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381B1 -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381B1
KR101961381B1 KR1020180067350A KR20180067350A KR101961381B1 KR 101961381 B1 KR101961381 B1 KR 101961381B1 KR 1020180067350 A KR1020180067350 A KR 1020180067350A KR 20180067350 A KR20180067350 A KR 20180067350A KR 101961381 B1 KR101961381 B1 KR 10196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at
motor
dru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Priority to KR102018006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고양이 배변이 담기는 배변수거홈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가 구성되어 로우케이스와 결합하여 전면에 고양이가 입출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배변수거홈에 담긴 배변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가 어퍼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는 샌드필터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기어를 가지며 어퍼케이스와 로우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샌드드럼과; 모터브라켓에 의해 로우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에 의해 샌드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케이스의 입구에 설치된 광센서를 통해 고양이의 입출을 감지한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 기준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배변을 모래와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보드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샌드드럼의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의 자동처리 및 빠른 처리에 의한 냄새 억제는 물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양이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나 고양이의 기호에 따라서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또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양이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제공되도록 하는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개, 고양이 등이 있으며 교배 또는 유전자의 조작 등을 통해 크기를 소형화시킨 돼지 등도 반려동물로 지칭된다.
이러한 반려동물을 실내에서 키울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중 배변과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 배변 또는 배뇨 등과 같은 배설물을 반려동물이 지정된 장소에서 처리하게끔 훈련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고, 지정된 장소에서 처리하여도 배변 또는 배뇨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시로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다.
종래에는 반려동물의 배변 및 배뇨 처리를 위해 신문지를 바닥에 깔거나 사각틀에 모래를 담아 두는 것으로 화장실을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실은 배변 처리가 힘들고, 상술한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시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53093호(2014.01.13.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에 구동접속되며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좌우로 수평배치된 본체프레임과 상면에 애완동물이 탑승하여 배변이나 배뇨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배설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용기와,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에 탑승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등이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애완동물이 벨트에 탑승하면 이를 감지하고, 배설물을 모터, 롤러 및 벨트를 통해 일측으로 이송한다. 이를 미생물용기를 통해 분해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상기의 모터, 롤러, 벨트, 미생물용기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크기가 대형화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구성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상시 공급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78491호(2015.12.18. 공고)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는 반려 동물의 배변을 처리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방에 전방개구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리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과, 분리망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분리망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도어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를 구비한 챔버와;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망이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배출도어에서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챔버는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며, 챔버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배출도어가 폐쇄되어 분리망에 배변이 지지되는 폐쇄위치에서 분리망 내지 챔버로부터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위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배출도어를 하측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하여 배출위치에서 배변이 배출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베이스에 마련된 배출도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모터감속기, 구동축이 연결된 베벨기어, 종동축이 연결된 베벨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를 통해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이 연결된 베벨기어와 종동축이 연결된 베벨기어가 회전하여 챔버를 회전킨다.
