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09B1 -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09B1
KR102188309B1 KR1020190140284A KR20190140284A KR102188309B1 KR 102188309 B1 KR102188309 B1 KR 102188309B1 KR 1020190140284 A KR1020190140284 A KR 1020190140284A KR 20190140284 A KR20190140284 A KR 20190140284A KR 102188309 B1 KR102188309 B1 KR 10218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ilica
metal
lamina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성
Original Assignee
김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성 filed Critical 김남성
Priority to KR102019014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소형선박, 건축 등의 내부를 마감하고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이 작고 방음성, 단열성, 내열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되지 않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면 변형시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접착제와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난연 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발폼되어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interior material for construction and automobile and its laminated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자동차, 소형선박, 건축 등의 내부를 마감하고 장식하는데 사용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이 작고 방음성, 단열성, 내열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되지 않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면 변형시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음재나 마감재, 또는 내장재 등은 건축물의 실내ㆍ외에서부터 자동차의 실내 천정에까지 매우 다양한 곳에서 쓰여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장 마감재 제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의 폴리우레탄폼(10)이 이송컨베이어(20)의 구동에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4개의 롤(1,2,3,4,5,6,7,8)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롤(1,2,3,4,5,6,7,8)들에는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부직포(30)와 제1 수지필름(31), 글래스매트(32)와 제 2수지필름(33)이 안내되어 해당 위치에서 이송되는 폴리우레탄폼(10)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되도록 이송된다.
즉, 1차적인 폴리우레탄폼(10)의 일면 접착 및 라미네이팅을 위하여 각 롤(1,2,3,4,5,6,7,8)에 권취된 제 1수지필름(31)과 제 2수지필름(33), 글래스매트(32)와 부직포(30)가 동일방향으로 이송되어 폴리우레탄폼(10)을 실어서 프레스(40)와 히트챔버(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히트챔버(50)와 프레스(40)는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폼(10)이 위치되었을 때 승강 및 하강에 의하여 폴리우레탄폼(10)과 글래스매트(32) 및 부직포(30)를 열압착시킨다. 이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프레스(40) 또는 히트챔버(50)만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프레스(40)와 히트챔버(50) 둘 모두 승하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히트챔버(50)와 프레스(40)의 간격을 목적하는 소정 간격으로 설정해 놓고 상기 적층물을 그 틈으로 유도하는 식으로 열압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유기고분자 단섬유를 압착하여 제조한 부직포 판재가 흡음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용 내외장재, 칸막이용 보드 등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고번호 87-5764호는 섬유상의 폴리프로필렌을 잘게 분쇄하고 이에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등의 화학섬유를 10mm 정도로 절단하여 소면기에 넣어 만든 웹(web)을 가열실에서 일정시간 가열한 후 절단하여 압압판으로 압축성형한 화섬판재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에 의한 화섬판재는 화섬물을 10mm 정도의 단섬유로 절단함으로써 단섬유들간의 엉킴이 적어 잘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고번호 제95-6863호는 폐화섬물을 50~ 100mm 정도의 장섬유로 절단하여 타면기에서 타면하여 솜상태로 하고 이를 일정두께의 매트형태로 한 다음 이들을 적당한 두께의 층으로 적층하여 섬유실끼리 서로 일체가 되도록 고열, 고압으로 가열가압함으로써 화섬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섬판재는 고온 및 고압에서 성형되므로 섬유구성물질인 고분자 물질의 분해를 초래하게 되고 섬유의 고유특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84426호는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50중량% 이상과 상기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보다 융점이 50℃ 이상 낮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50중량% 이하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판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판재는 흡음효과는 우수하지만 차음효과가 낮아서 방음효과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107523호는 열융착성 섬유를 함유하는 견면 또는 저밀도 부직포 판재인 피가공물을 가열판식 핫프레스에 투입하여 가열, 압축하되, 가열판식 핫프레스의 조작온도에서 가열판에 융착되지 않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적어도 상기 가열판의 압축방향에 수직하는 피가공물의 표면 및 이면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가열, 압축하여 고밀도 부직포 판재로 성형한 후, 핫프레스에서 배출하여 상기 부직포 또는 직포가 덮어 씌어진 상태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부직포 판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간단한 제조설비 및 공정을 통하여 품질균일성이 우수한 고밀도 부직포 판재를 제조할 수 있지만, 이에 의하여 제조된 부직포 판재도 역시 흡음효과가 우수하지만 차음효과가 낮아서 방음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이와 같이, 이러한 부직포 판재가 건축내장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흡음 특성 및 차음 특성 이외에 일정기준 이상의 난연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이러한 부직포 판재가 실내에 사용되는 건축내장용으로 판매되기 위해서는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E84에 의거하여 탄화면적시험(flame spread test) 및 연기발생시험(smoke development test)을 하였을 때, A 등급(최우수 등급)을 만족하여야 한다. 