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284B1 - 애완동물용 용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용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284B1
KR101070284B1 KR1020090030715A KR20090030715A KR101070284B1 KR 101070284 B1 KR101070284 B1 KR 101070284B1 KR 1020090030715 A KR1020090030715 A KR 1020090030715A KR 20090030715 A KR20090030715 A KR 20090030715A KR 101070284 B1 KR101070284 B1 KR 10107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et
toilet
cover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280A (ko
Inventor
홍기선
Original Assignee
홍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선 filed Critical 홍기선
Priority to KR102009003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284B1/ko
Priority to US12/756,797 priority patent/US20100258056A1/en
Publication of KR2010011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11)이 마련되고 상측에 배설물 수거공간(11)과 통하는 개구(12)가 형성된 용변기 몸체(10)와; 개구(12)에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개구(12)를 개폐하며 윗면을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21)으로 하는 개폐커버(20)와; 개구(12)가 개폐되도록 개폐커버(20)를 이동시키는 커버 구동수단(30)과; 개구(12)의 개방 시 스텝(21)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개방되는 개구(12) 측으로 이송,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시키는 배설물 이송장치(40)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육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이다.
개, 고양이, 배설물, 애완동물, 용변기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용변기{Pet Potty}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받아 내는 데 사용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내에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정에서는 바닥에 신문지나 폐지와 같은 종이를 펴 놓고 여기에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도록 하거나 베란다, 욕실 등의 정하여진 장소에서 해결하도록 하여 왔으나, 이러한 애완동물의 용변방식은 매우 비위생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애완동물 전용의 용변기가 개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배설물 통 및 이 배설물 통 위에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발판을 가진다. 이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은 평판이나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플레이트(plate)(3)로 구성된다. 이 다수 개의 플레이트(3)는 나란히 배치되고, 하나를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나머지 모두도 회전하도록 기어(gear) 따위의 연동기구(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이 가변된다. 이 같은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수평을 유지하던 플레이트(3)를 약 90도 회전시키면 플레이트(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발판(1) 위 애완동물의 배설물은 이렇게 확보된 플레이트(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설물 통으로 낙하된다.
그러나 살펴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그 플레이트(3)를 연동시키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고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기가 플레이트(3) 사이의 확보공간에 비하여 더 크거나 이 확보공간을 가로질러 놓인 배설물과 점성이 높은 배설물의 경우에는 배설물 통으로의 낙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처리가 곤란하였고, 이에 따라, 발판(1)이 쉬이 불결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목적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발판(스텝)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에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과 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용변기 몸체; 상기 용변기 몸체의 개구에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윗면을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으로 하는 개폐커버;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커버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커버 구동수단; 및 상기 개구가 개방된 때 상기 스텝 위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도록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상기 개구 측으로 이송하는 배설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가 제공된다.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개구의 맞은편에서 상기 개구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또, 상기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용변기 몸체에 상기 스텝 위에서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기 송풍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스텝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변기 몸체는 상기 개구 측으로 이동하였다가 복귀하는 송풍기 하우징이 수용되는 하우징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커버는 좌측커버 및 상기 좌측커버와 쌍을 이루는 우측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는 상기 커버 구동수단에 의하여 서로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는 그 윗면에 서로 대향하는 선단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홈이 각각 복수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는 상기 개구가 폐쇄된 때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는 배설물이 담기는 배설물 봉지;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구를 열융착방식에 의하여 봉하는 열융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장치는 상기 배설물 봉지의 양쪽에서 서로 간의 이격 및 근접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근접 시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구를 오므리는 한 쌍의 압착부재; 상기 배설물 봉지의 압착부재에 대한 직교방향 양쪽에서 서로 간의 이격 및 근접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근접 시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 구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기 스텝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기 용변기 몸체에 끼웠다 빼었다 할 수 있고, 끼워진 때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에 위치되는 배설물 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상기 용변기 몸체의 둘레에 바닥과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통행로를 형성하는 램프, 상기 스텝의 둘레 한쪽에 배설용 벽을 형성하는 벽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녹음장치와 음향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용변기 몸체; 상기 용변기 몸체의 개구 측에 한쪽의 끝 부분이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윗면을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으로 하는 회전부재; 상기 스텝이 수평하거나 상기 개구를 향하여 내리막 경사지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구동수단; 및 상기 스텝 위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도록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상기 개구 측으로 이송하는 배설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용변기 몸체는 상기 스텝이 수평한 때 상기 회전부재를 받치는 받침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스텝 위에서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구 측으로 바람을 보내는 송풍기가 내장되는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개구에 대하여 후진하는 송풍기 하우징이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쪽 끝에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때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애완동물이 배설한 스텝 위의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스텝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이용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 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이하, 제1실시예)는 용변기 몸체(10), 개폐커버(20) 및 커버 구동수단(30)을 포함한다.
