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13B1 - 작은 생물 관찰통 - Google Patents

작은 생물 관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13B1
KR101918613B1 KR1020180075074A KR20180075074A KR101918613B1 KR 101918613 B1 KR101918613 B1 KR 101918613B1 KR 1020180075074 A KR1020180075074 A KR 1020180075074A KR 20180075074 A KR20180075074 A KR 20180075074A KR 101918613 B1 KR101918613 B1 KR 10191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tainer
small
expanding portion
l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윤
Original Assignee
우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지윤 filed Critical 우지윤
Priority to KR102018007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은 생물 관찰통에 따르면,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미소 구멍들이 다수 개 형성된 뚜껑을 가진 사육통에서 곤충, 파충류, 거북이 등의 작은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과 아울러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은 공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육통 내부와 외부의 공기 소통이 잘되면서도 날파리들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방에 두어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위생적으로 작은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은 생물 관찰통{Box for Observing Very Small Living Creature}
본 발명은 작은 생물 관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 파충류, 거북이 등의 작은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과 아울러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작은 생물 관찰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과 교육의 필요성 때문에 작은 생물 기르기가 어린이들 가운데 성행하고 있다.
작은 생물들 중에서 어린이들이 기르기 좋아하는 것으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 등의 곤충이 있으며, 이러한 곤충을 기르기 위하여는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야 죽지 않고 수명동안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는 나무 썩은 축축한 곳이든지 동물들의 배설물이 있는 습지을 좋아하기 때문에 인공적으로 그렇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뚜껑이 있는 사육통 내에 톱밥과 먹이통, 놀이목, 산란목, 유충병 등을 설치하고 톱밥에 물을 부어 습기가 차게 하여, 즉 서식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 다음 유충 또는 성충을 넣어 기른다.
그러면 알도 낳고 알이 다시 성충이 되어 곤충이 일생을 살아가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사육통은 곤충 및 작은 동물뿐만 아니라 구피, 금붕어, 다슬기, 우렁이, 민물새우, 개구리밥, 부레옥잠 등을 기르기 위한 어항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사육통으로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를 주로 사용하는데, 햄스터가 새끼를 낳았을 때, 사슴벌레가 톱밥속에서 번데기 생활을 할 때, 우렁이가 바닥에 붙어있을 때는 생물들의 아랫면을 보고 싶어서 사육통 또는 어항을 손으로 들고 밑부분을 쳐다보곤 했는데 그때마다 무거운 어항과 사육통을 들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사육통의 여러 곳에 흩어져있는 생물을 한꺼번에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다양한 크기의 생물을 관찰할 때 다른 렌즈를 손에 들고 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89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미소 구멍들이 다수 개 형성된 뚜껑을 가진 사육통에서 곤충, 파충류, 거북이 등의 작은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과 아울러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은 공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육통 내부와 외부의 공기 소통이 잘되면서도 날파리들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방에 두어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위생적으로 작은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작은 생물 관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은 생물 관찰통은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뚜껑을 가진 작은 생물 관찰통으로써, 뚜껑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하부용기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전방확장부가 구비되고, 하부용기의 후면도 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후방확장부가 구비되고; 전방확장부 및 후방확장부에도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뚜껑, 하부용기, 전방확장부 및 후방확장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미소구멍들은 지름이 0.4 내지 1.0 mm일 수 있다.
뚜껑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확장부의 하부에 결합 구비된 것으로 전방확장부가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면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판 형상의 전방보조판이 구비되고, 후방확장부의 하부에 결합 구비된 것으로 후방확장부가 후방을 향하여 확장되면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는 판 형상의 후방보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은 생물 관찰통에 따르면,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미소 구멍들이 다수 개 형성된 뚜껑을 가진 사육통에서 곤충, 파충류, 거북이 등의 작은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과 아울러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은 공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육통 내부와 외부의 공기 소통이 잘되면서도 날파리들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방에 두어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위생적으로 작은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은 생물 관찰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은 생물 관찰통을 구성하는 전방확장부 및 후방확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은 생물 관찰통을 구성하는 영상촬영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은 생물 관찰통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1)와 뚜껑(2)으로 구성된 작은 생물 관찰통으로써, 뚜껑(2)은 하부용기(1)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4)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2)의 상면에는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3)가 힌지(5) 결합되어 구비된다.
