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305B1 -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305B1
KR102294305B1 KR1020210023582A KR20210023582A KR102294305B1 KR 102294305 B1 KR102294305 B1 KR 102294305B1 KR 1020210023582 A KR1020210023582 A KR 1020210023582A KR 20210023582 A KR20210023582 A KR 20210023582A KR 102294305 B1 KR102294305 B1 KR 102294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housing
disposed
draw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해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루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루토
Priority to KR102021002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05B1/ko
Priority to KR1020210110147A priority patent/KR102646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형성된 상부개구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드로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개구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틸트되는 크래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을 선택적으로 틸트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크래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이 틸트될 경우, 상기 크래들 내부에 저장된 모래 및 배변이 자중에 의해 틸트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크래들에 잔류되고 상기 배변만 상기 드로어로 낙하된다.
본 발명은 배변 및 모래가 함께 저장되는 버킷저장공간과 모래가 걸러지는 회수공간이 그릴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되고, 크래들의 틸트에 의해 배변 및 모래가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취미 생활 또는 생활의 반려용으로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에는 개, 고양이, 뱀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고양이는 고양이과의 포유류를 지칭하며, 고양이는 인간의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애완견과 같이 실내에서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되고 있다.
이러한,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주의을 필요로 하는데, 피부병, 귀 진드기, 허피스 등과 같은 질병은 물론이고, 고양이의 생활습관에 따라 고양이를 길들이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
예컨대, 야행성으로 주로 낮보다는 밤에 생활하는 특성은 물론이고, 고양이를 키우는 주인과의 유대관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숙지하여만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은 물론이고 고양이 또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원활하게 실내에서 함께 생활할 수 있다.
특히, 고양이는 사용하는 화장실이 불결한 경우나 원활 배변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개, 일정한 장소에 고양이 화장실을 설치한 후 고양이 화장실의 내부에 고양이가 사용할 수 있는 모래를 채워 넣어 고양이가 배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반려동물과 함께 가정에서 생활할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배설물이라 볼 수 있고, 분비된 배설물의 처리는 여전히 사람의 몫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의 종마다 용변의 습성이 다르지만, 고양이는 자신의 배설물을 흙이나 모래로 덮는 습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습성을 충족시켜주지 못하면 애완동물의 스트레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고양이용 용변기구 또는 화장실에는 일명 고양이 모래라고 일컫는 알갱이 또는 가루 형태의 재료가 널리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849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는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챔버 내부에 모래가 저장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서 회전되는 분리망이 배치되며, 상기 분리망을 회전시켜 모래에 묻힌 배변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는 반려동물이 들어가야 하는 챔버 내부로 분리망이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이동과정에서 상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는 분리망이 챔버 내부에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려동물과의 충돌 시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84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730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61381호
본 발명은 배변과 모래를 분리하는 그릴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반려동물과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래와 배변을 분리한 후 분리된 배변을 별도의 드로어에 저장할 수 있는 배변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 형성된 상부개구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드로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개구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틸트되는 크래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을 선택적으로 틸트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크래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이 틸트될 경우, 상기 크래들 내부에 저장된 모래 및 배변이 자중에 의해 틸트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크래들에 잔류되고 상기 배변만 상기 드로어로 낙하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개구면과 하측에 하측면에 형성된 하측개구면이 형성된 아우터하우징;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개구면을 커버하는 이너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회전축; 및 상기 크래들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크래들이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트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의 삽입방향과 상기 크래들의 틸트방향이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은, 상기 상부개구면과 연통된 버킷저장공간; 상기 버킷저장공간과 연통된 회수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크래들의 틸트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버킷저장공간 및 회수공간이 상기 크래들과 함께 틸트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배변 및 모래가 함께 저장되는 버킷저장공간과 모래가 걸러지는 회수공간이 그릴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되고, 크래들의 틸트에 의해 배변 및 모래가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크래들의 제 1 틸팅을 통해 모래와 배변을 분리한 후, 분리된 모래는 크래들의 회수하우징에 저장하고 분리된 배변은 하측의 드로어로 낙하시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크래들 전체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모래에 묻힌 배변만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리된 배변이 크래들 하측에 배치된 드로어에 저장되기 때문에, 배변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크래들 상측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크래들의 어느 방향으로든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크래들을 기울여 모래 또는 배변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배변과 접촉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방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드로어와 이너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의 작동 1도이다.