용변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 부분이 각각 상측으로 돌출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변기 몸체(10)는 그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11)이 마련되고, 아울러 그 상측에 이 배설물 수거공간(11)과 서로 통하는 개구(12)가 형성된다. 개구(12)는 용변기 몸체(10)의 좌우측인 돌출 부분(13) 사이에 위치된다.
개폐커버(20)는 좌측커버(20L) 및 이 좌측커버(20L)와 쌍을 이루는 우측커버(20R)로 구성된다. 이 좌측커버(20L)와 우측커버(20R)는 가이드(25)에 의하여 용 변기 몸체(10)의 개구(12)에 각각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바, 개구(1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이동하면서 개구(12)를 개폐한다.
개구(12)가 폐쇄되었을 때,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윗면은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step)(21)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윗면(즉, 스텝(21))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홈(22)이 각각 복수 개씩 마련되는데, 이 홈(22)은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까지 연장되고, 각각 이 마주하는 선단 측으로 내리막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은 개구(12)가 폐쇄된 때 그 일부만이 서로 접촉하여 사이에 틈새(G)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틈새(G)는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에 비대칭관계의 요철을 마련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틈새(G)는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이 부분적으로 비접촉인 것이 아닌, 전체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틈새(G)의 크기는 애완동물의 발이 빠지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커버(20)용 가이드(25)는 몸체(10)의 안쪽 전후에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양옆(이동방향에 대한 양쪽의 옆)이 각각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 홈을 포함한다.
커버 구동수단(30)은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러 한 커버 구동수단(30)은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저면에 적어도 한 개씩 장착된 래크(rack)(31), 이 래크(31)와 각각 이가 맞물린 피니언(pinion)(32), 이 피니언(32)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모터는 브래킷(bracket) 따위에 의하여 용변기 몸체(10)의 내부에 정착된다. 모터는 복수 개 구비되고, 피니언(32)에 각각 직결될 수 있다. 또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모터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각 피니언(32)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동력전달기구라 함은 기어, 벨트(belt)나 체인(chain) 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커버 구동수단(30)으로는 래크(31)와 피니언(32), 모터 대신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나 공기압실린더(pneumatic cylinder)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는 또, 개구(12)의 개방 시 애완동물이 스텝(21) 위에 배설한 배설물을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이송하여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시키는 배설물 이송장치(40), 스텝(21)을 살균하는 살균기(50), 배설물 수거공간(11)에 위치되는 배설물 통(55), 이 배설물 통(55)의 내부에 위치되며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되는 배설물이 담기는 배설물 봉지(60), 이 배설물 봉지(60)의 입구를 봉하는 열융착장치(도 4의 도면부호 65), 커버 구동수단(30)을 비롯한 용변기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배설물 이송장치(40)는 두 개 구비되는데, 둘 모두 송풍기(41), 송풍기 하우 징(42) 및 하우징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송풍기(41)가 일으키는 바람에 의하여 스텝(21) 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이송한다.
송풍기 하우징(42)은 가이드(45)에 의하여 용변기 몸체(10)에 스텝(21) 위에서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바, 각각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 상에 위치되고,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된다.
송풍기 하우징(42)의 내부에는 송풍기(41)가 수용되고, 송풍기 하우징(42)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은 송풍기(41)로부터의 바람이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송풍기 하우징(42)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토출구가 마련되거나 노즐(nozzle)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송풍기(41)는 이러한 토출구조 측으로 바람을 보내도록 배치된다.
도면을 보면, 송풍기 하우징(42)의 토출구조 중 일부는 송풍기(41)의 바람이 스텝(21) 측으로 비스듬히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조이다.
