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635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635B1
KR101961635B1 KR1020180109325A KR20180109325A KR101961635B1 KR 101961635 B1 KR101961635 B1 KR 101961635B1 KR 1020180109325 A KR1020180109325 A KR 1020180109325A KR 20180109325 A KR20180109325 A KR 20180109325A KR 101961635 B1 KR101961635 B1 KR 10196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이케가야
아키요시 타카세
토시히로 오카마츠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82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616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emerging in the swirl chamber perpendicularly to the outlet axi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온도 센서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제 2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물을 인체 국부를 향해서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부 등에 의해 가열된 물(온수)을 인체 국부를 향해 토수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있다. 가열된 물을 토수함으로써 물이 차갑다는 불쾌감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을 억제하고,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서나, 토수 중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가열된 고온의 물이 토수되지 않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의 부품, 특히 세정계(노즐로부터의 토수에 관련되는 각 부재 및 각 장치 등)의 부품에 고장이 생기면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나 그 통전 제어용의 소자의 고장(1차 고장)이 생기면 물이 의도치 않게 과도하게 가열되어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에는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 전자 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보호 전자 회로는 예를 들면,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를 갖고, 측정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에는 유로를 닫아서 토수를 정지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술의 1차 고장에 추가하여 보호 전자 회로의 부품의 고장(2차 고장)이 생기는 다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온의 물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에 고장 등의 이상이 생기면 올바른 온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물이 고온이 되어도 토수를 정지할 수 없어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 토수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7-115298호 공보 일본특허 제 276967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온도 센서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발명은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제 2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물을 인체 국부를 향해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노즐로부터 토수될 우려가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2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크게 변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작다는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 1 값이 제 2 값보다 큰 것에 의해 오검지를 줄일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에 의하지 않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상기 제 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제 2 온도 센서의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제어부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2 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판정 후에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1 값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을 실시하고, 상기 제 2 판정 후에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2 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우선 제 1 판정을 행함으로써 제 2 온도 센서의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제어부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후, 제 2 판정 및 제 3 판정을 행함으로써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작다는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온도 센서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노즐로부터 인체를 향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온도 센서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유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토일렛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일렛 장치(200)는 서양식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변기」라고 칭한다)(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변기(800)는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식」이어도 좋고, 화장실의 벽면이나 라이닝에 설치되는 「벽걸이식」이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300)와, 변기 뚜껑(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변좌(300)와 변기 뚜껑은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지 「노즐」이라고 칭한다)(473)을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진출시켜 토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으로부터 보울(801) 내로 진출한 상태를 1점쇄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고,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시켜 케이싱(40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실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토수구(31)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토수구(31)로부터 인체 국부를 향해 토수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토수구(31)는 복수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토수구(31)로서 비데 세정 토수구(31a), 엉덩이 세정 토수구(31b) 등이 설치된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비데 세정 토수구(31a)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3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31b)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뜨거운 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위생 세정 장치(100)는 토수부로서 상술의 노즐(473)(세정 노즐)에 추가하여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을 갖는다. 또한,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은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 내에 배치된 급수로(20)를 갖는다. 급수로(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 노즐 세정실(478) 및 분무 노즐(479) 등에 공급한다.
급수로(20)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급수 제어부(431), 압력 조정부(432),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외, 급수로(20)에는 역지 밸브, 유량 센서, 전해조, 버큠 브레이커 등이 적당히 설치되어도 좋다.
급수로(20)의 상류측에는 급수 제어부(431)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제어부(431)는 하류로의 급수, 즉 노즐(473) 등으로의 급수를 제어한다. 급수 제어부(431)는 예를 들면, 개폐가능한 전자 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급수 제어부(431)는 급수로(20)를 개폐한다.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하류측으로 흐른다.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하류측으로의 급수가 정지한다. 예를 들면, 급수 제어부(431)는 제어부(405)의 일부(제 1 기능부(405a))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기능부(405a)란 제어부(405) 중 위생 세정 장치(100)의 통상 동작(후술하는 고온 토수 회피 및 고장 진단 이외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급수 제어부(431)의 하류에는 압력 조정부(432)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조정부(432)는 예를 들면,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 급수로(20) 내의 압력을 미리 정한 압력 범위로 조정하는 압력 조정 밸브이다.
압력 조정부(432)의 하류에는 가열부(440)(열 교환기 유닛)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부(440)는 히터를 갖고, 급수 제어부(431) 및 압력 조정부(432)를 통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킨다. 즉 가열부(440)는 온수를 생성한다.
가열부(440)는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 교환기이며, 온수 저장 탱크를 사용한 온수 저장 가열식 열 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에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부(440)는 순간 가열식의 열 교환기에 한정되지 않고 온수 저장 가열식의 열 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 교환기가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가열부(440)는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가열부(440)를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시킨다.