도 15는 도 2의 작동 2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방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드로어와 이너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는 반려동물의 배변을 위한 모래가 저장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배변처리장치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판(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은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고, 반려동물이 배변 후 나올 때 발바닥에 뭍은 모래를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래는 벤토나이트 일 수 있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가 주로 들어있는 점토를 말한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등을 나타내며 주물형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고,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상기 발판(10)은 상기 본체(100)에 배치되는 드로어(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변처리장치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캐노피(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캐노피(20)가 절반만 도시되었으나 상기 캐노피(20)는 상기 본체(100)의 상측 절반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측에 형성된 상부개구면(11)과 하측에 하측면에 형성된 하측개구면이 형성된 아우터하우징(110)과,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개구면을 커버하는 이너하우징(130)과,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일측면(본 실시예에서 정면)에 노출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이너하우징(130)에 지지되는 드로어(120)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개구면(11)으로 노출되며,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에 지지되어 틸트되는 크래들(200)과, 상기 크래들(200)을 선택적으로 틸트시키는 구동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및 이너하우징(130)을 하우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이 아우터하우징(110) 및 이너하우징(130)으로 구분되어 제작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및 이너하우징(130)를 일체화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개구된 상측면을 상부개구면(11)이라 하며, 개구된 하측면을 하부개구면이라 하고, 나머지 면은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은 측면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은 프론트월(114), 레트프월(115), 라이트월(116) 및 리어월(117)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정면에 조작버튼(15) 및 알람(16)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이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전면에 상기 드로어(120)가 노출되고, 상기 드로어(12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측면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드로어(120)에 의해 커버되는 면은 드로어개구면(13)이라 정의한다.
상기 드로어(120)가 아우터하우징(11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드로어개구면(13)이 개방된다.
상기 드로어(12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프론트월(114)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에 배변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드로어개구면(13)을 커버하는 드로어커버(122)와, 상기 드로어커버(122)에 결합되고, 반려동물의 배변이 저장되는 드로어하우징(124)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어(120)가 아우터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드로어커버(122)가 상기 프론트월(114)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하단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핸들홈(1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은 상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은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 1 공간(131)에 삽입된다.
상기 드로어(120)가 아우터하우징(110)에 삽입될 경우,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이 외부로부터 은닉된다.
상기 이너하우징(130)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하우징(130)이 상기 하부개구면을 커버한다.
상기 드로어(120)가 상기 드로어개구면(13)을 통해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이너하우징(130)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크래들(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크래들(20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진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은 상기 크래들(200)에 저장된 배변을 상기 드로어(120)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크래들(200)은 회전은 360도 미만이다.
상기 배변 및 모래의 분리를 위해 상기 크래들(20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은 드로어저장공간(125)이라 정의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이너하우징(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이너하우징(130)에 지지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크래들(200)이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드로어(1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면(11)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크래들(200)의 배변이 미끄러져서 상기 드로어(120)로 낙하될 수 있다.
배변이 자중에 의해 상기 드로어(120)로 미끄러질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크래들(200)이 회전되어야 한다.
상기 크래들(200)이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드로어(120)로 낙하된 배변은 상기 크래들(200)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이너하우징(130)은 상기 드로어(120)의 수납을 위한 공간과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어(120)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제 1 공간(131)이라 하고,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제 2 공간(132)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간(131)은 전방 및 상측이 각각 개구되고, 상기 제 2 공간(132)은 상측만 개구된다.
상기 제 1 공간(131)의 상측에 상기 크래들(200)의 전방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32)의 상측에 상기 크래들(200)의 후방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간(131)에 상기 드로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제 1 공간(13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31) 및 제 2 공간(132)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공간(131) 및 제 2 공간(132)을 구획하는 파티션(133)이 배치된다.
