 HP-20 레진이 충진된 첫 번째 컬럼 (3 × 40㎝) 상단부위에 흡착시킨 후 증류수, 30% 메탄올, 70% 메탄올 및 70% 아세톤으로 순차적으로 용출시켜 4개의 분획물들을 획득하였다. 그 중 AC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70% 메탄올 용출획분 (EDS-HP-3, 2.2g)을 극성 실리카겔이 충진된 두 번째 컬럼 (3.3 × 40㎝)에서 메탄올과 클로로포름 1:1로 혼합한 이동상 용매를 이용하여 유속 0.5㎖/분의 속도로 용출시켜 300㎖씩 5개의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그 중 ACE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획분(EDS-SC-3, 552㎎)을 감압건조 후 3㎖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저분자용 겔여과 세파덱스 (Sephadex) LH-20이 충진된 세 번째 컬럼 (2.5 × 33cm)에 도입한 다음 100% 메탄올(유속 0.2㎖/분)을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흘려보내면서 40㎖씩 총 18개의 분획물(EDS-LH-1 ~ EDS-L-18)을 수득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18개의 분획물 중 ACE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EDS-LH-7 획분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83mg을 수득하였다. EDS-LH-7 획분 83mg을 1 ㎖의 HPLC용 메탄올에 용해한 후 0.22㎛ 필터로 여과한 후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개의 주요한 피크 성분 (EDS-LH-7a, EDS-LH-7b)을 확인하고 prep-HPLC를 이용하여 순수분리하였다 (도 6). 분석용 HPLC는 졸박스 이클립스 C18 분석 컬럼 (Zorbax Eclips, 5㎛, 4.5 × 250㎜, Agilent)이 장착된 모델(1260 Infinity, Agilent, USA)을 사용하였고, 고속분취 액체크로마토그라피는 일본 YMC사의 프렙용 컬럼(Triart C18, 20㎜ × 150㎜, 5㎛, YMC, Japan)이 장착한 모델(Multiple Preparative HPLC(LC-forte/R, YMC, Japan)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용매 조건은 메탄올과 3차 증류수를 이용한 그래디언트 조건에서 1~3㎖/분의 유속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으며, Agilent, 1200 DAD 검출기(detector) 또는 YMC UV-3400 UV 검출기를 사용하였으며, 두 파장영역 (260 및 330㎚)의 흡수도를 이용하여 화합물들을 순수분획한 결과 머무름시간 10.5분에서 EDS-LH-7a(35.4㎎)와 머무름 시간 21.5분에서 EDS-LH-7b(18.2㎎)을 수득하였다(도 6).
정제과정중의 유기용매 분획물(10, 25, 50㎍/㎖ 농도)을 대상으로 실시예 3-2와 동일하게 ACE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로부터, 정제가 진행될수록 분획물들의 ACE 저해활성은 점점 증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EDS-LH-7 획분에서 순수분리한 EDS-LH-7b(화합물 A)의 ACE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하여 10㎍/㎖의 농도에서 95%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퉁퉁마디 유래 염미 소스의 항고혈압 유효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EDS-LH-7b(화합물 A) 및 식물 플라보노이드 중 가장 강한 ACE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루테올린의 IC50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
IC50 값 (μg/ml)
EDS-LH-7b (화합물 A) 4.5
Luteolin 26.7
표 9로부터, 50%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EDS-LH-7b의 IC50값(4.5㎍/㎖)은, 루테올린의 IC50값(26.7㎍/㎖) 보다 5배 이상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5-3: 퉁퉁마디 유래 염미 소스로부터 화합물 A(compound A)의 구조분석
실시예 5-2에서 분리된 화합물 A(EDS-LH-7b)의 자외선 최대 흡수대 및 시약 첨가에 따른 흡수변이(adsorption shift)는 각 시료를 메탄올에 1㎎/㎖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자외선 분광기(Genesys 10S UV-VIS spectrophotometer, 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190~500㎚ 영역 내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시약첨가에 따른 자외선 흡수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AlCl3, NaOH 및 NaOAC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A의 분자량 결정을 위하여 1㎎의 화합물 A를 전자포말이온화 (ESI) 질량분석기 (LC-ESI mass spectrometer, AGILENT 1100, USA Micromass Quattro II)로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스캔을 실시하고, 하이 레조루션(High resolution) MS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핵자기공명(NMR)분석은 화합물 A(3㎎)을 완전 건조하여 DMSO d6 (0.5㎖)에 용해한 후 5㎜ NMR 튜브에 주입하고, 제올 모델 기종 (JNM-ECA 600, Jeol, Japan)으로 분석 하였으며, 1H-NMR(도 9A)은 600MHz로, 13C-NMR은 150 MHz로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1H-1H COSY, HMQC, HMBC spectrum 측정을 통하여 화합물 A내 수소와 탄소의 위치를 결정하였다(도 9B).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 화합물 A는 5-deoxy-irilin B(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로 동정되었고(도 9C), 물리· 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1) 분자식 : C16H12O5
(2) 분자량 : 284, ESI-MS: m/z 283.0 [M-H]+, m/z 285.0 [M+H]+, m/z 306.9 [M+Na]+ (도 8)
(3) 녹는점 : 185℃
(4) 성상 : 미색분말 (pale yellow powder)
(5) 용해성 :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에 용해되고 물에 불용성
(6) TLC 발색 : FeCl3(양성), 브로모크레졸그린 (음성), UV light(양성, 황녹색), 아니린디페닐라민(음성), 앤티모니(음성), 드라겐돌프(음성)