가열부(440)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실(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하는 스위칭 밸브이다. 이 예에서는 유로 스위칭부(472)는 유량의 조정을 행하는 유량 조정부로서도 기능한다. 단, 유량 조정부 및 유로 스위칭부는 별개의 유닛이어도 좋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고,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세정 유로(21)가 설치되고, 세정 유로(21)의 하류에 노즐(473)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 유로(21)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의 토수구(31)로 인도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바이패스 유로(24)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유로(24)의 하류에 노즐 세정실(478)이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유로(24)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 세정실(478)의 토수구(32)로 인도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고, 분무용 유로(25)의 하류에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분무용 유로(25)는 급수로(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무 노즐(479)의 토수구(33)로 인도한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 설치된 유로(예를 들면,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분무용 유로(25))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유로를 선택한다.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해 선택된 유로에 물이 공급된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세정 유로(21))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와 노즐(473) 이외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노즐(473) 이외란 예를 들면, 노즐 세정실(478)(바이패스 유로(24))이나 분무 노즐(479)(분무용 유로(25)), 보울(801)에 물을 흐르게 하는 유로이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는 그 상류에서 공급된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해도 좋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 내로 진출하거나 후퇴하거나 한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킨다.
노즐(473)은 케이싱(400)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출한 상태에서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되어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인체 국부를 향해 토수하고, 세정을 행한다.
노즐 세정실(478)은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그 내부에 설치된 토수구(32)로부터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분무 노즐(479)은 유로 스위칭부(472)로부터 공급된 물을 그 선단에 설치된 토수구(33)로부터 미스트 형상으로 해서 보울(801)에 분무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 등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를 통해 공급 전원(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급수 제어부(431)나, 가열부(440)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모터(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3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 온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기능」이나 「변좌 난방 기능」이나 「실내 난방 기능」 등이 적당히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단, 이들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는 상술의 제 1 기능부(405a)와, 제 2 기능부(405b)를 포함한다. 제 2 기능부(405b)는 이하에 설명하는 고온 토수 회피나,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의 고장 진단에 관한 기능 블록이다. 또한, 제 1 기능부(405a) 및 제 2 기능부(405b)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405)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제 1 온도 센서(41)를 갖는다. 제 1 온도 센서(41)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하류에 설치되고, 가열부(440)의 하류측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검지가능하다. 제 1 온도 센서(41)에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가 사용된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제 1 온도 센서(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온도 센서(41)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 1 기능부(405a)는 제 1 온도 센서(41)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가열부(440)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부(440)의 하류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정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보호 전자 회로(480)를 더 갖는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부품이 고장나면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세정계에 고장이 생기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또한, 세정계란 노즐(473)로부터의 토수에 관련되는 각 부재나 각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세정계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급수로(20)에 설치된 각 부재나 각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계에는 급수 제어부(431), 압력 조정부(432),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노즐(473), 및 보호 전자 회로(480) 등의 부품이 포함된다. 세정계의 고장이라는 범위는 고온 토수로 이어지는 고장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보호 전자 회로(480)는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막기 위한 회로이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하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를 갖는다. 예를 들면,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제 2 온도 센서(42), 제 2 기능부(405b)의 일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온도 센서(42)는 제 1 온도 센서(41)의 하류에 설치되고, 가열부(440)의 하류측을 흐르는 물의 온도를 검지가능하다. 유로 스위칭부(472) 및 노즐(473)은 제 2 온도 센서(42)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온도 센서(42)에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가 사용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이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동작의 「금지」란 상기 동작의 정지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어떤 동작의 「금지」란 상기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하면, 또는 미리 정한 온도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초과하면 노즐(473)에 의한 인체 국부에의 토수를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해 물이 과도하게 가열되어도 고온의 물이 인체에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금지로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노즐 모터(476)를 제어해서 노즐(473)을 후퇴시켜 수납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하고, 노즐(473)의 토수구(31)에 물을 공급하는 세정 유로(21)를 닫는다. 이 때, 고온의 물은 노즐(473) 이외로 공급되어 배출된다. 또는, 고온의 물은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지수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의 하류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후술하는 반송부(436)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물의 반송을 금지한다. 또한, 상기 금지 시에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해서 물의 가열을 금지해도 좋다.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에의 전력의 공급의 차단에 의해 노즐(473)에 의한 토수를 금지해도 좋다.