하우징 구동수단은 커버 구동수단(30)과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장착 위치만이 다소 상이하다. 즉, 하우징 구동수단 또한 래크, 피니언 및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래크의 경우에는 각 송풍기 하우징(42)의 양옆(이동방향에 대한 양쪽의 옆) 중 적어도 한쪽의 하단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용변기 몸체(10)에 마련된다. 모터의 경우에는 송풍기 하우징(42)에 장착되는바, 송풍 기(41)와 함께 송풍기 하우징(42)에 내장될 수도 있고, 또 그 모터 축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물론, 하우징 구동수단 역시 이러한 구성 대신, 리니어 모터나 공기압실린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송풍기 하우징(42)용 가이드(45)는 개폐커버(20)용 가이드(25)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송풍기 하우징(42)용 가이드(45)도 용변기 몸체(10)에 마련된 안내 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시키고자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였다가 복귀하는 송풍이 하우징(42)이 용변기 몸체(10)에 수용된다면 외관의 향상과 송풍기 하우징(42)의 손상이나 훼손 방지 면에서 유리하겠다. 이에, 용변기 몸체(10)는 그 돌출 부분(13)에 송풍기 하우징(42)이 수용되는 하우징 수용공간(14)이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수용공간(14)의 출입구 측에는 커튼(curtain)과 같은 역할을 하여 하우징 수용공간(14)의 출입구를 차폐하는 유연성 있는 시트(sheet)(23)가 장착된다.
살균기(50)는 송풍기 하우징(42) 내부에 송풍기(41)와 함께 수용되어 송풍기(41)가 일으키는 바람에 살균물질을 분사한다. 물론, 살균물질의 살포가 꼭 이처럼 이루어져야 할 필요는 없으므로, 송풍기 하우징(42)에 대한 살균기(50)의 장착구조는 스텝(21)에 살균물질이 직접 분사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살균기(50)는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것이 아닌, 살균등(germicidal lamp)을 포함하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배설물 통(55)은 용변기 몸체(10)의 전방에서(또는, 후방에서) 이 용변기 몸체(10)에 서랍식으로 끼웠다 빼었다 할 수 있게 결합되는바, 용변기 몸체(10)에 끼워진 때 배설물 수거공간(11)에 위치된다.
배설물 봉지(60)는 열융착장치(65)에 의한 접착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미생물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어 친환경적인 생분해성(bio-degradable)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열융착장치(65)가 도시된 구성도로, 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장치(65)는 배설물 봉지(60)의 입구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가열부재(66)를 포함하고, 이 가열부재(66)는 쌍을 이루는 단위 가열부재로 구성되는데, 단위 가열부재는 배설물 봉지(60)의 좌우 양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서로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된다. 참고로, 가열부재(66)는 열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다.
열융착장치(65)는 또, 압착부재(67)를 더 포함한다. 압착부재(67)는 쌍을 이루는 단위 압착부재로 구성되는데, 이 단위 압착부재는 배설물 봉지(60)의 전후 양 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서로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된다. 이러한 압착부재(67)는 가열부재(66)와 상이한 높이에 있도록 배치되고, 근접 시 벌어져 있는 배설물 봉지(60)의 입구를 오므린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열융착장치(65)는 가열부재(66)와 압착부재(67)를 각각 좌우와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열부재 구동수단과 압착부재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가열부재 구동수단과 압착부재 구동수단은 커버 구동수단(30), 하우징 구동수단과 마찬가지로 래크와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리니어 모터나 공기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어수단은 스텝(21) 위에 올라서 있던 애완동물이 스텝(21)에서 내려갔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 이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감지센서(70)로는 적외선센서를 적용하였는데, 이 적외선센서는 용변기 몸체(10)의 어느 한 돌출 부분(13)에 장착되어 스텝(21) 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한다. 감지센서(70)로는 적외선센서 대신, 무게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커버 구동수단(30), 배설물 이송장치(40), 살균기(50), 열융착장치(65)의 작동을 컨트롤한다. 제어부의 기능은 후술하는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는 녹음장치와 음향출력장치(75)를 더 포함한다. 이 녹음장치와 음향출력장치(75)에 의하면, 제1실시예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스텝(21) 위에서 보게끔 유도하는 음향(이하, 유도음향), 애완동물이 스텝(21) 위에서 용변을 보았을 시 칭찬하는 음향(이하, 칭찬음향) 등이 출력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스텝(21) 위에서 배설하도록 훈련시킬 수 있다. 물론, 애완동물 주인의 음성을 녹음, 주인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면 보다 높은 훈련성과를 거둘 수 있겠다.