부직포 판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14032호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판재의 표면에 난연도료가 코팅되어 있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판재를 개시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부직포 판재는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시에도 불꽃이 제거되면 소화되는 자기소화성을 발휘할 수 있으나, 건축내장재 또는 칸막이용 판재로 적용될 때 여전히 흡음메커니즘에 의해서만 방음효과를 달성하고 차음효과를 발휘할 수 없어 방음효과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 부직포 판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난연제가 첨가된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난연제 조성물로 부직포 판재를 처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판재의 경우, 옥타브로모 비페닐, 헥사브로모비페닐 아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와 같은 난연제 화합물이 첨가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 판재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판재를 2-(2,4,6,-트리브로모페녹시) 페놀,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 포스 페이트 등과 같은 난연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상조성물로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난연제를 이용하여 난연처리를 하면, 생산단가의 대폭 증가 이외에 흡음 특성이 처리전보다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21094호 난연성,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가 제안된바 있으며 상기한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금속필름을 접합한 구조로 상기 금속필름은 알루미늄 박막이 일면에만 설치되어 있을 때 금속필름층은 벽면 또는 천정에 부착되고, 직포 또는 부직포층은 실내로 노출되는 배치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직포 또는 부직포층의 양면에 금속필름층인 알루미늄 필름을 추가하여 설치하도록 하여 외관상의 손상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를 1,200~1,400℃로 가열 하였을 때 알루미늄의 용융온도가 약 660℃ 정도이고 그 속에 합지된 직포 또는 부직포의 용융온도는 대략 160~200℃에서 용융됨으로 첨부도면 도 5a와 같이 앞뒤가 관통되게 연소되어 난연성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와 직포 또는 부직포를 금속필름층과 접착은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를 자동차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성형하면 플렉시블하여 강도가 낮아 형태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흡음 효율 및 내화성이 저하되어 자동차 내장재용으로도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4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07523호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95-686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51629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면에 금속필름과 실리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발생을 억제시켜 환경오염 방지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와 난연 특성도 우수한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필름과 직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흡음 특성 뿐만 아니라 차음 특성까지 발휘할 수 있어서 방음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열, 가압에 의한 성형성 향상과 난연성 향상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내장재 적층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접착층과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난연 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발폼되어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여 제1복합부재를 준비하는 제1준비공정과; 부직포의 일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제2복합층을 준비하는 제2준비공정과; 상기 제1복합부재와 제2복합층를 합지하여 난연시트를 제조하는 합지공정과; 상기 난연시트를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하여 결합하는 마무리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물층의 양면에 금속필름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재는 발포된 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의 구현은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접착층과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난연 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발폼되어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물층과 부직포의 사이에 금속필름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금속필름재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포에 무기분말이 산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기재는 발포된 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직포층은 유리섬유재 직포, 테프론재 직포, 케블라 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금속접착제는 에폭시, 아크릴,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접착혼합물층은 금속알콕사이드와 실리카커플링제 및 불소의 혼합물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내장재 적층체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면에 금속필름과 실리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발생을 억제시켜 환경오염 방지 및 그로인해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와 금속 필름과 직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흡음 특성 뿐만 아니라 차음 특성까지 발휘할 수 있어서 방음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열, 가압에 의한 성형성 향상과 난연성 향상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적층내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적층내장재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일반적인 적층내장재를 가열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5b는 본 발명인 적층내장재를 가열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인 적층내장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종래의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은 금속필름재(10)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20)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30)을 적층하여 제1준비공정(S100)을 수행한다.