뚜껑(2)과 하부용기(1)의 결합은 패킹 등으로 확실하게 기밀이 보장되도록 결합시키는 구조가 되어야 하고, 눌러서 닫으면 흙이 차인 하부용기(1)의 무게 정도로는 열리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게 닫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하부용기(1)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전방확장부(50)가 구비되고, 하부용기(1)의 후면도 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후방확장부(70)가 구비된다.
전방확장부(50)는 하부용기(1)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자바라식으로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후방으로 접혀지는 주름부(55)가 구비되고, 상단의 주름부(55)와 하단의 주름부(55)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어 하부용기(1)의 전면을 폐쇄시키는 판 형상의 전방창(53)이 구비된다.
이때, 하부용기(1)의 전면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전방창(53)의 일측단 및 타측단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결합되어 전방확장부(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폐쇄시킨다.
전방창(53)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전방보조판(57)이 구비되는 것으로, 전방보조판(57)의 전단은 전방창(53)의 후방 하단에 밀착 결합되고, 전방보조판(57)의 후단은 하부용기(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확장부(50)를 전방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전방창(53)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상부의 주름부(55) 및 하부의 주름부(55)가 펼쳐지는 동시에 전방보조판(57)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후방확장부(70)는 하부용기(1)의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자바라식으로 후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전방으로 접혀지는 주름부(75)가 구비되고, 상단의 주름부(75)와 하단의 주름부(75)의 후면에 밀착 결합되어 하부용기(1)의 후면을 폐쇄시키는 판 형상의 후방창(73)이 구비된다.
이때, 하부용기(1)의 후면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후방창(73)의 일측단 및 타측단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결합되어 후방확장부(7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폐쇄시킨다.
후방창(73)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후방보조판(77)이 구비되는 것으로, 후방보조판(77)의 후단은 후방창(73)의 전방 하단에 밀착 결합되고, 후방보조판(77)의 전단은 하부용기(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후방확장부(70)를 후방으로 확장시키기 위하여 후방창(73)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부의 주름부(75) 및 하부의 주름부(75)가 펼쳐지는 동시에 후방보조판(77)도 후방으로 이동된다.
전방확장부(50)의 상부 주름부(55)와 하부 주름부(55)에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51)이 복수로 형성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에도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일측/타측으로 관통된 미소구멍(51)이 복수로 형성된다.
후방확장부(70)의 상부 주름부(75)와 하부 주름부(75)에도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71)이 복수로 형성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에도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일측/타측으로 관통된 미소구멍(71)이 복수로 형성된다.
뚜껑(2)에 형성된 미소구멍(4), 전방확장부(50)에 형성된 미소구멍(51) 및 후방확장부(70)에 형성된 미소구멍(71)은 그 구멍 하나의 관통 지름이 0.4 내지 1.0 mm로 형성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날파리들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가 된다.
아울러, 미소구멍(4, 51, 71)들은 5mm 내지 10mm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뚜껑(2), 하부용기(1), 전방확장부(50)를 구성하는 전방창(53), 주름부(55) 및 후방확장부(70)를 구성하는 후방창(73), 주름부(7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용기(1)의 일측면(130)에는 영상촬영수단이 구비되고, 타측면(150)에는 영상촬영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90)가 구비된다.
