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42B1 -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42B1
KR101957642B1 KR1020180104878A KR20180104878A KR101957642B1 KR 101957642 B1 KR101957642 B1 KR 101957642B1 KR 1020180104878 A KR1020180104878 A KR 1020180104878A KR 20180104878 A KR20180104878 A KR 20180104878A KR 101957642 B1 KR101957642 B1 KR 10195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sheet
aluminum sheet
nonwoven fabric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만욱
Original Assignee
전만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만욱 filed Critical 전만욱
Priority to KR102018010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부터 제 1알루미늄시트, 불연섬유, 제 2알루미늄시트,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합지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50-200mm 이격시켜 연속공급하고 그 사이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고압으로 밀도 25-39 kg/m³가 되도록 분사하여 고르게 펼쳐주는 단계; 상기의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5-15m/min 속도로 30m ~ 100m 이송하면서 온도 40-45℃로 발포와 함께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단열재로, 화재에 강하고 경량이며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Semi-fireproof insulation material using polyurethane fo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여 경량이면서 준불연 특성을 갖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고온이나 극저온 유체의 수송관, 보일러, 건축물의 외벽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온을 하거나 열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현재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폴리우레탄폼, 스티로폼, 유리솜, 석면, 암면 등이 있다.
이 중 스티로폼 및 폴리우레탄폼은 경량이고 단열성능이 우수하지만 화재 발생시 인화성 및 유독성 가스를 다량 배출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이로 인해 인체에 유해함을 가함은 물론 호흡곤란으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불연성능을 확보한 단열재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서 불연성이란 불에 잘 타지 않거나 불에 타지 않는 것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세분하면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불연성, 상기 불연성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준불연성,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난연성으로 나뉜다.
이에 따라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폼의 인화성 및 유독성 가스 발생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머로 방염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는 별도의 공정을 부가하여 생산효율을 저하하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불연 효과의 측면에서도 본질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유리솜이나 석면, 암면의 경우는 불연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대부분 표면이 부서지기 쉽고, 촉감이 좋지 못하며, 무겁고 분진이 날리므로, 운반성, 보관성, 작업성 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55023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면서 화재에 강하고 경량이며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로부터 제 1알루미늄시트, 불연섬유, 제 2알루미늄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상부 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하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투입되어 발포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부로부터 제 1알루미늄시트, 불연섬유, 제 2알루미늄시트를 순차적으로 합지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50-200mm 이격시켜 연속공급하고 그 사이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고압으로 밀도 25-39 kg/m³가 되도록 분사하여 고르게 펼쳐주는 단계; 상기의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5-15m/min 속도로 30m ~ 100m 이송하면서 온도 40-45℃로 발포와 함께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열재 제조방법에 있다.
상기에서 상부시트에는 제 2알루미늄시트하부에 부직포가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불연섬유는 유리섬유, 아라마이드 섬유 중에서 택일된다.
상기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며,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외한 폴리올 포함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 30-70중량부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알루미늄시트, 불연섬유, 제 2알루미늄시트를 포함하는 3중 불연재료의 적층구조에 의하여 화염이 폴리우레탄폼까지 전달되지 않아 단열재가 준불연특성을 갖게 되고, 이러한 적층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단열재는 폴리우레탄폼의 강도와 상관없이 준불연특성을 갖게 되므로 종래 주로 사용되는 40kg/m³밀도 이하인 25-39kg/m³에서도 준불연특성을 갖게 되므로, 경량의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알루미늄시트 저면에 부직포가 적층되어 폴리우레탄폼과 제 2알루미늄시트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사용 중 폴리우레탄폼과 제 2알루미늄시트가 분리되지 않고 접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단열재(10)는 상부로부터 제 1알루미늄시트(22), 불연섬유(24), 제 2알루미늄시트(26)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상부 시트(20)와, 상기 상부시트(20)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하부시트(30), 상기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 사이에 투입되어 발포되고 압착형성된 폴리우레탄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1 및 제 2알루미늄시트(22)(26)는 각각 두께 1~20㎛이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두께 50-200mm이다.