상기 금속필름재(10)에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알루미늄박막의 필름이 바람직하며 두께는 6~50㎛의 것을 사용한다. 알루미늄박막의 필름을 사용하는 이유는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함이며, 또한 성형시 형태를 유지시키면서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착혼합물층(20)은 실리카와 금속접착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MC계열의 용가제를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량의 총합이 100이라 할 때 5~15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MC계열의 용가제를 5중량% 이하로 사용되면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15중량% 이상을 사용하면 실리카의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비는 실리카 50~80중량%이고 금속접착제는 50~20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접착제가 50중량% 이상이 되면 화재발생시 유해성 가스가 너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 이하이면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카는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직물과 금속을 접합하는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상기 접착혼합물층(20)의 다른 구조로는 금속알콕사이드와 실리카커플링제 및 불소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알콕사이드와 실리카커플링제 및 불소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20)은 접착력이 있어 접착제로 사용하다가 화재발생시 고온의 열을 받으면 경화되는 열경화성이므로 고온의 열을 받기 전까지는 플렉시플 하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고온의 열을 받으면 마치 물이 혼합된 석고가 건조된 것처럼 경화되어 불연재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직물층(30)은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를 사용하며 부직포는 사용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상기 직물층은 내열성 향상과 공기 투과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부직포는 공극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어 공기를 투과가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직물층(30)은 규칙적으로 제직되어 있어 균등한 분포 하중을 나타내며 변형도 부직포와 대비 규칙하게 발생되고 열투과도 규칙적으로 투과되는 반면에 부직포는 조직 자체가 불규칙적이어서 변형도 불규칙하게 발생되고 열 투과도 불규칙하게 전달되므로 화재발생시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 효과가 불균일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부직포에는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직물층(30)은 유리섬유재 직포, 테프론재 직포, 케블라 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접착혼합물층(20)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접착제는 에폭시, 아크릴,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직물층(30)을 형성시킬 때 분말 형태의 무기분말을 산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분말은 세라믹 분말, 일아리트 분말, 탄소 분말, 규조토 분말,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말 형태인 무기분말은 화재발생시 각 소재들의 탄화시 진화를 억제하는 효과와 열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준비공정(S100) 수행 후 순차적으로 접착제(40)를 직물층(30)에 도포 후 부직포(50)를 적층하는 제2준비공정(S200)을 수행하여 난연시이트(C)를 제조한다. 상기 접착제(40)로는 PE계열의 핫 멜트 파우더(Hot Melt Powder) 또는 열융착필름(Hot Melt Film) 또는 MDI계열의 액상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 수용성 아크릴 접착제는 수분에 약하여 하절기시 박리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이 적합하지 않다.
상기 핫 멜트 파우더는 미세한 입자로써 상기 부직포(50)와 함께 살포 또는 부직포(50) 제조 후 부직포의 일면에 살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열융착필름은 가공처리된 얇은 수지재이다. 상기 열 융착필름을 사용할 경우, 상기 부직포(50)의 일면에 부착한다.