영상촬영수단은 하부용기(1)의 일측면(130)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고정 구비된 판 형상의 지지판(101)과, 지지판(101)의 타측면에 전방과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바(bar) 형상인 한 쌍의 제1가이드(210)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전단과 후단이 전방의 제1가이드(210) 및 후방의 제1가이드(210)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bar) 형상인 제2가이드(230)와, 제2가이드(230)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수단 및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이 구비된 카메라이동부(250)와, 카메라이동부(25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타측을 촬영하는 소형카메라(270)와, 카메라이동부(250)에 구비되어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29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하부용기(1)의 내측 하단에는 습도센서와 미니제습기(500)가 구비되고, 미니제습기(50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510)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이드(23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카메라이동부(250)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소형카메라(270)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조명수단(290)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및 습도센서에 따라 미니제습기(500)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생물 관찰통이 구성되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2)을 연 후, 하부용기(1)에 내에 작은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구성품들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애벌레들인 경우 톱밥 또는 적당한 거름흙을 넣고, 물을 부어 적당하게 습기차게 한 후 곤충 알을 넣거나 유충을 넣어 기른다.
애벌레의 종류로는 나비 애벌레, 매미, 장수풍뎅이 등의 애벌레들이 좋아할 환경을 만들고, 또 성충의 알들을 넣어서 알에서 애벌레가 깨어 나오는 것까지 관찰하게 한다.
위와 같은 작은 생물 관찰통은 사육되는 곤충이 낳은 알을 넣어서 애벌레가 되고 성충이 되면 대형 곤충 사육통으로 옮겨서 생활하게 하고, 성충이 알을 낳으면 작은 생물 관찰통으로 옮겨서 관찰하는 등으로 되풀이하여 배우게 할 수 있다.
또한 햄스터, 거북이 등의 작은 애완 동물을 넣어서 그들의 생활을 관찰함으로써 공부도 하고 즐거움도 더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작은 생물 관찰통에서 사육되는 곤충 또는 작은 애완 동물의 개체수가 많아져서, 하부용기(1)의 수용 공간이 비좁게 되면, 전방확장부(50)를 전방으로 확장시키고, 후방확장부(70)를 후방으로 확장시켜서, 하부용기(1)의 수용 공간이 넓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전방보조판(57) 및 후방보조판(77)은 확장된 부분의 바닥판으로 사용되어 확장된 작은 생물 관찰통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작은 생물 관찰통에서 사육되는 곤충 또는 작은 애완 동물이 내부에 구비된 구성물 등에 엄폐하여 숨는 등으로, 하부용기(1)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곤충 또는 작은 애완 동물의 관찰이 안될 수가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하여 제2가이드(230)와 카메라이동부(250)를 구동시키고, 소형카메라(270)를 통하여 숨어 있는 곤충 또는 작은 애완 동물을 찾아서 관찰할 수가 있다.
야간이거나 주변이 어두울 때는 조명수단(290)을 제어하여 불빛을 비추면서 소형카메라(270)를 통하여 숨어 있는 곤충 또는 작은 애완 동물을 관찰할 수가 있다.
소형카메라(27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90)를 통하여 표시가 된다.
디스플레이(90)에는 소형카메라(270)를 통한 촬영 위치를 변경하거나,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터치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아울러, 습도센서를 통하여 하부용기(1) 내부의 습도가 희망 습도보다 높아진 것으로 감지되면,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하여 미니제습기(500)를 구동시켜, 하부용기(1) 내부의 습도를 적정 습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미니제습기(500)의 구동으로 인해 흡수된 습기는 배수관(5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은 생물 관찰통에 따르면,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미소 구멍들이 다수 개 형성된 뚜껑을 가진 사육통에서 곤충, 파충류, 거북이 등의 작은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과 아울러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작은 공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육통 내부와 외부의 공기 소통이 잘되면서도 날파리들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방에 두어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고, 위생적으로 작은 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하부용기 2: 뚜껑
3: 손잡이 4: 미소구멍
5: 힌지 50: 전방확장부
51: 미소구멍 57: 전방보조판
70: 후방확장부 71: 미소구멍
77: 후방보조판

Claims (4)