상기 드로어(120)가 상기 제 1 공간(131)에 삽입될 경우, 상기 드로어저장공간(125)이 상기 제 1 공간(131)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드로어(120)가 상기 제 1 공간(131)에 삽입될 경우,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의 후단이 상기 파티션(13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130)은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하구개구면을 커버하는 베이스(134)와, 상기 베이스(134)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 1 사이드월(135)와, 상기 베이스(134)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 2 사이드월(136)과, 상기 베이스(134)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 3 사이드월(137)과, 상기 베이스(134)의 중간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파티션(133)과, 제 2 공간(132)을 형성하는 내측벽(13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제 2 사이드월(136) 및 제 3 사이드월(137)이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제 2 사이드월(136) 및 제 3 사이드월(137)은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및 제 3 사이드월(137)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월(136) 및 제 3 사이드월(137)이 연결된다.
상기 파티션(133)은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및 제 2 사이드월(13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파티션(133)이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및 제 2 사이드월(136)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133)은 제 1 사이드월(135) 및 제 2 사이드월(136)과 각각 연결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본체(100)의 전후 방향의 중간(M)을 기준으로 상기 파티션(133)이 상기 프론트월(114)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파티션(133)의 배치는 후술하는 크래들(200)의 회전 동작에 관계된다.
상기 파티션(133)의 전방에 상기 제 1 공간(131)이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133)의 후방에 상기 제 2 공간(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공간(132)은 상기 제 1 사이드월(135), 제 2 사이드월(136), 제 3 사이드월(137) 및 파티션(133)에 의해 감싸지고,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제 1 사이드월(135)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레프트월(115)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월(136)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라이트월(116)이 배치되며, 상기 제 3 사이드월(137)의 외측에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리어월(117)이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프론트월(114)은 상기 제 1 공간(131)의 전방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프론트월(114)을 관통하여 상기 드로어개구면(13)이 형성된다.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폭(W1)이 상기 드로어하우징(124)의 폭(W2)보다 넓고 길게 형성된다.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양단은 후방 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좌측단(122a)이 상기 제 1 사이드월(135)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드로어커버(122)의 우측단(122b)이 상기 제 2 사이드월(136)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커버(122)가 상기 프론트월(114)을 감싸 상기 제 1 공간(131)을 폐쇄시킨다.
상기 제 2 공간(132)은 상기 제 1 공간(131)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공간(132)의 상부에 상기 크래들(200)의 후미가 위치된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크래들(200)의 후미 일부가 상기 제 2 공간(13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32)은 상기 크래들(200)과 이너하우징(13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130)에는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후방스토퍼(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토퍼는 크래들(200)의 회전중심(C) 보다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후방스토퍼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하우징(130)의 내측벽(138)에 단을 형성하여 제작한다.
상기 내측벽(138)은 측면에서 볼 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138)의 곡률중심은 상기 내측벽(138)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벽(138)의 곡률중심은 후술하는 크래들(200)의 회전중심(C)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내측벽(138)은 상기 회전중심(C)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벽(138)은 상기 리어월(137)에 접하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내측벽(138a)과, 상기 제 1 내측벽(138a)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내측벽(138a)과 교차되게 배치된 제 2 내측벽(138b)과, 상기 제 2 내측벽(138b)에서 연장되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 3 내측벽(138c)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내측벽(138b)이 상기 제 1 내측벽(138a)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내측벽(138c)이 상기 제 2 내측벽(138b)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내측벽(138b)이 후방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2 내측벽(138b)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내측벽(138b)은 상기 제 1 내측벽(138a)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내측벽(138b)은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후단(202)이 상기 제 2 내측벽(138b)에 접촉되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벽(138a)은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반경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200)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내측벽(138)은 상기 제 3 내측벽(138)에서 연장되고, 상기 파티션(133)에 연결되는 제 4 내측벽(138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크래들(200)의 저면(253)이 상기 제 4 내측벽(138d)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크래들(200)의 저면이 상기 제 4 내측벽(138d)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면(11)을 통해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개구면(11)을 커버하고, 상기 개구면(11)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아우터하우징(110)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210)(220)을 포함한다. 구분을 위해 크래들의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회전축(210)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회전축(220)이라 한다.