상기 부직포(50)는 시이트를 부착시키는 발포재의 수축과 팽창을 잡아주면서 대응하는 부재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동절기시와 하절기시 온도변화에 따라 미설명된 기재가 변형이 되었을 때 상기 기재의 변형량에 대하여 같이 변형되면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대응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직포(50)가 시트이거나 필름 또는 직포일 경우 기재의 변형량에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며, 상기 직물층(30)에 적층된 부직포(50)와 접착제(40)는 미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상기 접착제(40)가 융해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50)와 직물층(30)이 접착되는 것이다. 이후 프레스나 압연기를 통해 상기 직물층(30)과 부직포(50)에 가압된다. 공정에 따라서는 가열과 가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예시 공정도로서 이에 따르면 금속필름재(10)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20)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여 제1복합부재(A)를 준비하는 제1준비공정(S100)을 수행한다.
또한 부직포(50)의 일면에 접착제(40)가 구비된 제2복합부재(B)를 준비하는 제2준비공정(S200)을 별도로 수행 후 상기 제1복합부재(A)와 제2복합부재(B)를 합지하는 합지공정(S300)에 의해 난연시이트(C)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부직포(50)만 단독으로 예컨대 접착제가 도포되진 않고 부직포만 부착된 난연시이트(C)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연시이트(C)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한 번에 제조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준비공정(S100)과 제2준비공정(S200)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여 합지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층(30)의 양면에 금속필름재(10)를 하나 더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난연시이트(C)를 제조 후 기재(60)에 부착시키는 마무리공정(S400)을 수행한다.
상기 기재와 난연시이트(C)의 부착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과 가열에 의한 접착방법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기재(60)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제조한 것으로 가압하여 두께를 조절한 것과 발포 상태로 된 것 두 가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필름재(10)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20)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리섬유로 제직된 직물층(30)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30)의 상부에 접착제(40)와 부직포(50)를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난연시이트(C)를 제조한다.
상기 난연시이트(C)는 부직포(50)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 또는 도포되지 않는 것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층(30)과 부직포(50)의 사이에 금속필름재(10)를 하나 더 부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30)을 중심으로 양면에 알루미늄필름으로 이루어진 금속필름재(10)를 부착한 후 가열하였더니 종래의 적층내장재는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이트는 관통이 되었으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내장재는 직접 가열되는 면만이 약간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금속필름재(10),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20) 및 유리섬유로 제직된 직물층(30)은 가열시 용융점이 600~800℃이므로 내열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표면쪽에 설치되는 금속필름재(10)에 앰보싱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앰보싱은 에어 포켓을 형성시켜 열 전달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앰보싱에 미세 홀을 천공하여 폼을 제조시 발포된 폼이 냉각되어 경화되기 전 양쪽면에 부착하는 난연시이트(C)에 나노 사이즈의 미세 기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미세기공은 폼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인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사용은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슐레이션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굴곡이 과다한 제품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내장재 적층체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면에 금속필름과 실리카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발생을 억제시켜 환경오염 방지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와 금속 필름과 직포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흡음 특성 뿐만 아니라 차음 특성까지 발휘할 수 있어서 방음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열, 가압에 의한 성형성 향상과 난연성 향상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 금속필름재 20 : 접착혼합물층
30 : 직물층 40 : 접착제
50 : 부직포 60 : 기재
S100 : 제1준비공정 S200 : 제2준비공정
S300 : 합지공정 S400 : 마무리공정

Claims (13)

  1. 삭제
  2.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여 제1복합부재를 준비하는 제1준비공정과;
    부직포의 일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제2복합층을 준비하는 제2준비공정과;
    상기 제1복합부재와 제2복합층를 합지하여 난연시이트를 제조하는 합지공정과;
    상기 난연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하여 결합하는 마무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직물층의 양면에 금속필름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는 발포된 폼재이며,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접착제와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난연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발폼되어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혼합물층은 실리카와 금속접착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MC계열의 용가제를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량의 총합이 100이라 할 때 5~15중량%를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비는 실리카 50~80중량%이고 금속접착제는 50~20중량%의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에 있어서,
    금속필름재의 일면에 실리카와 금속접착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접착혼합물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혼합물층에 흡음 효율과 난연 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직된 직물층을 적층하고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접착제와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난연 시이트를 합성수지재로 발폼되어 이루어진 기재의 양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기재는 발포된 폼재이며,