이렇게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가열부(4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회피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는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에 의거하여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고온」이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온도 이상의 온도이며, 「고온」의 범위는 적당히 정해진다. 「고온」이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미리 정한 온도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정도의 온도라고 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토수의 금지를 행하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도 적당히 미리 결정할 수 있다.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제어하는 트라이액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등에 물의 온도가 고온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온도 센서(42)에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는 올바른 온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고온으로 되어도 노즐(473)의 토수의 긴급 정지가 실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 결과 및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고, 또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온도 센서(42)가 고장날 우려가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고, 고온의 물이 토수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다」라는 범위에는 측정 불균일 정도의 범위 내에서 온도가 변동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값 이하인 경우에는 온도는 변동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값은 측정 불균일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정해지지만 예를 들면 ±1℃ 정도이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해서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이 경우, 유로 스위칭부(472)는 세정 유로(21) 이외의 유로를 선택한 상태, 또는 상류로부터의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또는, 후술하는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된 경우, 제어부(405)는 반송부(436)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이 검지되면 상술의 금지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렇게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노즐(473)로부터 인체를 향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의 판정의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우선 위생 세정 장치(10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301). 이 고장 진단은 예를 들면, 도 6에 관해서 후술하는 스텝 S202, S206, S209 등이다.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허가된다.
그 후,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2). 스텝 S302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A로 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3). 스텝 S303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B로 한다.
그 후, 급수 제어부(431) 등이 개방 상태로 되고, 노즐(473)로의 급수가 개시된다(스텝 S304). 이것에 따라 제어부(405)는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한 시간(Tc1)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S305). 시간(Tc1)은 예를 들면, 1초 정도이다. 또한, 이 때 가열부(440)에 의한 물의 가열이 행해지고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다시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6). 스텝 S306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C로 한다.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이상인 경우(스텝 S30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308). 미리 정한 값(Tp1)은 예를 들면, 1℃ 정도이다.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경우(스텝 S307: No), 시간(Tc1)의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 S306 및 스텝 S307이 반복된다(스텝 S309: No). 시간(Tc1)의 카운트 중에 C와 A의 값의 절대값이 소정값(Tp1) 이상이 되면(스텝 S30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308).
C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채이며, 시간(Tc1)의 카운트가 종료되면(스텝 S309: Yes)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0). 스텝 S310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D로 한다.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 이하인 경우(스텝 S311: No), 제어부(405)는 시간(Tc1)의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S312),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3). B의 값은 스텝 S313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측정된 온도로 갱신된다. 또한, 미리 정한 값(Tp2)은 미리 정한 값(Tp1)보다 크고,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스텝 S313 후에 스텝 S306~S311이 반복된다. 이 반복 처리는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온도 센서(41)의 측정 결과가 시간(Tc1) 사이에 미리 정한 값(Tp2)보다 크게 변화될 때까지 스텝 S306~S311이 반복된다. 또한, 스텝 S311에서는 절대값이 아니라 (D-B)>Tp2를 판정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온도의 상승을 판정해도 좋다.
B와 D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2)보다 커지면(스텝 S311: Yes), 제어부(405)는 미리 정한 시간(Tc2)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S314). 시간(Tc2)은 예를 들면 10초 정도이다.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15: No),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16). 스텝 316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E로 한다.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이상인 경우(스텝 S317: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다(스텝 S318).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경우(스텝 S317: No),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스텝 S316 및 S317이 반복된다.
E와 A의 차의 절대값이 미리 정한 값(Tp1) 미만인 채, 시간(Tc2)의 카운트가 종료되면(스텝 S315: Yes)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스텝 S319).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급수 제어부(431)를 제어하여 폐쇄 상태로 한다.
이렇게,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1)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스텝 S307)을 실시하고, 제 1 판정 후에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2)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스텝 S311)을 실시하고, 제 2 판정 후에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값(Tp1)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스텝 S317)을 실시한다. 즉, 스텝 S307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판정된 후에 다시 스텝 S317에 있어서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판정된다. 이 때, 스텝 S311의 판정에 의해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는 비교적 크게 변동되어 있다. 즉, 스텝 S317에서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가 변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온도 센서(42)의 온도가 변동되어 있지 않다는 이상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미리 정한 값(Tp2)이 미리 정한 값(Tp1)보다 큰 것에 의해 오검지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1 값[값(Tp2)]보다 크고, 또한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2 값[값(Tp1)]보다 작은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토수될 우려가 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307, S308과 같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에 의하지 않고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한 제 2 값[값(Tp1)] 이상인 경우, 제 2 온도 센서(42)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제어부(405)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1 온도 센서(41)의 온도의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 판정을 종료할 수 있다.
스텝 S317, S318에 있어서도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면 즉시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의 판정이 종료된다. 이것에 의해 이상의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제어부(405)의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의 이상이 아니라 제 1 온도 센서(41)의 이상을 검지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제어부(405)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고 있고, 또한 제 1 온도 센서(41)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변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제 1 온도 센서(41)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해도 좋다.