상기 제 1 회전축(210) 및 제 2 회전축(220)은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축(210) 및 제 2 회전축(220)이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중심(C)을 형성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상기 제 1 회전축(210)이 삽입되는 제 1 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축(220)이 삽입되는 제 2 축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축홈(111) 및 제 2 축홈(112)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이다.
상기 제 1 축홈(111) 및 제 2 축홈(11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축홈(111) 및 제 2 축홈(112)은 상기 회전중심(C)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 전, 상기 크래들(200)은 전단(201) 및 후단(202)이 아우터하우징(110)의 높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상기 전단(201) 및 후단(202)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전단(201) 및 후단(202)이 상기 아우터하우징(110) 보다 상측으로 이동되어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00)은, 벤토나이트 모래를 담을 수 있는 버킷(bucket)형태이다.
상기 크래들(200)은 벤토나이트 모래를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국된 형태이고, 개구된 면이 상기 아우터하우징(110)의 상부개구면(11)과 같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구분을 위해 상기 크래들(200)의 개구면을 크래들개구면(203)이라 정의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측을 향해 크래들개구면(203)이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개구면(203)과 연통된 버킷저장공간(252)이 오목하게 형성된 버킷(250)과, 상기 버킷(250)에 배치된 제 1 회전축(210) 및 제 2 회전축(220)과, 상기 버킷(250)에 배치된 회수하우징(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축(210) 및 제 2 회전축(220)은 상기 버킷(25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크래들개구면(203)은 상기 모래저장공간(252)의 상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버킷(250) 및 회수하우징(230)은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수하우징(230)이 상기 버킷(250)에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회수하우징(230) 내부에 회수공간(232)이 형성된다.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은 상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회수공간(232)은 사기 버킷저장공간(252)을 향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수공간(232)이 버킷저장공간(25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즉 상기 회수하우징(230)이 상기 버킷저장공간(25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에 벤토나이트 모래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벤토나이트 모래가 자중에 의해 상기 회수공간(23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버킷저장공간(252) 보다 상기 회수공간(232)이 더 높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저면(253)이 상기 회수공간(232)의 저면(233)보다 더 낮게 배치된다.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저면(253)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공간(232)의 저면(233)도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저면(253)이 상기 제 4 내측벽(138d)에 접촉되거나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저면(253) 및 회수공간(232)의 저면(233)을 연결하는 경사면(254)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254)을 통해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모래가 상기 회수공간(232)으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회수공간(232)의 모래가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회수하우징(230)은 상기 버킷저장공간(252) 및 회수공간(232)을 연통시키는 그릴(235)이 배치된다. 상기 모래는 상기 그릴(235)을 통과하여 버킷저장공간(252) 및 회수공간(232)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그릴(235)은 다수개의 홀 또는 슬릿(236)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홀 또는 슬릿은 벤토나이트 모래는 통과시키고 배변은 통과시키지 못하는 면적으로 제작된다.
상기 그릴(235)은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235)은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235) 및 경사면(254)이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그릴(235) 및 경사면(254)의 경사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그릴(235) 및 경사면(254)의 경사각이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이 경우 상기 그릴(235)의 경사각이 상기 경사면(254) 보다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축(210) 및 제 2 회전축(220)은 상기 그릴(235)의 전후 방향 폭 내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중심(C)이 그릴(235)을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모래를 상기 회수공간(232)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릴(235)의 양측에 벤토나이트 모래를 모아주는 가이드(23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36)는 상기 그릴(235)에서 상기 버킷저장공간(25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킷(250)의 후면(251)은 상기 저면(253)을 향해 완만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킷(250)의 후면(251)은 곡률중심이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버킷(250)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개구면(203) 일부를 커버하는 스크린(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린(260)이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모래가 버킷(250)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60)은 상기 후면(25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260)은 상기 후면(251)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260)은 후단(202)에서 전단(201)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260)은 상기 후면(251)과 사이각을 형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버킷(250)의 후면(251)은 상기 제 1 내측벽(138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킷(250)의 저면(253)은 상기 제 1 내측벽(138a), 제 2 내측벽(138b), 제 3 내측벽(138c) 및 제 4 내측벽(138d)에 걸쳐져 배치된다.