또한, 상기 챔버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만 회전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롤러가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사판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커지고 이로인하여 챔버는 회전할 수 없어 반려동물의 배변을 처리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물론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에 따른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성품이 많기 때문에 수리시 보수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8491호(2015.12.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나 고양이의 기호에 따라서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또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양이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이 제공되도록 하는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을 빠르게 처리하여 대변과 소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을 간소화하므로서 조립이 간단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생산량을 증대시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가 배변 후 약 10분 후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다른 고양이가 배변을 하러 들어와도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에 고양이 배변이 담기는 배변수거홈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가 구성되어 로우케이스와 결합하여 전면에 고양이가 입출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배변수거홈에 담긴 배변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가 어퍼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는 샌드필터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기어를 가지며 어퍼케이스와 로우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샌드드럼과; 모터브라켓에 의해 로우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에 의해 샌드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케이스의 입구에 설치된 광센서를 통해 고양이의 입출을 감지한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 기준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배변을 모래와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보드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샌드드럼의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퍼케이스는, 로우케이스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와; 샌드드럼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어퍼케이스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어퍼가이드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에 의해 어퍼가이드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어퍼결합패널과; 고양이의 배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낙하공과; 배출되는 고양이 배변이 담겨지는 낙하공의 하방향에 형성되는 배변수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우케이스는, 어퍼케이스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와; 샌드드럼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용이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로우케이스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로우가이드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에 의해 로우가이드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로우결합패널과; 로우결합패널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로우케이스 내측에 형성되어 모터브라켓을 받치는 지지대가 고정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샌드드럼은, 제1드럼과 제2드럼으로 이루어져 제1체결돌기와 제2체결돌기에 의해 결합되어 드럼입구를 가지며 원통형으로 샌드드럼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샌드드럼몸체의 일측에 감속기의 감속기기어와 치합되는 드럼기어가 형성되며, 고양이의 배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제1드럼에 형성되고, 배출공이 형성된 샌드드럼몸체의 내측에 밀착돌기의 일측이 밀착되는 샌드필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부는, 샌드드럼의 일측에 형성한 드럼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로우케이스의 로우결합패널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소정 회전수로 낮춘 구동력이 출력될 수 있도록 감속기기어를 가지며 모터와 결합되는 감속기와; 감속기기어가 드럼기어와 치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모터가 안정적으로 로우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브라켓과; 모터브라켓의 하방향에 설치되어 로우케이스의 지지돌기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보드는, 로우케이스의 입구 내측에 설치된 광센서에 의해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여 MCU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센서입력부와;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MCU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버튼입력부와;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MCU로 입력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출력데이터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제이택(JTAG)과; MCU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모터컨트롤부와; 버튼입력부 및 센서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와 고양이의 입출에 의해 소정 시간 이후에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와; 광센서, 센서입력부, 조작부, 버튼입력부, 제이택(JTAG), 모터컨트롤부, MCU 및 모터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형성되는 PCB로 이루어져 로우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나 고양이의 기호에 따라서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이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또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양이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가 배설한 대변과 소변을 빠르게 처리하여 대변과 소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또는 악취를 억제하므로 반려묘를 키우는 환경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을 간소화하므로 조립이 간단하여 작은 인력으로도 생산량을 증대시켜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가 배변하고, 나간 후 약 10분 후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다른 고양이가 배변을 하러 들어와도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아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2 에 도시된 로우케이스에 샌드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우케이스에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2의 샌드드럼과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샌드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8a는 도 7의 샌드필터가 샌드드럼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b는 도 7의 샌드필터가 밀착돌기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2 에 도시된 로우케이스에 샌드드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우케이스에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2의 샌드드럼과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샌드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a는 도 7의 샌드필터가 샌드드럼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b는 도 7의 샌드필터가 밀착돌기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는 일측에 고양이 배변이 담기는 배변수거홈(115)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110)가 구성되어 로우케이스(120)와 결합하여 전면에 고양이가 입출하는 입구(111, 121)가 형성되고 배변수거홈에 담긴 배변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130)가 어퍼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케이스(100)와,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는 샌드필터(220)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기어(212)를 가지며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샌드드럼(200)과, 모터브라켓(330)에 의해 로우케이스(12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에 의해 샌드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모터(310)를 포함하는 구동부(300)와, 케이스(100)의 입구(111, 121)에 설치된 광센서(411)를 통해 고양이의 입출을 감지한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 기준으로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여 배변을 모래와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보드(400)와,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샌드드럼(200)의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 및 덮개(130)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케이스(110)는 로우케이스(120)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111)와, 샌드드럼(200)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어퍼케이스(110)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어퍼가이드(112)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200)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310)에 의해 어퍼가이드(112)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어퍼결합패널(113)과, 고양이의 배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111)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낙하공(114)과, 배출되는 고양이 배변이 담겨지는 낙하공(114)의 하방향에 형성되는 배변수거홈(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결합패널(113)에는 샌드드럼몸체(210)와 드럼기어(212) 사이에 형성되는 기어연결돌기(미부호)가 안착되는 어퍼안착홈(미부호)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케이스(11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락킹돌기(125)와 결합하여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락킹홈과 락킹돌기(125)에 의해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퍼케이스(110)의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패널(미부호)을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홈(117)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16)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16)의 가이드홈(117)에는 덮개(130)에 형성한 착탈돌기(미도시)가 결합되어 배변수거홈(11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우케이스(120)는 어퍼케이스(110)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121)와, 샌드드럼(200)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용이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로우케이스(120)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로우가이드(122)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200)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310)에 의해 로우가이드(122)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로우결합패널(123)과, 로우결합패널(123)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로우케이스(120) 내측에 형성되어 모터브라켓(330)을 받치는 지지대(340)가 고정되는 지지돌기(124)로 구성된다.