또한, 노즐(473)의 통수 개시 후, 통수 종료의 신호를 수신한 세정의 정지 등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로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이상의 판정의 플로우는 도중이어도 중지가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부(482)(고장 진단 회로)를 더 갖는다. 고장 진단부(482)는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노즐(473)로부터의 토수의 개시 전에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예를 들면, 고장이 검지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에 의해 급수 제어부(431)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즉, 급수 제어부(431)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해서 물의 가열을 금지해도 좋고, 위생 세정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에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해도 좋다. 전력의 공급의 차단에 의해 세정계의 부품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금지하고,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관해서 설명한 전원 회로(401)에 있어서의 접속을 오프로 하여 공급 전원(30)으로부터 전원 회로(401)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는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각 부(예를 들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 제 2 온도 센서(42) 및 후술하는 고온 검지부(481)의 각각)에 대하여 고장의 진단이 행해진다. 그리고,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진단부(482)를 설치함으로써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예를 들면, 고온 토수 회피부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고,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고온 토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473)로의 급수의 개시 후에 가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라 급수가 제어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품의 고장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토수를 개시하기 전에 이상의 전조(부품 고장)를 검지하고,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예를 들면, 구동부(51))의 구성은 비교적 심플하다.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점수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점수나, 노즐 모터(476)를 구동하는 회로의 부품점수보다 적다. 이 때문에 급수 제어부(431)에 전자 밸브를 사용하고, 전자 밸브를 구동하는 회로의 고장 진단을 행하는 경우에는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짧게 끝난다.
또한, 가열부(44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급수 제어부(431)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가열부(440)로의 통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부(440)에 고장이 생겨서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이 만일 계속되어도 가열부(440)에 있어서 물이 계속 비등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열부(440)의 탱크의 파손이나 누수를 회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호 전자 회로(48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보호 전자 회로(480)는 급수 제어부(431)를 구동하는 구동부(51)를 갖는다. 구동부(51)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이며, 구동부(51)에 의해 급수 제어부(431)의 동작(개폐)이 제어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구동부(51)는 급수 제어부(431)를 구동하는 회로이지만 가열부(440), 유로 스위칭부(472) 및 반송부(436)(도 12에 관해서 후술)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부(51)에 의해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의 온/오프나, 유로 스위칭부(472)의 유로의 스위칭이나 반송부의 동작의 개시/정지 등이 제어되어도 좋다.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부(482)는 제 2 기능부(405b)의 일부와 감시부(50)를 갖는다. 감시부(50)는 예를 들면, IC(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나 구동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부(50)는 제어부(405)의 고장을 진단하고, 제어부(405)가 고장나 있으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부(50)는 제어부(405)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가열부(440)의 히터를 오프로 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반송부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감시부(50)의 고장을 진단하고, 감시부(50)가 고장나 있으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감시부(50)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가열부(440)의 히터를 오프로 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반송부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이렇게, 보호 전자 회로(480)의 제어부(405) 또는 감시부(50)에 고장이 생기면 물의 가열 및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인체를 향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열부(440) 및 보호 전자 회로(480)의 양쪽이 고장나는 다중 고장이 생겨도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고장을 진단하고, 구동부(51)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하면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일부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하면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조작해서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지시하는 신호(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 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 제어부(405)에는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된다(스텝 S101). 그러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개시하기 전에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고장 진단을 행한다(스텝 S102).
스텝 S1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111).
이렇게,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473)로의 급수의 개시 전(직전)에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이 행해진다. 또한, 급수의 개시 전(직전)이란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지시하는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노즐(473)로의 급수가 개시될 때까지의 사이이다. 즉, 도 5의 예에서는 스텝 S101과 스텝 S103 사이에 있어서 스텝 S102가 실시된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스텝 S103에 있어서, 급수 제어부(431)가 개방된다. 그 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물의 유로가 스위칭되어서 노즐(473)로 급수하는 유로(세정 유로(21))가 개방된다(스텝 S104). 그리고, 노즐(473)의 토수구(31)로부터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 토수가 행해진다.
제어부(405)는 토수 중에 제 1 온도 센서(41)의 검지 결과 및 제 2 온도 센서(42)의 검지 결과를 취득한다. 제 1 온도 센서(41) 및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 아니었을 경우(스텝 S105: 없음),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계속된다(스텝 S106).