상기 그릴(235)은 상기 제 4 내측벽(138d)에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상기 그릴(235)의 전단이 상기 제 4 내측벽(138d)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 4 내측벽(138d) 내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235)은 상기 제 4 내측벽(138d) 및 회수하우징(2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어(120)의 상측에 상기 회수하우징(230)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어저장공간(125)의 상측에 상기 회수하우징(230)이 배치된다.
상기 구동장치(300)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크래들(200)에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1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모터(310)는 크래들(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하우징(130)의 제 2 공간(132)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310) 및 기어어셈블리(320) 사이에 감속기가 더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기어어셈블리(320)는 상기 모터(310)에 직접 연결된 구동기어(321)와, 상기 구동기어(321)와 치합 또는 결합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종동기어들과, 상기 크래들(200)에 배치된 크래들기어(3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동기어들은 제 1 사이드월(135)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기어어셈블리(32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들은 상기 제 1 사이드월(135)의 내측에 배치된 이너종동기어(323)(324)와, 상기 제 1 사이드월(135)의 외측에 배치된 아우터종동기어(322)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종동기어는 제 1 이너종동기어(323) 및 제 2 이너종동기어(3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이너종동기어(323)와 아우터종동기어(322)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제 1 이너종동기어(323) 및 아우터종동기어(322)는 회전축을 공유한다. 상기 제 1 이너종동기어(323) 및 아우터종동기어(322)의 기어비는 상이하다.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는 상기 제 1 이너종동기어(323)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종동기어(323) 보다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의 기어비가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는 상기 크래들기어(3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기어(330)과 치합된다.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가 상기 크래들기어(330)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치합되기 때문에 상기 크래들(200)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가 제 1 사이드월(135)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크래들기어(330)를 통해 상기 크래들(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기어(330)의 직경이 상기 제 2 이너종동기어(324)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각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기어(33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크래들기어(330)는 상기 버킷(25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기어(330) 및 버킷(250)은 사출성향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기어를 제작하여 상기 버킷(250)에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크래들기어(330)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중심(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래들기어(330)의 회전축에 상기 제 1 회전축(210)이 배치된다.
이하 상기 크래들(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려동물이 배변활동 후에, 사용자가 조작버튼(15)을 누르면, 상기 크래들(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버킷(250)의 모래에 묻힌 배변과 모래를 분리한다.
먼저, 상기 크래들(200)의 전단(201)이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하방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를 제 1 틸팅(R1)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틸팅(R1)을 통해 상기 크래들(200)이 전방으로 틸트(tilt)된다.
상기 제 1 틸팅(R1) 방향에 상기 회수공간(232)이 배치된다. 상기 회수공간(232)은 상기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틸팅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공간(232)의 하측에 상기 드로어(120)의 드로어저장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은 전단(201)의 높이가 낮아지고 후단(202)의 높이가 상승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 1 틸팅을 통해, 후단(202)을 향하던 상기 그릴(235)의 슬릿(236)이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변경된다.
상기 크래들(200)의 회전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의 모래 및 배변이 자중에 의해 점진적으로 회수하우징(230) 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버킷(250)의 모래에 묻힌 배변과 모래가 분리된다.
이때, 모래는 상기 그릴(235)을 통해 상기 회수하우징(230) 내부의 회수공간(232)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배변은 상기 그릴(235) 외측에 남겨지게 된다.