상기 로우결합패널(123)에는 샌드드럼몸체(210)와 드럼기어(212) 사이에 형성되는 기어연결돌기(미부호)가 안착되는 로우안착홈(미부호)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로우케이스(120)에는 락킹홈과 결합하는 복수의 락킹돌기(125)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홈과 락킹돌기에 의해 어퍼케이스(110)가 로우케이스(120)와 결합된다.
상기 덮개(130)는 어퍼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될 있도록 내측에 복수의 착탈돌기(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착탈돌기는 단면이 'T'자 형성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돌기(116)에 형성된 가이드홈(117)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어퍼케이스(110)에 덮개(130)가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샌드드럼(200)이 설치된다.
상기 샌드드럼(200)은 제1드럼(210-1)과 제2드럼(210-2)으로 이루어져 제1체결돌기(210-3)와 제2체결돌기(210-4)에 의해 결합되어 드럼입구(211)를 형성하며 원통형으로 샌드드럼몸체(210)를 구성하고, 상기 샌드드럼몸체(210)의 일측에 감속기(320)의 감속기기어(321)와 치합되는 드럼기어(212)가 형성되며, 고양이의 배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213)이 제1드럼(210-1)에 형성되고, 배출공(213)이 형성된 샌드드럼몸체(210)의 내측에 형성한 밀착돌기(214)에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샌드필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샌드드럼(200)의 외측에는 보강리브(215)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고양이의 무게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샌드필터(2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샌드드럼(200)에 형성된 배출공(213)의 일측에서 입구(111, 121)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필터몸체(221)가 설치되고, 필터몸체(22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222)가 형성되어 샌드드럼몸체(210)의 내측에 형성된 밀착돌기(214)에 밀착되며, 상기 필터몸체(221)에는 고양이의 배변과 모래가 분리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리공(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샌드필터(2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샌드드럼몸체(210)의 내측에서 결합돌기(222)에 형성한 나사돌기(223)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다른 일측도 나사돌기(223)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샌드드럼몸체(21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모래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고양이의 배변을 분리한다.
상기 샌드필터(220)는 샌드드럼(200)의 내측에 설치된 밀착돌기(214)에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나사에 의해 드럼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은 밀착돌기(214)에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샌드필터(220)의 모서리 부분과 결합돌기(222)의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나사돌기(223)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샌드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가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샌드드럼(200)의 일측에 형성한 드럼기어(212)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로우케이스(120)의 로우결합패널(123)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10)와, 소정 회전수로 낮춘 구동력이 출력될 수 있도록 감속기기어(321)를 가지며 모터(310)와 결합되는 감속기(320)와; 감속기(320)의 감속기기어(321)가 드럼기어(212)와 치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모터(310)가 안정적으로 로우케이스(12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모터(310)가 설치되는 모터브라켓(330)과, 모터브라켓(330)의 하방향에 설치되어 로우케이스(120)의 지지돌기(124)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대(340)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보드(400)는 로우케이스(120)의 입구(121) 내측에 설치된 광센서(411)에 의해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여 MCU(4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센서입력부(410)와, 조작부(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여 MCU(4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버튼입력부(420)와,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MCU(450)로 입력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출력데이터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기능하는 제이택(JTAG)(430)과, MCU(450)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모터(310)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모터컨트롤부(440), 버튼입력부(420) 및 센서입력부(41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와 고양이의 입출에 의해 소정 시간 이후에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450)와, 광센서(411), 센서입력부(410), 조작부, 버튼입력부(420), 제이택(JTAG)(430), 모터컨트롤부(440), MCU(450) 및 모터(31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60)가 형성되는 PCB로 이루어져 로우케이스(120)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411)는 적외선 발신기 및 적외선 수신기로 이루어져 케이스(100)의 입구(111, 121) 내측에 설치되어 고양이의 입출 및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센서(411)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션디텍터 또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설치하여 고양이의 입출입 또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샌드드럼(200)의 회전 속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샌드드럼(200)의 회전을 빠르게 하거나 또는 늦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전원부(4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버튼도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는 외부에서 컨트롤보드(4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IEEE 1149.1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고양이가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샌드드럼(200) 내측에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을 깔아준다.