  1. 상부만 개방된 하부용기와 뚜껑을 가진 작은 생물 관찰통으로써, 뚜껑은 하부용기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고,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하부용기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전방확장부가 구비되고, 하부용기의 후면도 후방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후방확장부가 구비되고; 전방확장부 및 후방확장부에도 작은 날파리들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상/하로 관통된 미소구멍이 복수로 형성되며; 뚜껑, 하부용기, 전방확장부 및 후방확장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전방확장부는 하부용기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자바라식으로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후방으로 접혀지는 주름부가 구비되고, 상단의 주름부와 하단의 주름부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어 하부용기의 전면을 폐쇄시키는 판 형상의 전방창이 구비되며; 하부용기의 전면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전방창의 일측단 및 타측단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결합되어 전방확장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폐쇄시키고; 후방확장부는 하부용기의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자바라식으로 후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전방으로 접혀지는 주름부가 구비되고, 상단의 주름부와 하단의 주름부의 후면에 밀착 결합되어 하부용기의 후면을 폐쇄시키는 판 형상의 후방창이 구비되며; 하부용기의 후면 일측단 및 타측단으로부터 후방창의 일측단 및 타측단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결합되어 후방확장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폐쇄시키고;
    전방확장부의 하부에 결합 구비된 것으로 전방확장부가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면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는 판 형상의 전방보조판이 구비되고, 후방확장부의 하부에 결합 구비된 것으로 후방확장부가 후방을 향하여 확장되면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는 판 형상의 후방보조판이 구비되며;
    하부용기의 일측면에는 영상촬영수단이 구비되고, 타측면에는 영상촬영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작은 생물 관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소구멍들은 지름이 0.4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 작은 생물 관찰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의 상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작은 생물 관찰통.
  4. 삭제
KR1020180075074A 2018-06-28 2018-06-28 작은 생물 관찰통 KR10191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74A KR101918613B1 (ko) 2018-06-28 2018-06-28 작은 생물 관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74A KR101918613B1 (ko) 2018-06-28 2018-06-28 작은 생물 관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613B1 true KR101918613B1 (ko) 2018-11-14

Family

ID=6432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74A KR101918613B1 (ko) 2018-06-28 2018-06-28 작은 생물 관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208A (ko) * 2019-03-12 2020-09-22 유지형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CN114557320A (zh) * 2022-03-02 2022-05-31 云南农业大学 实蝇类昆虫成虫饲养和生物学参数测定的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08Y1 (ko) * 1999-04-15 2001-03-15 이덕호 채집통
KR200467701Y1 (ko) 2007-02-26 2013-07-05 정명구 좌우 확장형 개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08Y1 (ko) * 1999-04-15 2001-03-15 이덕호 채집통
KR200467701Y1 (ko) 2007-02-26 2013-07-05 정명구 좌우 확장형 개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208A (ko) * 2019-03-12 2020-09-22 유지형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KR102199717B1 (ko) 2019-03-12 2021-01-07 유지형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CN114557320A (zh) * 2022-03-02 2022-05-31 云南农业大学 实蝇类昆虫成虫饲养和生物学参数测定的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2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100986747B1 (ko) 나비 애벌레 사육통
US4958593A (en) Vivarium
US20110155073A1 (en) Aquarium combined with Cat Furniture
KR101918613B1 (ko) 작은 생물 관찰통
CN106106381A (zh) 一种黑水虻养殖、收集装置
CN110268987B (zh) 一种鼠类科研饲养笼
Imes Practical Entomologist
JP2007236359A (ja) 蚊の産卵器
KR20160061157A (ko) 토·양봉겸용 벌통
CN105028334A (zh) 一种用于捕食性天敌蠋蝽规模化饲养的养虫笼及其饲养方法
KR200341247Y1 (ko) 곤충사육 장치
CN106035179A (zh) 一种泥鳅苗种培育装置及培育方法
CN109122582A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749809B1 (ko) 다목적 갯벌 수족관
JP2000262181A (ja) 生物輸送セット
KR101762367B1 (ko)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US20060112896A1 (en) Bifurcated habitat for animals
JP3136630U (ja) ホタルを飼育する観察ケース
KR20200063431A (ko)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JP2010178645A (ja) ホタルの飼育・観察装置及びホタルの飼育・観察キット
CN105766817A (zh) 一种分区式水虻养殖成虫笼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KR101994796B1 (ko) 산란용 거치대와 그물망을 포함하는 곤충부화장치
US5544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live insects to f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