상기 크래들(200)의 점진적인 회전은 상기 모래가 자중에 의해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크래들(200)이 회전되어 상기 그릴(235)이 상기 드로어저장공간(125)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면, 배변이 자중에 의해 상기 드로어저장공간(125)으로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릴(235)의 경사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전단(201) 및 후단(202)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래들(200)의 제 1 틸팅(R1)은 45도 초과 12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크래들(200)을 소정시간 정지시킨 후, 상기 크래들(20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제 2 틸팅(R2)이라 하고, 상기 제 2 틸팅은 상기 크래들(200)의 전단(201)이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상방 회전되어 전단(201)이 상승되고, 후단(202)이 하강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 2 틸팅(R2)을 통해 상기 크래들(200)이 후방으로 틸트된다.
상기 제 1 틸팅 및 제 2 틸팅에 의한 크래들(200)의 틸트 방향과 상기 드로어(120)의 삽입방향이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래들(200)의 틸트 방향과 상기 드로어(120)의 삽입방향이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틸팅은 상기 회수공간(232)의 모래를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틸팅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 2 틸팅의 회전각도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틸팅을 통해 상기 회수하우징(230)이 상승되고, 상기 그릴(232)
상기 제 2 틸팅을 통해, 상측방향을 향하던 상기 그릴(235)의 슬릿(236)이 후단 하측을 향하도록 변경된다.
상기 제 2 틸팅은 상기 후단(202)이 정지상태의 위치보다 더 낮아지도록 크래들(200)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슬릿(236)이 하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회수공간(232)의 모래를 자중에 의해 버킷저장공간(25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틸팅에 의해 버킷저장공간(252)으로 이동되는 모래는 스크린(260)에 의해 버킷(25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킷저장공간(252)으로 이동된 모래를 평탄화하기 위한 제 3 회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회전은 상기 제 1 틸팅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크래들(200)을 회전시키되 상기 제 1 틸팅의 회전각 보다 적은 회전각도로 상기 크래들(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틸팅에 의해 상기 스크린(260) 측으로 모래가 몰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후단(202)을 제 1 틸팅보다 낮은 높이로 상승시켜 상기 스크린(260)에 몰린 모래를 자중에 의해 전단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아우터하우징
120 : 드로어 130 : 이너하우징
200 : 크래들 210 : 제 1 회전축
220 : 제 2 회전축 230 : 회수하우징
250 : 버킷 260 : 스크린

Claims (5)

  1. 상측에 형성된 상부개구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드로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개구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틸트되는 크래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을 선택적으로 틸트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크래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이 틸트될 경우, 상기 크래들 내부에 저장된 모래 및 배변이 자중에 의해 틸트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모래는 상기 크래들에 잔류되고 상기 배변만 상기 드로어로 낙하되고,
    상기 드로어의 삽입방향과 상기 크래들의 틸트방향이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상부개구면과 연통된 버킷저장공간;
    상기 버킷저장공간과 연통된 회수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크래들의 틸트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버킷저장공간 및 회수공간이 상기 크래들과 함께 틸트되고,
    상기 회수공간의 저면은 상기 버킷저장공간의 저면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회수공간의 저면 및 상기 버킷저장공간의 저면을 연결하는 경사면; 및
    상기 회수공간 및 상기 버킷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릴은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과 일렬로 배치되고, 다수개의 홀 또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이 상기 크래들의 전단이 낮아지도록 제1 틸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버킷저장공간 내의 상기 모래 및 상기 배변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회수공간으로 가이드되되, 상기 모래는 상기 그릴을 통과하여 상기 회수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변은 상기 그릴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드로어로 낙하되고,
    이후 상기 크래들이 상기 크래들의 후단이 낮아지도록 제2 틸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회수공간 내의 상기 모래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버킷저장공간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되고,
    이후 상기 크래들이 상기 크래들의 전단이 낮아지도록 제3 틸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버킷저장공간 내의 상기 모래를 상기 제2 틸팅이 수행된 직후보다 평탄화시키고,
