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844B1 -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 Google Patents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44B1
KR101957844B1 KR1020120020480A KR20120020480A KR101957844B1 KR 101957844 B1 KR101957844 B1 KR 101957844B1 KR 1020120020480 A KR1020120020480 A KR 1020120020480A KR 20120020480 A KR20120020480 A KR 20120020480A KR 101957844 B1 KR101957844 B1 KR 10195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tea extract
extract
weigh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729A (ko
Inventor
신진영
김수환
양미숙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2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8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제제,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가 감소된 콜라겐 함유 조성물 및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Agent for reducing unpleasant taste and smell of collagen}
본 발명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뼈, 연골 및 피부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프롤린, 옥시프롤린,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도 다른 단백질에 존재하지 않는 옥시프롤린의 함량이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피부 탄력과 보습 기능 증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최근 드링크제, 분말, 정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의 콜라겐 함유 제품이 국내외에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 함유 제품은 돈피, 우피, 생선 등에서 추출된 원료로 만들어지는데, 그 유래에 따른 콜라겐 특유의 이미 및 이취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콜라겐 함유 제품에서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의 차폐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콜라겐 함유 제품들은 콜라겐 특유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강한 향의 착향료 또는 강한 단맛을 내는 성분을 배합하고 있으나, 제품의 칼로리가 높아지고 섭취 후 입에 잔존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는 여전히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0-0112652호(2010.10.19. 공개) 명세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가 감소된 콜라겐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 및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과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는 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 특유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 나아가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함유 조성물은 콜라겐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차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허브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가 낮아 섭취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방법은 차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콜라겐과 혼합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며, 나아가 콜라겐의 풍미와 향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콜라겐은 섭취 가능한 콜라겐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돈피, 우피 또는 생선으로부터 유래한 콜라겐을 포함한다. 콜라겐은 일반적으로 섭취하기에 불유쾌한 특유의 맛과 냄새, 즉 이미 및 이취를 가지며, 이는 비린 맛 및 비린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는 콜라겐이 유래된 원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는 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 특유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 나아가 차폐시킬 수 있다. 차 추출물은 카테킨, 탄닌 등과 같은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 및 다양한 향기 성분을 함유하여 콜라겐 특유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제제는 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반발효차 추출물 및 홍차 추출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 구체적으로 홍차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녹차 추출물은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 잎 또는 줄기를 발효시키지 않고 추출한 추출물, 백차 추출물은 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싹, 잎 또는 줄기를 5% 내지 15%, 구체적으로 5% 내지 12% 미만으로 약발효시킨 후 추출한 추출물, 반발효차 추출물은 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싹, 잎 또는 줄기를 12% 내지 85% 미만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한 추출물, 홍차 추출물은 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싹, 잎 또는 줄기를 85% 이상 발효시킨 후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발효는 카멜리아 시넨시스의 싹, 잎 또는 줄기를 그에 존재하는 효소로 발효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더 구체적으로 싹, 잎 또는 줄기를 일광 위조(햇빛에 시들게 하기)하고, 실내 정치(수분 증발을 위한 방치) 및 요청(싹, 잎 또는 줄기에 상처를 주는 과정) 과정을 반복함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실내 정치 시간 및 횟수, 요청의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킬수록 발효 정도가 높아진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당업계의 일반적인 추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며, 유기 용매는 알코올, 에테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C1 내지 C5의 알코올, 더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가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에 함유된 카테킨의 함량에 따라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차 추출물은 차 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7 내지 35 중량%,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25 중량%의 카테킨을 함유할 수 있다. 차 추출물이 상기 범위로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제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 추출물이 상기 범위로 카테킨을 함유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효과 발휘 정도와 카테킨에 의해 야기되는 쓴 맛 및 떫은 감각의 정도가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는 허브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 추출물은 섭취 초기에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키고, 허브 추출물은 섭취 후기에 입 안에 잔존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켜, 차 추출물과 허브 추출물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허브는 꽃, 종자, 줄기, 잎 또는 뿌리 등을 약이나 향신료 로 사용하는 식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페퍼민트 잎(Peppermint leaves), 블랙베리 잎(Blackberry leaves), 머쉬멜로 뿌리(Marshmallow roots), 타임(Thyme herbs), 세이지 잎(Sage leaves), 엘더 플라워(Elder flowers), 리코리스 뿌리(Liquorice roots), 플렌테인 잎(Plantain leaves), 렁워트 잎(Lungwort leaves) 및 맬로우 플라워(Mallow flower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 및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차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허브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가 낮아 섭취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콜라겐 중량 대비 0.0005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 중량%, 더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 중량%의 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콜라겐 중량 대비 0.00005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3 중량%, 더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0.5 중량%의 허브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차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이 상기 범위로 차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콜라겐과 차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조성물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가 낮으면서도 우수한 풍미와 향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콜라겐; 및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호 식품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며,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보습 또는 노화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겔, 고형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 및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보습 또는 노화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와 같은 약제학적 보조제 또는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錠劑), 환제(丸劑),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제(顆粒劑), 산제, 세립제, 액제, 유탁제(乳濁濟) 또는 펠렛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를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kg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kg 내지 50 mg/kg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콜라겐과 상기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콜라겐에 차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를 혼합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키며, 나아가 콜라겐의 풍미와 향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방법은 콜라겐과 콜라겐 중량 대비 0.0005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 중량%, 더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 중량%의 차 추출물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방법은 콜라겐과 콜라겐 중량 대비 0.00005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3 중량%, 더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0.5 중량%의 허브 추출물을 혼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콜라겐 및 차 추출물 포함 조성물의 제조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차 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20%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녹차, 홍차, 반발효차 및 백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1g 당 상기 제조한 차 추출물 0.002g을 각각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은 녹차, 실시예 2는 홍차, 실시예 3은 반발효차, 그리고 실시예 4는 백차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이다.