음향출력장치(75)는 그 작동이 제어부에 의하여 컨트롤된다. 일례로, 제어부는 유도음향의 경우에는 수시로 출력되고, 칭찬음향의 경우에는 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된 때 출력되도록 할 수 있겠다. 또는, 애완동물이 용변기 몸체(10)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 애완동물이 용변기 몸체(10)의 접근하면 유도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겠다.
새끼 애완동물을 비롯하여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애완동물은 스텝(21)에 오르고 내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는 용변기 몸체(10)의 앞쪽(또는, 뒤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램프(ramp)(도 5의 도면부호 80)를 더 포함하는데, 이 램프(80)는 용변기 몸체(10)가 놓이는 바닥과 스텝(21)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통행로를 형성한다. 램프(80)는 그 통행로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등 미끄럼 방지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램프(80)는 그 통행로가 계단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은 영역표시를 하고, 수컷 개의 경우에는 소변을 옆으로 배설한다. 이러한 행동은 본능적인 것이나, 대부분의 애완동물은 주인의 제재로 본능이 억제되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는 한다.
이에, 제1실시예는 용변기 몸체(10)의 뒤쪽(또는, 앞쪽)에 세워져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텝(21)의 후방에 일정한 높이와 너비의 배설용 벽을 형성하는 판상의 벽 부재(도 5의 도면부호 85)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벽 부재(85)는 용변기 몸체(10)에 결합된 때 배설용 벽의 하단이 스텝(21)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스텝(21)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는 평상시 개구(12)의 경우에는 폐쇄된 상태, 송풍기(41)와 살균기(50)의 경우에는 정지된 상태, 송풍기 하우징(42)의 경우에는 하우징 수용공간(14)에 수용된 상태, 가열부재(66) 및 압착부재(67)의 경우에는 이격된 상태를 각각 유지한다. 물론, 음향출력장치(75)에서는 유도음향이 수시로 출력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스텝(21) 위에 올라서서 용변을 보면, 애완동물이 배설한 대변은 스텝(21) 위에 놓이나, 소변의 경우에는 배설한 즉시 경사진 홈(22)을 따라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흐르고, 이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 사이의 틈새(G)를 통하여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 배설물 봉지(60)에 담긴다. 이때, 소변이 즉각 배출되고,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윗면이 경사진 홈(22)에 의하여 요철구조를 가지므로, 애완동물은 발 등에 소변이 묻지 않거나 적게 묻게 된다.
애완동물이 스텝(21)에서 내려가면, 감지센서(70)는 이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실시예의 커버 구동수단(30), 배설물 이송장치(40), 살균기(50), 열융착장치(65) 및 음향출력장치(75)는 제어부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커버 구동수단(30)은 개구(1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커버(20L)의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커버(20R)의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이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를 이격시킨다. 이때, 개구(12)는 개방되기 시작한다. (도 6, 도 7 참조)
개구(12)가 개방되면, 송풍기(41)와 살균기(50)가 작동된다. 아울러, 하우징 구동수단은 송풍기 하우징(42)을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이동시켰다가(도 6, 도 7 참조) 하우징 수용공간(14)으로 복귀시킨다. (도 2, 도 3 참조) 이때, 스텝(21) 위 애완동물의 대변 및 잔재 소변은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는 송풍기 하우징(42)으로부터 토출되는 송풍기(41)의 바람으로 인하여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의 선단 측으로 이송되고, 개방된 개구(12)를 통하여 배설물 수거공간(11)으로 낙하, 배설물 봉지(60)에 담긴다. 또, 이 과정에서, 스텝(21)은 살균물질에 의하여 살균된다.