    상기 직물층과 부직포의 사이에 금속필름재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층에 무기분말이 산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혼합물층은 실리카와 금속접착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MC계열의 용가제를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량의 총합이 100이라 할 때 5~15중량%를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와 금속접착제의 혼합비는 실리카 50~80중량%이고 금속접착제는 50~20중량%의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필름재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9. 삭제
  10. 삭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유리섬유재 직포, 테프론재 직포, 케블라 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접착제는 에폭시, 아크릴,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혼합물층은 금속알콕사이드와 실리카커플링제 및 불소의 혼합물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
KR1020190140284A 2019-11-05 2019-11-05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10218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84A KR102188309B1 (ko) 2019-11-05 2019-11-05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84A KR102188309B1 (ko) 2019-11-05 2019-11-05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09B1 true KR102188309B1 (ko) 2020-12-09

Family

ID=7378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84A KR102188309B1 (ko) 2019-11-05 2019-11-05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0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863A (ko) 1993-08-26 1995-03-21 세끼모또 다다히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H09277415A (ja) * 1996-04-09 1997-10-28 Inoac Corp 自動車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1629B1 (ko) 1995-06-20 1998-10-15 금병찬 자동차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107523A (ko) 2000-05-25 2001-12-07 문덕남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1403A (ko) 2000-06-28 2002-01-09 홍승호 Can 프로토콜내에서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법
KR20140026090A (ko) * 2012-08-24 2014-03-05 영보화학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34321A (ko) * 2015-09-18 2017-03-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KR20170069949A (ko) * 2015-12-11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028A (ko) * 2016-02-05 2017-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축 마감재 부착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1908A (ko) * 2017-02-16 2018-06-28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863A (ko) 1993-08-26 1995-03-21 세끼모또 다다히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0151629B1 (ko) 1995-06-20 1998-10-15 금병찬 자동차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9277415A (ja) * 1996-04-09 1997-10-28 Inoac Corp 自動車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7523A (ko) 2000-05-25 2001-12-07 문덕남 섬유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1403A (ko) 2000-06-28 2002-01-09 홍승호 Can 프로토콜내에서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법
KR20140026090A (ko) * 2012-08-24 2014-03-05 영보화학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34321A (ko) * 2015-09-18 2017-03-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KR20170069949A (ko) * 2015-12-11 201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4028A (ko) * 2016-02-05 2017-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건축 마감재 부착용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1908A (ko) * 2017-02-16 2018-06-28 동원씨디에프 주식회사 건축 내외장용 보온 단열 시트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7646A (ja) 風雨バリア被覆及び撥水性被覆を備えた断熱板
CN101248124A (zh) 具有阻燃和疏油/疏水性能的开孔泡沫及其生产方法
EP2766181A1 (en) Panel with fire barrier
JP2021509642A (ja) 難燃性および騒音低減性を提供する複合物品
KR102018641B1 (ko) 팽창형 발포제를 갖는 차량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8286B1 (ko)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KR101999688B1 (ko) 건축물 내장 마감용 준불연성 플라스틱복합패널
KR101372797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2188309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100693075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KR102188303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102155878B1 (ko) 건축 및 자동차 내장재용 난연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시이트
KR102155876B1 (ko) 건축 및 자동차 내장재용 난연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시이트
JP4105784B2 (ja) 吸音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9687A (ko) 난연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
JPH0882021A (ja) 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2589B1 (ko)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6218A (ko) 불연성 로이단열재
KR200421094Y1 (ko) 난연성,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1451178B1 (ko)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86036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0451400B1 (ko)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19439Y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판재
JPH0882020A (ja)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