고양이가 배변을 하기 위하여 케이스(100)의 입구(111, 121)를 통해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이 깔린 샌드드럼(200) 내측으로 들어가면 로우케이스(120)와 어퍼케이스(110)에 각각 설치된 적외선 발신기와 적외선 수신기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MCU(450)로 인가된다.
상기 신호를 받은 MCU(450)는 샌드드럼(200)의 회전을 10분 후에 가동되도록 자체적으로 시간을 체크한다. 이때 시간이 체크되는 동안 케이스(100) 내측으로 고양이들의 입출에 의해 인가되는 신호는 무시된다.
상기 MCU(450)에서 체크한 시간이 되면, MCU(450)에서는 구동부(300)의 모터(31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모터(310)는 구동력을 감속기(320)로 인가되며, 감속기(320)에서는 회전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감속기기어(321)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감속기기어(321)와 치합된 드럼기어(212)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회전력이 전달된 샌드드럼(200)은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에 각각 형성된 어퍼가이드(112)와 로우가이드(122)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한다.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서 회전하는 샌드드럼(200)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설정한 상태의 회전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샌드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 제조업체에서 설정한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서 회전하는 샌드드럼(200)은 드럼기어(212)의 일측에 형성한 끼움홈(212-1)에 어퍼가이드(112)와 로우가이드(122)에 형성한 어퍼결합패널(113)과 로우결합패널(12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자리 회전하면서 모래에서 고양이의 배변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샌드드럼(200)이 회전하면, 내측에 배출공(213)에서 입구 쪽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한 샌드필터(220)도 함께 회전하면서 고양이가 배설한 배변을 모래에서 분리한다.
상기 샌드필터(220)는 샌드드럼(200) 내측에 형성한 밀착돌기(214)에 측면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나 목재펠렛 등 배변처리물질의 무게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고양이가 배설한 배변을 모래에서 분리한다.
상기 샌드필터(220)에 의해 모래에서 걸러낸 고양이의 배변은 경사지게 형성된 샌드필터(220)를 따라 샌드드럼(200)의 배출공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어퍼가이드(112)의 낙하공(114)으로 떨어져 배변수거홈(115)으로 모인다.