이에 따르면, 제1실시예는 배설물 이송장치(40)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풍력에 의하여 이송하므로 애완동물의 배설물과 배설물 이송장치(40)가 접촉됨이 없고, 스텝(21)이 살균기(50)에 의하여 살균되므로 균의 서식이 방지되어 위생적이다.
송풍기 하우징(42)이 하우징 수용공간(14)으로 복귀하면, 송풍기(41)와 살균기(50)는 정지되고, 커버 구동수단(30)은 개구(12)가 폐쇄되도록 좌측 및 우측커버(20L,20R)를 근접시킨다. (도 2, 도 3 참조)
또한, 압착부재 구동수단은 압착부재(67)의 두 단위 압착부재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도 8의 (A) 참조) 이때, 배설물 봉지(60)는 입구의 양쪽에서 한 쌍의 압착부재(67)가 가하는 힘에 의하여 벌어져 있는 입구가 오므라진다.
다음, 가열부재 구동수단은 가열부재(66)의 가열된 두 단위 가열부재가 서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도 8의 (B) 참조) 이때, 오므라진 배설물 봉지(60)의 입구는 그 양쪽에서 한 쌍의 가열부재(66)가 가하는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접착되어 밀봉된다.
이것에 의하면, 배설물의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배 설물 봉지(60)의 입구가 압착부재(67)에 의하여 오므라진 상태에서 가열부재(66)에 의하여 접착되므로 밀봉불량(예를 들어, 부분 접착)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배설물 봉지(60)의 입구가 접착되면, 가열부재 및 압착부재 구동수단은 가열부재(66)와 압착부재(67)를 각각 이격시킨다. (도 4 참조) 이후, 사용자(애완동물 주인)는 용변기 몸체(10)에서 배설물 통(55)을 빼내어 배설물 봉지(60)를 버리면 된다. 아울러, 배설물 통(55)에 새 배설물 봉지(60)를 두고, 용변기 몸체(10)에 이 배설물 통(55)을 다시 끼우면 된다.
이상과 같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과정에서, 음향출력장치(75)에서는 칭찬음향이 출력된다.
이상,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90은 제1실시예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이하, 제2실시예)는 제1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 때, 스텝(도 9의 도면부호 121)의 경우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개구(도 10, 도 11의 도면부호 112)의 경우에는 스텝이 경사진 때 경사진 스텝의 하단 측에 배치되어 스텝 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경사진 스텝을 따라 개구 측으로 이송,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용변기 몸체(110), 회전부재(120), 회전부재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 배설물 이송장치(140)를 포함한다.
용변기 몸체(110)는 좌우 중 한쪽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113)이 마련되는데, 이 돌출 부분(113)의 내부에는 배설물 수거공간(111)이 마련되고, 이 배설물 수거공간(111)의 상측에는 돌출 부분(113)의 내부(즉, 배설물 수거공간(111))가 외부와 공간적으로 통하여 있도록 연결하는 개구(112)가 형성된다.
회전부재(120)는 좌우 중 한쪽 끝 부분이 힌지(hinge)(125)에 의하여 용변기 몸체(110)의 개구(112) 측에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회전부재(120)는 윗면이 평편하도록 형성되는데, 이 평편한 윗면은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121)으로서 기능한다. 이 스텝(121)은 회전부재(120)의 회전운동을 방해함이 없이 개구(112)와 연이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120)는 그 앞뒤에 좌우방향으로 긴 리브(rib)(124)가 각 각 마련된다. 이 리브(124)는 스텝(1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바, 스텝(121) 위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앞뒤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부재(120)의 윗면에도 제1실시예의 경사진 홈(22)과 마찬가지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 구동수단은 스텝(121)이 수평하거나 개구(112)를 향하여 내리막 경사지도록 힌지(12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부재(120)를 상하로 회전시킨다. 회전부재 구동수단은 힌지(125)에 직결된 모터를 포함한다. 물론, 이 모터의 회전력은 기어, 벨트나 체인 등을 이용한 동력전달기구에 의하여 힌지(125)에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 구동수단(130)으로는 모터 대신, 공기압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다. 공기압실린더의 경우에는 도 10, 도 11에 이점쇄선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설물 이송장치(140) 역시 스텝(121) 위에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개구(112) 측으로 이송, 배설물 수거공간(111)으로 낙하시키는 것이며, 송풍기 하우징(142)과 하우징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송풍기 하우징(142)은 가이드(145)에 의하여 회전부재(120)에 스텝(121) 위에서의 좌우이동(개구(112)에 대해서는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송풍기 하우징(142)은 상측이 평평하도록 형성된다. 송풍기 하우징(142)은 또, 그 내부에 송풍기(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되는바, 이 송풍기가 일으키는 바람이 개구(112) 측으로 토출되 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송풍기, 송풍기 하우징(142)의 토출구조, 하우징 구동수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송풍기 하우징(142)용 가이드(145)는 리브(124)의 마주하는 안쪽에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송풍기 하우징(142)의 양옆(이동방향에 대한 양쪽의 옆)이 각각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 홈을 포함한다.