제 1 온도 센서(41) 또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이었을 경우(스텝 S105: 있음), 예를 들면 가열부(440)의 히터의 고장이 상정된다. 그래서, 제어부(405)는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한다(스텝 S107). 또한, 제어부(405) 또는 고온 검지부(481)는 급수 제어부(431)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한다(스텝 S108). 또한,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해서 노즐(473)로 급수하는 유로를 폐쇄한다(스텝 S109).
스텝 S107~S109에 의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그리고, 노즐(473)로부터 토수를 행하기 위한 회로가 래치된다(스텝 S110). 즉, 스텝 S110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제어부(405)에 통수 명령이 다시 입력되어도 스텝 S102~S111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고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래치 상태는 예를 들면, 제어부(405)에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다시 개시(전원 재투입)함으로써 해제된다. 즉,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인 것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제어부(405)의 전원 재투입이 행해질 때까지 해제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11 후에는 스텝 S110과 같이 회로는 래치되지 않는다. 즉, 스텝 S111 후에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제어부(405)에 통수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스텝 S102가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감시부(50)는 다시 제어부(405)의 고장을 진단하고, 제어부(405)는 다시 감시부(50)의 고장을 진단한다. 제어부(405)의 고장 또는 감시부(50)의 고장에 의해 가열부(440)에 있어서의 가열 및 노즐(473)로부터의 토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금지된 상태는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고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의 재진단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 해제된다. 이렇게,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가열부(440)에 의한 가열이나 노즐(473)에 의한 토수가 금지된 상태는 고장 진단부(482)의 진단을 다시 행하고, 고장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외란(外亂)의 노이즈 등에 의해 고장의 오검지가 생겨도 다시 고장 진단을 행하고, 토수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111에 의해 토수가 금지되었을 경우이어도 위생 세정 장치(100)의 토수에 관여하지 않는 기능(예를 들면, 온풍 건조, 탈취, 변좌 난방 등)은 유효한 채로 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기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111에 있어서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되었을 경우, 상태 표시부에 의해 고장이 검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보고해도 좋다. 상태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LED, 액정, 유기 EL 등 임의의 보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는 예를 들면, 조작부(500) 또는 케이싱(400) 등에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스텝 S101, S102 및 S111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에 노즐(473)로의 통수 명령이 입력되면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장 진단을 개시한다(스텝 S201).
고장 진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감시부(50)에 의해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2).
제어부(405)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3: N), 감시부(50)는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04). 이것에 의해 노즐(473)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제어부(405)에 있어서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03: Y), 제어부(405)에 의해 감시부(50)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6).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07: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08).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07: Y), 제어부(405)에 의해 구동부(51)에 있어서의 고장의 유무가 판단된다(스텝 S209).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스텝 S210: N), 제어부(405)는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스텝 S211).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스텝 S205).
구동부(51)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210: Y),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허가된다(스텝 S212).
이렇게, 제어부(405)와 감시부(50)는 서로 고장 진단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05) 및 감시부(50)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는 즉시 토수를 금지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202)은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206) 후에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405)에 의한 구동부(51)의 고장 진단(스텝 S209)은 감시부(50)에 의한 제어부(405)의 고장 진단(스텝 S202) 및 제어부(405)에 의한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스텝 S206) 후에 행해진다. 이 순서로 각 부의 고장 진단을 행함으로써 제어부(405)에 고장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 제어부(405)가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보다 확실히 실시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고장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스텝 S212 후에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3~S110이 실행된다. 또한, 제어부(405) 및 감시부(50)에 의한 상호의 고장 진단은 토수의 개시 전 뿐만 아니라 토수 중에도 행해져도 좋다. 토수 중에 고장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도 노즐(473)로부터의 토수가 금지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 및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부(50)는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직 IC)(50a)를 포함한다.