[실험예 1] 차 추출물 종류에 따른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감소 효과 및 기호도 평가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위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조성물에 대해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각 패널의 평가 점수를 평균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이미 및 이취 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15점이 최고점이다. 그리고 기호도 점수는 평가 대상 조성물들 간의 상대적인 점수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이취 강도 6.76 7.5 9.12 9.58
이미 강도 5.89 7.54 8.45 8.65
전반적인 기호도 6.5 9.65 5.5 5.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강도가 낮아졌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높아졌다. 특히 녹차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1 및 홍차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2의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홍차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3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 추출물의 카테킨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차폐시키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특히 홍차 추출물은 특유의 향미를 가지므로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전반적인 기호도를 높인다고 생각된다. 이를 통해 차 추출물이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기호도를 상승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내지 8] 콜라겐 및 홍차 추출물 포함 조성물의 제조
실험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홍차 추출물을 선택하여, 차 추출물 중량 대비 각각 10%, 20%, 30% 및 40%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홍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1g 대비 카테킨 함량을 달리한 각 홍차 추출물 0.002g을 혼합하여 실시예 5 내지 8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는 10%의 카테킨, 실시예 6은 20%의 카테킨, 실시예 7은 30%의 카테킨, 그리고 실시예 8은 40%의 카테킨을 함유한 홍차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이다.
[실험예 2] 카테킨 함량에 따른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감소 효과 및 기호도 평가
실험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 내지 8의 조성물에 대해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이취 강도 9.56 8.46 7.12 6.14
이미 강도 9.48 8.78 6.87 6.77
전반적인 기호도 8.45 7.45 5.12 4.89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차 추출물의 카테킨 함량이 높을수록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차폐 효과 또한 높아졌다. 다만, 카테킨의 함량이 30% 이상인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다소 낮아졌으며, 이는 카테킨에 의한 쓴 맛 및 떫은 감각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9] 콜라겐, 차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 포함 조성물의 제조
실험예 2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카테킨 함량 20%의 홍차 추출물을 선택하여, 콜라겐 1g당 홍차 추출물 0.002g 및 허브 추출물 0.0001g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9로 하였다. 위의 허브 추출물은 페퍼민트 잎(Peppermint leaves), 블랙베리 잎(Blackberry leaves), 머쉬멜로 뿌리(Marshmallow roots), 타임(Thyme herbs), 세이지 잎(Sage leaves), 엘더 플라워(Elder flowers), 리코리스 뿌리(Liquorice roots), 플렌테인 잎(Plantain leaves), 렁워트 잎(Lungwort leaves) 및 맬로우 플라워(Mallow flowers) 중 선택한 하나 이상의 허브를 당업계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실험예 3] 허브 추출물 혼합에 따른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감소 효과 및 기호도 평가
실험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9와, 콜라겐 함유 조성물 및 콜라겐과 20%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홍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콜라겐 이미 및 이취 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콜라겐 콜라겐 + 홍차 추출물 실시예 9
이미 강도 14.21 6.81 4.73
이취 강도 13.84 8.23 4.18
전반적인 기호도 1.66 5.54 8.2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콜라겐 함유 조성물이 차 추출물뿐만 아니라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감소 효과 및 기호도 증가 효과가 더욱 높아졌다. 홍차 추출물은 섭취 초기에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키고, 허브 추출물은 섭취 후기에 입 안에 잔존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켜 홍차 추출물과 허브 추출물을 함께 적용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감소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차 추출물과 허브 추출물의 혼합 제제는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켜 콜라겐 함유 조성물의 전반적인 기호도를 상승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캅셀제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2mg, L-카르니틴 80 내지 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질 캅셀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2mg, 허브 추출물 0.01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mg을 첨가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과립제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4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한다.