안내 홈은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하여 개구(112) 측으로 이동하였다가 되돌아오는 송풍기 하우징(142)을 회전부재(120)의 좌우 중 다른 쪽 끝(힌지(125)의 맞은편)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 안내 홈은 개구(112) 측에서 되돌아온 송풍기 하우징(142)을 하강시켜 이 송풍기 하우징(142)의 평평한 상측과 스텝(121)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부재(120)의 다른 쪽 끝에 위치된 송풍기 하우징(142)은 회전부재(120)와 동일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는 배설물 통(155), 제어수단 및 디스플레이(190)를 더 포함하고, 이 중 제어수단은 감지센서(170)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배설물 통(155) 및 감지센서(170)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실시예의 작동 설명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2실시예도 제1실시예의 살균기(50), 배설물 봉지(60), 열융착장치(65), 녹음장치, 음향출력장치(75), 램프(80) 및 벽 부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실시예의 구성들을 제2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 적용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벽 부재의 경우에는 회전부재(120)에 이 회전부재(120)의 회전운동을 방해함이 없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평상시 회전부재(120)의 경우에는 수평상태, 송풍기의 경우에는 정지된 상태, 송풍기 하우징(142)의 경우에는 회전부재(120)의 다른 쪽 끝에서 회전부재(120)와 동일평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각각 유지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스텝(121) 위에 올라서서 용변을 보고 내려가면, 감지센서(17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실시예의 회전부재 구동수단(130) 및 배설물 이송장치(140)는 제어부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회전부재 구동수단(130)은 힌지(12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부재(120)를 상측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킨다. (도 11 참조) 이때, 스텝(121)은 개구(112)를 향하 여 내리막 경사지게 된다.
이에 의하면, 애완동물이 배설한 소변은 경사진 스텝(121)을 따라 개구(112) 측으로 흐르고, 이 개구(112)를 통하여 배설물 수거공간(111)으로 낙하, 배설물 통(155)에 담긴다.(배설물 봉지를 구비한 경우, 배설물 봉지에 담긴다) 아울러, 대변의 경우에도 소변과 마찬가지로 일부가 배설물 통(155)에 담길 수 있다.
회전부재(120)의 상향 회전되면, 송풍기가 작동된다. 아울러, 하우징 구동수단은 송풍기 하우징(142)을 개구(112) 측으로 이동시켰다가(도 11 참조) 회전부재(120)의 다른 쪽 끝으로 복귀시킨다. (도 9, 도 10 참조) 이때, 스텝(121) 위 애완동물의 대변 및 잔재 소변은 송풍기 하우징(142)으로부터 토출되는 송풍기의 바람에 의하여 개구(112) 측으로 이송되고, 개구(112)를 통하여 배설물 통(155)에 담긴다.
송풍기 하우징(142)이 회전부재(120)의 다른 쪽 끝으로 복귀하면, 송풍기는 정지되고, 회전부재 구동수단(130)은 스텝(121)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부재(120)를 하측으로 회전시킨다. (도 9, 도 10 참조)
이상,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5는 회전부재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부재(120)를 회전시켜 스텝(121)이 수평한 때 회전부재(120)를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 부분이다. 이 받침 부분(115)은 용변기 몸체(110)의 좌우 중 다른 쪽(돌출 부분(113)의 맞은편)에 마련된다.