제어부(405)로부터 감시부(50)에 제 1 신호(Sig1)가 출력된다. 제 1 신호(Sig1)는 예를 들면 High 및 Low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이다. 예를 들면,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가 High이면 제어부(405)가 정상(고장 없음)이라고 진단하고, 제 1 신호(Sig1)가 Low이면 제어부(405)가 이상(고장 있음)이라고 진단한다.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로 변환하고, 구동부(51)에 출력한다. 제어부(405)의 이상 시(고장 시)에는 제 2 신호(Sig2)에 따라 구동부(51)가 제어되고, 급수 제어부(431)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1 신호(Sig1)를 제 2 신호(Sig2)와 마찬가지로 제 3 신호(Sig3)로 변환하고, 제어부(405)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감시부(50)의 고장이 진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405)에 고장이 생겨 제 1 신호(Sig1)가 이상 시의 신호로 되면 감시부(50)는 즉석에서 구동부(51)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구동부(51)의 구성, 동작 및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51)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를 갖는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의 각각에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급수 제어부(431),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스위치(51a)는 급수 제어부(431)와 접속되어 있고, 제 2 스위치(51b)는 제 1 스위치(51a) 및 그라운드(GND)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일 때,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급수 제어부(431)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이렇게 직렬 접속된 2개의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한쪽의 스위치가 고장났을 경우이어도 다른 쪽의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의 각각과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제 1 스위치(51a)의 온 오프의 스위칭, 및 제 2 스위치(51b)의 온 오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와 접속되어 있다.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의 온 오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부(50)는 제 2 스위치(51b)의 온 오프를 스위칭하지만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시부(50)는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 오프를 스위칭할 수 있으면 좋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고장 진단에 의해 감시부(50)의 고장이 검지되면 적어도 제 1 스위치(51a)를 오프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스위치(51b)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감시부(50)는 고장 진단에 의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 2 스위치(51b)를 오프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스위치(51a)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급수 제어부(4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가 제 2 스위치(51b)를 온으로 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있어도 감시부(50)에 의한 제 2 스위치(51b)를 오프로 하는 제어가 우선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구동부(51)와 급수 제어부(431) 사이의 전위차에 따른 신호(SigB)가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의 고장의 진단을 할 때에 제 1 스위치(51a) 및 제 2 스위치(51b)의 각각을 온 오프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동부(51)와 급수 제어부(431) 사이의 전위가 변화되고, 신호(SigB)가 변화된다. 신호(SigB)에 의거하여 구동부(51)의 고장을 검지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예와 비교하여 고온 토수 회피부(483)에 고온 검지부(481)이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온 검지부(481)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고온 검지부(481)는 예를 들면 컴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회로이며, 제 2 온도 센서(42)가 검지한 온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고온 검지부(481)는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보다 고온이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예를 들면,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를 초과했을 경우, 고온 검지부(481)는 구동부(51)를 제어해서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이 때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는 고온 검지부(481)로부터 고온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 신호에 따라 제어부(405)는 노즐(473)을 수납하거나,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하거나, 가열부(440)의 히터의 통전을 금지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보호 전자 회로(480)는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스위칭부)(53)를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여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에 의한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 진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보호 전자 회로의 일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 및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가 전원 전압(Vcc)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있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의 제 2 기능부(405b)나 고온 검지부(481)에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에 의해 구성된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V1)이 입력된다. 제어부(405)나 고온 검지부(481)는 출력 전압(V1)에 의거하여 제 2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지된 온도가 고온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칭 소자의 일단은 전원 전압(Vcc)과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 사이에 접속되고, 스위칭 소자의 타단은 제 2 온도 센서(42)의 가변 저항과 온도 검출부(검출 저항)(R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 진단에 있어서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의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해서 출력 전압(V1)을 실질적으로 전원 전압(Vcc)과 같게 한다. 이것에 의해 유사적으로 고온 상태가 만들어진다. 즉, 제 2 온도 센서(42)가 고온을 검지했을 때와 같은 출력 전압(V1)이 고온 검지부(481)에 입력된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이 때의 고온 검지부(481)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고온 검지부(481)에 의한 급수 제어부(431)의 제어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고온 검지부(481)를 설치함으로써 제어부(405)나 감시부(50)의 고장 진단에 만일 문제가 생겨도 고온 검지부(481)에 의해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개시하기 전(예를 들면, 도 6에 관해서 설명한 스텝 S207의 후 또한 스텝 S212의 전)에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53)에 의해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을 진단한다. 고온 검지부(481)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노즐(473)로부터의 토수를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고온의 물이 노즐(473)로부터 토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유로 스위칭부(472)가 제어되고,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된다. 즉, 유로 스위칭부(472)는 세정 유로(21) 이외의 유로를 선택한 상태, 또는 상류로부터의 물을 유로 스위칭부(472)에 있어서 지수 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제어 함으로써 유로 스위칭부(472)에 의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가열부(440)보다 하류이며, 또한 급수로(20) 상에 있어서 노즐(47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인체를 향해 고온의 물이 토수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예를 들면, 열 교환기의 탱크 등의 열 수축에 따라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새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 시의 소비 전력은 전자 밸브나 기어 펌프의 동작 시의 소비 전력에 비해 낮다. 이 때문에 유로 스위칭부(472)에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함으로써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급수로(20)의 경로 상에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식 탱크(434)(역류 방지 기구)는 예를 들면 도 2에 관해서 설명한 압력 조정부(432)의 하류에 설치된다. 개방식 탱크(434)는 압력 조정부(432)를 통해 유입한 물을 내부에 저류한다. 또한, 개방식 탱크(434)는 내부에 에어갭을 형성함으로써 급수로(20)에 있어서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바꿔 말하면, 개방식 탱크(434)는 급수로(20)의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부분과 상류측의 부분을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개방식 탱크(434)는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고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한다.