상기 낙하공(114)으로 떨어지는 고양이의 배변은 모래에 수분이 흡수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변은 약간 건조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변의 주위에 모래가 붙어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변수거홈(115)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배변수거홈(115)에 입구가 개방되게 비닐을 설치하여 고양이의 배변이 비닐로 모여지도록 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양이가 케이스(100) 내측으로 들어와 배변활동을 하면, 반복적으로 고양이의 배변을 모래에서 걸러내어 처리를 바로 함으로써 고양이 배변에 의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선행문헌에 나타난 선행기술의 구성보다 단순화되고, 조립시간이 단축되므로 투입되는 인원도 작게 투입되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어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고장 발생율이 선행기술의 구성보다 현저하게 줄어 A/S 발생율이 낮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어퍼케이스
111: 입구 112: 어퍼가이드
113: 어퍼결합패널 114: 낙하공
115: 배변수거홈 116: 가이드돌기
117: 가이드홈 120: 로우케이스
121: 입구 122: 로우가이드
123: 로우결합패널 124: 지지돌기
125: 락킹돌기 130: 덮개
131: 착탈돌기 200: 샌드드럼
210: 샌드드럼몸체 210-1: 제1드럼
210-2: 제2드럼 210-3: 제1체결돌기
210-4: 제2체결돌기 211: 드럼입구
212: 드럼기어 212-1: 끼움홈
213: 배출공 214: 밀착돌기
215: 보강리브 220: 샌드필터
221: 필터몸체 222: 결합돌기
223: 나사돌기 224: 분리공
300: 구동부 310: 모터
320: 감속기 321: 감속기기어
330: 모터브라켓 340: 지지대
400: 컨트롤보드 410: 센서입력부
411: 광센서 420: 버튼입력부
430: 제이택 440: 모터컨트롤부
450: MCU 460: 전원부

Claims (6)

  1. 일측에 고양이 배변이 담기는 배변수거홈(115)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110)가 구성되어 로우케이스(120)와 결합하여 전면에 고양이가 입출하는 입구(111, 121)와, 샌드드럼(200)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것은 물론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이면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에 각각 형성되는 어퍼가이드(112), 로우가이드(122) 및 배변수거홈(115)에 담긴 배변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130)가 어퍼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케이스(100)와;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는 샌드필터(220)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드럼기어(212)를 가지며 어퍼케이스(110)와 로우케이스(120) 사이에 설치되는 샌드드럼(200)과;
    구동력에 의해 샌드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샌드드럼(200)의 일측에 형성한 드럼기어(212)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로우케이스(120)의 로우결합패널(123)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10)와, 소정 회전수로 낮추어진 구동력이 출력될 수 있도록 감속기기어(321)를 가지며 모터(310)와 결합되는 감속기(320)와, 감속기기어(321)가 드럼기어(212)와 치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모터(310)가 안정적으로 로우케이스(12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모터(310)가 설치되는 모터브라켓(330)과, 모터브라켓(330)의 하방향에 설치되어 로우케이스(120)의 지지돌기(124)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대(340)로 이루어져 로우케이스(12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300)와;
    케이스(100)의 입구(111, 121)에 설치된 광센서(411)를 통해 고양이의 입출을 감지한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 기준을 정해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여 배변을 모래와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구비되는 컨트롤보드(400)와;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샌드드럼(200)의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110)는,
    로우케이스(120)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111)와;
    샌드드럼(200)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어퍼케이스(110)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어퍼가이드(112)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200)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310)에 의해 어퍼가이드(112)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어퍼결합패널(113)과;
    고양이의 배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111)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낙하공(114)과;
    배출되는 고양이 배변이 담겨지는 낙하공(114)의 하방향에 형성되는 배변수거홈(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케이스(120)는,
    어퍼케이스(110)와 결합되어 고양이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121)와;
    샌드드럼(200)의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용이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로우케이스(120)의 변형저항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로우가이드(122)와;
    최외측에 형성된 어퍼가이드(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샌드드럼(200)이 설치된 위치를 잡아주어 모터(310)에 의해 로우가이드(122)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로우결합패널(123)과;
    로우결합패널(123)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로우케이스(120) 내측에 형성되어 모터브라켓(330)을 받치는 지지대(340)가 고정되는 지지돌기(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드럼(200)은,
    제1드럼(210-1)과 제2드럼(210-2)으로 이루어져 제1체결돌기(210-3)와 제2체결돌기(210-4)에 의해 결합되어 드럼입구(211)를 형성하며 원통형으로 샌드드럼몸체(210)를 구성하고,
    상기 샌드드럼몸체(210)의 일측에 감속기(320)의 감속기기어(321)와 치합되는 드럼기어(212)가 형성되며,
    고양이의 배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213)이 제1드럼(210-1)에 형성되고,
    배출공(213)이 형성된 샌드드럼몸체(210)의 내측에 형성한 밀착돌기(214)에 일측이 밀착된 상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샌드필터(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보드(400)는,