(7) 자외선 최대 흡수파장 영역 (메탄올, λmax, nm) : 218, 286, 255sh, and 323, (+NaOAc) : 251, 353, (+AlCl3) : 218, 251, 317, 353 : (+NaOAc + H3BO3) 214, 263, 289sh, and 338sh
(7) 1H 및 13C-NMR :
1H NMR (600 MHz, DMSO-d6) δ ppm: 8.13(1H, d, 2-H), 7.47(1H, d, 5-H), 6.78(1H, d, 8-H), 6.92(1H, d, 3′-H), 7.24(1H, m, 4′-H), 6.91(1H, d, 5′-H), 7.24(1H, s, 6′-H), 3.93(3H, 6-OCH3) (도 9A)
13C-NMR (150 MHz,DMSO-d6) δppm : 157.0(2-C), 124.0(3-C), 179.3(4-C), 105.2(5-C), 151.9(6-C), 162.3(7-C), 105.2(8-C), 157.0(9-C), 116.2(10-C), 123.2(1′-C), 118.9(3′-C), 131.9(4′-C), 122.3(5′-C), 132.7(6′-C), 57.5(OCH3) (도 9B, C).
(8) 화학구조식
Figure 112018017888386-pat00004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94369914-pat00017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deoxy-irilin B (7-Hydroxy-3-(2'-hydroxyphenyl)-6-methoxy-4H-1-benzopyran-4-one)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94369914-pat00018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19987A 2018-02-20 2018-02-20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87A KR101963681B1 (ko) 2018-02-20 2018-02-20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87A KR101963681B1 (ko) 2018-02-20 2018-02-20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862A Division KR101975296B1 (ko) 2015-11-04 2016-11-03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를 함유하는 염미소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14A KR20180049814A (ko) 2018-05-11
KR101963681B1 true KR101963681B1 (ko) 2019-03-29

Family

ID=6218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87A KR101963681B1 (ko) 2018-02-20 2018-02-20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4009B (zh) * 2020-08-14 2022-09-02 盐城工学院 一种海蓬子降血压肽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91B1 (ko) * 2002-09-27 2005-02-05 전라남도 퉁퉁마디 추출액이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95281A (ko) * 2009-02-20 2010-08-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한 항암 활성 약학 조성물
KR101712492B1 (ko) * 2014-10-13 2017-03-06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염미 증진제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akawa, Y. Asada, Y. Ishida, H. Chiji, H. et al. Structures of New Two Isoflavones and One Flavanone from Glasswort. Journal of Faculty Agriculture. Hokkaido Univ., Vol. 61, Pt. 1, 198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814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933B1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9321B1 (ko) 배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배 발효액 및 이의 사용 방법
JP2002371002A (ja) 生理活性大麦エキス、その製造方法、及び該エキスを含む飲食品
KR101975296B1 (ko)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퉁퉁마디 유래의 5-deoxy-irilin B를 함유하는 염미소스
JP2004073050A (ja) 発酵処理植物の製造方法及び乳酸発酵処理物
KR101963681B1 (ko)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5-deoxy-irilin B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71932A (ko)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이 증진된 산야초 유산발효액
KR20130001560A (ko) 야콘 피클의 제조방법
KR20180118361A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08493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3618653B2 (ja)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薬理用組成物
KR101319490B1 (ko) 감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엑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78444A1 (en) 5-deoxy-irilin b having angiotensin-i-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derived from salicornia spp.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20120000382A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N111944009A (zh) 一种海蓬子降血压肽的制备方法及应用
KR20210000779A (ko) 굼벵이 효소처리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28534B1 (ko) 가열취가 제거된 다시마 농축 소재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생산된 농축 소재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87875B1 (ko) 우렁이를 이용한 이온화 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칼슘 강화 김치
JP2007008904A (ja) 高血圧症予防・改善剤
KR102199387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데리야끼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7351A (ko) 삼채 분말의 제조방법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