개방식 탱크(434)의 하류에는 반송부(436)가 설치되고, 반송부(436)의 하류에 가열부(440)가 설치된다. 반송부(436)는 예를 들면 기어 펌프이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킨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퍼낸다. 이것에 의해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개방식 탱크(434)보다 하류측의 노즐(473) 등에 반송한다. 반송부(436)는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제 1 기능부(405a))는 반송부(436)의 구동 및 구동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반송부(436)는 개방식 탱크(434)에 저류된 물을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펌프이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보호 전자 회로(480)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반송부(436)가 제어되고,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에의 물의 반송이 금지된다. 즉, 반송부(436)는 동작을 정지한 상태, 즉 개방식 탱크(434)로부터 물을 퍼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고장 진단부(482)를 사용한 진단에 의해 고온 토수 회피부(483)의 부품의 고장이 검지되면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제어해서 반송부(436)에 의한 노즐(473)에의 물의 반송을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473)로부터 고온의 물이 인체를 향해 토수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해도 좋다. 단, 급수 제어부(431)가 폐쇄 상태이어도 반송부(436)가 구동하고 있으면 개방식 탱크(434) 내에 남은 물이 노즐(473)에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개방식 탱크(434) 및 반송부(436)가 설치된 경우에는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반송부(436)에 의한 물의 반송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개방식 탱크(434) 내에 물이 남아 있어도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장 진단부(482)에 의해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 반송부(436), 유로 스위칭부(4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다. 도 4~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에 의해 노즐(473)로의 급수를 금지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단, 이들의 예에 있어서도 고장이 검지되었을 때에 급수 제어부(431) 대신에 반송부(436)나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해서 노즐(473)로의 급수가 금지되어도 좋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유로 스위칭부의 설명도이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고정 디스크(스테이터)(80)와, 가동 디스크(로터)(82)와, 하우징(84)을 갖는다.
고정 디스크(80)는 예를 들면 원판상이며, 전면(80a)(상류측을 향하는 면)과, 전면(80a)의 반대측의 배면(80b)(하류측을 향하는 면)을 갖는다. 고정 디스크(80)는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의 유로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포트(개구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세정 유로(21)와 연통하는 포트, 바이패스 유로(24)와 연통하는 포트, 및 분무용 유로(25)와 연통하는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디스크(82)는 예를 들면, 고정 디스크(80)와 같은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판상이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전면(80a)에 접촉한다. 가동 디스크(82)는 전면(80a)과 직교하는 방향을 축(이하, 회전축(RA)이라고 칭한다)으로 전면(80a)의 위에서 슬라이딩 회전한다. 가동 디스크(82)는 고정 디스크(80)의 1개의 포트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다. 예를 들면, 가동 디스크(82)의 개구부가 고정 디스크(80)의 1개의 포트와 겹치면 고정 디스크(80)의 다른 포트가 가동 디스크(82)에 의해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디스크(82)의 개구부와 겹친 1개의 포트에만 통수가 가능해진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수가능해지는 포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하는 포트에 따라 세정 유로(21), 바이패스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 중 어느 하나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하우징(84)은 예를 들면, 통 형상이며 내부의 공간에 고정 디스크(80) 및 가동 디스크(82)를 수용한다. 하우징(84)은 가동 디스크(8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84)의 가동 디스크(82)보다 상류측의 내부 공간은 유로 스위칭부(472)의 상류측의 급수로(20)와 접속되어 있다. 상류측의 급수로(20)를 통해 공급된 물은 하우징(8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가동 디스크(82) 및 고정 디스크(80)를 통해 각 부에 공급된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구동부(51)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전동기를 갖고, 가동 디스크(82)에 대하여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킨다. 구동부(51)는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05)의 제어에 의거하여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킨다. 제어부(405)(제 2 기능부(405b))는 구동부(51)를 구동하여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키고, 고정 디스크(80)의 각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물의 행선지를 스위칭한다.