그리고, 상기 불연섬유(24)는 유리섬유, 아라미드 등의 공지의 불연섬유 중 하나로 100-200g/㎡ 비율로 구성된 것을 사용된다.
상기 부직포(28)는 투습도가 10-20g/㎡/24h이고, 인장강도는 길이 25(N/15mm)이상, 폭 10(N/15mm)이상, 신장율은 길이 50%이상, 폭 40%이상, 인열강도(mN)는 길이 1900 이상, 폭 900 이상의 시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30)는 상부시트(20)에 사용되는 부직포와 동일한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열재 제조방법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부로부터 제 1알루미늄시트, 불연섬유(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리섬유를 사용한다), 제 2알루미늄시트를 순차적으로 합지하여 상부층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더블 콘베이어를 통하여 상하로 50-200mm 이격시켜 연속공급하고 그 사이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고압으로 밀도 25-39 kg/m³가 되도록 분사하여 고르게 펼쳐준다.
상기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하는데, 비중은 1.2±0.05(mPa.s), 점도 2300±500cps, 산가 3±1, ph 6±1인 원료를 사용하며, 점착제를 포함하고 난연특성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며, 비중은 1.2 ~ 1.3(mPa.s), 점도 150 ~ 250, NCO 함량 30-32%인 것을 사용한다.
이외에 촉매로 포화촉매와 삼량화촉매를 각각 사용하며, 포화촉매는 비중 0.85±0.1(mPa.s), 점도 1.1±0.1cps, 삼량화촉매는 비중 2±1(mPa.s), 점도 max300인 것을 사용하며, 발포제로 펜탄(인화점 -37℃, 비등점 49.3℃, 비중 0.7±0.1)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0g을 기준으로 폴리올 84.88g, 시클로 펜탄 11.26g, 포화촉매 2.46g, 삼량화촉매 1.4g이 혼합된다.
아울러, 상기 폴리우레탄폼 원료는 고압분사되면서 동시에 자연스럽게 혼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초당 213.41g, 폴리올은 120.77g, 펜탄은 16.02g 포화촉매는 3.50g 삼량화촉매는 1.99g비율로 토출된다.
이후, 상기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10m/min 속도로 30m ~ 100m 이송하면서 온도 40-45℃로 발포와 함께 압착하여 단열재 보드를 형성한다.
이 후, 연속으로 생산되는 보드를 커팅하고 냉각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의 준불연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재 시료 3개(NO1, 2, 3)에 대하여 열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18087567310-pat00001
Figure 112018087567310-pat00002
즉,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서 규정하는 준불연재료의 조건, 즉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열 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며,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으며,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열재 시험체 3개(시험체 1, 2)에 대하여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18087567310-pat00003
즉, 본 발명의 단열재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 - 744호에서 정하는 준불연재료의 조건, 즉 한국산업규격 KS F 2271 중 가스유해성 시험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시트(20)의 제 2알루미늄시트(26) 하부에 부직포(28)를 더 적층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28)에 의하여 상부 시트(20)와 폴리우레탄폼(40)의 접착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열재는 가스 유해성 테스트 결과 업계 평균인 9분을 크게 웃도는 14분이라는 수치로 안전성을 입증했고, 제품 무게와 연관된 심재 밀도 또한 업계평균보다 낮은 36.8kg/㎥에 불과해 가벼우면서도 경제적인 제품임을 알 수 있다.