또한, 123은 제1실시예의 유연성 있는 시트(23)와 같이 커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시트인데, 이 시트(123)는 개구(112) 측에 이 개구(112)를 차폐하도록 장착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는 송풍기, 살균기가 송풍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송풍기와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는 용변기 몸체에 장착되고, 이 상태로 튜브(tube)에 의하여 송풍기 하우징과 연결하여 이 송풍기 하우징에 바람이나 살균물질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살균기로부터의 살균물질 분사는 송풍기 하우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용변기 몸체에 살균기를 설치, 스텝에 살균물질이 직접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융착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적용되는 램프 및 벽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 도 3의 상태에서 스텝 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치우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열융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스텝 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치우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용변기 몸체 11, 111 : 배설물 수거공간
12, 112 : 개구 13, 113 : 돌출 부분
14 : 하우징 수용공간 20 : 개폐커버
20L : 좌측커버 20R : 우측커버
21, 121 : 스텝 22 : 개폐커버의 홈
30 : 커버 구동수단 40, 140 : 배설물 이송장치
41 : 송풍기 42, 142 : 송풍기 하우징
50 : 살균기 55, 155 : 배설물 통
60 : 배설물 봉지 65 : 열융착장치
66 : 가열부재 67 : 압착부재
70, 170 : 감지센서 75 : 음향출력장치
80 : 램프 85 : 벽 부재
G : 틈새 115 : 받침 부분
120 : 회전부재

Claims (13)

  1.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이 마련되고, 상측에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과 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용변기 몸체;
    상기 용변기 몸체의 개구에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윗면을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으로 하는 개폐커버;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커버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커버 구동수단;
    상기 개구의 개방 시 상기 스텝 위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도록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상기 개구 측으로 이송하는 배설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개구의 맞은편에서 상기 개구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용변기 몸체에 상기 스텝 위에서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스텝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좌측커버 및 이와 쌍을 이루는 우측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는 상기 커버 구동수단에 의하여 서로 간에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는 그 윗면에 서로 대향하는 선단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진 홈이 각각 복수 개씩 형성되고, 상기 개구가 폐쇄된 때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는 배설물이 담기는 배설물 봉지;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구를 열융착방식에 의하여 봉하는 열융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장치는
    상기 배설물 봉지의 양쪽에서 서로 간의 이격 및 근접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근접 시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구를 오므리는 한 쌍의 압착부재;
    상기 배설물 봉지의 압착부재에 대한 직교방향 양쪽에서 서로 간의 이격 및 근접을 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근접 시 상기 배설물 봉지의 입구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변기 몸체의 둘레에 바닥과 상기 스텝을 연결하는 통행로를 형성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둘레 한쪽에 배설용 벽을 형성하는 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11. 삭제
  12. 내부에 배설물 수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의 상측에 개구가 형성된 용변기 몸체; 상기 용변기 몸체의 개구 측에 한쪽의 끝 부분이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윗면을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용변을 보는 스텝으로 하는 회전부재; 상기 스텝이 수평하거나 상기 개구를 향하여 내리막 경사지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구동수단; 상기 스텝 위에 배설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상기 배설물 수거공간으로 낙하되도록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상기 개구 측으로 이송하는 배설물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스텝 위에서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개구 측으로 바람을 보내는 송풍기가 내장되는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하우징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이송장치는 상기 개구에 대하여 후진하는 송풍기 하우징이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쪽 끝에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때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20090030715A 2009-04-09 2009-04-09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107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15A KR101070284B1 (ko) 2009-04-09 2009-04-09 애완동물용 용변기
US12/756,797 US20100258056A1 (en) 2009-04-09 2010-04-08 Gizmo comfort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15A KR101070284B1 (ko) 2009-04-09 2009-04-09 애완동물용 용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280A KR20100112280A (ko) 2010-10-19
KR101070284B1 true KR101070284B1 (ko) 2011-10-06

Family

ID=4293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715A KR101070284B1 (ko) 2009-04-09 2009-04-09 애완동물용 용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58056A1 (ko)
KR (1) KR101070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97A1 (ko) * 2012-07-02 2014-01-09 Lee Jae Beom 애완동물 배변기
KR20190018859A (ko)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200489118Y1 (ko) * 2017-11-20 2019-05-07 김주식 식분증 방지용 동물 배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6859B2 (en) 2011-12-28 2014-08-26 Rad Innovations Training toilet
US9936671B2 (en) * 2011-12-28 2018-04-10 Rad Innovations Training toilet
CN102972304B (zh) * 2012-12-31 2014-04-23 陈理 猫便清理器
US20170079242A1 (en) * 2015-09-23 2017-03-23 Keith Andre Mosley Pet Greet and Speak
US10362762B2 (en) * 2016-05-26 2019-07-30 Sarah Fitch Pet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pparatus
CH712562A2 (de) * 2016-06-03 2017-12-15 Trottmann Christian Katzentoilette, Katzentoilettevorrichtung für die Katzentoilette sowie ein System aus Katzentoilette und Katzentoilettenvorrichtung.