또한, 구동부(51)는 누수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가동 디스크(8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기구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 스위칭부(472)는 고정 디스크나 가동 디스크를 갖는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를 스위칭할 수 있는 임의의 기구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유로 스위칭부(472)에 3방 밸브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가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20 급수로
21 세정 유로 24 바이패스 유로
25 분무용 유로 30 공급 전원
31, 32, 33 토수구 41 제 1 온도 센서
42 제 2 온도 센서 50 감시부
51 구동부 53 테스트 모드 스위칭 회로
80 고정 디스크 82 가동 디스크
84 하우징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토일렛 장치 300 변좌
400 케이싱 401 전원 회로
405 제어부 431 급수 제어부
432 압력 조정부 434 개방식 탱크
436 반송부 440 가열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
476 노즐 모터 478 노즐 세정실
479 분무 노즐 480 보호 전자 회로
481 고온 검지부 482 고장 진단부
483 고온 토수 회피부 500 조작부
800 변기 801 보울

Claims (5)

  1.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가 검지한 상기 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제 2 온도 센서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물을 인체 국부를 향해 토수하는 노즐과,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상기 제 2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에게 의하지 않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변화가 상기 제 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2 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판정 후에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1 값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을 실시하고,
    상기 제 2 판정 후에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온도의 상기 변화가 상기 제 2 값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노즐로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80109325A 2017-09-28 2018-09-13 위생 세정 장치 KR101961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8894 2017-09-28
JP2017188894A JP6284070B1 (ja) 2017-09-28 2017-09-28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635B1 true KR101961635B1 (ko) 2019-03-25

Family

ID=6128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325A KR101961635B1 (ko) 2017-09-28 2018-09-13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64562B2 (ko)
EP (1) EP3461961B1 (ko)
JP (1) JP6284070B1 (ko)
KR (1) KR101961635B1 (ko)
CN (1) CN109577441B (ko)
MY (1) MY174240A (ko)
SG (1) SG10201808481VA (ko)
TW (1) TWI6621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2279B2 (ja) * 2019-03-18 2023-02-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272170B2 (ja) * 2019-08-20 2023-05-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63258B2 (ja) * 2019-09-19 2023-10-1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801803B1 (ja) * 2020-03-25 2020-1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DE102020122892A1 (de) * 2020-09-02 2022-03-03 Lufthansa Technik Aktiengesellschaft Bidetsystem
JP7223290B2 (ja) * 2020-12-17 2023-0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223291B2 (ja) * 2020-12-17 2023-0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23020018A (ja) * 2021-07-30 2023-02-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96A (ja) * 1994-08-26 1996-03-12 Toto Ltd 吐水装置
JP2769670B2 (ja) 1993-10-01 1998-06-2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便 器
JP2017115298A (ja) 2015-12-21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17115332A (ja) * 2015-12-22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942A (en) 1982-09-15 1984-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ocal washing device of flush toilet
US5390277A (en) * 1992-03-27 1995-02-14 Andermac, Inc. Flow through electrical heat controller having asymptotic temperature control arrangement to avoid overshoot
WO1996027053A1 (fr) * 1995-02-28 1996-09-06 Toto Ltd. Appareil de siege
JP3335552B2 (ja) * 1997-06-03 2002-10-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4071509B2 (ja) * 2002-02-22 2008-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イレ装置
EP1669688B1 (en) 2003-08-05 2015-09-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luid heat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8142844A (ja) * 2006-12-11 2008-06-26 Okuma Corp 工作機械における温度センサの異常検知方法
EP2305903A1 (en) 2009-09-28 2011-04-06 Toto Ltd.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JP2013545908A (ja) * 2010-10-19 2013-12-26 プレザノ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シャワートイレの水を加熱する装置
JP6048510B2 (ja) * 2012-11-05 2016-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吸気温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CN204626593U (zh) * 2015-05-14 2015-09-09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坐便器的出水防烫保护装置
JP6603880B2 (ja) * 2016-03-29 2019-1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9670B2 (ja) 1993-10-01 1998-06-2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便 器
JPH0868096A (ja) * 1994-08-26 1996-03-12 Toto Ltd 吐水装置
JP2017115298A (ja) 2015-12-21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17115332A (ja) * 2015-12-22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5268A (zh) 2019-04-16
JP6284070B1 (ja) 2018-02-28
US20190093328A1 (en) 2019-03-28
EP3461961A1 (en) 2019-04-03
TWI662171B (zh) 2019-06-11
CN109577441A (zh) 2019-04-05
JP2019065476A (ja) 2019-04-25
EP3461961B1 (en) 2020-06-10
MY174240A (en) 2020-04-01
US10364562B2 (en) 2019-07-30
SG10201808481VA (en) 2019-04-29
CN109577441B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35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100154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961634B1 (ko) 위생 세정 장치
JP6274594B1 (ja) 衛生洗浄装置
JP6281732B1 (ja) 衛生洗浄装置
JP6677933B2 (ja) 衛生洗浄装置
JP6281733B1 (ja) 衛生洗浄装置
JP6671642B2 (ja) 衛生洗浄装置
WO2004076757A1 (ja) トイレ装置
JP7223291B2 (ja) 衛生洗浄装置
JP7223290B2 (ja) 衛生洗浄装置
EP4124697A1 (en) Toilet device
JP7223292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8193764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