10 : 단열재 20 : 상부시트
22 : 제 1알루미늄시트 24 : 불연섬유
26 : 제 2알루미늄시트 28 : 부직포
30 : 하부시트 40 : 폴리우레탄 폼

Claims (4)

  1. 상부로부터 두께 1~20㎛의 제 1알루미늄시트(22), 100-200g/㎡ 비율로 구성된 불연섬유(24), 두께 1~20㎛의 제 2알루미늄시트(26) 및 부직포(28)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상부 시트(20)와,
    상기 상부시트(20)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부직포로 이루어진 하부시트(30),
    상기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 사이에 투입되어 발포되고 압착형성된 밀도 25-39 kg/m³이고 두께 50-200mm인 난연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폼(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2. 삭제
  3. 삭제
  4. 상부로부터 두께 1~20㎛의 제 1알루미늄시트, 100-200g/㎡ 비율로 구성된 불연섬유, 두께 1~20㎛의 제 2알루미늄시트,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합지하여 상부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시트와 부직포로 이루어진 하부시트를 50-200mm 이격시켜 연속공급하고 그 사이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연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고압으로 밀도 25-39 kg/m³가 되도록 분사하여 고르게 펼쳐주는 단계;
    상기의 폴리우레탄폼 원료를 5-15m/min 속도로 30m ~ 100m 이송하면서 온도 40-45℃로 발포와 함께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제조방법.
KR1020180104878A 2018-09-03 2018-09-03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78A KR101957642B1 (ko) 2018-09-03 2018-09-03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78A KR101957642B1 (ko) 2018-09-03 2018-09-03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642B1 true KR101957642B1 (ko) 2019-03-12

Family

ID=6580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878A KR101957642B1 (ko) 2018-09-03 2018-09-03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6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08B1 (ko) * 2020-09-24 2021-06-02 주식회사 에코인슈텍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준불연 단열재
KR20210119597A (ko) 2020-03-24 2021-10-06 신승용 외면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발포우레탄폼 단열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17250B1 (ko) * 2021-10-21 2022-07-07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WO2022250202A1 (ko) * 2021-05-24 2022-12-01 (주)디유티코리아 합판 대체용 복합재료층을 포함한 lng 운반선의 화물창용 복합 보냉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34B1 (ko) 2003-10-06 2006-02-08 노병대 불연성 단열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3050A (ko) * 2010-05-06 2011-11-14 디노플러스 (주) 열반사 단열재
KR20150057859A (ko) * 2013-11-20 2015-05-28 영보화학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34B1 (ko) 2003-10-06 2006-02-08 노병대 불연성 단열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3050A (ko) * 2010-05-06 2011-11-14 디노플러스 (주) 열반사 단열재
KR20150057859A (ko) * 2013-11-20 2015-05-28 영보화학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597A (ko) 2020-03-24 2021-10-06 신승용 외면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발포우레탄폼 단열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37909B1 (ko) * 2020-03-24 2021-12-09 신승용 외면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발포우레탄폼 단열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259908B1 (ko) * 2020-09-24 2021-06-02 주식회사 에코인슈텍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준불연 단열재
WO2022250202A1 (ko) * 2021-05-24 2022-12-01 (주)디유티코리아 합판 대체용 복합재료층을 포함한 lng 운반선의 화물창용 복합 보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17250B1 (ko) * 2021-10-21 2022-07-07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642B1 (ko)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FI72288B (fi) Eldfast laminat av skumplast
KR102200831B1 (ko) 준불연 특성이 우수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A1088409A (en) Glass fibre reinforced foa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90068453A (ko) 불연 단열재
RU2315787C2 (ru) Полимерные пенокомпозиты, которые удовлетворяют требованиям стандарта factory material 4880
KR20100060833A (ko) 난연성제가 주입된 스치로폼과 불연 단열재가 결합된 판넬
KR102610877B1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1866422B1 (ko) 화재에 안전한 발열패널
JP7260110B2 (ja) 不燃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6945A (ja) 複合パネル
KR20180120300A (ko) 탄소섬유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고강도 산화마그네슘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144B1 (ko)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KR102121517B1 (ko) 레졸형 페놀 수지를 이용한 발포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102290885B1 (ko) 다중 일체형 제조공정을 통해 내화층과 화재확산방지층이 형성된 준불연 우레탄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7281916B2 (ja) 不燃板の製造方法
KR101286036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2658074B1 (ko) 준불연 건축용 단열재 및 제조 방법
KR10156991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제조방법
JP2006015677A (ja) 難燃性木質ボード
JP3177546B2 (ja) 難燃性断熱材
KR102443702B1 (ko) 준불연 페놀 발포폼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KR102188309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