KR20180061641A (ko) * 2016-11-30 2018-06-08 장보민 반려동물의 변기
JP6706275B2 (ja) * 2018-02-28 2020-06-03 進展工業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CN109819901A (zh) * 2019-03-22 2019-05-31 上海新博路工业设计有限公司 宠物犬笼舍
US20210360896A1 (en) * 2020-05-22 2021-11-25 Sebastian Waddell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CN111937772B (zh) * 2020-07-27 2023-02-17 广州起来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宠物粪便收集器
KR102351325B1 (ko) * 2021-07-26 2022-01-14 이우영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2535854B1 (ko) * 2022-10-28 2023-05-30 박요셉 반려동물용 배변판
USD1000731S1 (en) * 2023-02-13 2023-10-03 Jinhua Jiu Miao Enterprise Management Co., Ltd. Cat litter box s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874A (ja) 1998-07-17 2000-03-07 Windmere Corp 自浄式トイレ箱
JP2008035739A (ja) 2006-08-03 2008-02-21 Koji Abe 動物用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331A (en) * 1974-02-01 1975-03-18 George Breau Animal litter disposal unit
US4231321A (en) * 1979-01-11 1980-11-04 Floraine Cohen Pet accessory for use with a commode
US5103772A (en) * 1991-02-06 1992-04-14 Schmid Hans G Pet potty
US5307761A (en) * 1993-06-01 1994-05-03 Berger Iii Edwin A Vented litter box for cats
US6014946A (en) * 1994-03-11 2000-01-18 Rymer; Jon K. Multiple use commode assembly
WO2004103069A1 (ja) * 2003-05-20 2004-12-02 Hamada, Hiroyasu ペット排泄物の自動清掃包装装置および、ペット排泄物の収集材
NZ542641A (en) * 2005-09-27 2008-06-30 Fmfs Holdings Ltd Toileting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US8555817B2 (en) * 2005-12-05 2013-10-15 Pet Novations Ltd. Feline exudat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874A (ja) 1998-07-17 2000-03-07 Windmere Corp 自浄式トイレ箱
JP2008035739A (ja) 2006-08-03 2008-02-21 Koji Abe 動物用トイ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97A1 (ko) * 2012-07-02 2014-01-09 Lee Jae Beom 애완동물 배변기
KR20190018859A (ko)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200489118Y1 (ko) * 2017-11-20 2019-05-07 김주식 식분증 방지용 동물 배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280A (ko) 2010-10-19
US20100258056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284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US8316801B1 (en) Waste disposal system for canines
KR101572631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837824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423739B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190367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661675B1 (ko)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KR20190117398A (ko) 애완동물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617338B1 (ko)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2311177B1 (ko)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TW201931996A (zh) 排泄物收集裝置與應用其之智慧型排泄物收集系統
KR102372625B1 (ko)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US6457435B1 (en) Pet toilet
KR101903677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61381B1 (ko) 고양이 배변 처리장치
WO2006132864A2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CN109042354B (zh) 一种自动清理粪便的宠物厕所
KR20190128819A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US11516991B2 (en) Kennel including a communication system, cleaning system, sanitizing system, bathroom system,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1828911B1 (ko)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KR101796113B1 (ko) 애완동물용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
CN108739426B (zh) 一种自动清理粪便的宠物厕所
KR102078698B1 (ko) 애완견용 배변 구획처리장치
KR200355409Y1 (ko)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US20210360896A1 (en) Automatically self-cleaning pet pot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