[제형예 4] 드링크제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4mg, 허브 추출물 0.02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병에 충진한다. 이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제형예 5] 겔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2mg, 허브 추출물 0.01mg, 젤라틴, 잔탄검 및 로커스트빈콩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류 1g, 구연산삼 나트륨 30mg, 젖산칼슘 300mg, 적량의 향료와 색소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겔을 제조한다.
[제형예 6] 고형바
콜라겐 2g, 홍차 추출물 0.6mg, 전분 20g, 밀가루 9g, 물엿 11g, 맥아당 11.6g, 마가린 6g, 식염 30㎎, 구연산 30㎎, 중조 140㎎ 및 당 에스테르 2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고형 바를 제조한다.
[제형예 7] 환제
콜라겐 1g, 홍차 추출물 0.001g, 허브 추출물 0.0005g, 글리세린 0.3g 및 전분 0.5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환을 제조한다.

Claims (10)

  1. 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차 추출물은 차 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5 이상 30 미만 중량%의 카테킨을 함유하고, 상기 차 추출물은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및 홍차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및 기호도 증진용 제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허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제제.
  5. 콜라겐; 및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및 기호도 증진용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차 추출물을 콜라겐 중량 대비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콜라겐 중량 대비 0.000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콜라겐과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및 기호도 증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혼합하는 단계에서 콜라겐과 콜라겐 중량 대비 0.0005 내지 10 중량%의 차 추출물을 혼합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및 기호도 증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혼합하는 단계에서 콜라겐과 콜라겐 중량 대비 0.00005 내지 5 중량%의 허브 추출물을 혼합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 및 기호도 증진 방법.
KR1020120020480A 2012-02-28 2012-02-2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KR10195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80A KR101957844B1 (ko) 2012-02-28 2012-02-2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80A KR101957844B1 (ko) 2012-02-28 2012-02-2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29A KR20130098729A (ko) 2013-09-05
KR101957844B1 true KR101957844B1 (ko) 2019-03-14

Family

ID=4945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80A KR101957844B1 (ko) 2012-02-28 2012-02-2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80B1 (ko) 2014-05-15 2016-07-08 주식회사농심 어류 유래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20200049201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및 가바 유래 이미 또는 이취 마스킹 제제
KR102191621B1 (ko) * 2020-09-07 2020-12-15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이취가 개선된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84A (ja) 2003-06-04 2004-12-24 Minato Pharmaceutical Co Ltd 不快臭がマスキングされた組成物
JP2009112303A (ja) * 2007-10-16 2009-05-28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飲料
JP2012019762A (ja) 2010-07-16 2012-02-02 Toyo Shinyaku Co Ltd 懸濁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975B2 (ja) 2008-02-13 2014-03-26 株式会社ロッテ コラーゲンペプチドの脱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84A (ja) 2003-06-04 2004-12-24 Minato Pharmaceutical Co Ltd 不快臭がマスキングされた組成物
JP2009112303A (ja) * 2007-10-16 2009-05-28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飲料
JP2012019762A (ja) 2010-07-16 2012-02-02 Toyo Shinyaku Co Ltd 懸濁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29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267B1 (ko)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JP2020511156A (ja)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JP2006306804A (ja) シワ形成抑制剤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601639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1957844B1 (ko)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감소용 제제
JPWO2005112665A1 (ja) 甘藷茎葉加工物含有組成物
JPWO2014010656A1 (ja)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JP2005237291A (ja) 健康食品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KR20070113330A (ko) 곰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58997A (ko) 백발생성 억제 또는 흑모생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179077A (ja) 苦味マスキング剤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6176408A (ja) 水蛭粉末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水蛭粉末、該水蛭粉末を含有する血栓溶解促進組成物
KR100560411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461868B1 (ko)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매생이 추출물의 보관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
CA2496358A1 (en) Hair growth stimulants for oral use
KR20170001681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 함량이 증강된 후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81950B1 (ko)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섭취로 인한 유해독소 저감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