    로우케이스(120)의 입구(121) 내측에 설치된 광센서(411)에 의해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여 MCU(4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센서입력부(410)와;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MCU(4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버튼입력부(420)와;
    외부의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MCU(450)로 입력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출력데이터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제이택(JTAG)(430)과;
    MCU(450)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모터(310)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모터컨트롤부(440)와;
    버튼입력부(420) 및 센서입력부(41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와 고양이의 입출에 의해 소정 시간 이후에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450)와;
    광센서(411), 센서입력부(410), 조작부, 버튼입력부(420), 제이택(JTAG)(430), 모터컨트롤부(440), MCU(450) 및 모터(31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60);
    가 형성된 PCB보드로 이루어져 로우케이스(120)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KR1020180067350A 2018-06-12 2018-06-12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KR10196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50A KR101961381B1 (ko) 2018-06-12 2018-06-12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50A KR101961381B1 (ko) 2018-06-12 2018-06-12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381B1 true KR101961381B1 (ko) 2019-07-17

Family

ID=6751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350A KR101961381B1 (ko) 2018-06-12 2018-06-12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3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923A (zh) * 2020-04-16 2020-06-23 洪海峰 全自动智能水洗猫厕所
CN112452731A (zh) * 2020-11-26 2021-03-09 小佩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宠物猫排泄物筛分装置
KR102294306B1 (ko)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의 배변 관리 기능을 탑재한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294305B1 (ko) 2021-02-2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CN113924982A (zh) * 2020-06-29 2022-01-14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厕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625A1 (en) * 2012-06-18 2013-12-19 Automated Pet Care Product, Inc. Automated litter device and method
KR101578491B1 (ko)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20180010460A (ko) * 2016-07-21 2018-01-31 노태구 애완동물 배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625A1 (en) * 2012-06-18 2013-12-19 Automated Pet Care Product, Inc. Automated litter device and method
KR101578491B1 (ko)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20180010460A (ko) * 2016-07-21 2018-01-31 노태구 애완동물 배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6923A (zh) * 2020-04-16 2020-06-23 洪海峰 全自动智能水洗猫厕所
CN113924982A (zh) * 2020-06-29 2022-01-14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厕所
CN112452731A (zh) * 2020-11-26 2021-03-09 小佩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宠物猫排泄物筛分装置
US11944066B2 (en) 2020-11-26 2024-04-02 Petkit Network Technology(Shanghai) Co., Ltd. Pet cat excrement screening device
KR102294305B1 (ko) 2021-02-2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KR20220120422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플루토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KR102294306B1 (ko)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의 배변 관리 기능을 탑재한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356839B1 (ko) 2021-03-02 2022-02-08 주식회사 플루토 애완동물 관련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과 연동되는 배변처리장치를 이용한 배변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381B1 (ko)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KR102004482B1 (ko)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US5363807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US5592900A (en) Automated portable pet toilet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070284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1585513B1 (ko) 애완동물 배변 케어 시스템
KR101972224B1 (ko) 반려견 배변장치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968478B1 (ko) 고양이용 화장실 구조물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JP2607917B2 (ja) 飼育動物用汚物箱
CN111436376A (zh) 一种可用条状猫砂的智能猫厕所
KR20230000035U (ko) 애완동물 화장실
CN112470951B (zh) 全自动宠物猫厕所
WO2020009278A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140137115A (ko) 고양이용 배변처리장치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JP2008161494A (ja)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CN116019018A (zh) 一种用于自清洁猫砂盆的管理系统
CN214015435U (zh) 一种全自动宠物猫厕所
KR20050103112A (ko)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과 배설물 수집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