    상기 제3 틸팅은 상기 제1 틸팅보다 적은 회전각도로 회전되는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개구면과 하측에 하측면에 형성된 하측개구면이 형성된 아우터하우징;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개구면을 커버하는 이너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삽입되게 배치된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회전축; 및 상기 크래들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크래들이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에 의해 형성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트되는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3582A 2021-02-22 2021-02-22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KR10229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582A KR102294305B1 (ko) 2021-02-22 2021-02-22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KR1020210110147A KR102646548B1 (ko) 2021-02-22 2021-08-20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582A KR102294305B1 (ko) 2021-02-22 2021-02-22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47A Division KR102646548B1 (ko) 2021-02-22 2021-08-20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05B1 true KR102294305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582A KR102294305B1 (ko) 2021-02-22 2021-02-22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KR1020210110147A KR102646548B1 (ko) 2021-02-22 2021-08-20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47A KR102646548B1 (ko) 2021-02-22 2021-08-20 크래들의 틸트를 이용하여 배변 및 모래를 분리하는 배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43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04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WO2024025005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using tilting function
WO2024025007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with separate inner and outer housings
WO2024025006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Method for operating fecal separation apparatus
KR102660661B1 (ko) * 2023-08-14 2024-05-16 주식회사 비엠스테이지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91B1 (ko)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20190073048A (ko) 2017-12-18 2019-06-26 김영준 반려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961381B1 (ko) 2018-06-12 2019-07-17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US20200060221A1 (en) * 2018-08-27 2020-02-27 Petato Technology Limited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066A (en) * 1996-02-28 1997-09-02 Reitz; Donald D. Automatic cat litter device and method
KR20190092636A (ko) * 2018-01-29 2019-08-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이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고양이용 배변장치
KR102220159B1 (ko) * 2019-02-01 2021-02-2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화장실
CA3218976A1 (en) 2019-04-24 2020-10-29 Automated Pet Care Products, Llc Automated litt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91B1 (ko) 2014-10-08 2015-12-18 김일환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KR20190073048A (ko) 2017-12-18 2019-06-26 김영준 반려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961381B1 (ko) 2018-06-12 2019-07-17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US20200060221A1 (en) * 2018-08-27 2020-02-27 Petato Technology Limited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04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WO2024025005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using tilting function
WO2024025007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Fecal separation apparatus with separate inner and outer housings
WO2024025006A1 (en) * 2022-07-27 2024-02-01 Pluto Method for operating fecal separation apparatus
KR102660661B1 (ko) * 2023-08-14 2024-05-16 주식회사 비엠스테이지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422A (ko) 2022-08-30
KR102646548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305B1 (ko)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처리장치
US5361725A (en) Litter containment apparatus for kittens and cats
US6945193B1 (en) Cat litter holding assembly
US5394833A (en) Animal waste disposal apparatus
EP2618653B1 (en) Litter box for domestic animals
JP2939184B2 (ja) 齧歯類等の小動物の観賞用飼育器
KR101855966B1 (ko)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WO2000036906A1 (en) Animal litter container
KR200468228Y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JP2980559B2 (ja) 齧歯類等の小動物の観賞用飼育器
CN111528115A (zh) 一种基于埋猫砂的宠物猫窝的使用方法
US3688741A (en) Portable animal toilet
EP1865766B1 (en) Laying nest for poultry
KR102493692B1 (ko) 반려동물 배변장치
KR101918613B1 (ko) 작은 생물 관찰통
WO2024025007A1 (en) Fecal separation apparatus with separate inner and outer housings
WO2024025006A1 (en) Method for operating fecal separation apparatus
WO2024025005A1 (en) Fecal separation apparatus using tilting function
WO2024025004A1 (en) 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KR101992710B1 (ko) 고양이 배설물 분리장치
US20230000051A1 (en) Waste Receptacle
US20210185974A1 (en) Litterbox kit
JP3810730B2 (ja) 飼育用巣穴構造物とこれを用いた鑑賞用小動物飼育器
JPH1023836A (ja) 移動式鶏舎及び鶏の飼育法
JP3119783U (ja) 猫繁殖用飼育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